KR100526563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563B1
KR100526563B1 KR10-2003-0019790A KR20030019790A KR100526563B1 KR 100526563 B1 KR100526563 B1 KR 100526563B1 KR 20030019790 A KR20030019790 A KR 20030019790A KR 100526563 B1 KR100526563 B1 KR 10052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data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713A (ko
Inventor
윤수정
김봉희
하정미
김성준
황병철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7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통신 망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레이어별로 구분하며, 상기 각 레이어들을 미리 설정된 영역에만 그림 데이터가 존재하도록 하며 그 외의 영역을을 투명하게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이 요구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형성된 데이터 채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 시 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 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소정의 기기를 다루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기기에서 대규모의 시스템과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하는 각종 제어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었다. 또한 근래에 이르러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의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각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자들은 인터넷(Internet)이라는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각 개인마다 독특한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를 근간으로 하여 현재 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서 아바타(Avatar)라는 개념의 캐릭터를 각 개인마다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아바타의 어원은 분신(分身)을 뜻하는 산스크리어로, "아래"라는 의미의 아바(Ava)와 "땅"이라는 의미의 테르(Terr)의 합성어로 '신의 화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차용된 아바타는 인터넷 상에서 개인의 분신으로서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음성 통화를 위해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동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비롯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1xEV-DO 시스템의 개발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현재 한 사용자가 다중 채널을 다중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위한 1xEV-DV의 표준에 대한 협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표준의 협의 및 개발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사용자들이 더 많은 그리고 더 다양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요구에 기인한 것이다.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최초 개발 시에는 단순한 통화의 의미에서 좀 더 많은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셀룰라 폰과, PCS 폰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기능 면에서도 단순한 다이얼링 및 전화번호 저장에 따른 단축 번호의 다이얼링에서 시작된 기능들이 현재에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사용자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제공을 원하게 되었다. 즉, 보다 다양한 나만의 독특한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법은 숫자, 한글 문자, 영문 문자, 특수 문자를 비롯하여 각종 아이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다이얼링을 위한 키 입력 또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한글, 영문, 특수 문자와 같은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과, 각 메뉴들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초기화면 및 종료 시의 화면에 동영상 또는 정지 화면의 특정 그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들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사용자의 많은 욕구를 충족하기에 모자람이 있다. 또한 각 정지 화면 또는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그 그림들을 변경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번 화면 또는 영상을 설정한 후에는 이를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데이터 통신 망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레이어별로 구분하며, 상기 각 레이어들을 미리 설정된 영역에만 그림 데이터가 존재하도록 하며 그 외의 영역을을 투명하게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이 요구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형성된 데이터 채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 시 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삭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이 요구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등록된 단말만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 시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 과금을 부가하는 과정을 두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송이 요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른 특정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이 요구될 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접속이 요구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접속한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송 요구 시 전송할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전송이 요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송 요구 시 전송할 단말이 상기 통신 중인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상기 접속된 망을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상기 요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 상기 레이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와, 표시를 위한 데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특정 데이터 요구 시 상기 요구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레이어를 가지며, 상기 각 레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표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영역의 위치에만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레이어는 유사한 카테고리별로 저장 및 관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레이어 데이터 요구 시 또는 상기 각 레이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요구 시 이를 요구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센터를 통해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또는 특정 레이어 데이터를 요구한 단말이 개인용 컴퓨터이며, 상기 요구된 데이터를 특정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이 요구될 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메시지 센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메시지 또는 신호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그 연결관계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101)는 유선 라인을 통해 인터넷 망(103)과 연결된다. 상기 도 1에서는 개인용 컴퓨터(101)가 유선 라인을 통해 인터넷 망(103)과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WLL(Wireless Local Loop) 등을 이용하여 무선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1)는 일반적인 컴퓨터이며,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1)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표시 데이터는 후술되는 도 2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101)는 상기 인터넷 망(103)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1)가 인터넷 망(103)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5)와 접속하는 방법 등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버(10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서버(105)는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일 실시 예로서 SMS 센터(111)와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101)와 인터넷 망(10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5)는 내부 또는 외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UI DB : User Interface DataBase)를 구비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이를 외부에 별도로 도시하였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저장되며, 여기에는 유료 데이터와 무료 데이터 및 일반 사용자들이 생성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105)는 개인용 컴퓨터(101) 또는 이동통신 단말(115)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요구되면, 이를 전송이 요구된 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은 개인용 컴퓨터(101)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115)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 이전에 과금 처리를 위해 각 사용자들을 구별하는 인증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제공하는 서비스와, 개인용 컴퓨터(101)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달리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개인용 컴퓨터(101)는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크고 이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작고 또한 개인용 컴퓨터(101)와 동일하게 제공될 경우 이를 모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명은 후술되는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상기 서버(105)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107)와 연결되는 운용자 컴퓨터(109)는 운용자 터미널로서, 상기 서버(105)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107)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유지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9)는 개인용 컴퓨터(109)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도 2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MS 센터(1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것으로, 상기 SMS 센터(111)는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상기 서버(105)가 제공하는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SMS 센터는 실제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 시스템에 될 수 있다. 상기 SMS 센터(111)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5)에 접속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105)와 접속을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SMS 센터(111)는 상기 서버(105)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115)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SMS 센터는 이동통신 단말기(115)와 소정의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113)과 연결된다.
상기 기지국(113)은 이동통신 단말(115)과 소정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앞으로 제공될 1xEV-DO 시스템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또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1xEV-DV 시스템의 특정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로 핸드폰, PCS 폰, 셀룰라 폰, PDA 폰 등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즉,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이면 족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또는 운용자 컴퓨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101)에서 상기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개인용 컴퓨터(101)는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및 특정 프로그램의 수행을 요구하는 신호의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개인용 컴퓨터(101)는 소정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면 202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그림의 작성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개인용 컴퓨터(101)는 202단계의 검사결과 그림의 작성이 요구되는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2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1)는 204단계로 진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림 작성 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 그런 후 206단계로 진행하여 그림의 작성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206단계의 그림 작성 모드는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그림을 그리는 툴(Tool)인 캐드 프로그램, 비지오 프로그램, 포토 샵, 그림판 등에서 제공하는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그림 작성 모드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스캔하여 입력하거나 또는 직접 그림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러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101)는 작성되는 그림을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림의 작성을 수행하며, 개인용 컴퓨터(101)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작성된 그림 데이터의 레이어가 선택되는가를 검사한다. 개인용 컴퓨터(101)는 레이어가 선택되면 2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06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어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살피기로 한다.
도 3a는 각 레이어의 데이터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아바타를 구성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아바타 구성을 위한 각 레이어들마다 데이터 표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a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개의 레이어들(310, 320, 330, 340, 350)로 구성된다. 상기 도 3a의 실시 예에서는 5개의 레이어들(310, 320, 330, 340, 350)을 도시하였다. 상기 각 레이어들(310, 320, 330, 340, 350)은 소정의 표시 영역들을 가진다. 상기 표시 영역들을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b에 도시된 각 참조부호들이 표시된 각 블록들(310a, 320a, 330a, 340a, 350a)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들이다. 즉, 각 레이어들(310, 320, 330, 340, 350)은 상기한 영역들 이외에는 모두 투명 처리된다. 이를 사람의 그림이 입력되는 경우를 예를 하기 <표 1>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레이어 표시 데이터
제1레이어 얼굴 스타일 영역
제2레이어 하의 스타일 영역
제3레이어 상의 스타일 영역
제4레이어 헤어 스타일 영역
제5레이어 악세사리 영역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 각 레이어들은 각각의 스타일 영역을 가진다. 즉, 상기한 레이어들 각각은 하나의 카테고리를 형성하며, 그와 유사한 영역에 표시 데이터를 가지는 경우에 동일한 카테고리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레이어들은 상기한 영역들 이외의 부분은 모두 투명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이어(310)에는 도 3b의 참조부호 310 영역에만 데이터가 존재하게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그림 데이터는 얼굴 스타일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들은 투명 처리된다. 이는 제2레이어(320) 내지 제5레이어(350)도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제5레이어는 악세사리 영역이므로 어떠한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도 3b에 특정의 위치를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제4레이어(340)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참조부호 340a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4레이어의 데이터는 상기 제1레이어(310)의 얼굴 스타일 영역과 제3레이어(330)의 상의 스타일 영역에 겹치는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부분 중 데이터가 겹치는 영역은 아래 레이어의 데이터는 덮어씌워진다. 따라서 하위 레이어의 표시 데이터는 덮어씌워지지 않는 영역의 데이터만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부분별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한 <표 1>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배경과 같은 데이터를 최하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208단계의 레이어 선택은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이어를 선택하는 과정이 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101)는 208단계에서 상기 레이어 선택이 이루어지면,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맞춰 데이터가 구성된다. 즉, 해당 레이어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해당 레이어의 처리가 완료되면 개인용 컴퓨터(101)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레이어 처리가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105)로 올리는 과정은 일반적인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를 소정의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서버(105)로 올려 저장하는 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컴퓨터에서 소정 단말이 접속하여 데이터 다운로드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서버(105)로 특정 단말이 접속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105)는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특정 단말의 접속을 대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서버(105)는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402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단말로부터 접속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특정 단말로부터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00단계의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서버(105)는 4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접속이 요구된 단말이 이동 단말의 접속 요구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15)과 개인용 컴퓨터(101)의 접속 요구는 접속이 요구된 망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으며, 접속하는 단말로부터 단말의 특성이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5)는 이동 단말의 접속이 요구된 경우 430단계로 진행하고 개인용 컴퓨터(101)의 접속이 요구된 경우 406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개인용 컴퓨터(101)로부터 접속이 요구된 경우 즉, 404단계에서 406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서버(105)는 개인용 컴퓨터(101)로부터 접속이 요구된 경우 406단계로 진행하여 컴퓨터가 접속할 경우 제공되는 초기 화면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런 후 서버(105)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개인용 컴퓨터(101)로부터 로그 인(log in)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로그인의 검사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그 인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410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검사를 수행한다. 즉, 상기 수신된 로그인 데이터가 올바른 데이터인가를 검사한다. 서버(105)는 410단계에서 인증 검사를 수행한 후 412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이 성공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즉, 아이디가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아이디에 대응하는 비밀번호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서버(105)는 상기 검사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 4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14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실패에 따른 과정을 수행한다.
서버(105)는 인증이 성공한 경우 416단계로 진행하여 컴퓨터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컴퓨터 통신 모드란, 일반적으로 서버(105)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상기 도 2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거나 또는 그 밖의 다른 데이터들을 주고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105)는 이와 같이 컴퓨터 통신 모드를 수행하며, 4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2의 과정을 통해 생성되어 상기 서버(105)와 연결된 UI DB(107)에 저장된 데이터의 송신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서버(105)는 상기 418단계의 검사결과 UI DB(107)에 저장된 데이터의 송신이 요구되면, 42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16단계의 컴퓨터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서버(105)는 420단계로 진행하면, 구매 처리 루틴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매 처리 루틴이란, 유료 데이터인 경우 과금을 수행하고, 과금의 경우에도 사이버 머니와, 실제적인 온라인 결재 등으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또한 무료 데이터인 경우 과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매 처리가 완료되면 서버(105)는 422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이 요구된 데이터를 접속된 컴퓨터로 전송할 것인가를 검사한다. 이는 구매 처리 루틴 처리 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 즉,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을 구비하도록 하여 이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5)는 컴퓨터로 데이터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에 4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구매가 이루어진 해당 표시 데이터 즉, 특정 레이어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 또는 레이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하나의 표시 데이터를 인터넷 망(103)을 통해 해당 컴퓨터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로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된 경우 SMS 센터(111)로 이동 단말의 번호와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여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115)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15)로 전달되는 데이터도 상기 컴퓨터로 전달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된다. 이때 서버(105)로부터 전송되는 표시 데이터는 적어도 하기 <표 2>와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가 전달되어야 한다.
레이어 표시 정보 레이어 데이터
상기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표시 정보"와 "레이어 데이터"로 구분되어야만 이동통신 단말에서 저장하여 사용할 때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어 표시 정보는 상기 예시한 <표 1>과 같이 5개의 레이어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3비트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제1레이어(310)인 경우 '000'의 데이터로, 제2레이어(320)인 경우 '001'의 데이터로, 제3레이어(330)인 경우 '010'의 데이터로, 제4레이어(340)인 경우 '011'로, 제5레이어(350)인 경우 '100'로 구현할 수 있다. 즉, 특정한 레이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그림을 형성한 경우 상기 그림 형성을 위해 사용된 각 레이어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표 2>와 같은 형식으로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각 레이어들은 전달된 이동통신 단말(115) 또는 컴퓨터(101)에서 표시를 위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서버(105)는 424단계 또는 426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428단계로 진행하여 종료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즉, 로그아웃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서버(105)는 종료가 요구되면 컴퓨터의 로그아웃 처리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16단계로 진행하여 컴퓨터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404단계의 검사결과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된 경우를 살펴본다. 즉, 404단계에서 43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가 된다. 서버(105)는 43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두지 않을 수도 있다. 인증 검사는 SMS 센터(111)로부터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검사가 가능하다. 상기 SMS 센터(111)와 서버(105)는 시그널링 처리 시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교환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o.7 시그널링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유선 데이터 통신 시의 시그널링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관하여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는다.
서버(105)는 430단계에서 인증 검사를 수행한 후 432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이 성공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버(105)는 436단계로 진행하고, 인증이 실패한 경우 서버(105)는 434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실패 처리를 수행한다. 서버(105)는 인증이 성공한 경우 436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모드는 상술한 416단계의 컴퓨터 통신모드와 다른 통신모드가 된다. 즉, 컴퓨터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은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 용량이 적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신을 수행하며, 서버(105)는 438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도 2에서 작성된 바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44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436단계의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서버(105)는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면 440단계로 진행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과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요금에서 이루어지는 방법과, 또한 사이버 머니를 이용한 방법 및 온라인 결재 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과금 처리 과정에서 현재 통신 중인 이동통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에 대하여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105)는 44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표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수신하여 하나의 완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들을 예를 들어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구분 제1저장 영역 제2저장 영역
얼굴 스타일 영역
하의 스타일 영역
상의 스타일 영역
헤어 스타일 영역
악세사리 영역
상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이어들(310, 320, 330, 340, 350)마다 각기 다른 다수개의 저장 영역들을 가져야만 각 레이어별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상술한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완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서버(105)는 442단계에서 데이터 송신 모드를 수행하며, 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444단계로 진행하여 호의 접속 해제를 요구하는 종료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종료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446단계로 진행하여 호 해제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 종료 요구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436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여기서 호 해제를 위한 과정은 상기 SMS 센터(111)로 이동통신 단말과 호의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을 요구하는 과정이 된다. 이와 같이 호 해제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 또는 운용자 컴퓨터에서 작성된 이동통신 단말용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서버에서 개인용 컴퓨터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되어 이를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로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개인용 컴퓨터에서 USB 포트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마음껏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SMS 센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이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SMS 센터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SMS 센터(111)를 통해 서버(105)와 접속될 시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SMS 센터(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이 될 수 있다.
SMS 센터(111)는 5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호의 접속을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SMS 센터(111)는 5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502단계로 진행하여 특정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서버(105)로 접속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서버(105)와 접속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SMS 센터(111)는 5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50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센터(111)는 50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메시지와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함께 접속 요구 메시지로 구성하여 이를 서버(105)로 전달한다. 그런 후 SMS 센터(111)508단계로 진행하여 서버(105)로부터 인증 성공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인증 성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SMS 센터(111)는 5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510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실패에 따른 과정을 수행한다. 인증 실패에 따른 과정은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 및 접속된 호를 해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인증이 성공한 경우 SMS 센터(111)는 512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모드란, 상기 기지국(113)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서버(105)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115)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SMS 센터(111)는 514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아바타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아바타란 상기 도 2의 과정을 통해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말한다. 상기 검사결과 아바타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SMS 센터(111)는 5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5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SMS 센터(111)는 516단계로 진행하면 짧음 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전송이 요구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짧은 메시지(Short Message)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 및 채널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전송한 후 SMS 센터(111)는 5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4단계 또는 516단계에서 520단계로 진행하면 SMS 센터(111)는 서버(105)로부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해제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호 해제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SMS 센터(111)는 5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된 호를 해제한다. 그러나 호 해제 요구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512단계의 통신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본 발명에 따라 각 레이어로 구성되는 아바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신이 원하는 바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서버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 데이터들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인들이 또는 특정 사업체에서 제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또는 운용자 컴퓨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시의 제어 흐름도,
도 3a는 각 레이어의 데이터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아바타를 구성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아바타 구성을 위한 각 레이어들마다 데이터 표시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컴퓨터에서 소정 단말이 접속하여 데이터 다운로드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SMS 센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이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SMS 센터에서의 제어 흐름도.

Claims (11)

  1. 삭제
  2. 데이터 통신 망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 레이어별로 구분하며, 상기 각 레이어들을 미리 설정된 영역에만 그림 데이터가 존재하도록 하며 그 외의 영역들을 투명하게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이 요구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형성된 데이터 채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 시 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레이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와, 표시를 위한 데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이 요구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등록된 단말만 접속을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구 시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 과금을 부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이 요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른 특정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이 요구될 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접속이 요구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접속한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송 요구 시 전송할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전송이 요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구비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송 요구 시 전송할 단말이 상기 통신 중인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상기 접속된 망을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상기 요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레이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와, 표시를 위한 데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삭제
  10.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특정 데이터 요구 시 상기 요구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 개의 레이어를 가지며, 상기 각 레이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표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영역의 위치에만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레이어는 유사한 카테고리별로 저장 및 관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레이어 데이터 요구 시 또는 상기 각 레이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요구 시 이를 요구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센터를 통해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또는 특정 레이어 데이터를 요구한 단말이 개인용 컴퓨터이며, 상기 요구된 데이터를 특정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이 요구될 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센터를 통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KR10-2003-0019790A 2002-04-01 2003-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26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7865 2002-04-01
KR1020020017865 2002-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713A KR20030079713A (ko) 2003-10-10
KR100526563B1 true KR100526563B1 (ko) 2005-11-03

Family

ID=2878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790A KR100526563B1 (ko) 2002-04-01 2003-03-2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200278A1 (ko)
EP (1) EP1361733A3 (ko)
JP (1) JP2003333667A (ko)
KR (1) KR100526563B1 (ko)
CN (1) CN12515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12774D0 (en) * 2003-06-04 2003-07-09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Image data transfer
JP2006121337A (ja) * 2004-10-20 2006-05-11 Vodafone Kk 移動体通信端末
FR2879875A1 (fr) * 2004-12-20 2006-06-23 Pschit Sarl Procede et systeme d'implementation d'avatar a la demande d'un utilisateur
US20060199599A1 (en) * 2005-01-03 2006-09-07 Arun Gupta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0711194B1 (ko) * 2005-02-04 2007-04-24 바이어스아이티 주식회사 다중 레이어 기반의 이미지 및 오디오 아바타 파일 생성및 재생 방법
US20060294465A1 (en) * 2005-06-22 2006-12-28 Comverse,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mobile avatars
KR100835652B1 (ko) * 2005-09-07 2008-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8502B1 (ko) * 2005-09-07 2008-07-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테마 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38017B1 (ko) * 2007-03-05 2008-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다중 컨텐츠 제공 방법 및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1406B1 (ko) * 2007-03-30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중계층 편집화면 제어방법 및 장치
US20080297515A1 (en) * 2007-05-30 2008-12-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display by an electronic device
US20080301556A1 (en) * 2007-05-30 2008-12-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perational information about an electronic device
US9918218B2 (en) * 2007-06-12 2018-03-1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a networked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TW200952536A (en) * 2008-06-11 2009-12-16 Asustek Comp Inc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JP5332386B2 (ja) * 2008-08-04 2013-11-06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1345946B (zh) * 2008-08-26 2011-06-22 开软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图片的手机漫画生成系统和方法
KR20150033162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포지터,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786A (ja) * 1998-11-06 2000-07-04 Nec Corp 移動電話機
KR20010091205A (ko) * 2000-03-14 2001-10-23 김태균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10096412A (ko) * 2000-04-18 2001-11-07 양호준 인터넷을 이용한 아바타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4090A (ko) * 2002-01-25 2003-07-31 (주)이지네고 아바타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037A (en) * 1992-08-24 1996-07-30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ing apparatus wherein selected stored image data is combined and the combined image data is displayed
WO1997030556A2 (en) * 1996-02-20 1997-08-21 Ericsson Inc. Sending graphic images to mobile terminals
US6018654A (en) * 1996-10-29 2000-01-25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US6661906B1 (en) * 1996-12-19 2003-12-09 Omron Corporation Image creating apparatus
GB9800901D0 (en) * 1998-01-17 1998-03-11 Philips Electronics Nv Graphic image message generation
US6513118B1 (en) * 1998-01-27 2003-01-28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watermarking method, electroni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mage fil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AU774322B2 (en) * 2000-02-29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reen setting method in portable telephone and portable telephone using the same
JP2001306467A (ja) * 2000-04-19 2001-11-02 Hudson Soft Co Ltd 情報伝達方法
EP1292094A4 (en) * 2000-05-30 2004-09-08 Bandai Co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MAGES
KR100461734B1 (ko) * 2000-07-24 2004-12-13 유미특허법인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7234111B2 (en) * 2001-09-28 2007-06-19 Ntt Docomo, Inc. Dynamic adaptation of GUI presentations to heterogeneous device platfor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786A (ja) * 1998-11-06 2000-07-04 Nec Corp 移動電話機
KR20010091205A (ko) * 2000-03-14 2001-10-23 김태균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10096412A (ko) * 2000-04-18 2001-11-07 양호준 인터넷을 이용한 아바타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4090A (ko) * 2002-01-25 2003-07-31 (주)이지네고 아바타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33667A (ja) 2003-11-21
EP1361733A3 (en) 2005-08-17
US20030200278A1 (en) 2003-10-23
EP1361733A2 (en) 2003-11-12
KR20030079713A (ko) 2003-10-10
CN1251540C (zh) 2006-04-12
CN1449217A (zh) 200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5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6064879A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telephone switching station customer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unit for implementing the same
EP1920590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slideshow
CN101594440B (zh) 图像共享系统
JP2003188792A (ja) 情報閲覧装置、情報閲覧システムおよび情報閲覧方法
CN100401764C (zh) 使用移动终端设备的视频会议系统及其实现方法
US8914070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lideshow
EP17465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multimedia data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254813A1 (e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05898585A (zh) 数据输入方法、装置和服务器
US20020049765A1 (en) Information system
EP2061214B1 (en) Virtual terminal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4760321B (zh) 设备数据同步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711726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in a network based on a previous place name and relocated place name displayed on terminals of current conversation participants
CN107346197A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12822334B (zh) 视频彩铃预览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5094334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バ、及び、サーバが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2001306467A (ja) 情報伝達方法
KR20000073341A (ko) 이미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 이를 이용한 이미지 전송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US6880011B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35508A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부송.수신 및 관리방법
KR20020091922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위치정보를 이용한 미팅 서비스의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6068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pim 정보 교환 방법 및 시스템
EP1405465B1 (en) Identifying multilingual participants in network communications
KR100554571B1 (ko)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 정의형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