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205A -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205A
KR20010091205A KR1020000012649A KR20000012649A KR20010091205A KR 20010091205 A KR20010091205 A KR 20010091205A KR 1020000012649 A KR1020000012649 A KR 1020000012649A KR 20000012649 A KR20000012649 A KR 20000012649A KR 20010091205 A KR20010091205 A KR 2001009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omponent
components
selec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102000001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1205A/ko
Publication of KR2001009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넌트화된 캐릭터의 구성품들을 컴퓨터네트워크(인터넷)상에서 시스템의 도움을 통해 사용자 누구나가 손쉽게 자동적으로 합성함으로서 다양한 모습의 캐릭터 연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으로서, 하나의 완전한 캐릭터를 일정하게 구분, 정형적으로 컴포넌트화 하여, 이를 일정한 표준 프레임에 따라 제작한 뒤, 각각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서 향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일한 혹은 적은 수의 기본캐릭터 만을 가지고도 사전에 서비스 제공자가 제작하여 저장, 제공하는 다양한 몸체(Body부), 액세서리(Item부), 배경 등의 컴포넌트 캐릭터들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 자동적으로 합성함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자기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Way to make COmponents of Character, and The way to supply various Character Merging Service with these components to users on the computer network (Internet, etc..)}
본 발명이 은 웹상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자신의 캐릭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캐릭터의 컴포넌트형 제작방식 및 합성 기능, 그리고 이에 관한 일체의 서비스에 대한 기술의 응용이다. 이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는 몇 가지 기본 캐릭터 만으로도 여러가지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우선 마련되어 있는 자신의 기본 캐릭터(얼굴만 그려진 것이거나 혹은 기본적인 체형을 가진 기본 캐릭터)를 가지고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Body 컴포넌트 캐릭터(몸과 특정 동작 및 의상으로 이루어짐 ; 이하 Body 컴포넌트) 와 각종 아이템 컴포넌트 캐릭터(이하 Item 컴포넌트), 그리고 배경 컴포넌트 캐릭터(이하 배경 컴포넌트) 및 기타 여러 캐릭터들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를 만들 수 있게 함으로서, 한정된 캐릭터를 보다 다양한 모습과 방식으로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원리와 합성기능 및 컨텐츠 개발의 이전의 종래 방식으로는 그야말로 단순한 개별단위의 작업을 통해서만 캐릭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캐릭터의 제작은 의뢰인이 개인의 모습을 담은 캐릭터나 어느 특정 캐릭터를 원하는 소비자의 경우, 이를 캐릭터 제작업자에게 직접 의뢰하거나 혹은 웹을 통해 제작자의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을 하게 된다. 이때 제작자는 의뢰자의 요구에 따라 캐릭터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작방식은 각 캐릭터별 개별적으로 이루어 지게 되며, 이렇게 해서 의뢰자에게 수령되는 캐릭터의 모습은 단 하나의 동작이나 의상을 갖을 수 밖에 없게 된다. 즉 케릭터 제작자는 의뢰인의 모습과 일정한(혹은 의뢰인 요구에 의한) 몸동작 및 의상을 모두 포함하여 단 하나로 표현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다양한 개성의 표현시대를 맞아, 개개인은 조그마한 스티커 사진 및 개인 홈페이지를 갖게 되면서, 사람들은 자신만의 다양하고 독특한 표현을 원해왔고 캐릭터 역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하나의 매체로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보아온 기존의 방식에 따라 캐릭터를 서비스 할 경우 소비자는 단 하나 혹은 한정된 형태의 캐릭터만을 얻게 될 뿐이어서, 좀더 다양하게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하는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없다. 물론 더 추가적으로 캐릭터를 제작자에게 의뢰할 수 있지만 이때의 제작비용은 매우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말한 바와 같이 온라인(웹)상에서 개개인이 자신의 기본캐릭터를 가지고 여러 옵선들을 추가시켜 직접 합성하여 보다 다양한 캐릭터를 만들어 쓸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캐릭터 제작 시 각 캐릭터를 컴포넌트화 하여 여러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제작하여 이를 각각 DB화 하여 추후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컴포넌트 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컴포넌트화된 캐릭터 구성품들의 내용을 보면, 우선 기본컴포넌트, Body 컴포넌트, Item 컴포넌트, 배경컴포넌트, 기타 캐릭터 및 컴포넌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중에서 기본 컴포넌트를 제외한 나지 컴포넌트들은 사전에 서비스 제공측에서 미리 제작하여 DB화 하게 된다. 이러한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제작 할 때에는 각 구성품들간의 조화로운 합성을 위해 표준화된 방식에 입각하여 제작 되게 된다. 즉 각 컴포너트들은 해당부위에 맞는 각각의 제작용 프레임에 따라 만들어 짐으로써 추후 여러 컴포넌트들이 합쳐저서 하나의 캐릭터를 구성할 때 모양의 어색함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캐릭터 컴포넌트들은 DB화 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이미지에 대한 보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이미지 보정과 함께 소정의 위치정보와 사이즈정보가 포함된다. 이는 서비스 이용시 웹상에서 사용자의 합성작업을 상당부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브라우져 상에서 단순히 컴포넌트들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컴포넌트간의 구도를 신경쓰지 않고도 매끄러우면서 완벽한 모습의 최종 캐릭터모습을 합성해 낼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임으로 대로 합성을 원할 경우에는, 각 컴포넌트들을 자신의 PC에 다운받아서 일반 이미지용 상용소프트웨어(예, Adobe사의 Photoshop 등)를 이용하여 할 수 있거나,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공급하는 캐릭터 합성용 전용 컨트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이를 설치한 후 좀더 미세한 조합을 통해 합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적 기술로는, 현재 일반화 되고 있는 JAVA기술이나 MS사의 ASP(Active Server Page)기술 등을 이용함으로써 컴포넌트들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는 시스템 서버, 그리고 클라이언트를 연결하여 손쉽게 사용자와의 편리한 인터페이싱을 구성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 합성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간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터합성서비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서비스제공자 측에서 캐릭터 컴포넌트의 제작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사용자에의한 자신의 기본 캐릭터 제작요청에 따른 제작작업도 이에 속하게 되는 업무흐름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본 캐릭터를 가지고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선택하여 합성시키는 절차로서 도 2의 캐릭터 합성작업의 흐름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 지는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제작하기 위한 대표적인 표준 프레임 및 작업고정을 나타내는 일부 예시로서 도 5a는 캐릭터의 기본 컴포넌트부 제작을 위한 표준 프레임 및 이에 따른 작업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Body컴포넌트부 제작을 위한 표준 프레임 및 이의 작업의 예시를 도시화 하는 것이다.
도 6는 상기 도 5의 과정을 통해 작성된 캐릭터컴포넌트들에게 적절한 중심위치정보를 포함시키는 방식과 이를 기반으로 컴포넌트를 합성하여 캐릭터를 완성하는 방식을 도시화 하고 있다.
도 7은 브라우져 상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기본 캐릭터 여러 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다음단계로 합성하기 원하는 Body부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은 도 8의 다음단계로 합성하기 원하는 Item부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다음단계로 합성하기 원하는 배경부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추가적으로 합성을 원하는 기타 캐릭터들을 자신의 개인 자료실 등으로부터 그래픽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합성작업의 중간중간마다 참조하게 될 미리보기 및 합성/저장하기/다운로드 등을 위한 단계들로서 도 12a는 합성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미리보기 참을 참조하는 모습이며, 도 12b는 서버측의 사용자 개인 자료실에 합성된 그래픽을 저장할때의 모습이고, 도 12c는 합성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합성작업을 웹브라우져가 아닌 합성전용 컨트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을 통해 합성된 사용자 개개인의 캐릭터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여러가지 부가서비스들 중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a에서는 머그잔이나 T셔츠를 도 14b에서는 액자나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출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웹상에서 서비스 되기 위해 서비스 업체는 수많은 Body 및 ITEM, 그리고 배경 컴포넌트 캐릭터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사전 대량으로 축적하고 있게 되며, 또한 사용자기 일정한 경로에 따라 선택한 각종 캐릭터 구성품들(Body, ITEM, 배경, 기타)을 최적의 형태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합성에 필요한 제반 기능 프로그램 및 웹 시스템을 가지게 된다
즉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우선 개개인의 캐릭터를 기본형과Body형 및 ITEM형 및 배경형 등 각각으로 분리하여 제작하여 개별적으로 DB화 하도록 하였다. 즉 이러한 방식의 캐릭터 컴포넌트화가 되어야 각 개인의 기본 캐릭터는 향후 계속적으로 서비스 공급자(제작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컴포넌트(Body, ITEM, 등)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사전에 만든 캐릭터 합성물을 다시 다른 합성 작업에서 컴포넌트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매우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캐릭터의 합성 기능이다. 현재 그래픽을 지원하는 다양한 툴들이 보편화 되어 있어 사실 개개인은 각 컴포넌트를 다운 받아서 개인의 PC에서 이러한 툴을 이용한 합성작업도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개인의 편의를 위해 서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동합성 기능을 이용할 경우 상기의 특정 툴의 구입 없이 개개인은 손쉽게 이미지 들을 합성할 수 있게 되는데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웹상에서 사이트가 제공하는 탬플릿뷰에 따라 사용자가 자동 합성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는 다음의 그림(도 7 ~ 도 13)에서와 같이 사전에 각 단계별 (컴포넌트 선택과정에 따른 단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임의대로 컴포넌트들을 선정하여 위치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합성을 요청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때의 모든 기능 즉, 선택된 컴포넌트들의 Holding기능과 컴포넌트들의 위치보정 기능, 그리고 합성기능 모두는 서버측에서 이루어 지게 되며, 사용자는 단지 원격지상에서 자신의 브라우져를 통해 이를 명령하여 수행할 뿐이다. 이렇게 해서 합성된 자료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다운로드 되게나 시스템이 제공하는 개인자료실에 보관되게 된다.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는 이미지 합성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사용자는 사전에 이미지를 합성해주기 위한 전용 컨트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자신의 PC에 설치한 뒤,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으로 합성의 기본 단계 및 방식은 상기의 브라우져 상에서 수행하였던 방식과 차이 없지만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함에 따라 각 단계별로 보다 자유로운 위치 보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보 발명에 의한 캐릭터 활용방법에 대한 일체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캐릭터 할용을 위한 시스템의 간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 서비스운영자의 컴퓨터(11)와, 클라이언트(회원) 컴퓨터(13), 캐릭터서비스 시스템(100), 그리고 사용자가 캐릭터 컴포넌트들의 합성을 편안하게 도와주는 전용 컨트롤프로그램인 응용프로그램 및 이들이 운용되는 인터넷(네트워크 ; 12)로 이루어져 있다. 캐릭터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버(110)와 회원 데이터베이스(120) 및 캐릭터 DB(1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캐릭터 DB(130)는 각각의 컴포넌트화된 캐릭터DB들인 기본 캐릭터DB(131), Body컴포넌트 DB(132), ITEM컴포넌트 DB(133), 배경 컴포넌트 DB(134) 및 기타 캐릭터 DB(13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캐릭터 활용방법에 대한 일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의 경우 본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신청서를 작성(S210)하여 이를 신청(S220)한다. 신청에 대한 허가여부는 즉석에서 이루어 지며, 고객은 이로서 정식회원으로서 등록(S230)된다. 등록에 대한 사실여부를 확인하게 되면, 회원은 본 사이트에 로그인(S240)하여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일체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회원은 우선 개인의 기본 캐릭터제작을 요청(S301)하게 되는데 이때 의뢰를 위해서 회원은 자신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서비스 제공자측에 제공(온라인상 혹은 일반 우편 등의 방법으로)한다. 의뢰한 캐릭터가 완성되어 수령(S302) 받게 되면, 사용자는 합성을 용이하게 해주는 캐릭터합성전용 플러그 인을 다운(S250)받아 이를 자신의 PC상에 설치(S260)한뒤,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선택하여 캐릭터 합성작업(S270)을 실시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캐릭터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버내의 일정한 개인자료실에 보관을 하거나, 혹은 자신의 PC로 다운 받아서 추후 이를 이용(S280)하게 된다.
도 3은 회원이 요청한 개인의 기본캐릭터를 제작하는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발생하는 제작업무에 대한 일반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서비스 제공자(이 경우 캐릭터 디자이너)는 기본 컴포넌트 제작에 적합하도록 사전에 마련되어진 표준 프레임을 선택(S310)한다. 이를 기준으로 삼아 디자이너는 드로잉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수작업(S320)으로 하는 경우와 컴퓨터그래픽(CG)로 하는(S330)경우가 있는데 수작업의 경우 CG작업과 달리 스캐닝(S340)을 통해 이미지를 디지탈화 할필요가 있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본캐릭터는 이미지에 대한 보정작업(S350)을 거친 뒤, 최종적으로 합성 시 각 컴포넌트에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위치정보 및 사이즈정보가 추가(S360)된 뒤, 완성되어 요청한 회원에게 전송(S370)된다. 기본 콤포넌트 뿐만 아니라 기타 컴포넌트들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되게 되는데 마지막 완성된 후 사용자에게 전송(S370)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DB에 저장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를 얻기까지의 합성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여러가지 기본 컴포넌트(정면, 측면, 정측면 등)들 중 합성을 원하는 컴포넌트를 선택(S410)한다. 만일 사용자가 자신의 PC에 있는 일반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합성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각각 곧바로 다운로드 받아(S490)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브라우져 혹은 합성전용 컨트롤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음 단계인 Body선택단계에서 원하는 Body컴포넌트를 선택(S420)한다. 이때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합성할 경우, 먼저 선택한 자신의 기본 컴포넌트와 Body컴포넌트가 원하는 데로 합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미리보기(S45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합성된 모습이 어색하다고 생각될 경우 한정된 범위 내에서 위치의 보정(S460)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다른 컴포넌트들(Item, 배경 등)과의 추가 합성을 원하지 않고 이대로 합성을 마치길 원한다면 사용자는 합성명령버튼을 눌러 캐릭터를 합성(S480)하게 되며, 이러한 합성 버튼의 이벤트를 받아 서버측에서 합성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게 되며,합성이 끝나면 사용자는 이를 다운로드 하거나 웹서버상에서 제공되는 개인의 저장공간에 별도보관(S490)함으로서 과정을 마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합성 전용 컨트롤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합성의 과정은 같으나, 프로그램 일각에 마련된 별도의 미리보기 창을 통해 사용자는 그때마다, 합성된 모습을 즉각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즉석에서 원하는 위치로 각 컴포넌트들을 배열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위치보정의 정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만큼 미세한 정도까지 보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브라우져만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경우와 다른점을 갖는다.
Body컴포넌트의 선택이 끝나고 사용자가 다른 컴포넌트들의 추가 합성작업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계속해서 순서에 따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Item컴포넌트를 선택(S430)하는 과정과, 배경 컴포넌트를 선택(S440)과정 등이 이에 해당되며, 각 단계마다 Body합성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미리보기(S460) 및 위치보정(S461) 등을 통해 합성작업을 최적화 할 수 있게된다. 배경컴포넌트를 선택한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PC상의 다른 이미지 파일이나 개인적으로 소장하고 있던 캐릭터등을 본 캐릭터 합성작업에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 것이 다음단계인 기타 캐릭터 선택(S450)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끝나고 최종 합성(S480)을 통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각 캐릭터 컴포넌트를 제작 하기 위한 표준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그림 제작과정의 일부를 보여 주는 예시로서, 이러한 프레임을 이용해야만이 추후 합성 시 각 컴포넌트들이 자연스럽게 합성된 모습의 캐릭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6는 상기 프레임을 통해 만들어진 캐릭터 컴포넌트에 위치정보 및 사이즈정보를 설정하는 모습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성했을 때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란 다른 컴포넌트와의 상호 합성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 컴포넌트(도 6a의 두번째)의 경우는 자신의 중심위치 정보를 갖게 되고, Body컴포넌트(도 6b의 첫번째)의 경우에는 자신의 중심정보 뿐아니라 기본캐릭터가 위치할 위치정보까지 갖고 있게 됨으로서 합성시 이를(즉 이경우 기본 캐릭터의 중심위치정보) 일치시켜 최적의 합성(도 6b의 두번째)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위치정보 및 캐릭터의 사이즈 정보는 각 컴포넌트의 그래픽정보 내부에 추가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경우에는 외관상 나타남 없이 각각의 속성 정보 형태로서 내장된다.
도 7은 합성을 원하는 대상 기본 캐릭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스타일(즉 판타지풍, 코믹풍, 일반형, 3D형 등)의 기본 캐릭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시 이러한 다양한 스타일들은 각각 정면, 측면, 정측면 등의 여러 측면들을 가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측면 선택에 따라 다음 단계인 Body 및 Item들의 측면 또한 세부 분류될 수 있다.
도 8은 Body를 선택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여러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서버시스템은 session기능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미리보기를 원할 경우 즉각적으로 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Item의 선택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져와 서버간에는 앞단계의 Body컴포넌트 선택단계와 마찬가지의 Interfacing이 이루어 지게 된다.
도 10은 배경을 선택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역시 앞의 Body 및 Item 컴포넌트 선택과정과 동일한 과정이 이루어 진다.
도 11은 기타 캐릭터의 추가 선택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PC내부나 서버측에 할당된 사용자용 개인자료실에 저장된 기타 캐릭터 파일을 불러와서 합성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를 선택할 경우 브라우져의 좌측과 같이 디렉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뜨게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파일을 선택하면 이를 서버측 합성작업 일어나는 곳으로 전송이 되어 함께 합성되게 된다
도 12a는 각 합성단계별로 사용자에게 합성의 중간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미리보기 단계 및 이를 합성 완성시키는 단계의 모습을 보여준다. 미리보기 창에 나타난 격자를 통해 사용자는 각 컴포넌트들의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2b는 캐릭터를 합성 저장하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미리보기에서 원하는 상태로 캐릭터가 구성되면 사용자는 합성/저장 버튼을 눌러 합성 및 서버측 사용자 개인 자료실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따 사용자는 합성되는 캐릭터의 파일 포맷을 여러가지(Tif, Gif, Jprg 등)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c는 완성된 캐릭터를 개인 PC로 다운받기를 원할때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2b와는 달리 다운로드할 자신의 PC디렉토리 모습을 보여주는 창이 뜨게 된다. 마찬가지로 파일의 포맷형식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은 도 7 ~ 12c까지 보여준 브라우져에서의 합성작업과 달리 사용자가 합성전용 컨트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여 이를 이용할때의 모습을 보여준다. 화면상에서 차이나는 부분을 우선 보게 되면, 좌측 하단부에 미리보기창이 별도로 만들어져 있어 컴포넌트들의 선택과 즉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우측하단에서의 다양한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여 미리보기 창에 나타난 캐릭터의 컴포넌트들을 위치 및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미리보기창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여 캐릭터의 미세한 조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반면 합성의 제반 단계는 브라우져 상에서 행한 방식과 동일하다.
도 14는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캐릭터 응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완전히 합성한 캐릭터들을 가지고 사용자는 각종 팬시용품(액자, 컵, T셔츠, 스티커 등)상에 프린팅에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공급하거나 혹은 입사기능을 가진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일반 팬시점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품은 한정된 자원(비용)을 가지고 개인의 캐릭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보다 다양한 자신의 캐릭터를 꾸밀 수 있게 된다.
이에 추가하여 여기서 소개된 예시 외에도 보다 풍부한 연출을 위해 각 컴포넌트들을 더욱 세분화(이를테면 Body의 경우 몸통과 팔, 다리 등으로 더욱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개인의 표현가지 수는 더욱 늘게 될 것이다
또한 캐릭터의 장르에 있어서도 좀더 다양성을 둘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한가지 스타일에 맞추어 캐릭터를 만드는 것 보다, 여러가지 즉 코믹형 스타일, 판타지형 스타일(순정만화형), 3D(3 Dimension : 3차원 그랙픽)형 스타일 등으로 다양화 하게 되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장르에 맞는 상응되는 Body 및 Item 등의 컴포넌트들이 사전에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4에서처럼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캐릭터 응용이 가능하다. 즉, 완전히 합성한 캐릭터들을 가지고 사용자는 각종 팬시용품(액자, 컵, T셔츠, 스티커 등) 상에 프린팅에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공급하거나 혹은 입사기능을 가진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일반 팬시점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인터넷을 통하여 회원의 신상정보를 받아 이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회원 서버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기본캐릭터의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
    (회원은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의 유형과 요구사항을 적고 자신의 디지털화된 사진을 온라인을 이용하여 업로드 하거나, 일반사진의 경우 일반 우편 등을 통해 서비스제공자에게 전달함)
    로그인을 한 회원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캐릭터 합성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측으로부터 합성전용 컨트롤 프로그램(플러그 인)을 자신의 PC에 다운 받아 설치하는 단계,
    회원이 요청한 기본 캐릭터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식에 따라 컴포넌트화하여 제작하고 완성된 경우 이를 서버측에 마련된 해당 회원의 전용 자료실이나 전자메일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자신의 캐릭터를 가지고 서버시스템이 제공하는 각종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선택하여 회원이 직접 자신의 취향에 따라 이를 같이 합성하는 단계,
    이렇게 완성된 캐릭터의 사용을 위하여 회원 자신의 PC로 다운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용도를 위해 서버측 개인자료실 등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
  2. 캐릭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각 세분화(기본, Body, items, 배경, 기타 등)하여 컴포넌트화 하여 구분하는 단계;
    각각 구분된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제작(드로잉)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표준 프레임(Frame ; 틀)을 선정하여 드로잉 작업을 하는 단계;
    드로잉작업이 수작업인 경우 작업이 끝나면 이를 디지털화(처음부터 컴퓨터 그래픽으로 그려진 경우 제외)하는 단계;
    컴퓨터로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불러 이미지 보정 작업을 하는 단계;
    이미지 보정 작업이 끝나면 컴포넌트 이미지에 해당 위치정보 및 사이즈정보 등을 포함시키는 단계;
    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화(Body, Item, 배경용 컴포넌트 등의경우) 하거나 사용자(회원)에게 전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
  3. 사용자가 수령 받은 자신의 기본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캐릭터 합성작업을 하고자 할때 원하는 형상(정면, 측면, 정측면 혹은 기타 테마별 측부위)을 선택하는 단계;
    원하는 Body 컴포넌트를 선택하고, 이들의 관계 보정하거나 미리보기를 원할 때 미리보기를 선택한 뒤, 각 컴포넌트간의 위치 조정 혹은 그대로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원하는 Item 컴포넌트를 선택하고, 이들의 관계 보정하거나 미리보기를 원할 때 미리보기를 선택한 뒤, 각 컴포넌트간의 위치 조정 혹은 그대로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원하는 배경 컴포넌트를 선택하고, 이들의 관계 보정하거나 미리보기를 원할 때 미리보기를 선택한 뒤, 각 컴포넌트간의 위치 조정 혹은 그대로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기타 다른 추가적인 캐릭터나 컴포넌트 등을 선택하고, 이들의 관계 보정하거나 미리보기를 원할 때 미리보기를 선택한 뒤, 각 컴포넌트간의 위치 조정 혹은 그대로 다음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확인된 캐릭터 구성이 마음에 들 경우 이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 명령 및 최종 이미지 포멧을 지정하도록 하는 단계;
    명령에 따라 합성된 캐릭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서버측 사용자 개인자료실에 저장토록 하는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
  4. 상기 제 1항과 그리고 2항 중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합성을 위해 이용되는 캐릭터의 컴포넌트들(기본, Body, Item, 배경 등)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사용자(회원)들이 이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자신의 마음에 드는 독특한 캐릭터조합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세부적으로 컴포넌트화하는 방식과,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추후 일정한 프로세스에 따라 자동적으로 자연스럽게 합성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컴포넌트 별로 표준화된 제작용 프레임을이용하는 방식, 이렇게 제작된 컴포넌트들에게 각각의 이미지 중심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이미지 정보에 포함하도록 하는 방식, 그리고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캐릭터 컴포넌트들을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
  5. 상기의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캐릭터 컴포넌트들의 합성을 편히 하도록 하기 위해, 기본 캐릭터, Body컴포넌트, Item컴포넌트, 배경 컴포넌트, 기타 캐릭터/컴포넌트 등을 일정한 프로세스화 하여 각 단계별 이미지 선택기능을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사용자가 순서에 따라 손쉽게 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
  6. 상기의 제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캐릭터 컴포넌트들의 합성을 편히 하도록 하기 위해, 좀더 캐릭터간의 위치조정을 세밀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확대 축소기능, 컴포넌트별 선택 기능, 이미지 회전기능 등의 기능을 추자로 가지고 있는 캐릭터 합성 전용 컨트롤 프로그램인 플러그인(Plug-In)을 자신의 PC에 다운 받아 설치함으로써 손쉽게 캐릭터 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 컴포넌트화된 캐릭터로 개개인이 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
KR1020000012649A 2000-03-14 2000-03-14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10091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49A KR20010091205A (ko) 2000-03-14 2000-03-14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49A KR20010091205A (ko) 2000-03-14 2000-03-14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05A true KR20010091205A (ko) 2001-10-23

Family

ID=1965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49A KR20010091205A (ko) 2000-03-14 2000-03-14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120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112B1 (ko) * 2000-06-26 2003-03-15 주식회사 시텍케이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체 합성 모델링 시스템 및제공방법
KR20030064090A (ko) * 2002-01-25 2003-07-31 (주)이지네고 아바타 생성 방법
KR2004002018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데이콤 실사 이미지 기반 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넷 응용 서비스제공 방법
KR20040024909A (ko) * 2002-09-17 2004-03-24 최상철 변환형 동영상 캐릭터 광고 제작 방법
KR100470922B1 (ko) * 2002-12-09 2005-03-10 주식회사 두레시스템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0526563B1 (ko) * 2002-04-01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112B1 (ko) * 2000-06-26 2003-03-15 주식회사 시텍케이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체 합성 모델링 시스템 및제공방법
KR20030064090A (ko) * 2002-01-25 2003-07-31 (주)이지네고 아바타 생성 방법
KR100526563B1 (ko) * 2002-04-01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및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018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데이콤 실사 이미지 기반 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넷 응용 서비스제공 방법
KR20040024909A (ko) * 2002-09-17 2004-03-24 최상철 변환형 동영상 캐릭터 광고 제작 방법
KR100470922B1 (ko) * 2002-12-09 2005-03-10 주식회사 두레시스템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092B1 (en) Intelligent personal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7294838B (zh) 社交应用的动画生成方法、装置、系统以及终端
KR100755437B1 (ko) 휴대단말기의 캐릭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92771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personalization using templates
US9270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edia personalization
US11799924B2 (en) Generating customized products in collaboration with live designers and agents
WO2017032235A1 (zh) 一种移动终端主题生成方法及装置
JP5005107B1 (ja) データ蓄積システム
US20050273470A1 (en) Interactive system for dynamic generation of a user-customized composite digital image
KR20040047111A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용 합성이미지 생성 및다운로드 방법
KR20010091205A (ko)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9223419A (ja) ネットワークチャットサービスにおけるアバターの作成編集方法、チャット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の作成編集方法
US20040145610A1 (en) Customized wall border imaging solution
KR100932675B1 (ko) 동영상 콘텐츠 운용 방법
KR101165300B1 (ko) 패턴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ucc서비스 시스템
KR102501246B1 (ko) 소비자 맞춤형 dtp 의류의 온라인 판매 방법
KR20200068921A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KR100889594B1 (ko)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4326532A (ja) ブライダルプロデュースシステム
JP7338173B2 (ja) 絵本作製システム及び絵本の製造方法
Dragan et al. 3D Avatar Platforms: Tomorrow’s Gateways for Digitized Persons into Virtual Worlds
JP4256179B2 (ja) 画像合成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378142B1 (ko) 캐릭터 생성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00133824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포토북 편집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포토북 제작서비스 방법.
JP7351455B1 (ja) 背景提供装置、背景提供方法及び背景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