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921A -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921A
KR20200068921A KR1020180155866A KR20180155866A KR20200068921A KR 20200068921 A KR20200068921 A KR 20200068921A KR 1020180155866 A KR1020180155866 A KR 1020180155866A KR 20180155866 A KR20180155866 A KR 20180155866A KR 20200068921 A KR20200068921 A KR 2020006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lery
work
information
selection informatio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685B1 (ko
Inventor
신효미
Original Assignee
신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효미 filed Critical 신효미
Priority to KR102018015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685B1/ko
Priority to EP19869503.3A priority patent/EP3862964A4/en
Priority to US17/282,681 priority patent/US20210390615A1/en
Priority to PCT/KR2019/012909 priority patent/WO2020071785A1/ko
Publication of KR2020006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상현실 상에서 작품을 관람하게 할 수 있는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갤러리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갤러리 시스템은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VR 갤러리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VR 갤러리 생성 모듈은 갤러리 생성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VR(Virtual Reality) 갤러리를 설정하기 위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 갤러리 A를 생성하여 등록 갤러리로 저장한다. VR 갤러리 실행 모듈은 등록 갤러리 중에서 선택된 갤러리를 갤러리 실행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시킨다. 갤러리 설정 정보는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적어도 하나의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VIRTUAL REALITY GALLERY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갤러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해 예술 작품을 등록, 관람,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는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갤러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관 또는 갤러리는 화가, 공예가, 사진가, 조각가 등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제작되는 미술, 공예, 사진, 조각 등과 같은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오프라인상의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전시관은 전시된 작품의 관람을 위한 장소이기도 하지만, 전시된 작품의 매매도 이루어지는 장소이기도 한다. 즉, 일반 이용자들은 전시관에 직접 방문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고, 마음에 드는 작품에 대한 구매도 직접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가가 자신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고자 할 때,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전시관을 대여해야만 한다. 그러나, 전시관의 수가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한 전시관 내의 전시 공간도 제한되어 있어, 전시관을 대여하는데 많은 비용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작가의 제한이 심하여 유명세를 얻지 못한 유능한 수많은 작가들은 오프라인 상의 전시관에 자신의 작품을 제대로 전시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인터넷 상에 가상의 전시관을 개설하고 인터넷 사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예술 작품을 감상하도록 하고 매매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0165호(2002년 10월 23일 공개)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가상 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특허는 인터넷상 예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가상 전시관 시스템 구현하여 대중 인지도를 형성하지 못한 작가들에 대해서 온라인상 가상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이 이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전시관은 2차원 전시 공간을 통해 작품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어, 그 현장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온라인 관람객의 흥미를 감소시켜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관람하고자 하는 수요가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상현실 상에서 작품을 관람하게 할 수 있는 갤러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갤러리 시스템을 이용한 갤러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갤러리 시스템은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VR 갤러리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생성 단말기'라 함)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VR(Virtual Reality) 갤러리를 설정하기 위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 갤러리 A를 생성하는 갤러리 생성부, 및 상기 VR 갤러리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등록 갤러리'라 함)를 저장하고 있는 갤러리 등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은 상기 등록 갤러리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선택 갤러리'라 함)를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실행 단말기'라 함)로 전송하여 표시시키는 갤러리 실행부를 포함하는 VR 갤러리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갤러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템플릿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적어도 하나의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작품 위치 선택 정보는 작품 배치를 위한 복수의 화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화면 선택 정보, 및 상기 화면 선택 정보에 의해 결정된 화면 내에서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들은 VR 갤러리의 정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화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상기 VR 갤러리 A에서 사용될 배경음악을 결정하기 위한 배경음악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갤러리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갤러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생성 단말기'라 함)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VR(Virtual Reality) 갤러리를 설정하기 위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 갤러리 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VR 갤러리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등록 갤러리'라 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갤러리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선택 갤러리'라 함)를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실행 단말기'라 함)로 전송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갤러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템플릿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적어도 하나의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갤러리 관리 방법에 따르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작품을 전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해당 작품의 원본 이미지를 갤러리 시스템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이 업로드된 작품의 원본 이미지를 가상현실 공간에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VR 갤러리를 생성함에 따라, 작품의 관람을 원하는 관람객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갤러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VR 갤러리를 통해 실제 갤러리에서 관람하듯 현장감 있게 해당 작품을 관람할 수 있고, 이후 작품 구매까지 연계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작품을 전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VR 갤러리 내에 표시될 작품의 배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음에 따라, 상기 VR 갤러리를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갤러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 중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VR 갤러리 실행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VR 갤러리 생성 모듈로 전송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갤러리 설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으로 로그인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에서 갤러리 템플릿을 선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작품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8은 도 7에 의해 작품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일 예롤 도시한 화면이다.
도 9는 도 6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사용될 갤러리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0은 도 6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을 셋팅 완료시키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1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에서 생성될 VR 갤러리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2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VR 갤러리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3은 도 7과 다르게 갤러리 템플릿에서 작품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4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 중 작품 제작 진행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작품 제작 진행 모듈에서 진행되는 작품 제작 진행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6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 중 작품 구매 진행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작품 구매 진행 모듈에서 진행되는 작품 구매 진행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갤러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갤러리 시스템(100)은 유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10, 20, 30, 40)로 VR 갤러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임의의 결제 서버(50)와 결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는 미술, 공예, 사진, 조각 등과 같은 예술 작품의 전시, 관람, 제작, 구매 및 판매를 중계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들은 자신의 작품을 소유하고 있거나 요청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가, 작품을 관람하여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작품의 제작을 요청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 요청자, 및 소지하고 있는 작품의 판매 권한을 가지고 있는 작품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작가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 A(10)라고 하고, 상기 구매자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 B(20)라고 하며, 상기 제작 요청자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 C(30)라고 하고, 상기 작품 관리자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 D(40)라 명명하겠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10, 20, 30, 40) 각각은 일반 컴퓨터 시스템이거나, 스마트폰 또는 테플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이거나, 가상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가상 현실의 갤리러를 관람하고자 사용자는 HMD 장치를 착용하여 용이하게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B(20)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VR 갤러리 생성 모듈(110), VR 갤러리 실행 모듈(120),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 및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10),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20),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 및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들이거나, 단일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이거나,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들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일 수 있다.
이하,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갤러리 관리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 중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VR 갤러리 실행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VR 갤러리 생성 모듈로 전송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갤러리 설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으로 로그인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10)은 갤러리 생성부(112) 및 갤러리 등록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20)는 갤러리 실행부(122) 및 작품 구매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생성 단말기'라 함)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 VR(Virtual Reality) 갤러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는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 6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에서 갤러리 템플릿을 선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작품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며, 도 8은 도 7에 의해 작품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일 예롤 도시한 화면이고, 도 9는 도 6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사용될 갤러리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며, 도 10은 도 6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을 셋팅 완료시키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고, 도 11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에서 생성될 VR 갤러리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며, 도 12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VR 갤러리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10)의 갤러리 생성부(112)는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에서 제공하는 업로드 입력 화면을 표시하면, 사용자는 상기 업로드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본 이미지는 전시하고자하는 예술 작품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원본 이미지뿐만 아니라, 작품 서지 정보, 작품 설명 정보, 권리자 정보 및 구매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서지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작가명, 작품 제작일, 작품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품 설명 정보는 설명 텍스트 정보, 설명 음성 파일 및 설명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권리자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소유권자 및 저작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가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한 구매가 및 저작권 사용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유권자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을 소유할 권리를 가진 자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저작권자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을 광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의 소유권을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저작권 사용료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구매하여 광고 등에 이용할 때 지불되는 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유권자가 상기 저작권자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저작권자는 생략될 수 있고, 상기 구매가가 상기 저작권 사용료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저작권 사용료는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10)의 갤러리 생성부(112)는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Virtual Reality) 갤러리 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VR 갤러리 A가 생성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는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VR 갤러리 A에 대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통해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도 4에서와 같이, 갤러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템플릿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의 복수의 배치 위치들 중 상기 원본 이미지를 배치시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설정 정보, 상기 갤러리 템플릿에서 사용될 배경음악을 결정하기 위한 배경음악 설정 정보, 및 상기 VR 갤러리 A를 설명하기 위한 갤러리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작품 위치 설정 정보, 상기 배경음악 설정 정보 및 상기 갤러리 설명 정보는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우선,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에서 제공하는 도 6에서와 같은 템플릿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템플릿 선택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갤러리 템플릿들을 리스트 형태로 배치된 템플릿 선택 영역과, 상기 템플릿 선택 영역에 표시된 갤러리 템플릿들 중에서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을 표시하는 템플릿 표시 영역과, 상기 템플릿 표시 영역에 표시된 갤러리 템플릿을 3차원 가상 현실로 표시할 수 있는 미리보기 아이콘과, 상기 템플릿 표시 영역에 표시된 갤러리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템플릿 선택 영역에 표시된 갤러리 템플릿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템플릿 표시 영역을 통해 해당 갤러리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상기 미리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갤러리 템플릿의 3차원 가상 현실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갤러리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는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에서 제공하는 도 7 또는 도 8에서와 같은 작품 위치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품 위치 설정 화면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작품 이미지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의해 상기 작품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작품 선택 영역과,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작품 이미지를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의 복수의 배치 위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배치시킬 수 있는 작품 배치 영역과, 복수의 음악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의해 상기 음악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사용될 배경음악을 결정할 수 있는 배경음악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된 작품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작품 배치 영역에 표시된 배치 위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배치시킴으로써 모든 작품 이미지들을 각각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배경음악 선택 영역에 표시된 음악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사용될 배경음악을 결정한 후, 도 10에서와 같이 선택 완료 아이콘을 클릭하면서 상기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 대한 셋팅을 완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는 상기 작품 위치 설정 정보 및 상기 배경음악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에서 제공하는 도 12에서와 같은 갤러리 설명 입력 화면을 표시하면, 사용자가 상기 갤러리 설명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갤러리 설명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갤러리 설명 정보를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도 7과 다르게 갤러리 템플릿에서 작품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작품 위치 설정 정보는 작품 선택 정보 및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작품 선택 정보는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적어도 하나의 작품을 사용자의 입력행위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작품 위치 선택 정보는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사용자의 입력행위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에서 제공하는 도 13에서와 같은 작품 위치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작품 위치 설정 화면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작품 이미지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의해 상기 작품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작품 선택 영역과,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작품 이미지를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수 있는 작품 배치 영역과, 복수의 음악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의해 상기 음악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에서 사용될 배경음악을 결정할 수 있는 배경음악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를 통해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된 작품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작품 선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품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작품이 선택될 경우, 상기 선택된 작품은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지정된 위치 또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작품은 상기 작품 배치 영역 중 다른 작품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갤러리 생성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작품 배치 영역에 표시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입력 행위, 예를 들어 좌우로 이동시키는 터치 입력 행위를 통해 자유롭게 원하는 위치로 결정하여 상기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은 VR 구성을 위한 복수의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과, 사용자의 입력행위에 의해 상기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선택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들은 VR 갤러리의 전면(앞측 벽면)에 대응되는 제1 화면, VR 갤러리의 좌측면(좌측 벽면)에 대응되는 제2 화면, VR 갤러리의 우측면(우측 벽면)에 대응되는 제3 화면 및 VR 갤러리의 후면(뒤측 벽면)에 대응되는 제4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화면 선택 아이콘을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화면들 중 상기 작품 배치 영역에 표시될 화면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화면 내에 상기 선택된 작품이 배치될 위치를 터치 입력 행위를 통해 변경하여 원하는 위치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작품 배치 영역에 최초로 상기 제1 화면이 표시된다고 할 때, 사용자가 상기 화면 선택 아이콘 중 좌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1 화면에서 상기 제2 화면으로 변경되고, 다시 좌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4 화면으로 변경되며, 다시 좌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3 화면으로 변경되고, 다시 좌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1 화면으로 돌아올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화면 선택 아이콘 중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1 화면에서 상기 제3 화면으로 변경되고, 다시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4 화면으로 변경되며, 다시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2 화면으로 변경되고, 다시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1 화면으로 돌아올 수 있다. 즉, 상기 작품 위치 선택 정보는 상기 화면들 중에서 상기 작품 배치 영역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화면 선택 정보, 및 상기 화면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화면 내에서 상기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VR 갤러리 A에 대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모두 수신하면,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는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VR 갤러리 A에 대한 설정 정보는 기본 설정 정보일 수 있고, 이후 상기 기본 설정 정보는 위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확인한 후, 요청 작품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작품별 원본 이미지를 해당 작품 설정 위치에 맞게 사이즈를 변경하고 작품별로 그림자 효과 및 조명 효과를 추가하여 가상현실 공간에 자동 배치시키며, 작품별 설명 정보를 해당 폴더에 저장시키고, 작품별로 원본 보기 아이콘, 작품 구매 아이콘, 음성/영상/유투브 링크 아이콘, 자동 생성된 갤러리 미리보기 아이콘 등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는 상기 원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형상으로 변환시킨 후 가상현실 공간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가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하면,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10)의 갤러리 등록부(114)는 상기 VR 갤러리 A를 저장함으로서 등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갤러리 등록부(114)는 상기 VR 갤러리 A를 포함하여 복수의 VR 갤러리들(이하, '등록 갤러리들'라 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20)의 갤러리 실행부(122)는 상기 등록 갤러리들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선택 갤러리'라 함)를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실행 단말기'라 함)로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선택 갤러리의 전송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B(20)로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는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를 통해 갤러리 관람 아이콘를 클릭하게 되면, 상기 갤러리 실행부(122)는 상기 등록 갤러리들에 대한 갤러리 리스트를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등록 갤러리들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 갤러리를 포함하는 갤러리 선택 정보를 상기 갤러리 실행부(122)로 전송하면, 상기 갤러리 실행부(122)는 상기 선택 갤러리를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는 도 9와 같이 상기 선택 갤러리를 3차원 공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20)의 작품 구매부(124)는 상기 선택 갤러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선택 작품'이라 함)을 구매하기 위한 작품 구매 정보를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작품 구매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 작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작품의 구매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가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 갤러리를 관람하는 도중 상기 선택 작품에 대한 구매 아이콘을 클릭하면서 상기 작품 구매 정보를 상기 작품 구매부(124)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품 구매부(124)는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작품 구매 정보에 포함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 작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작품 구매부(124)는 상기 선택 작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선택 작품에 대한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구매 정보는 상기 선택 작품의 소유권 획득을 위한 소유권 결제 정보 및 상기 선택 작품의 저작권 획득을 위한 저작권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선택 작품의 구매가를 지불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소유할 수 있고, 상기 선택 작품의 저작권 사용료를 지불하여 상기 선택 작품의 저작권만을 소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작품에 대한 권리자의 변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선택 작품에 대한 권리자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갤러리 시스템 중 작품 제작 진행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작품 제작 진행 모듈에서 진행되는 작품 제작 진행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제작 요청 단말기'라 함)로부터 작품 제작 요청을 수신하여 작품 제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은 제작 요청 수신부(132), 제작 요청 등록부(134), 제작 매칭부(136) 및 제작 진행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에 의한 작품 제작 진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C(30)로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는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를 통해 작품 제작 요청 아이콘을 클릭하면서 제작 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제작 요청건 A를 생성하면,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의 제작 요청 수신부(132)는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작 요청건 A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작 요청건 A에 포함된 제작 요청 정보는 제작을 원하는 요청 사진의 디지털 이미지 또는 제작할 작품의 요청 내용이 포함된 요청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작 요청건 A에 포함된 제작 요청 정보는 인공지능 미리보기 서비스를 위한 AI 요청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작 요청 수신부(132)가 상기 요청 사진의 디지털 이미지와 함께 상기 AI 요청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AI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요청 사진의 디지털 이미지를 변경하여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에 즉시 표시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작 요청건 A가 미술 작품의 제작 의뢰일 경우, 상기 AI 요청 정보는 상기 요청 사진의 디지털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한 스타일 정보, 예를 들어 고호 스타일, 피카소 스타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의 제작 요청 등록부(134)는 상기 제작 요청건 A를 저장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작 요청 등록부(134)는 상기 제작 요청건 A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작 요청건들(이하, '제작 요청 등록건들'이라 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의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제작 요청 등록건들에 따른 제작 요청 리스트를 복수의 등록 작가들의 사용자 단말기들(이하, '등록 작가 단말기들'라 함)로 일정 시점마다 또는 신규 제작 요청건이 등록될 때마다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등록 작가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작 매칭부(136)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등록 작가 단말기들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또는 공지사항 등에 게재 등으로 해당 등록 작가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상기 등록 작가 단말기들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 하더라도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등록 작가들 각각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제작 요청 리스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 작가 단말기들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등록 작가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수락 작가 단말기'라 함)로부터 상기 제작 요청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작 요청건(이하, '제작 요청 수락건'이라 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작 요청 수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록 작가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수락 작가 단말기가 사용자 입력 행위에 의해 상기 제작 요청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작 요청 수락건을 선택하면,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수락 작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작 요청 수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작 요청 수락 정보는 상기 제작 요청 수락건에 대응되는 제작 요청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작품 제작에 대한 제안, 예를 들어 추전 작품 스타일, 종류 등을 포함하는 작가 제안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제작 요청 수락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 매칭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작 매칭 프로세스의 수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작 요청 수락건에 상기 제작 요청건 A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수락 작가 단말기에 따른 수락 작가 리스트를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락 작가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가(이하, '매칭 작가'라 함)를 선택할 경우,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 작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가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가 선택 정보는 상기 제작 요청 수락건에 대응되는 제작 요청 및 상기 작품 제작에 대한 제안 중에서 선택된 제작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작 요청 수락 정보에 상기 작가 제안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래 요청한 내용으로 작품 제작을 요청하든지, 아니면 상기 작가 제안 정보에 따른 제안 내용으로 작품 제작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작 매칭부(136)는 상기 작가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 및 상기 매칭 작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작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작 매칭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의 제작 진행부(138)는 상기 제작 매칭 프로세스에 의해 매칭된 제작 요청건에 대한 작품 제작 프로세스, 예를 들어 작품 제작 진행, 작품 제작 완료, 작품 배송 등을 진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작 요청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작 매칭 완료 메시지를 확인한 후, 제작비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작 진행부(138)로 전송하면, 상기 제작 진행부(138)은 상기 제작비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서버(50)에 접속하여 선결제 또는 후결제를 진행하는 동시에, 상기 작품 제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갤러리 시스템 중 작품 구매 진행 모듈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작품 구매 진행 모듈에서 진행되는 작품 구매 진행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30)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구매 요청 단말기'라 함)로부터 작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은 구매 요청 수신부(142), 구매 요청 등록부(144), 구매 매칭부(146) 및 구매 진행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에 의한 작품 제작 진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가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기 갤러리 실행 단말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B(20)로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는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를 통해 작품 구매 요청 아이콘을 클릭하면서 구매 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구매 요청건 B를 생성하면,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의 구매 요청 수신부(142)는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건 B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 요청건 B에 포함된 구매 요청 정보는 구매를 원하는 작품에 대한 설명 또는 유사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의 구매 요청 등록부(144)는 상기 구매 요청건 B를 저장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매 요청 등록부(144)는 상기 구매 요청건 B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매 요청건들(이하, '구매 요청 등록건들'이라 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의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구매 요청 등록건들에 따른 구매 요청 리스트를 적어도 하나의 작품에 대한 판매 관리 권한을 갖고 있는 복수의 등록 관리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이하,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라 함)로 일정 시점마다 또는 신규 구매 요청건이 등록될 때마다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매 매칭부(146)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또는 공지사항 등에 게재 등으로 해당 등록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상기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 하더라도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등록 관리자들 각각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구매 요청 리스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수락 관리자 단말기'라 함)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 요청건(이하, '구매 요청 수락건'이라 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 수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록 관리자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수락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 요청 리스트 내에서 상기 구매 요청 수락건을 선택하면,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수락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수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작품들 중에서 상기 구매 요청 리스트의 구매 요청건에 대응되는 작품이 존재할 경우, 해당 작품의 관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구매 요청건를 선택하여 상기 구매 요청 수락 정보를 상기 구매 매칭부(146)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매 요청 수락 정보는 상기 구매 요청 수락건에 대응되는 작품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판매 가능한 작품, 예를 들어 추천하고자 하는 작품을 포함하는 소유 작품 제안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구매 요청 수락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 매칭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매 매칭 프로세스의 수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구매 요청 수락건에 상기 구매 요청건 B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수락 관리자 단말기에 따른 수락 관리자 리스트를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를 통해 상기 수락 관리자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리자(이하, '매칭 관리자'라 함)를 선택할 경우,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자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선택 정보는 상기 구매 요청 수락건에 대응되는 작품 및 상기 판매 가능한 작품 중에서 선택된 작품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매 요청 수락 정보에 상기 소유 작품 제안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래 요청한 작품에 대한 구매를 진행하든지, 아니면 상기 소유 작품 제안 정보에 따른 작품에 대한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매 매칭부(146)는 상기 관리자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 및 상기 매칭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구매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40)의 구매 진행부(148)는 상기 구매 매칭 프로세스에 의해 매칭된 구매 요청건에 대한 작품 구매 프로세스, 예를 들어 구매 작품 배송 등을 진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구매 요청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확인한 후, 구매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 진행부(148)로 전송하면, 상기 구매 진행부(148)은 상기 구매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서버(50)에 접속하여 결제를 진행한 후 또는 동시에, 상기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작품을 전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해당 작품의 원본 이미지를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이 업로드된 작품의 원본 이미지를 가상현실 공간에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VR 갤러리를 생성함에 따라, 작품의 관람을 원하는 관람객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기 VR 갤러리를 통해 실제 갤러리에서 관람하듯 현장감 있게 해당 작품을 관람할 수 있고, 이후 작품 구매까지 연계할 수도 있다. 즉, 관람을 원하는 관람객은 무료 또는 적은 비용으로 실제 갤러리에 직접 방문하지도 않고 가상현실에서 작품 관람을 할 수 있고,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을 만났을 경우 손쉽게 해당 작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는 작가는 무료 또는 적은 비용으로 자신만의 갤러리를 만들어 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작품을 전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VR 갤러리 내에서의 작품 배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VR 갤러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작품 제작 요청을 원하는 사용자가 제작 요청 작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해당 요청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작가를 섭외하여 자동으로 매칭시켜 줌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작품 제작 요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작가는 보다 용이하게 작품 제작 요청자와 매칭되어 작품 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품 구매 요청을 원하는 사용자가 구매 요청 작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은 해당 요청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관리자, 예를 들어 소유자 또는 큐레이터를 섭외하여 자동으로 매칭시켜 줌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작품 구매 요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관리자는 보다 용이하게 해당 작품의 구매처와 매칭되어 작품을 판매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갤러리 시스템 110 : VR 갤러리 생성 모듈
112 : 갤러리 생성부 114 : 갤러리 등록부
120 : VR 갤러리 실행 모듈 122 : 갤러리 실행부
124 : 작품 구매부 130 : 작품 제작 진행 모듈
132 : 제작 요청 수신부 134 : 제작 요청 등록부
136 : 제작 매칭부 138 : 제작 진행부
140 : 작품 구매 진행 모듈 142 : 구매 요청 수신부
144 : 구매 요청 등록부 146 : 구매 매칭부
148 : 구매 진행부

Claims (5)

  1.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생성 단말기'라 함)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VR(Virtual Reality) 갤러리를 설정하기 위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 갤러리 A를 생성하는 갤러리 생성부, 및 상기 VR 갤러리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등록 갤러리'라 함)를 저장하고 있는 갤러리 등록부를 포함하는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상기 등록 갤러리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선택 갤러리'라 함)를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실행 단말기'라 함)로 전송하여 표시시키는 갤러리 실행부를 포함하는 VR 갤러리 실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갤러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템플릿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적어도 하나의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위치 선택 정보는
    작품 배치를 위한 복수의 화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화면 선택 정보; 및
    상기 화면 선택 정보에 의해 결정된 화면 내에서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들은
    VR 갤러리의 정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화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상기 VR 갤러리 A에서 사용될 배경음악을 결정하기 위한 배경음악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시스템.
  5.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갤러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갤러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생성 단말기'라 함)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VR(Virtual Reality) 갤러리를 설정하기 위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 갤러리 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VR 갤러리 A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등록 갤러리'라 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갤러리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선택 갤러리'라 함)를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이하, '갤러리 실행 단말기'라 함)로 전송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갤러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템플릿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에 배치시킬 적어도 하나의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작품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작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갤러리 관리 방법.
KR1020180155866A 2018-10-02 2018-12-06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KR10223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866A KR102230685B1 (ko) 2018-12-06 2018-12-06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EP19869503.3A EP3862964A4 (en) 2018-10-02 2019-10-02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US17/282,681 US20210390615A1 (en) 2018-10-02 2019-10-02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PCT/KR2019/012909 WO2020071785A1 (ko) 2018-10-02 2019-10-02 가상현실 갤러리 시스템 및 가상현실 갤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866A KR102230685B1 (ko) 2018-12-06 2018-12-06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921A true KR20200068921A (ko) 2020-06-16
KR102230685B1 KR102230685B1 (ko) 2021-03-19

Family

ID=711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866A KR102230685B1 (ko) 2018-10-02 2018-12-06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79B1 (ko) * 2020-06-29 2020-11-27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작품 거래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681B1 (ko) 2021-08-13 2023-02-24 주식회사 케이와이엠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ko) * 2001-04-12 2002-10-23 강화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1785911B1 (ko) * 2015-11-02 2017-10-16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ko) * 2001-04-12 2002-10-23 강화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101785911B1 (ko) * 2015-11-02 2017-10-16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79B1 (ko) * 2020-06-29 2020-11-27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작품 거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685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20200020172A1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KR102275189B1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US8930844B2 (en) Network repository of digitalized 3D object models, and networked generation of photorealistic images based upon these models
US10853869B2 (en) Electronic wish list system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CN112132961B (zh) 基于全景图模板的数字虚拟展厅生成方法及系统
KR102230685B1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CN108573391A (zh) 一种推广内容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9586149B2 (en) Collaborative virtual business objects social sharing in a virtual world
JP2019521459A (ja) ネットワーク・プラットフォームにおけるデータベースエントリをリンク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80165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TWI808949B (zh) 資料物件資訊處理方法、裝置及系統
KR102107315B1 (ko)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KR102107316B1 (ko) 작품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표시 방법
US20210390615A1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KR102183979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작품 거래 방법 및 시스템
Nagashree et al.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Interior Designing
CN114842115A (zh) 生成商品主图的方法及电子设备
US10902509B1 (en) Providing digital representations based on physical items
JP2002149803A (ja) 作品展示システム
KR20210027831A (ko)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JP2020064423A (ja) 登録装置、登録方法および登録プログラム
CN111047378A (zh) 房屋装修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220037138A (ko) 3차원 이미지 렌더링을 통한 작품 전시 이미지 생성 및 전시 제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