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681B1 -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Google Patents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7681B1 KR102497681B1 KR1020220101002A KR20220101002A KR102497681B1 KR 102497681 B1 KR102497681 B1 KR 102497681B1 KR 1020220101002 A KR1020220101002 A KR 1020220101002A KR 20220101002 A KR20220101002 A KR 20220101002A KR 102497681 B1 KR102497681 B1 KR 102497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p
- layer
- building
- feature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6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79 rub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750 rub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994 Ce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1 p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60 Cellulo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35744 Hura crepi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6749 Ma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43 Phytolacc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50112439 SMAP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0602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78 mathematic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39 pl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444—Spatial browsing, e.g. 2D maps, 3D or virtual sp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번호 | 장소 | 위도 | 경도 | 북향거리 | 동향거리 |
1 | 경위도원점 | 0° | 0° | 10,018,754.171m | 20,037,508.343m |
2 | 대척점 | 0° | 180° | 10,018,754.171m | 40,075,016.686m |
3 | 북극 | 90° | 0° | 20,037,508.343m | 0.000m |
4 | 남극 | -90° | 0° | 0.000m | 0.000m |
5 | 세종기준점 | 36.5222134° | 127.3031899° | 14,084,388.370m | 27,491,115.402m |
6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 -33.8567844° | 151.2152967° | 6,249,834.172m | 30,618,651.175m |
번호 | 장소 | 위도 | 경도 | 북향거리 | 동향거리 |
1 | 세종기준점 | 36.5222134° | 127.3031899° | 14,084,388.370m | 27,491,115.402m |
2 | 대전 중앙로 사거리 | 36.3286936° | 127.4259233° | 14,062,845.844m | 27,570,728.707m |
3 | 백두산 천지연 | 42.0072268° | 128.0564190° | 14,694,977.268m | 25,481,535.991m |
4 | 대한민국 최남단비 (마라도) |
33.1138727° | 126.2684738° | 13,704,973.619m | 28,556,380.328m |
5 | 독도 영토 표석 | 37.2399286° | 131.8684690° | 14,164,284.060m | 27,638,526.094m |
6 | 서격렬비도 | 36.6115719° | 125.5439153° | 14,094,335.712m | 27,302,128.877m |
도 2는 대흥동성당의 앞에 설치된 관광 안내판.
도 3은 도 2의 관광 안내판에 있는 QR 코드로 연결되는 대전 구도심의 랜드마크 소개 페이지.
도 4는 서울특별시의 3D 지도에서 남대문을 찾아 본 모습.
도 5는 X3DOM으로 작성한 피라미드의 모습.
도 6 내지 도 7은 X3DOM으로 작성한 부처상의 모습.
도 8은 종래 발명에서의 북향거리와 동향거리의 개념도.
도 9는 종래 발명에서의 층 정보의 개념을 예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지도 제작에 있어서 레이어의 개념을 예시하는 개념도.
도 11은 종래 발명에서 디지털 지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2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이어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 발명에서 디지털 지도의 뷰와 중앙의 건물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종래 발명에서 지도 앱의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5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서 평면도 표시 서브루틴의 순서도.
도 16은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 가입할 때 생성되는 사용자 아바타의 예.
도 17은 꾸미기 메뉴를 통하여 아바타의 복장을 변경한 모습.
도 18은 '들어가기' 메뉴를 통하여 메타버스 공간으로 이동한 모습.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3D 콘텐츠가 연결된 디지털 지도의 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3D 콘텐츠가 보여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2는 다각형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OK벤처타운 2층의 실내 지도.
도 24는 도 23의 일부를 확대한 그림.
도 25는 클릭 이벤트의 발생을 예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3D 콘텐츠가 보여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7은 3D 실내 지도의 예.
도 28은 OK벤처타운 2층의 실내 지도에서 출원인의 사무실이 있는 204호를 확대한 도면.
도 29는 화분의 3D 모형의 예.
도 30 내지 도 31은 성당의 3D 모형의 예.
도 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레이어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사물 객체를 구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바티칸 시국의 지도.
도 35는 바티칸 시국의 간략화된 개략도.
도 36은 가상현실 공간과 메타버스 공간의 차이를 설명하는 그림.
사물 | 3D 콘텐츠 | URL |
다이아몬드 반지 | index.html | https://VR.digitalearth.land/datastoreVR/N14062971E27570403/F1/T0/index.html |
사파이어 보석 | index.html | https://VR.digitalearth.land/datastoreVR/N14062971E27570403/F1/T1/index.html |
루비 보석 | index.html | https://VR.digitalearth.land/datastoreVR/N14062971E27570403/F1/T2/index.html |
다이아몬드 보석 | index.html | https://VR.digitalearth.land/datastoreVR/N14062971E27570404/F1/T0/index.html |
E: 동향거리
F: 층
I: 북향거리 대응 정수
J: 동향거리 대응 정수
Claims (46)
-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digital map based virtual reality online platform)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는 수단인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와,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메인 서버(main server)와,
메인 서버에 실외 지도(outdoor map) 데이터를 공급하는 실외 지도 서버(outdoor map server)와,
메인 서버에 지형지물(地形地物, geographic features)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저장소(data store)와,
지형지물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하고,
디지털 지도의 지도 영역(map area)에는 실외 지도 및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지형지물이 실외 지도 상의 올바른 위치에 표시되며,
지도 영역에 표시된 어느 한 지형지물에 선택 이벤트(selection event)가 발생하면 그 지형지물의 3D 모형(3D model)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virtual reality space)이 새 창(window)으로 열리되,
디지털 지도의 지도 객체(map object)는 실외 지도 레이어(outdoor map layer)와 하나 이상의 벡터 레이어(vector layer)를 가지는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geographic feature layer group)을 가지며,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실외 지도 레이어 위에 있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에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기하 객체(geometric objects)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하 객체는 지오제이슨(GeoJSON) 형식의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와 다중다각형 객체(MultiPolygon object)와 연결선분객체(LineString object)와 다중연결선분객체(MultiLineString object) 중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를 포함하되,
영역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객체(territory object)를 포함하며,
지도 영역 상의 한 지점(地點, point)은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부지에 포함될 수 있고,
영역 객체는 우선순위 속성(priority attribute)을 가지는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나 다중다각형객체(MultiPolygon object)로 주어지며,
한 개 이상의 부지에 속하는 지도 영역 상의 어느 한 지점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영역 객체들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영역 객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공간(virtual reality space)이 새 창에서 걷기(Walk) 모드로 열리며,
지형지물의 3D 모형은 X3DOM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1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조건이란 지형지물의 대표 지점의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가 디지털 지도의 뷰 범위(view extent)에 포함되고, 지형지물이 지도 영역에 표시되기 위한 줌(zoom) 값보다 디지털 지도의 줌 값이 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1항에 있어서,
지형지물에 발생하는 선택 이벤트는 클릭(click) 이벤트와 더블 클릭(double click) 이벤트와 터치(touch)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와,
영역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외곽선을 표시하는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건물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표시하는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와,
평면도 레이어 위에 있으며 사물(thing)을 표시하는 사물 레이어(thing lay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1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를 포함하되,
평면도 레이어는 건물 레이어 위에 있고,
건물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건물의 외곽선을 다각형객체나 다중다각형객체로 표시하는 건물 객체(building object)를 포함하며,
평면도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외곽선이 표시된 건물들 중 평면도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 건물들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건물들의 외곽선에 부합되게 표시하는 평면도 객체(floorplan object)를 포함하고,
평면도 객체는 다각형객체와 다중다각형객체와 연결선분객체와 다중연결선분객체들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6항에 있어서,
평면도 표시 조건이란;
지도의 줌 값이 그 건물의 평면도 표시 줌 값보다 크면서 해당 건물이 지면층(ground floor)이 있는 건물이거나,
층 선택 메뉴(floor selector)를 통하여 지면층이 아닌 다른 층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6항에 있어서,
건물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건물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virtual reality space)이 새 창(window)에서 관찰(Examine) 모드로 열리고,
평면도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평면도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이 새 창에서 걷기(Walk) 모드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가상현실 공간은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user response input means)을 이용하여 탐색(explore)이 가능하되,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키보드(keyboard)와 터치 모니터(touch monitor)와 카메라(camera)와 게임 패드(game pad)와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1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사물 레이어(thing layer)를 포함하되,
사물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동산(movables)을 표시하는 사물 객체(thing object)를 포함하며,
어느 한 사물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사물 객체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이 새 창에서 턴테이블(Turntable) 모드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제12항에 있어서,
사물 객체는 북향거리 대응 정수(northing corresponding integer) 속성과 동향거리 대응 정수(easting corresponding integer) 속성과 층(floor) 속성과 사물 아이디(thing ID) 속성을 가지되,
북향거리 대응 정수는 동산의 대표 지점의 위도 φ와 경도 λ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북향거리(northing) N을 반올림하여 얻어지는 정수이고,
여기서 R은 지구의 평균 반경이며,
동향거리 대응 정수는 동산의 대표 지점의 위도와 경도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동향거리(easting) E를 반올림하여 얻어지는 정수이고,
층 속성은 동산이 위치한 실내·외의 층을 나타내는 정수이며,
북향거리 대응 정수 속성과 동향거리 대응 정수 속성과 층 속성이 모두 동일한 사물 객체들의 사물 아이디 속성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온라인 플랫폼.
-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地形地物, geographic features)의 3D 콘텐츠(3D content)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는 수단인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와,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메인 서버(main server)와,
메인 서버에 실외 지도(outdoor map) 데이터를 공급하는 실외 지도 서버(outdoor map server)와,
메인 서버에 지형지물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저장소(data store)와,
지형지물 데이터 및 가상현실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일련의 단계들(series of stages)을 실행하되,
디지털 지도의 지도 객체(map object)는 실외 지도 레이어(outdoor map layer)와 하나 이상의 벡터 레이어(vector layer)를 가지는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geographic feature layer group)을 가지며,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실외 지도 레이어 위에 있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에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기하 객체(geometric objects)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하 객체는 지오제이슨(GeoJSON) 형식의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와 다중다각형 객체(MultiPolygon object)와 연결선분객체(LineString object)와 다중연결선분객체(MultiLineString object) 중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를 포함하되,
영역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객체(territory object)를 포함하며,
지도 영역 상의 한 지점은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부지에 포함될 수 있고,
영역 객체는 우선순위 속성(priority attribute)을 가지는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나 다중다각형객체(MultiPolygon object)로 주어지며,
한 개 이상의 부지에 속하는 지도 영역 상의 어느 한 지점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영역 객체들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영역 객체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virtual reality space)이 새 창에서 걷기(Walk) 모드로 열리고,
지형지물의 3D 모형(3D model)은 X3DOM으로 주어지며,
시스템이 실행하는 일련의 단계들은;
디지털 지도의 지도 영역(map area)에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단계,
지도 영역에 선택 이벤트(selection event)가 발생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
선택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선택 포인트(selection point)의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를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지리 좌표에 지형지물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지형지물이 있으면 대응하는 기하 객체(geometric object)의 속성(attributes)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기하 객체의 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3D 모형의 URL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URL에 실제로 3D 모형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3D 모형이 있으면 해당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virtual reality space)이 새 창(window)으로 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조건이란 지형지물의 대표 지점의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가 디지털 지도의 뷰 범위(view extent)에 포함되고, 지형지물이 지도 영역에 표시되기 위한 줌(zoom) 값보다 디지털 지도의 줌 값이 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지도 영역에 발생하는 선택 이벤트는 클릭(click) 이벤트와 더블 클릭(double click) 이벤트와 터치(touch)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와,
영역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외곽선을 표시하는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건물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표시하는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와,
평면도 레이어 위에 있으며 사물(thing)을 표시하는 사물 레이어(thing lay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를 포함하되,
평면도 레이어는 건물 레이어 위에 있고,
건물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건물의 외곽선을 다각형객체나 다중다각형객체로 표시하는 건물 객체(building object)를 포함하며,
평면도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외곽선이 표시된 건물들 중 평면도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 건물들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건물들의 외곽선에 부합되게 표시하는 평면도 객체(floorplan object)를 포함하고,
평면도 객체는 다각형객체와 다중다각형객체와 연결선분객체와 다중연결선분객체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평면도 표시 조건이란;
지도의 줌 값이 그 건물의 평면도 표시 줌 값보다 크면서 해당 건물이 지면층(ground floor)이 있는 건물이거나,
층 선택 메뉴(floor selector)를 통하여 지면층이 아닌 다른 층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건물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건물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virtual reality space)이 새 창(window)에서 관찰(Examine) 모드로 열리고,
평면도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평면도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이 새 창에서 걷기(Walk) 모드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가상현실 공간은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user response input means)을 이용하여 탐색(explore)이 가능하되,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키보드(keyboard)와 터치 모니터(touch monitor)와 카메라(camera)와 게임 패드(game pad)와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사물 레이어(thing layer)를 포함하되,
사물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동산(movables)을 표시하는 사물 객체(thing object)를 포함하며,
어느 한 사물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사물 객체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이 새 창에서 턴테이블(Turntable) 모드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사물 객체는 북향거리 대응 정수(northing corresponding integer) 속성과 동향거리 대응 정수(easting corresponding integer) 속성과 층(floor) 속성과 사물 아이디(thing ID) 속성을 가지되,
북향거리 대응 정수는 동산의 대표 지점의 위도 φ와 경도 λ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북향거리(northing) N을 반올림하여 얻어지는 정수이고,
여기서 R은 지구의 평균 반경이며,
동향거리 대응 정수는 동산의 대표 지점의 위도와 경도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동향거리(easting) E를 반올림하여 얻어지는 정수이고,
층 속성은 동산이 위치한 실내·외의 층을 나타내는 정수이며,
북향거리 대응 정수 속성과 동향거리 대응 정수 속성과 층 속성이 모두 동일한 사물 객체들의 사물 아이디 속성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3D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digital map based metaverse online platform)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는 수단인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와,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메인 서버(main server)와,
메인 서버에 실외 지도(outdoor map) 데이터를 공급하는 실외 지도 서버(outdoor map server)와,
메인 서버에 지형지물(地形地物, geographic features) 데이터 및 메타버스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저장소(data store)와,
지형지물 데이터 및 메타버스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하고,
디지털 지도의 지도 영역(map area)에는 실외 지도(outdoor map) 및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지형지물이 실외 지도 상의 올바른 위치에 표시되며,
지도 영역에 표시된 어느 한 지형지물에 사용자(user)에 의한 선택 이벤트(selection event)가 발생하면 그 지형지물의 3D 모형(3D model)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공간(metaverse space)이 새 창(window)으로 열리면서 사용자의 아바타(avatar)가 메타버스 공간에 추가되고,
사용자의 아바타는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user response input means)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디지털 지도의 지도 객체(map object)는 실외 지도 레이어(outdoor map layer)와 하나 이상의 벡터 레이어(vector layer)를 가지는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geographic feature layer group)을 가지며,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실외 지도 레이어 위에 있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에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기하 객체(geometric objects)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하 객체는 지오제이슨(GeoJSON) 형식의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와 다중다각형 객체(MultiPolygon object)와 연결선분객체(LineString object)와 다중연결선분객체(MultiLineString object) 중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를 포함하되,
영역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객체(territory object)를 포함하고,
지도 영역 상의 한 지점은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부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영역 객체는 우선순위 속성(priority attribute)을 가지는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나 다중다각형객체(MultiPolygon object)로 주어지고,
한 개 이상의 부지에 속하는 지도 영역 상의 어느 한 지점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영역 객체들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영역 객체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공간(metaverse space)이 새 창으로 열리고,
지형지물의 3D 모형은 X3DOM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제27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조건이란 지형지물의 대표 지점의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가 뷰 범위(view extent)에 포함되고, 지형지물이 지도 영역에 표시되기 위한 줌(zoom) 값보다 디지털 지도의 줌 값이 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제27항에 있어서,
지형지물에 발생하는 선택 이벤트는 클릭(click) 이벤트와 더블 클릭(double click) 이벤트와 터치(touch)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제2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아바타는 메타버스 공간에 걷기(Walk) 모드로 추가되며,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키보드(keyboard)와 터치 모니터(touch monitor)와 카메라(camera)와 게임 패드(game pad)와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삭제
- 제27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와,
영역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외곽선을 표시하는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건물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표시하는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제27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를 포함하되,
평면도 레이어는 건물 레이어 위에 있고,
건물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건물의 외곽선을 다각형객체나 다중다각형객체로 표시하는 건물 객체(building object)를 포함하며,
평면도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외곽선이 표시된 건물들 중 평면도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 건물들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건물들의 외곽선에 부합되게 표시하는 평면도 객체(floorplan object)를 포함하고,
평면도 객체는 다각형객체와 다중다각형객체와 연결선분객체와 다중연결선분객체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제33항에 있어서,
평면도 표시 조건이란;
지도의 줌 값이 그 건물의 평면도 표시 줌 값보다 크면서 해당 건물이 지면층(ground floor)이 있는 건물이거나,
층 선택 메뉴(floor selector)를 통하여 지면층이 아닌 다른 층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제33항에 있어서,
건물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해당 건물의 입구에 추가되며,
평면도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해당 건물의 해당 층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 기반의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삭제
-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metaverse space)을 탐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는 수단인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와,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메인 서버(main server)와,
메인 서버에 실외 지도(outdoor map) 데이터를 공급하는 실외 지도 서버(outdoor map server)와,
메인 서버에 지형지물(地形地物, geographic features) 데이터 및 메타버스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저장소(data store)와,
지형지물 데이터 및 메타버스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일련의 단계들(series of stages)을 실행하되,
디지털 지도의 지도 객체(map object)는 실외 지도 레이어(outdoor map layer)와 하나 이상의 벡터 레이어(vector layer)를 가지는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geographic feature layer group)을 가지며,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실외 지도 레이어 위에 있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에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기하 객체(geometric objects)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하 객체는 지오제이슨(GeoJSON) 형식의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와 다중다각형 객체(MultiPolygon object)와 연결선분객체(LineString object)와 다중연결선분객체(MultiLineString object) 중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고,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를 포함하되,
영역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객체(territory object)를 포함하고,
지도 영역 상의 한 지점은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부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영역 객체는 우선순위 속성(priority attribute)을 가지는 다각형객체(Polygon object)나 다중다각형객체(MultiPolygon object)로 주어지고,
한 개 이상의 부지에 속하는 지도 영역 상의 어느 한 지점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영역 객체들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영역 객체의 3D 모형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공간(metaverse space)이 새 창으로 열리고,
지형지물의 3D 모형(3D model)은 X3DOM으로 주어지며,
시스템이 실행하는 일련의 단계들은;
디지털 지도의 지도 영역(map area)에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지형지물을 표시하는 단계,
지도 영역에 사용자(user)에 의한 선택 이벤트(selection event)가 발생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
선택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선택 포인트(selection point)의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를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지리 좌표에 지형지물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지형지물이 있으면 대응하는 기하 객체(geographic object)의 속성(attributes)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기하 객체의 속성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지형지물의 3D 모형(3D model)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공간(metaverse space)의 URL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URL에 실제로 메타버스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메타버스 공간이 있으면 해당 메타버스 공간을 새 창(window)으로 열고 사용자의 아바타(avatar)를 추가하는 단계,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user response input means)에 의하여 사용자의 아바타가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해진 조건이란 지형지물의 대표 지점의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가 뷰 범위(view extent)에 포함되고, 지형지물이 지도 영역에 표시되기 위한 줌(zoom) 값보다 디지털 지도의 줌 값이 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지도 영역에 발생하는 선택 이벤트는 클릭(click) 이벤트와 더블 클릭(double click) 이벤트와 터치(touch) 이벤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아바타는 메타버스 공간에 걷기(Walk) 모드로 추가되며,
사용자 반응 입력 수단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키보드(keyboard)와 터치 모니터(touch monitor)와 카메라(camera)와 게임 패드(game pad)와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삭제
- 제37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부지(territory)의 경계를 표시하는 영역 레이어(territory layer)와,
영역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외곽선을 표시하는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건물 레이어 위에 있으며 건물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표시하는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지형지물 레이어 그룹은 건물 레이어(building layer)와 평면도 레이어(floorplan layer)를 포함하되,
평면도 레이어는 건물 레이어 위에 있고,
건물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보이는 건물의 외곽선을 다각형객체나 다중다각형객체로 표시하는 건물 객체(building object)를 포함하며,
평면도 레이어는 지도 영역에 외곽선이 표시된 건물들 중 평면도 표시 조건을 만족하는 건물들의 어느 한 층의 평면도를 건물들의 외곽선에 부합되게 표시하는 평면도 객체(floorplan object)를 포함하고,
평면도 객체는 다각형객체와 다중다각형객체와 연결선분객체와 다중연결선분객체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combination)으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제43항에 있어서,
평면도 표시 조건이란;
지도의 줌 값이 그 건물의 평면도 표시 줌 값보다 크면서 해당 건물이 지면층(ground floor)이 있는 건물이거나,
층 선택 메뉴(floor selector)를 통하여 지면층이 아닌 다른 층을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제43항에 있어서,
건물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해당 건물의 입구에 추가되며,
평면도 객체에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해당 건물의 해당 층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을 탐색하는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12152 WO2023018314A1 (ko) | 2021-08-13 | 2022-08-15 |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07186 | 2021-08-13 | ||
KR1020210107186 | 2021-08-13 | ||
KR20220034476 | 2022-03-21 | ||
KR1020220034476 | 2022-03-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5646A KR20230025646A (ko) | 2023-02-22 |
KR102497681B1 true KR102497681B1 (ko) | 2023-02-24 |
Family
ID=8532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1002A KR102497681B1 (ko) | 2021-08-13 | 2022-08-12 |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76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3239B1 (ko) * | 2022-10-14 | 2023-10-26 |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 가상 공간에서 다수의 이벤트에 동시에 참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102711305B1 (ko) * | 2024-03-29 | 2024-09-30 | 주식회사 소울엑스 | 콘텐츠 제작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19625A1 (en) * | 2013-07-09 | 2015-01-15 | Google Inc. | Providing indoor map data to a client computing device |
KR102234723B1 (ko) * | 2019-10-09 | 2021-04-01 |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 지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4344A (ko) | 2000-06-02 | 2000-09-05 | 민영욱 | 인터넷을 통한 3차원 가상현실 미술관/쇼핑몰 시스템 및그 운영 방법 |
US7933897B2 (en) * | 2005-10-12 | 2011-04-26 | Google Inc. | Entity display priority in a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US20120162225A1 (en) * | 2010-12-23 | 2012-06-28 | Google Inc. | View dependent techniques to determine user interest in a feature in a 3d application |
KR101923723B1 (ko) * | 2012-09-17 | 2018-11-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사용자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클라이언트 단말 및 방법 |
KR101875697B1 (ko) | 2017-05-22 | 2018-07-09 | 김석종 | 증강 및 가상현실 기반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KR102230685B1 (ko) | 2018-12-06 | 2021-03-19 | 신효미 |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
KR102296173B1 (ko) | 2019-11-18 | 2021-08-30 | 이정근 | 공실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
-
2022
- 2022-08-12 KR KR1020220101002A patent/KR1024976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19625A1 (en) * | 2013-07-09 | 2015-01-15 | Google Inc. | Providing indoor map data to a client computing device |
KR102234723B1 (ko) * | 2019-10-09 | 2021-04-01 |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 지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5646A (ko) | 2023-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42777B (zh) | 基于显著性生成和渲染地图特征 | |
KR102344087B1 (ko) | 디지털 지도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 | |
US20040075697A1 (en) |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using GIS data | |
KR102497681B1 (ko) | 디지털 지도 기반의 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 | |
De Fino et al. | Virtual tours and informational models for improving territorial attractiveness and the smart manage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3d-imp-act project | |
US11886527B2 (en) | Digital map based online platform | |
Malinverni et al. | A geodatabase for multisource data management applied to cultural heritage: the case study of Villa Buonaccorsi’s historical garden | |
US10489965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virtual camera | |
US20240135658A1 (en) | Location-Specific Three-Dimensional Models Responsive to Location-Related Queries | |
KR102553567B1 (ko) | 실측 기반의 평면도를 사용하는 실내 지도와 그 작성 방법 | |
CN106030488A (zh) | 用于视觉接口的入口 | |
Adreani et al. | Design and develop of a smart city digital twin with 3d representation and user interface for what-if analysis | |
Kadi et al. |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with augmented reality for promoting tourism objects in Southwest Sumba | |
Robles-Ortega et al. | Automatic street surface modeling for web-based urban information systems | |
Ioannidis et al. | A multi-purpose cultural heritage data platform for 4D visualization and 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
Zhou et al. | Customizing visualization in three-dimensional urban GIS via web-based interaction | |
Geller | Imaging the world: The state of online mapping | |
Singh et al. | A geo-referenced information system for tourism (GeoRIST) | |
Fischer-Stabel et al. | Digital twins, augmented reality and explorer maps rising attractiveness of rural regions for outdoor tourism | |
Robles-Ortega et al. | Design of Topologically Structured Geo-database for Interactive Navigation and Exploration in 3D Web-Based Urban Information Systems. | |
Lerma et al. | Three‐Dimensional city model visualisation for real‐time guided museum tours | |
Gruen et al. | Perspectives in the reality-based generation, n D modelling, and operation of buildings and building stocks | |
TW201028957A (en) | Automatic display technology of vision landscape in different heights and hidden content of map target objects in a 3D map | |
Meschini et al. | Disclosing Documentary Archives: AR interfaces to recall missing urban scenery | |
Spreafico et al. | 3D WebGIS for Ephemeral Architecture Documentation and Studies in the Human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9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