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831A -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831A
KR20210027831A KR1020190108780A KR20190108780A KR20210027831A KR 20210027831 A KR20210027831 A KR 20210027831A KR 1020190108780 A KR1020190108780 A KR 1020190108780A KR 20190108780 A KR20190108780 A KR 20190108780A KR 20210027831 A KR20210027831 A KR 2021002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work
work
online
service
art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이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훈 filed Critical 이재훈
Priority to KR102019010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7831A/ko
Publication of KR2021002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 작가를 대리하여 작품을 대중에게 보여주고 홍보하는 작품 공급(작품사진, 미디어영상)업자, 그리고 작품을 쉽고 편리하게 보고 즐길 수 있는 소비자로 구성된 미술시장에서, 작가는 작품의 이미지(사진)과 미디어 영상작품을 판매가 아닌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만으로 저작권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창중할 수 있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가들이 창작한 창작물로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가와 작품정보, 작품사진, 미디어작품 등 수집된 미술작품 자료에 대한 암호화 시스템을 통해 작품 DB에 등록하는 단계; 암호화된 등록작품 사진을 각 가정과 상업공간(예: 호텔로비,병원로비 등)에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고객 서비스에 대해 계약 되어진 클라이언트 양식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매월 소정 수량의 작품사진을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단계; 및 서비스 되는 작품이미지는 고객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작품이미지의 수량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으로 회사수수료수익이 구분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한 수량에 따라 매월 작가에게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을 통해 저작권료에 대한 수익을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ART WORK ONLINE SERVICE METHOD AND ART WORK ONLINE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 작가를 대리하여 작품을 대중에게 보여주고 홍보하는 작품 공급(작품사진, 미디어영상)업자, 그리고 작품을 쉽고 편리하게 보고 즐길 수 있는 소비자로 구성된 미술시장에서, 작가는 작품의 이미지(사진)과 미디어 영상작품을 판매가 아닌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만으로 저작권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창중할 수 있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작권이라 함은 문학, 학술 또는 예술의 영역에 속하는 창작물에 대하여 저작권자가 가지는 권리를 말하고 있으며, 창작물에 속하는 저작물은 강연, 회화, 조각, 공예, 건축, 지도, 도형 등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저작권이 발생하는 이러한 창작물은 창작물 자체를 판매하여 수익을 내거나 창작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상품을 다수의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그 수익의 일부를 창작물에 대한 댓가(저작권료)로 저작권자에게 지급하는 것 두 가지 중 하나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예술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들은 인류 문화에서 창의적인 역할을 담당해왔음에도 그에 합당한, 정당한 보상을 받아왔던 것은 아니다. 소수의 저명한 예술가를 제외하고는 작품의 판매만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은 대부분 불가능한 것이 오늘날에도 현실이다.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 작가를 대리하여 판매하는 판매자, 그리고 작품을 구입하는 구매자로 구성된 미술시장에서, 작가는 작품의 판매시점에서만 작품 판매수익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작가의 외면적 명성, 판매자의 특정 작가 지향, 구매자의 주관적 기호 등 다양한 이유로 시장에 참여하는 많은 작가들은 판매를 보장받지 못한다.
또한, 작품이 판매된 작가의 경우에도 그 작품이 시장에 수차례 재판매되는 경우 저작권자인 작가에게 전혀 수익이 시스템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작가들을 더욱 곤궁하게 한다.
근래 전자기기의 성능 발전과 통신 네트워크 보급의 확산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는 인터넷을 통해 유수의 박물관이나 미술전시회를 안내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박물관이나 전시회 등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검색엔진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미술작품들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여기서, 미술작품을 감상을 위한 사용자 단말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중이 쉽게 다가갈 수 있고, 창조적 가치가 중요시되는 시대에 발맞춰 미술시장에 참여하는 작가에게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54013(2016.09.0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23065(2013.11.1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32587(2009.12.3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00385(2019.07.15.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 작가를 대리하여 작품을 대중에게 보여주고 홍보하는 작품 공급(작품사진, 미디어영상)업자, 그리고 작품을 쉽고 편리하게 보고 즐길 수 있는 소비자로 구성된 미술시장에서, 작가는 작품의 이미지(사진)과 미디어 영상작품을 판매가 아닌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만으로 저작권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창중할 수 있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품이미지 암호화 시스템과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 개발 및 미술작품 이미지(사진) 온라인 플랫폼 개발을 통해 디지털 TV, 이미지 공급장치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하여 발생되는 수익을 다중으로 또한 신뢰성 있게 분배할 수 있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술작품에 대하여 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창작물에 대한 대중의 의식 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작가들이 창작한 창작물로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가와 작품정보, 작품사진, 미디어작품 등 수집된 미술작품 자료에 대한 암호화 시스템을 통해 작품 DB에 등록하는 단계; 암호화된 등록작품 사진을 각 가정과 상업공간(예: 호텔로비,병원로비 등)에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고객 서비스에 대해 계약 되어진 클라이언트 양식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매월 소정 수량의 작품사진을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단계; 및 서비스 되는 작품이미지는 고객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작품이미지의 수량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으로 회사수수료수익이 구분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한 수량에 따라 매월 작가에게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을 통해 저작권료에 대한 수익을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미술시장에서 작가와 사용자 간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새롭게 구조화하고, 나아가 일정비율을 수수료를 작가에게 지급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익을 작가는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장르별, 작가별, 색상별 그룹화로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선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작가를 홍보하고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작품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점수에 따라 대다수의 작가들에게 수익이 발생하게 하는 등 자신의 오리지널 작품이 판매되는 것과 상관 없이 상호 부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작가들에게 생활의 안정을 제공함과 동시에 깊이있는 작품활동의 기회를 마련하고 미술시장의 환경을 개선 및 수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가들의 더 나은 예술 창작 활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대중에게 다양한 국내/외 예술품을 감상,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는 더욱 향상된 사회적 문화예술 부가가치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블록화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미술작품 이미지(예를 들면, 사진, 미디어영상)를 암호화하여 보관하고 저작권료 정산시스템에 의해 수익을 분배하며, 특히 작가에게 보다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미술작품 이미지(사진, 미디어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에 대한 운영 구조와 수익 분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미술시장 내에서 새로운 수익구조를 설계, 생성하고, 동시에 종전에 없던 작품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된 이미지 저장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아카이브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작품이미지 스트리밍 서비스로 발생된 수익이 작가에게 정산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배분되도록 시스템화된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여, 작가의 창작의욕을 높이고 대중의 더 높아진 작품의 가치를 향유하는 순환되는 건전한 문화의 미술시장을 구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작가들이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가 및 작품정보를 미술작품 관리시스템의 작품DB에 등록하는 단계; 개별 작품그룹에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미지(사진, 미디어 영상)가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작가별 작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미술작품 관리시스템의 중개에 의해 임의의 작품이 스트리밍서비스 공급되어 가입자(소비자)로부터 이용 수익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작품서비스 이용 수익을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 라이선스(저작권료)수익, 상기 미술작품 관리시스템, 공급자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 및 상기 작품 서비스업체수익과 회사수수료수익을 제외한 작가 재분배수익원으로 구분되고, 상기 작가재분배수익원을 상기 이용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작가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산하는 단계는, 매월 사용된 작품이미지 수에 맞게 지정된 날짜에 지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블록화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작품 DB 등록 단계; 온라인 작품 공급 단계; 및 수익 분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작품 DB 등록 단계는, 작가들이 창작한 창작물로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가와 작품정보, 작품사진, 미디어작품 등 수집된 미술작품 자료에 대하여 암호화 시스템 개발을 통해 암호화하여 작품등록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작품 공급 단계는, 암호화된 등록작품 사진을 각 가정과 상업공간(예를 들면, 호텔 로비, 병원 로비 등) 등의 공급처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온라인 작품 공급 단계는, 고객 서비스에 대해 계약되어진 클라이언트 양식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매월 정해진 작품 수량(예를 들면, 작품사진 8점 등)을 스트리밍 서비스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익 분배 단계는, 서비스되는 작품이미지가 고객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작품 공급 단계에서 선택된 작품이미지(사진)의 수량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으로 회사수수료 수익이 구분되어 제공되며,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한 수량에 따라 매월 작가에게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에 의해 저작권료 형태로 수익이 배분되어 지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익 분배 단계에서, 상업공간의 공급처로 공급하는 경우에서의 수익배분은, 제공되는 디지털 TV 또는 기존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계약된 수량에 따라 소정 기간(예를 들면, 1년) 약정제로 공급될 수 있으며, 월 서비스 공급에 따른 사용료를 부가하며 그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중 회사수수료 수익이 구분되고, 작품이미지 사용에 따른 수만큼 발생되는 수익분을 저작권료 정산시스템(저작권료 정산 서버)으로 해당되는 작가에게 수익을 저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익 분배 단계에서, 각 가정의 공급처로 공급하는 경우에서의 수익 배분은, 각 가정에 방송물 콘텐츠제공 업체(예를 들면, ipTV사업자, SO사업자, 구글TV, 애플TV)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TV의 부가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하며, 소비자는 약정제로 월별 작품이미지 스트리밍 서비스를 공급받는 구조로 통신사 수수료 수익구분, 작품이미지(사진) 제공하는 회사수수료 수익구분, 작가수익(저작권료)을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미술시장에서 작가와 사용자 간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새롭게 구조화하고, 나아가 일정비율을 수수료를 작가에게 지급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익을 작가는 확보할 수 있으며, 작가들에게 생활의 안정을 제공함과 동시에 깊이있는 작품활동의 기회를 마련하고 미술시장의 환경을 개선 및 수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가들의 더 나은 예술 창작 활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르별, 작가별, 색상별 그룹화로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선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작가를 홍보하고 알릴 수 있고, 작품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점수에 따라 대다수의 작가들에게 수익이 발생하게 하는 등 자신의 오리지널 작품이 판매되는 것과 상관 없이 상호 부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대중에게 다양한 국내/외 예술품을 감상,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는 더욱 향상된 사회적 문화예술 부가가치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작가들이 창작한 창작물로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가와 작품정보, 작품사진, 미디어작품 등 수집된 미술작품 자료에 대한 암호화 시스템을 통해 작품 DB에 등록하는 단계;
    암호화된 등록작품 사진을 각 가정과 상업공간(예: 호텔로비,병원로비 등)에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고객 서비스에 대해 계약 되어진 클라이언트 양식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매월 소정 수량의 작품사진을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단계; 및
    서비스 되는 작품이미지는 고객의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작품이미지의 수량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으로 회사수수료수익이 구분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한 수량에 따라 매월 작가에게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을 통해 저작권료에 대한 수익을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KR1020190108780A 2019-09-03 2019-09-03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KR20210027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780A KR20210027831A (ko) 2019-09-03 2019-09-03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780A KR20210027831A (ko) 2019-09-03 2019-09-03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831A true KR20210027831A (ko) 2021-03-11

Family

ID=7514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780A KR20210027831A (ko) 2019-09-03 2019-09-03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7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220A (ko) 2021-12-09 2023-06-16 울산과학기술원 예술가와 대중의 예술활동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587A (ko) 2009-12-10 2009-12-30 김동운 미술작품에 대한 저작권료를 저작권료와 소유권료로 분배 및 승계하는 지급방법
KR20130123065A (ko) 2012-05-02 2013-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미술작품 이미지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013B1 (ko) 2015-06-10 2016-09-05 김규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KR102000385B1 (ko) 2018-02-05 2019-07-15 여미옥 블록체인 기반의 아트마켓 플랫폼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587A (ko) 2009-12-10 2009-12-30 김동운 미술작품에 대한 저작권료를 저작권료와 소유권료로 분배 및 승계하는 지급방법
KR20130123065A (ko) 2012-05-02 2013-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미술작품 이미지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013B1 (ko) 2015-06-10 2016-09-05 김규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KR102000385B1 (ko) 2018-02-05 2019-07-15 여미옥 블록체인 기반의 아트마켓 플랫폼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220A (ko) 2021-12-09 2023-06-16 울산과학기술원 예술가와 대중의 예술활동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78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organize, aggregate, filter, sort, share, and discover, digital content
US20170337621A1 (en) Electronic marketplace for creative works
US20110302009A1 (en) Referring, Lending, and Reselling of Digital Items
US20130226733A1 (en) Content Platform Enabling Content Distribution Through Virtual Goods
US200800715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ctioning product placement opportunities
US11368735B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quality control of benefit items created for subscribers of a membership platform
TW201227355A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CN102893298A (zh) 允许内容创建者和内容提供商营销和分配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TW201227531A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WO2015066200A2 (en) Media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00038023A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Handke et al. Cultural economics and the Internet
Sheremeta et al. Marketing tools as the competitiveness enhancer of the Ukrainian film distribution market entities
JP7407094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利用し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所有権証明及びデジタルチケット付与システム
KR20210027831A (ko)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US20230060306A1 (en) Acquisition and Use of Multi-Platform Portable Non-Fungible Token Credits
JP2015060466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20200145044A (ko)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CN116723270A (zh) 视频彩铃的设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ooperative A Preliminary Review of Blockchain in the Music Industry
CN105793878A (zh) 交易社交媒体平台系统和方法
KR102107315B1 (ko)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JP5922691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22167752A (ja) 現実空間に設置されたアート作品の提供方法
US20160225102A1 (en) Location based media distribution and content delivery and discovery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