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013B1 -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013B1
KR101654013B1 KR1020150081798A KR20150081798A KR101654013B1 KR 101654013 B1 KR101654013 B1 KR 101654013B1 KR 1020150081798 A KR1020150081798 A KR 1020150081798A KR 20150081798 A KR20150081798 A KR 20150081798A KR 101654013 B1 KR101654013 B1 KR 10165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st
work
revenue
marketplace
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김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태 filed Critical 김규태
Priority to KR102015008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은, 작가들이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품정보를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작품DB에 등록하는 단계; 개별 작품그룹에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 하나씩 포함되도록 작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중개에 의해 임의의 작품이 판매되어 구매자로부터 판매수익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판매수익은 상기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판매수익,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 및 상기 작가판매수익과 회사수수료수익을 제외한 작가재분배수익원으로 구분되고, 상기 작가재분배수익원을 상기 판매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소속 작가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METHOD FOR SHARING PROFIT OF ART MARKETPLACE}
본 발명은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가에게 보다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술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들은 인류 문화에서 창의적인 역할을 담당해왔음에도 그에 합당한, 정당한 보상을 받아왔던 것은 아니다. 소수의 저명한 예술가를 제외하고는 작품의 판매만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은 대부분 불가능한 것이 오늘날에도 현실이다.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 작가를 대리하여 판매하는 판매자, 그리고 작품을 구입하는 구매자로 구성된 미술시장에서, 작가는 작품의 판매시점에서만 작품 판매수익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작가의 외면적 명성, 판매자의 특정 작가 지향, 구매자의 주관적 기호 등 다양한 이유로 시장에 참여하는 많은 작가들은 판매를 보장받지 못한다.
또한, 작품이 판매된 작가의 경우에도 그 작품이 시장에 수차례 재판매되는 경우 저작권자인 작가에게 전혀 수익이 시스템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작가들을 더욱 곤궁하게 한다.
이에 미술시장에 참여하는 작가에게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지원하는 기능의 발명은 창조적 가치가 중요시되는 시대에 요구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술시장 내에서 새로운 수익구조를 설계, 생성하고, 동시에 종전에 없던 수익이 작가에게 자동으로 배분되도록 시스템화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여, 작가의 창작의욕을 높이고 구매자는 더 높아진 작품의 가치를 향유하는 선순환 되는 미술시장을 구축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은, 작가들이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품정보를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작품DB에 등록하는 단계; 개별 작품그룹에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 하나씩 포함되도록 작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중개에 의해 임의의 작품이 판매되어 구매자로부터 판매수익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판매수익은 상기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판매수익,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 및 상기 작가판매수익과 회사수수료수익을 제외한 작가재분배수익원으로 구분되고, 상기 작가재분배수익원을 상기 판매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소속 작가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산하는 단계는, 일정한 판매기간 동안 동일 작품그룹 내 판매된 작품들의 작가재분배수익을 모아 작가재분배수익 재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작가재분배수익 재원을 상기 동일 작품그룹 내 소속 작가들에게 일정시점에 균등하게 배분하여 작가재분배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작가의 작품이 판매되지 않았음에도 자신이 속한 작품그룹으로부터 소정의 작가재분배수익을 받은 상기 특정 작가의 해당 작품에 대하여 재그룹화 및 판매 기회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신의 작품이 판매되지 않고 상기 자신의 작품이 판매될 경우의 작가판매수익 이상의 작가재분배수익을 특정 작가가 누적 수령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작가의 해당 작품을 판매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중개에 의해 판매된 작품의 재판매 의뢰신청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중개에 의해 상기 재판매 의뢰된 작품이 재판매되어 타 구매자로부터 재판매수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재판매수익은 상기 구매자에게 지급되는 작품재판매대금,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 및 상기 작품재판매대금과 회사수수료수익을 제외한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으로 구분되고, 상기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을 상기 재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하도록 재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은 상기 재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는, 동일 작가의 작품들은 서로 다른 작품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동일 작가의 작품의 개수는 상기 동일 작가가 소속 작가로 속한 작품그룹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의의 작품그룹에 속한 작품의 개수는 상기 임의의 작품그룹 내 소속 작가들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작품그룹들은 상기 작품정보에 따라 비중을 달리하여 작가들에게 평균적 작가재분배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그룹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정보는 작품성, 작가 지명도, 작품 판매가격, 작가 연령, 개인전 횟수, 경매(낙찰) 이력, 소장처 이력, 작품 장르, 작가 인덱스, 전문매체 등록 횟수, 국내외 레지던스 경력 등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가 운영하는 수익분배 프로그램에 작가의 참여신청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는 작가 클라이언트 및 구매자 클라이언트와 연동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가판매수익은 상기 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작가판매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회사수수료수익은 상기 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회사수수료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술시장 참여자 간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새롭게 구조화하고, 동시에 작품 미판매시의 리스크를 헤지하는 방법으로 작품별 그룹화 판매를 통하여 발생된 거래이익을 재분배함으로써, 나아가 작품의 재판매시에도 재판매금액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로 작가에게 지급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익(작가판매수익+작가재분배수익+작가수수료수익)을 작가는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작품별 그룹화 판매시 작품그룹 내 자신의 작품만 판매되지 않은 경우는 자신의 작품을 판매한 효과에 준하는 작가재분배수익을 확보하게 되며, 소속 작품그룹 내 작품이 최소 1점 이상 판매되는 경우 모든 소속작가들에게 수익이 발생하게 되는 등 본 발명은 자신의 작품 미판매와 관련된 리스크를 헤지하면서 동시에 상호 부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가들에게 개선된 작품판매 환경 및 수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가들의 더 나은 예술 창작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동시대인들은 더 나은 예술품을 감상, 소장,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사회는 더 향상된 사회적 문화예술 부가가치를 소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생성 및 수익분배 방법과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품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시스템은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 작가 클라이언트(20) 및 구매자 클라이언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작품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작품의 판매를 중개하여 판매수익을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정산하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와 정보 처리 장치의 결합체이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인터넷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웹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서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작가정보와 작품정보의 가공 및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회원관리, 정보저장, 데이터 송수신 처리 등을 비롯하여 갖가지 부가기능을 모듈화하여 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작가 클라이언트(20) 및 구매자 클라이언트(30)와 연동하여 인터넷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a)와, 작가들이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품정보가 등록되는 작품DB(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10a)는 개별 작품그룹에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 하나씩 포함되도록 작품들을 그룹화하고, 인터넷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작품의 판매를 중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a)는 작품 판매에 의해 얻은 판매수익을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판매수익, 회사수수료수익, 및 작가재분배수익원으로 구분하고, 상기 작가재분배수익원을 판매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소속 작가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한다. 이러한 판매수익의 지급 정산 처리를 위해, 서비스 서버(10a)는 금융권 네트워크와 연계될 수 있다.
작가 클라이언트(20)는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작품을 생산하는 작가인 경우이고, 구매자 클라이언트(30)는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작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인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이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고 할 것이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장치는 데스트톱 PC, 노트북 PC, 넷북 PC, 태블릿 PC, PDA(Personal Data Assistant), WCDMA폰, 스마트폰 및 스마트 TV 등일 수 있다.
또한, 작가와 구매자는 일반 개인 뿐만 아니라 기업체, 법인, 기관, 미술협회, 대학 및 화랑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통신망(NET)은 인터넷망, 전화선망, 전용선망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 작가 클라이언트(20) 및 구매자 클라이언트(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속 가능한 망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 시스템, 인터넷 접속 시스템 등의 통신 네트워크는 별도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생성 및 수익분배 방법과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작가A는 클라이언트(20a)를 통해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에 접속하여 마켓플레이스 운영회사가 설계, 운영하는 수익재분배 프로그램에 참여신청을 할 수 있다(S1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참여신청을 요청한 작가 또는 작품에 대하여 자체적인 심사를 통해 수익재분배 프로그램에 등록할 작가 또는 작품을 선별하고, 선별된 작가에 관한 작가정보 및 작품에 대한 작품정보 등을 작품DB(10b)에 등록한다(S11). 이때, 작품 실물을 수령하거나 운영회사와 작가가 합의한 방법으로 보관할 수 있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개별 작품그룹에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 하나씩 포함되도록 작품들을 그룹화한다(S12). 일 실시예에서, 선별된 각 작가의 작품들은 작품의 개수만큼의 작품그룹으로 분류 및 배정되며, 복수의 작품그룹은 작품의 구성요소에 따라 참여 작가들에게 평균적 작가재분배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판매 포트폴리오가 구성된다. 작품 그룹화에 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작품 전시 및 판매를 진행한다(S13). 여기서, 작품의 거래 방식은 실시장(real market) 거래 또는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e-commerce)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인터넷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작품정보(작가명, 작품명, 제작년도, 진품 인증 정보 등), 공급자의 정보(공급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판매 또는 임대 가격 정보 등과 같은 판매 또는 임대 거래에 필요한 가격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후, 구매자A는 구매자 클라이언트(30a)를 통해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작품구입을 결정하고 구매대금을 결제한다(S14, S15). 이때,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결제 처리를 위해 금융권 네트워크와 연계될 수 있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결제된 판매수익을 정산 처리한다(S16). 구체적으로, 상기 판매수익은 상기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판매수익(R1),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RC1), 및 상기 작가판매수익(R1)과 회사수수료수익(RC1)을 제외한 작가재분배수익원(RR)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작가판매수익(R1)은 상기 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작가판매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되며, 상기 회사수수료수익(RC1)은 상기 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회사수수료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판매수익 중 작가판매수익(R1)은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처리한다(S17). 그리고, 작가재분배수익원(RR)은 상기 판매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소속 작가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정한 판매기간 동안 동일 작품그룹 내 판매된 작품들의 작가재분배수익원(RR)을 모아 작가재분배수익 재원으로 조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상기 작가재분배수익 재원을 상기 동일 작품그룹 내 소속 작가들(20G)에게 일정시점에 균등하게 배분하여 작가재분배수익(R2)으로 지급할 수 있다(S18). 예컨대, 작가재분배수익의 배분은 운영회사가 정한 일정기간 동안의 그룹단위 작품 판매 기간이 종료되면 특정 그룹 내의 소속 작품들 중 판매된 작품들에서 조성된 작가재분배수익원(RR) 총액을 작품의 판매여부와 관계없이 소속 작가들(20G) 전체에게 균등하게 분할하여 배분, 일정한 시점에 작가에게 작가재분배수익(R2)으로 지급한다. 보다 구체적인 수익분배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특정 작가의 작품이 판매되지 않았음에도 자신이 속한 작품그룹으로부터 소정의 작가재분배수익을 받은 상기 특정 작가의 해당 작품에 대하여 재그룹화 및 판매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자신의 작품이 판매되지 않고 상기 자신의 작품이 판매될 경우의 작가판매수익 이상의 작가재분배수익을 특정 작가가 누적 수령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작가의 해당 작품을 판매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한편,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구매자A 클라이언트(30a)로부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중개에 의해 판매된 작품의 재판매 의뢰신청을 받을 수 있다(S2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의뢰된 작품에 대하여 재판매를 진행하고(S21), 구매자B는 자신의 구매자B 클라이언트(30b)를 통해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작품구입을 결정하고 구매대금을 결제한다(S22, S23).
다음으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결제된 재판매수익을 정산 처리한다(S24). 구체적으로, 재판매수익은 상기 구매자에게 지급되는 작품재판매대금(RP),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RC2), 및 상기 작품재판매대금(RP)과 회사수수료수익(RC)를 제외한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R3)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R3)은 상기 재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재판매 작가수수료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는 재판매수익 중 작품재판매대금(RP)은 판매된 작품의 구매자A 클라이언트(30a)에게 지급처리하고,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R3)을 상기 재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하도록 정산 처리한다(S25).
예를 들면, 특정 작품을 구입한 구매자A(30a)는 해당 작품을 운영회사에 재판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운영회사는 일반판매, 경매 등의 방법으로 해당 작품을 전시, 판매한다. 작품을 구매자B(30b)가 구입하는 경우, 작품가액(RP)과 회사수수료수익(RC2) 및 작가수수료수익(R3)이 반영된 재판매 금액을 결제하고 운영회사는 작품금액(RP)은 구매자A(30a)에게 지급하고, 회사수수료수익(RC2)은 운영회사 자신에게, 작가수수료수익(R3)은 작가에게 지급한다. 여기서, 작가수수료수익(R3)은 작가의 저작권 사용 등의 취지로 부과하며 구매자A(30a)의 재판매 직전의 작품 구입가격의 크기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품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품 그룹화 방식에 있어서, 동일 작가의 작품들은 서로 다른 작품그룹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임의의 작가의 작품의 개수는 임의의 작가가 소속 작가로 속한 작품그룹의 개수와 동일하다. 즉, 임의의 작품그룹에 속한 작품의 개수는 상기 임의의 작품그룹 내 소속 작가들의 수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작가A의 작품이 6개(a1, a2, a3, a4, a5, a6)라면, 각 작품은 하나씩 서로 다른 작품그룹(G1, G2, G3, G4, G5, G6)에 포함되며, 개별 작품그룹에는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 포함된다. 또한, 작가B의 작품이 5개(b1, b2, b3, b4, b5)라면, 각 작품은 하나씩 서로 다른 작품그룹(G1, G3, G4, G5, G6)에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6개의 작품을 등록한 작가A는 6개의 작품그룹에 소속되며, 5개의 작품을 등록한 작가B는 5개의 작품그룹에 소속된다.
이러한 작품그룹은 수익재분배의 기초 단위이며, 작가재분배수익의 생산 및 분배의 근거가 된다. 작품그룹은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 1점씩을 하나의 집합 안에 분류한 작품 집단으로써 예컨대, n개의 작품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한 작가는 n개의 작품그룹에 속하게 된다. 특정 작가의 관점에서 볼 때, 수개의 작품 그룹(G1 ~ Gn)은 작품의 구성요소(작품성, 작가 지명도, 작품 판매가격, 작가 연령, 개인전 횟수, 경매(낙찰) 이력, 소장처 이력, 작품 장르, 작가 인덱스, 전문매체 등록 횟수, 국내외 레지던스 경력 등) 및 그 비중을 달리하여 작품그룹 참여 작가들에게 평균적 작가재분배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품그룹은 구매자 클라이언트(30)에 표시되지 않으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10) 내부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익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판매수익은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판매수익(R1),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RC1), 및 작가판매수익(R1)과 회사수수료수익(RC1)을 제외한 작가재분배수익원(RR)으로 구분된다. 상기 작가판매수익(R1)은 하기의 수학식1과 같이 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작가판매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된다.
[수학식 1]
R1 = P*r(a)
여기서, R1은 작가판매수익, P는 작품판매가격, r(a)는 작가판매 수익률이다.
그리고, 1인당 작가재분배수익(R2)은 하기의 수학식2와 같이 판매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소속 작가들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수학식 2]
R2 = {[P-R1-(P*r(c))]}/G(n)
여기서, R2는 작가재분배수익, P는 작품판매가격, R1은 작가판매수익, r(c)는 회사수수료 수익률, G(n)은 작품그룹 내 소속작가들의 수이다. 즉, 작가재분배수익(R2)는 작품그룹내 소속 작가들의 모든 작가재분배수익원(RR)을 합산하여 소속작가들의 수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면, 작품그룹G1에 5명의 작가들의 5개의 작품이 포함됨을 가정하고, 5개의 작품이 모두 판매된 경우라면, 5개의 작품 판매에 의해 발생한 5회의 작가재분배수익원(RR)을 모두 합산하여 소속 작가들의 수만큼 5등분한 금액이 소속 작가들에게 지급되는 작가재분배수익(R2)의 금액이다. 작가재분배수익원(RR) 총액이 160만원이라 가정하면, 작가재분배수익(R2)는 32만원이 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5개의 작품 중 3개의 작품만 판매된 경우라면, 3개의 작품 판매에 의해 발생한 3회의 작가재분배수익원(RR)을 모두 합산하여 5등분한 금액이 소속 작가들에게 지급되는 작가재분배수익(R2)의 금액이다. 작가재분배수익원(RR) 총액이 120만원이라 가정하면, 작가재분배수익(R2)는 24만원이 될 것이다.
한편, 작품이 재판매된 경우의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R3)는 수학식3과 같이 재판매수익과 미리 정해진 재판매 작가수수료 수익률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R3 = P'*r(f)
여기서, R3은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 P'는 작품 재판매가격, r(f)는 재판매 작가수수료 수익률이다.
결과적으로, 어떤 작가의 작품이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판매되고, 다시 재판매되는 경우, 작가의 총 수익은 작가판매수익(R1), 작가재분배수익(R2) 및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R3)의 합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술시장 참여자 간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새롭게 구조화하고, 동시에 작품 미판매시의 리스크를 헤지하는 방법으로 작품별 그룹화 판매를 통하여 발생된 거래이익을 재분배함으로써, 나아가 작품의 재판매시에도 재판매금액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로 작가에게 지급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익(작가판매수익+작가재분배수익+작가수수료수익)을 작가는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작품별 그룹화 판매시 작품그룹 내 자신의 작품만 판매되지 않은 경우는 자신의 작품을 판매한 효과에 준하는 작가재분배수익을 확보하게 되며, 소속 작품그룹 내 작품이 최소 1점 이상 판매되는 경우 모든 소속작가들에게 수익이 발생하게 되는 등 본 발명은 자신의 작품 미판매와 관련된 리스크를 헤지하면서 동시에 상호 부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가들에게 개선된 작품판매 환경 및 수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가들의 더 나은 예술 창작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동시대인들은 더 나은 예술품을 감상, 소장, 향유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사회는 더 향상된 사회적 문화예술 부가가치를 소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
20: 작가 클라이언트
30: 구매자 클라이언트

Claims (9)

  1. 작가들이 생산한 복수의 작품에 관한 작품정보가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작품DB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서비스 서버에 의해, 개별 작품그룹에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품이 하나씩 포함되도록 작품들이 그룹화되는 단계;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중개에 의해 임의의 작품이 판매되어 구매자로부터 판매수익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판매수익은 상기 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되는 작가판매수익,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운영자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 및 상기 작가판매수익과 회사수수료수익을 제외한 작가재분배수익원으로 구분되고, 상기 작가재분배수익원을 상기 판매된 작품이 속하는 작품그룹의 소속 작가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도록 정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산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일정한 판매기간 동안 동일 작품그룹 내 판매된 작품들의 작가재분배수익원을 모아 작가재분배수익 재원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가재분배수익 재원을 상기 동일 작품그룹 내 소속 작가들에게 일정시점에 균등하게 배분하여 작가재분배수익을 지급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특정 작가의 작품이 판매되지 않았음에도 자신이 속한 작품그룹으로부터 소정의 작가재분배수익을 받은 상기 특정 작가의 해당 작품에 대하여 재그룹화 및 판매 기회가 부여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자신의 작품이 판매되지 않고 상기 자신의 작품이 판매될 경우의 작가판매수익 이상의 작가재분배수익을 특정 작가가 누적 수령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작가의 해당 작품이 판매대상에서 제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품들을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작품그룹들은 상기 작품정보에 따라 비중을 달리하여 작가들에게 평균적 작가재분배수익이 발생할 수 있도록 그룹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중개에 의해 판매된 작품의 재판매 의뢰신청을 받는 단계; 및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중개에 의해 상기 재판매 의뢰된 작품이 재판매되어 타 구매자로부터 재판매수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재판매수익은 상기 구매자에게 지급되는 작품재판매대금, 상기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에게 지급되는 회사수수료수익, 및 상기 작품재판매대금과 회사수수료수익을 제외한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으로 구분되고, 상기 재판매 작가수수료수익을 상기 재판매된 작품의 작가에게 지급하도록 재정산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정보는 작품성, 작가 지명도, 작품 판매가격, 작가 연령, 개인전 횟수, 경매(낙찰) 이력, 소장처 이력, 작품 장르, 작가 인덱스, 전문매체 등록 횟수, 국내외 레지던스 경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KR1020150081798A 2015-06-10 2015-06-1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KR10165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798A KR101654013B1 (ko) 2015-06-10 2015-06-1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798A KR101654013B1 (ko) 2015-06-10 2015-06-1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013B1 true KR101654013B1 (ko) 2016-09-05

Family

ID=5693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798A KR101654013B1 (ko) 2015-06-10 2015-06-10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0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43B1 (ko) * 2017-02-16 2018-07-23 김동욱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KR102000385B1 (ko) 2018-02-05 2019-07-15 여미옥 블록체인 기반의 아트마켓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210027831A (ko) 2019-09-03 2021-03-11 이재훈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CN112740256A (zh) * 2018-09-21 2021-04-30 李伦京 用于制作和交易嵌有人工核酸序列的艺术品的系统和方法
KR20220160333A (ko) * 2021-05-27 2022-12-06 이용희 친환경차 충전소 운영 시스템 및 플랫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136A (ja) * 2000-12-28 2002-07-19 Takamura Garo:Kk 美術品販売支援システム
KR20060040044A (ko) * 2004-11-04 2006-05-10 주식회사 툴앤툴스 기여도에 따른 수익배분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조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8716A (ko) * 2005-10-06 2007-04-11 주식회사 아일럽코리아 다단계 수익 분배 시스템
KR101211314B1 (ko) * 2012-02-27 2012-12-24 심민정 미술품 및 그 파생품의 오픈 마켓 수익배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136A (ja) * 2000-12-28 2002-07-19 Takamura Garo:Kk 美術品販売支援システム
KR20060040044A (ko) * 2004-11-04 2006-05-10 주식회사 툴앤툴스 기여도에 따른 수익배분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조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8716A (ko) * 2005-10-06 2007-04-11 주식회사 아일럽코리아 다단계 수익 분배 시스템
KR101211314B1 (ko) * 2012-02-27 2012-12-24 심민정 미술품 및 그 파생품의 오픈 마켓 수익배분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43B1 (ko) * 2017-02-16 2018-07-23 김동욱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KR102000385B1 (ko) 2018-02-05 2019-07-15 여미옥 블록체인 기반의 아트마켓 플랫폼 서비스 방법
CN112740256A (zh) * 2018-09-21 2021-04-30 李伦京 用于制作和交易嵌有人工核酸序列的艺术品的系统和方法
KR20210027831A (ko) 2019-09-03 2021-03-11 이재훈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KR20220160333A (ko) * 2021-05-27 2022-12-06 이용희 친환경차 충전소 운영 시스템 및 플랫폼
KR102497797B1 (ko) 2021-05-27 2023-02-09 이용희 친환경차 충전소 운영 시스템 및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5204B2 (ja) 資産のコレクションにおいて端数持分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関連装置
KR101654013B1 (ko)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KR20110092337A (ko) 공모될 일 세트의 주식증서를 위한 최적 가격결정 및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226575A1 (en) Electronic ticket market
US20100223156A1 (en) Artwork-trading system and artwork-trading program for trading artworks created by artist over network
KR102216908B1 (ko)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KR102109489B1 (ko) 트랜잭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20067248A (ko) 머드 게임을 위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20027936A1 (en) Creating a community from data
US200900770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vention Exchange
Spulber Solving the circular conundrum: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in internet markets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21900B1 (ko)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US20220327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Online Marketplace for Sponsorships
TWI766144B (zh) 遊戲帳號估價方法及其系統
JP2022167752A (ja) 現実空間に設置されたアート作品の提供方法
KR100774261B1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Prieger et al. Economic implications of e-business for organizations
KR20210045946A (ko) 상품의 지분을 경매 대상으로 경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abbagh Digital Economy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ethods and Mechanisms of Promotion through E-Commerce and E-Marketing
KR102489348B1 (ko) 기업 간 유휴 불용 자산 거래 가격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150113235A (ko)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46275A1 (en) Digital work promotion server
KR102468571B1 (ko) 저작권 매매/공유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