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343B1 -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343B1
KR101867343B1 KR1020170020793A KR20170020793A KR101867343B1 KR 101867343 B1 KR101867343 B1 KR 101867343B1 KR 1020170020793 A KR1020170020793 A KR 1020170020793A KR 20170020793 A KR20170020793 A KR 20170020793A KR 101867343 B1 KR101867343 B1 KR 10186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twork
sale
onl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17002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43B1/ko
Priority to US15/587,855 priority patent/US2018023274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에게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가 소유하는 미술작품의 온라인 전시를 위한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는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일반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유형을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전환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매한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컬렉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재거래가 중개된다.

Description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ONLINE ART WORK COMMERCE PLATFORM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ONLIE GALLERY}
본 발명은 미술작품 거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술작품은 갤러리에서 전시되며, 전시된 미술작품을 관람한 구매자는 갤러리를 통해서 작가로부터 해당 미술작품을 구매할 수 있다. 갤러리의 수와 규모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갤러리에서 전시되는 미술작품은 전체 미술작품의 수에 비하면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다. 상당한 수의 미술작품이 작업실에 보관된 상태로 갤러리에서 전시되지 못하고 있다. 잠재 구매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장르의 미술작품을 만드는 작가 또는 해당 미술작품을 소유하고 있는 컬렉터를 찾고자 하지만, 제한된 정보와 상기 갤러리의 제한성으로 인하여 잠재 구매자가 이들 작가 또는 컬렉터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가의 신생 작가의 또는 실용적인 목적의 미술작품이 많이 존재하지만, 현재의 주류 미술작품 거래시장은 특정 장르의 희소성 있는 고가의 미술작품을 주로 취급하고 있어, 다양한 장르의 저가의 미술작품의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2293호, 2010.08.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작가에 의한 다양한 가격 대의 다양한 장르의 미술작품이 거래될 수 있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에게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가 소유하는 미술작품의 온라인 전시를 위한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는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일반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유형을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전환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매한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컬렉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재거래가 중개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는,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시키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했던 판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별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발급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등록하면, 상기 인증서를 발급했던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도록 하는 미술작품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는, 상기 미술작품의 유형을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시용,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변수 정보에 따라 결정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의 운영 방법으로서,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에게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가 소유하는 미술작품의 온라인 전시를 위한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는 온라인 갤러리 제공 단계,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미술작품 거래 중개 단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일반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유형을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전환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매한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컬렉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재거래가 중개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했던 판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별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발급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등록하면, 상기 인증서를 발급했던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도록 하는 미술작품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미술작품의 유형을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시용,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변수 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무상의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수의 미술작품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전시되고 관람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가 컬렉터로 진화되어 온라인 갤러리에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미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 잠재 구매자는 온라인 갤러리를 통해서 다양한 작가 또는 컬렉터와 그들의 미술작품을 찾을 수 있다. 미술작품을 구매한 사용자는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하여 미술작품의 구매 즉시 별도의 노력 없이 재판매 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미술작품의 지속적인 재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를 위한 인증서가 제공됨으로써, 미술작품의 거래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홍보가 부족한 다양한 가격대의 다양한 장르의 미술작품의 많은 작가와 그들을 찾는 많은 잠재 컬렉터가 성공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다양한 작가에 의한 다양한 가격 대의 다양한 장르의 미술작품이 거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에 의하면, 컬렉터에 의한 미술작품의 2차적인 거래가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컬렉터, 즉 잠재 판매자로 자동 전환되며, 컬렉터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컬렉터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켜 자동적으로 이전시킴으로써, 미술작품의 구매 즉시 재판매(고정가 판매 또는 경매 등)가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단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에 등록된 미술작품은, 오프라인에서 재 거래되더라도,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플랫폼 내에서 그 정보가 계속적으로 누적적으로 관리되며, 오프라인 구매자에 의해서 플랫폼에 다시 등록될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갤러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갤러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술작품의 2차적인 거래 수도 증가하게 된다. 이로써, 거대한 2차 시장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의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미술작품 인증 단계의 세부 구성으로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거래된 미술작품을 인증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으로서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온라인 갤러리를 연관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으로서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변수를 결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온라인 갤러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갤러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술작품"은 회화, 조각, 공예 등과 같이 미적 창작 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물리적인 제작물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온라인 전시"는 미술작품을 온라인 상에 게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공간의 제약 없이 미술작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온라인 갤러리"는 온라인 전시가 가능한 온라인 공간으로서 가상의 장소적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시스템(1)은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과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과 사용자 단말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과 사용자 단말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사용자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고,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되는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해서 복수의 사용자 간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미술작품의 거래는 고정가 판매 또는 경매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미술작품의 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거래되는 미술작품을 인증한다. 미술작품의 인증은 온라인 거래 및 오프라인 거래 모두에 대해서 제공된다. 미술작품의 인증은 미술작품별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미술작품의 인증서를 발급한다.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예를 들어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 등과 같은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해당 미술작품이 전시되는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되어 관리된다. 미술작품이 거래되면,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해당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킨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 등과 같은 모바일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데스크톱, 랩톱 등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과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부, 출력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에 접근하여, 각종 정보를 등록, 조회, 열람, 수정, 삭제,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를 위한 각종 명령어와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120),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 미술작품 인증부(140),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의 내부 구성요소에게 전달하고,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의 내부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전달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10)과 사용자 단말기(200) 간 정보의 통로로 기능한다.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120)는 사용자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한다.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120)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소정의 유형의 사용자에게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120)는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는 미술작품을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할 수 있다. 온라인 갤러리에서는 미술작품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제공된다. 온라인 갤러리는 예를 들어, 2D, 3D,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온라인 갤러리에서는 미술작품과 관련하여 작품명, 작품 설명 정보, 작가명, 작가 활동 정보 등을 포함하는 캡션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는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한다.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는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미술작품을 판매할 수 있다.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는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미술작품을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하되, 다른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미술작품에 대한 접근이 해당 미술작품을 소유하고 있는 본인에 한해서만 허용될 수 있다. 이른바, 전시용 미술작품의 경우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되는 미술작품은 전시용과 판매용으로 구분된다. 전시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서로 다르게 관리된다. 예를 들어, 전시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상술한 미술작품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캡션 정보 등을 포함하고,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정보 외에 미술작품의 가격과 같은 판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온라인 갤러리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미술작품에 한한 정보의 열람의 편의성을 위하여,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온라인 갤러리가 아닌 표 형식의 미술작품 리스트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전시용 미술작품 리스트는 제공되지 않고, 판매용 미술작품 리스트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는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해서 복수의 사용자 간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술작품의 거래는 고정가 판매 또는 경매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는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의 전달, 서류의 작성, 거래 금액의 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거래되는 미술작품을 인증한다.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미술작품을 구매한 구매자 사용자에게 인증서를 발급한다. 예를 들어, 인증서는 이메일의 본문 또는 첨부 파일의 형태로 구매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서는 상기 미술작품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인증서는 상기 미술작품의 작품명, 작가명, 인증서의 발급 일자, 인증서의 발급 코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술작품의 인증부(140)는 온라인 거래 및 오프라인 거래 모두에 대해서 미술작품을 인증을 제공한다. 온라인 거래의 경우,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상기 미술작품을 재구매한 온라인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미술작품의 인증서를 다시 발급한다. 오프라인 거래의 경우, 구매자 사용자는 상기 미술작품을 오프라인에서 재구매한 오프라인 구매자에게 인증서가 발급된 이메일을 전달하거나, 인증서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만을 전달해줄 수 있다. 오프라인 구매자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에 사용자로 등록하고, 상기 미술작품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미술작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술작품의 등록 요청 과정에서 고유 식별자의 입력이 요구된다. 미술작품의 등록이 요청되면,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인증서를 발급했던 상기 구매자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거래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다. 그리고,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후술하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사용자로 등록되었으므로)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도록 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계정, 패스워드 등과 같은 계정 정보, 사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주소, 직업, 주소지 등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의 유형, 거래 이력 정보, 적립금 등과 같은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별로 관리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일반 사용자는 디폴트로 최초 등록한(즉, 자신이 만든 미술작품을 등록하거나, 거래를 통해서 다른 사람이 만든 미술작품을 소유하지 않는) 사용자, 작가 사용자는 미술작품을 만든 사용자, 컬렉터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게 각각 부여되는 사용자의 유형이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일반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등록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의 유형을 작가 사용자로 자동으로 전환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일반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의 유형을 컬렉터 사용자로 자동으로 전환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 내에서의 온라인 거래의 경우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로부터, 오프라인 거래의 경우 미술작품 인증부(140)로부터 상기 일반 사용자의 미술작품 구매 사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유형의 자동 전환에 의해서, 궁극적으로, 작가가 아닌 대부분의 사용자는 컬렉터 사용자로 진화하게 된다.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미술작품 정보를 관리한다.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미술작품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캡션 정보, 미술작품의 유형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술작품의 유형을 전시용,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미술작품의 유형 또는 판매 유형은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판매용 미술작품의 경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미술작품의 가격과 같은 판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상술한 고유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 별로 관리된다.
또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미술작품이 전시되는 온라인 갤러리, 즉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시킨다. 미술작품과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은 미술작품의 거래시에 자동으로 갱신된다.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했던 판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한다. 그리고,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고 있는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킨다. 이로써, 미술작품의 거래시, 미술작품의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 등이 자동으로 이전된다. 또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는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예를 들어, 최저 가격, 입찰 방식, 입찰가 결정 방식 등)를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변수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거나,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에 의해서, 컬렉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매한 미술작품은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컬렉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상기 미술작품의 재거래가 중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의 운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의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의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미술작품 인증 단계의 세부 구성으로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거래된 미술작품을 인증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의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으로서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온라인 갤러리를 연관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3의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의 세부 구성으로서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변수를 결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120)가 사용자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한다.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120)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가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한다.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는 온라인 갤러리에서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온라인 갤러리를 통해서 또는 미술작품 리스트를 통해서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130)는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해서 복수의 사용자 간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한다.
단계 S330에서, 미술작품 인증부(140)가 거래되는 미술작품을 인증한다. 미술작품의 인증부(140)는 온라인 거래 및 오프라인 거래 모두에 대해서 미술작품을 인증을 제공한다.
온라인 거래의 경우,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미술작품을 재구매한 온라인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미술작품의 인증서를 다시 발급한다.
오프라인 거래의 경우, 미술작품을 인증하는 것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331에서, 미술작품 인증부(140)가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이어서, 단계 S332에서, 상기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미술작품 인증부(140)가 상기 미술작품을 구매한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미술작품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발급한다. 이어서, 단계 S333에서, 미술작품 인증부(140)가 상기 미술작품을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가 상기 미술작품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미술작품을 등록하였는지 판단한다. 이어서, 단계 S334에서,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가 상기 미술작품을 등록을 요청하면, 미술작품 인증부(140)가 인증서를 발급했던 상기 미술작품의 상기 구매자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거래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구매자 사용자가 승인하였는지 판단한다. 이어서, 단계 S335에서, 상기 구매자 사용자가 승인하면, 미술작품 인증부(140)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도록 한다.
단계 S340에서,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가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가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50)는 일반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등록하거나, 미술작품을 구매하여 소유하게 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사용자의 유형을 각각 작가 사용자로 또는 컬렉터 사용자로 자동 전환한다.
단계 S350에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미술작품 정보를 관리한다.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미술작품의 유형을 전시용,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온라인 갤러리를 연관시키는 것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351에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시킨다. 이어서, 단계 S352에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상기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이어서, 단계 S353에서, 상기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했던 판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고 있는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킨다.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변수를 결정하는 것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355에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미술작품의 유형을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시용,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이어서, 단계 S356에서,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160)가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변수 정보에 따라 결정한다.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의 운용 방법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부 단계를 포함하지 않거나,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의 운용 방법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순서와 다르게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부 단계는 다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온라인 갤러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부호 10은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 및 운용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무상의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수의 미술작품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전시되고 관람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가 컬렉터로 진화되어 온라인 갤러리에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미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 잠재 구매자는 온라인 갤러리를 통해서 다양한 작가 또는 컬렉터와 그들의 미술작품을 찾을 수 있다. 미술작품을 구매한 사용자는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하여 미술작품의 구매 즉시 별도의 노력 없이 재판매 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미술작품의 지속적인 재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를 위한 인증서가 제공됨으로써, 미술작품의 거래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홍보가 부족한 다양한 가격대의 다양한 장르의 미술작품의 많은 작가와 그들을 찾는 많은 잠재 컬렉터가 성공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다양한 작가에 의한 다양한 가격 대의 다양한 장르의 미술작품이 거래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 및 운용 방법에 의하면, 컬렉터에 의한 미술작품의 2차적인 거래가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일반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컬렉터, 즉 잠재 판매자로 자동 전환되며, 컬렉터에게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컬렉터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켜 자동적으로 이전시킴으로써, 미술작품의 구매 즉시 재판매(고정가 판매 또는 경매 등)가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단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100)에 등록된 미술작품은, 오프라인에서 재 거래되더라도,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플랫폼(100) 내에서 그 정보가 계속적으로 누적적으로 관리되며, 오프라인 구매자에 의해서 플랫폼(100)에 다시 등록될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도 8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갤러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갤러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술작품의 2차적인 거래 수도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1000명의 작가가 10점의 미술작품을 등록하고, 각 작가의 온라인 갤러리 별로 5명의 구매자가 나타날 경우, 온라인 갤러리의 수는 1000개에서 6000개로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른 미술작품의 거래도 동반하여 증가하게 된다. 거대한 2차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200: 사용자 단말기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
130: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
140: 미술작품 인증부
150: 사용자 정보 관리부
160: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소유하는 미술작품의 온라인 전시를 위한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는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미술작품 거래 중개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미술작품의 유형을 전시용 또는 판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캡션 정보,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갤러리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상기 일반 사용자에게는 상기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일반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유형을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는,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시키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했던 판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고,
    상기 미술작품의 유형은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시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지만 다른 사용자의 접근이 차단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고, 상기 온라인 갤러리를 통해서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컬렉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재거래가 중개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별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발급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등록하면, 상기 인증서를 발급했던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도록 하는 미술작품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부는,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유형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변수 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5.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의 운영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소유하는 미술작품의 온라인 전시를 위한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는 온라인 갤러리 제공 단계;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는 미술작품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미술작품 거래 중개 단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유형을 일반 사용자, 작가 사용자 또는 컬렉터 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미술작품의 유형을 전시용 또는 판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캡션 정보, 미술작품별 큐레이션 정보 및 거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갤러리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상기 일반 사용자에게는 상기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작가 사용자 또는 상기 컬렉터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갤러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일반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구매하면, 상기 일반 사용자의 유형을 상기 컬렉터 사용자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연관시키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했던 판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고,
    상기 미술작품의 유형은 상기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시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지만 다른 사용자의 접근이 차단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은 상기 온라인 갤러리에서 온라인 전시되고, 상기 온라인 갤러리를 통해서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컬렉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재거래가 중개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는 미술작품별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구매자 사용자에게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서를 발급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가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등록하면, 상기 인증서를 발급했던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의 연관을 해지하고,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구매자 사용자의 온라인 갤러리와 새롭게 연관시키도록 하는 미술작품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작품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의 유형을 상기 판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가 판매용 또는 경매용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의 경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상기 경매용 미술작품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변수 정보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운용 방법.
  9.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0.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20793A 2017-02-16 2017-02-16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KR10186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93A KR101867343B1 (ko) 2017-02-16 2017-02-16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US15/587,855 US20180232743A1 (en) 2017-02-16 2017-05-05 Online collectable commerce platform using online exhibition roo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93A KR101867343B1 (ko) 2017-02-16 2017-02-16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343B1 true KR101867343B1 (ko) 2018-07-23

Family

ID=6310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793A KR101867343B1 (ko) 2017-02-16 2017-02-16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232743A1 (ko)
KR (1) KR10186734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5072A (zh) * 2019-07-03 2019-11-05 杨和平 一种艺术品远程销售终端系统
KR20200062640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그레이월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00835B1 (ko) * 2019-10-16 2021-01-12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진품이 진품 거래소에서 판매되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진품 거래 시스템
KR20210045014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진품이 진품 거래소에서 판매되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방법
KR102343169B1 (ko) * 2021-03-11 2021-12-23 오현석 창작물 거래 시스템
KR20220036016A (ko) * 2020-09-15 2022-03-22 박경민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구현 솔루션
KR102479528B1 (ko) 2021-09-13 2022-12-19 김지헌 메타버스를 이용한 예술품 갤러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16337B1 (ko) 2022-02-10 2023-03-31 함문성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추급권 관리 시스템
KR20230087220A (ko) 2021-12-09 2023-06-16 울산과학기술원 예술가와 대중의 예술활동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30088932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플렉시블 인공지능을 이용한 아티스트 작품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00832B1 (ko) * 2023-08-03 2023-11-10 씨에이에이지 주식회사 전시 미술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위기를 가지는 가상현실아트 갤러리를 형성하며 미술품의 거래와 유저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트 갤러리 커뮤니티 플랫폼의 운영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803A (ja) * 2000-11-13 2002-05-24 System Arika:Kk 作品展示システム
KR20090013464A (ko) * 2007-08-02 2009-02-05 박중우 인터넷 경매를 위한 미술품 진품거래시스템 및 방법
KR101162293B1 (ko) 2009-02-19 2012-07-09 공경용 미술품 및 희귀품의 경매 시스템 및 경매 방법
KR101654013B1 (ko) * 2015-06-10 2016-09-05 김규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7313A1 (en) * 2001-11-19 2003-05-22 Barclay Saul System and method for hosting a virtual gallery
US20110238590A1 (en) * 2010-03-26 2011-09-29 Thinglink Llc Registr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nd authenticity certification
US20140222607A1 (en) * 2013-02-06 2014-08-07 Sedition Art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Limited Edition Digital Artwork
US20170243179A1 (en) * 2016-02-24 2017-08-24 David Dehaeck System and method to monetize digital ar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9803A (ja) * 2000-11-13 2002-05-24 System Arika:Kk 作品展示システム
KR20090013464A (ko) * 2007-08-02 2009-02-05 박중우 인터넷 경매를 위한 미술품 진품거래시스템 및 방법
KR101162293B1 (ko) 2009-02-19 2012-07-09 공경용 미술품 및 희귀품의 경매 시스템 및 경매 방법
KR101654013B1 (ko) * 2015-06-10 2016-09-05 김규태 미술작품 마켓플레이스의 수익분배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40A (ko)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그레이월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CN110415072A (zh) * 2019-07-03 2019-11-05 杨和平 一种艺术品远程销售终端系统
KR102200835B1 (ko) * 2019-10-16 2021-01-12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진품이 진품 거래소에서 판매되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진품 거래 시스템
KR20210045014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진품이 진품 거래소에서 판매되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방법
KR102272097B1 (ko) 2019-10-16 2021-07-02 주식회사 매트릭스투비 진품이 진품 거래소에서 판매되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방법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07493B1 (ko) * 2020-09-15 2022-06-13 박경민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구현 솔루션
KR20220036016A (ko) * 2020-09-15 2022-03-22 박경민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구현 솔루션
KR102343169B1 (ko) * 2021-03-11 2021-12-23 오현석 창작물 거래 시스템
WO2022191392A1 (ko) * 2021-03-11 2022-09-15 오현석 창작물 거래 시스템
KR102479528B1 (ko) 2021-09-13 2022-12-19 김지헌 메타버스를 이용한 예술품 갤러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87220A (ko) 2021-12-09 2023-06-16 울산과학기술원 예술가와 대중의 예술활동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30088932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플렉시블 인공지능을 이용한 아티스트 작품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6337B1 (ko) 2022-02-10 2023-03-31 함문성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추급권 관리 시스템
KR102600832B1 (ko) * 2023-08-03 2023-11-10 씨에이에이지 주식회사 전시 미술품 데이터와 매칭되는 분위기를 가지는 가상현실아트 갤러리를 형성하며 미술품의 거래와 유저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트 갤러리 커뮤니티 플랫폼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2743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343B1 (ko) 온라인 갤러리를 이용한 온라인 미술작품 거래 플랫폼 및 운용 방법
US11341563B2 (en) 3D printing: marketplace with federated access to printers
US11282120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US11935102B2 (en) Matching user provided representations of items with sellers of those items
US20180300491A1 (en) 3d printing in marketplace environments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US20070239552A1 (en) Community based network shopping
US20130030949A1 (en) Community based network shopping
JP7350919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US1115799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accessing vendor master data records in a cloud network via a proxy vendor system
US10963937B1 (en) Online ecommerce in augmented reality platforms
KR20200145256A (ko) 반품 재거래 장치 및 방법
US20220327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Online Marketplace for Sponsorships
KR100994255B1 (ko) 농수산물을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550817B1 (ko) 셀럽을 통한 온라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496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crowd-sourced product catalogs
KR20230083428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고객참여 가구 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owry et al. Spotlight on LightInThe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