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44A -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044A
KR20200145044A KR1020190073436A KR20190073436A KR20200145044A KR 20200145044 A KR20200145044 A KR 20200145044A KR 1020190073436 A KR1020190073436 A KR 1020190073436A KR 20190073436 A KR20190073436 A KR 20190073436A KR 20200145044 A KR20200145044 A KR 2020014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or
user
matching
users
tang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섭
Original Assignee
김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섭 filed Critical 김재섭
Priority to KR102019007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5044A/ko
Publication of KR2020014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UI/UX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의 업로드를 통해 팬덤을 형성함과 아울러 사용자 자신이 제조 또는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이나 타 사용자가 제조 또는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협업으로 함께 판매하고자 할 때, 협업을 위한 매칭신청을 하면 타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이를 승낙하고 함께 팬덤을 통해 판매함으로써, 상호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다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UI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된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통해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로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회원가입된 일반 사용자 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들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통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으로 가입하여 팬덤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유·무형 상품의 판매 또는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등록을 상기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 요청에 대해 상기 관리서버는 등록가부를 결정하고, 등록이 완료된 협업매칭등록에 대해서는 협업매칭등록 리스트에 등재하는 단계; (f) 상기 협업매칭등록 리스트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에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매칭신청을 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검색하고 매칭신청을 하는 단계; (g)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는 단계; (h) 상기 협업매칭된 유·무형 상품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구매하는 단계; 및 (i)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유·무형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수익이 매칭된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The service method of online market through matching between users based on creators}
본 발명은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UI/UX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의 업로드를 통해 팬덤을 형성함과 아울러 사용자 자신이 제조 또는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이나 타 사용자가 제조 또는 판매하는 유·무형의 상품을 협업으로 함께 판매하고자 할 때, 협업을 위한 매칭신청을 하면 타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이를 승낙하고 함께 팬덤을 통해 판매함으로써, 상호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현대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와 함께 공유하거나, 광고 등과 결부하여 수익을 얻는 1인 미디어가 대세이다.
1인 미디어란 개인이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며,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의미한다. 현재의 모바일 폰이 인터넷 기능을 수반함에 따라 직접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개성있는 개인의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있다. 종래에서는 PC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현재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1인 미디어의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다. 1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하여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이 함께 등장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크리에이터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유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제품을 직접 제조하여 판매하는 제품 크리에이터들로 구성된다.
현재 크리에이터들은 유튜브나 페이스북 또는 인스타그램 등의 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품도 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판매하고 있으나, 자신의 콘텐츠나 제품을 광고하고 수익을 얻기에는 일부의 인기있는 크리에이터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다수의 팔로워(followe)를 가진 인기있는 크리에이터에게 상품에 대한 광고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고 결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도 제품의 홍보를 위해 일부 인기있는 크리에이터들과 계약을 하겠다는 결정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팬덤기반의 크리에이터와 기업체 사이 그리고 크리에이터와 크리에이터 사이의 매칭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서로간의 수익을 증대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10-1498799(2015.02.26. 등록) 등록특허공보 10-1664377(2016.10.04. 등록) 등록특허공보 10-1708405(2017.02.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등록함으로써 팬덤을 형성하고, 형성된 팬덤에 대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가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유·무형 상품의 판매 또는 제작을 위한 협업을 위한 매칭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상호간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사용자의 실적에 기반한 수익의 분배가 가능한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팬덤을 형성하고, 형성된 팬덤을 통해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나 홍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통해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일반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로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일반 사용자가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크리에이터의 요건에 따라 크리에이터로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크리에이터로 등록된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회원가입된 일반 사용자 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들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통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으로 가입하여 팬덤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유·무형 상품의 판매 또는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등록을 상기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f)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 요청에 대해 상기 관리서버는 등록가부를 결정하고, 등록이 완료된 협업매칭등록에 대해서는 협업매칭등록 리스트에 등재하는 단계; (g) 상기 협업매칭등록 리스트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에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매칭신청을 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검색하고 매칭신청을 하는 단계; (h)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는 단계; (i) 상기 협업매칭된 유·무형 상품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구매하는 단계; 및 (j)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유·무형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수익이 매칭된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e)단계의 유·무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협업매칭등록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정보, 협업의 명칭, 판매되는 유·무형 상품에 대한 콘텐츠, 판매되는 유·무형 상품의 가격에 대한 정보 및 유·무형 상품의 판매수익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e)단계의 유·무형 상품의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등록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정보, 협업의 명칭, 제작하고자 하는 유·무형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유·무형 상품의 제작기간에 대한 정보, 유·무형 상품의 제작에 필요한 인적·물적구성에 대한 정보 및 제작된 유·무형 상품의 판매수익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j)단계의 수익의 분배는,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판매한 실적에 따라 분배되는 실적배분, 판매실적에 상관없이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 별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균등배분,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판매실적 중 일부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실적으로 배분되고 나머지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균등하게 배분되는 혼합배분 및 특정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만 수익이 배분되는 지정배분 중 어느 하나의 배분방식을 따라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j)단계의 수익의 분배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h)단계의 협업매칭신청에 대한 승낙은, 스마트계약에 의한 크리에이터 사용자 간의 계약으로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j)단계의 수익의 분배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업로드하는 텍스트, 사진 및 동영상과,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자신이 제조 또는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크리에이터가 팬덤을 형성하고 형성된 팬덤에 대해 자신의 상품 또는 다른 크리에이터나 기업체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리에이터 사이 또는 크리에이터와 기업체 사이의 협업매칭을 통해,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함께 판매 또는 제작의 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호 수익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사용자의 실적에 기반한 수익의 분배가 가능하여, 크리에이터가 수익을 얻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나 홍보가 어려운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기업체 사용자가 인기 있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함께 광고, 홍보 및 판매의 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고 및 홍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팬덤을 형성하고, 형성된 팬덤을 통해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나 홍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협업매칭에 대해 다수의 크리에이터가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홍보 및 판매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간 수익의 분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회원가입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가 협업매칭등록에 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회원가입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가 협업매칭등록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시스템(1)은, 다수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20)와,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 서버(20)에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40)과, 다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UI를 제공하는 관리서버(30)로 구성되며, 데이터서버(20)와 사용자 단말(40)과 관리서버(30)는 통신망인 네트워크(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30)의 구성도이다. 관리서버(30)는 사용자 단말에 여러가지의 UI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UI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40)을 이용하여 회원가입하는 경우 가입된 회원을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부(31)와,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크리에이터로 등록해 줄 것을 요청하는 크리에이터 사용자 등록부(32)와,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한 후 다양한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부(33)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자신의 상품(goods)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크리에이터 사용자 마켓 관리부(34)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협업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매칭관리부(35)와, 협업매칭관리부(35)를 통해서 매칭된 크리에이터와 함께 유·무형 상품을 제조 또는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마켓 관리부(36)와, 협업을 통해서 유·무형 상품을 제조 또는 판매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수익 분배 관리부(37)와, 일반 사용자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개인정보 관리부(3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회원 관리부(31)는 회원들이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간편 회원가입이 가능하며, 간편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일반 사용자로 분류되며, 회원 가입 후에는 일반 사용자 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부(31)는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일반 사용자에게는 일반 사용자용 홈페이지가 생성된다. 일반 사용자용 홈페이지는 단순한 콘텐츠의 등록이 가능하다.
간편 회원가입한 일반 사용자는 크리에이터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크리에이터 사용자 등록부(32)는 일반 회원으로 가입한 일반 사용자가 크리에이터로 등록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구성이다. 관리서버(30)의 크리에이터 사용자 등록부(32)는 일반 사용자가 크리에이터 등록요청을 하면 심사를 하고 크리에이터로 등록을 한다.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미디어를 만들거나 콘텐츠 미디어 제작에 관여하는 미디어 크리에이터와, 상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 크리에이터와, 그림/캐릭터/수공예품 등 직접 제품을 제작하는 제작 크리에이터가 있을 수 있다.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한 회원 또는 일반 사용자 회원은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데 콘텐츠 관리부(33)는 회원이 업로드하는 콘텐츠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보는 등 노출횟수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노출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콘텐츠 관리부(33)는 노출순서의 선정, 인기있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선정, 콘텐츠의 실시간 순위 등을 정하고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33)는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최초의 저작권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저작권자가 콘텐츠를 제작하고 최초로 업로드하는 경우, 그 진위증명이 가능하도록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록체인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유료콘텐츠의 경우에는, 유료콘텐츠를 보려고 하는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최초 저작권자가 자신의 개인키로 허용하지 않는 한 해당 콘텐츠를 볼 수 없으며, 이러한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도 콘텐츠 관리부(33)에서 관할한다.
관리서버(30)는 크리에이터 사용자 마켓 관리부(36)를 제공하는데,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자신의 굿즈(goods)를 홈페이지에서 판매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굿즈의 판매를 위한 관리가 관리서버의 크리에이터 사용자 마켓 관리부(36)에서 이루어진다. 크리에이터 사용자 마켓 관리부(36)는 굿즈판매를 위한 주문, 관리, 배송, 환불 및 취소 등에 관한 기능들과 수익이 분배되는 지갑을 제공한다.
관리서버(30)는 협업매칭 관리부(35)를 제공하는데, 협업매칭 관리부(35)는 크리에이터로 등록된 사용자가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함께 협업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협업매칭등록에 대한 관리를 담당한다.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협업매칭등록을 신청할 수 있으며, 협업매칭은 유·무형 상품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것을 등록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미디어 크리에이터가 있을 수 있고, 제품 또는 굿즈를 제작하는 제작 크리에이터가 있을 수 있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미디어 크리에이터는 현재 유행하는 유튜버(youtuber)를 들 수 있는데, 주지되었다시피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이 유튜브(youtube)에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참여하는 가수, 배우, 탈랜트 및 게이머 등도 크리에이터의 범주에 속한다. 제품 또는 굿즈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은 직접 제작하여 다양한 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업들은 자신들이 제조한 상품을 판매하려하고 있고, 판매를 위해 다양한 홍보 및 광고전략을 이용한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의 입장에서 또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크리에이터의 입장에서 상품이나 굿즈 또는 콘텐츠를 판매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상호 수익을 분배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협업매칭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기업체의 경우 기업 크리에이터 또는 대표자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크리에이터가 서로 협업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상품이나 굿즈를 함께 팔아서 수익을 나눌 수 있도록 협업매칭등록과 신청기능을 관리서버(30)의 협업매칭 관리부(35)가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노래로 많은 팬덤을 확보한 가수 크리에이터가 있으면, 가수 크리에이터는 A회사가 제조한 화장품을 함께 판매하는 것으로 매칭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A회사는 별도의 광고 또는 홍보 비용없이 가수 크리에이터의 명성을 이용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함께 수익을 나눠갈 수 있다. 따라서 협업매칭 관리부(35)는 크리에이터의 상호 매칭이 가능하도록 협업매칭등록 및 신청 기능을 제공한다.
관리서버(30)가 제공하는 협업마켓 관리부(36)는 협업을 통해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와 관련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협업을 하기로 한 크리에이터 사용자들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제품을 홍보할 수 있다. 또한, 크리에이터 사용자들이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콘텐츠의 제작과정이나 콘텐츠의 시냅시스의 제공 등 관련 정보에 대한 콘텐츠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제공하여 홍보활동을 할 수 있다.
관리서버(30)가 제공하는 수익 분배 관리부(37)는 협업을 통해서 발생되는 수익을 분배한다. 수익의 분배는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판매한 실적에 따라 분배되는 실적배분, 판매실적에 상관없이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 별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균등배분,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판매실적 중 일부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실적으로 배분되고 나머지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균등하게 배분되는 혼합배분 및 특정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만 수익이 배분되는 지정배분 중 어느 하나의 배분방식을 따라서 분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개인정보 관리부(38)가 개인정보의 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관리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가입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회원가입 순서는, (a)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로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UI를 통해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S1); (b) 회원가입이 완료된 일반 사용자가 관리서버(30)로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S2); (c) 일반 사용자가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면, 관리서버(30)가 크리에이터의 요건에 따라 크리에이터로 등록하는 단계(S3); (d) 크리에이터로 등록된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면(S4), 회원가입된 일반 사용자 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들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통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으로 가입하여 팬덤을 형성하는 단계(S5); 팬덤이 형성된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팬덤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S6); 및 팬을 통해 판매한 상품의 수익을 분배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다.
먼저 회원가입하는 단계(S1)를 거친다. 회원가입은 간편 회원가입으로 누구나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일반 사용자의 홈페이지가 생성된다. 회원가입이 완료된 일반 사용자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회원가입된 일반 사용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올린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40)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팬으로 가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원가입된 일반 사용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2). 등록요청은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크리에이터 사용자 등록부(32)를 통하여 등록요청을 하게 되며, 사용자 등록부(32)를 통해서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면 관리서버(30)의 관리자가 등록여부를 결정한다. 관리서버(30)는 크리에이터의 분야 등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크리에이터로 등록을 허여한다. 또한, 크리에이터에게는 수익이 분배되기 때문에 수익분배를 위한 통장 정보 등이 요구될 수 있다. 등록요청이 수리되면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되고(S3), 반려되면 다시 등록요청을 할 수 있다(S21).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되기 전까지는 일반 사용자로 존속한다.
다음으로,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되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올릴 수 있게된다(S4). 통상적으로 크리에이터 사용자로 등록되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위한 홈페이지가 생성된다. 또한, 조회수가 많은 콘텐츠 등의 경우에는 메인화면에 노출될 수도 있다.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홈페이지에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의 업로드를 할 수 있고, 업로드된 콘텐츠를 통해서 팬덤을 형성할 수 있다(S5). 콘텐츠는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업로드하는 텍스트, 사진 및 동영상과, 크리에이터 사용자 자신이 제조 또는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포함한다. 팬덤이 형성되며, 팬덤을 통해서 자신이 제작 또는 판매하고 있는 상품이나 콘텐츠의 판매가 가능해진다(S6). 자신의 팬덤을 통해서 제품을 판매한 후에는 일정한 수익이 분배되며, 또한 자신의 팬들에게 일정한 상품 구매에 대한 리워드(reward)를 보상으로 지급할 수도 있다. 또한, 팬덤이 많아지는 경우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팬덤을 통해서 광고를 노출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수익도 팬들과 함께 분배할 수 있다.
도 4는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협업매칭등록을 하는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협업매칭을 하는 단계는, (d)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유·무형 상품의 판매 또는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등록을 관리서버(30)에 요청하는 단계(S8); (e)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 요청에 대해 상기 관리서버(30)는 등록가부를 결정하고, 등록이 완료된 협업매칭등록에 대해서는 협업매칭등록 리스트에 등재하는 단계(S9); (f) 협업매칭등록 리스트로부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에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매칭신청을 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검색하고 매칭신청을 하는 단계(S10); (g)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는 단계(S11); (h) 협업매칭된 유·무형 상품을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구매하는 단계(S12); 및 (i)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유·무형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수익이 매칭된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단계(S13);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유·무형 상품의 판매 또는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등록 요청을 한다(S8). 협업매칭 관리부(35)를 통해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협업매칭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협업매칭등록 요청이 있으면 관리서버(30)는 협업매칭등록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를 확인하고 협업매칭등록을 요청을 허가한다. 협업매칭등록이 허여되면 협업매칭등록 리스트에 자동으로 등재된다(S9).
다음으로 협업매칭등록 리스트에 등재된 협업매칭등록에 대하여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는 협업매칭 조건을 보고서 신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참가 신청을 한다(S10). 협업매칭 신청은 크리에이터로 등록된 사용자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협업매칭등록을 한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타 크리에이터로 지정 또는 한정하여 매칭신청을 할 수도 있다. 협업매칭 신청에 대한 조건을 살펴보면, 유·무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협업매칭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정보, 협업의 명칭, 판매되는 유·무형 상품에 대한 콘텐츠, 판매되는 유·무형 상품의 가격에 대한 정보 및 유·무형 상품의 판매수익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유·무형 상품의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정보, 협업의 명칭, 제작하고자 하는 유·무형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유·무형 상품의 제작기간에 대한 정보, 유·무형 상품의 제작에 필요한 인적·물적구성에 대한 정보 및 제작된 유·무형 상품의 판매수익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협업매칭등록 후 자신이 원하는 특정 크리에이터에 한정하여 신청을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30)는 검색기능을 제공한다.
협업매칭 신청이 있는 경우 협업매칭 신청에 대한 승낙은, 스마트계약에 의한 크리에이터 사용자 간의 계약으로 성립함이 바람직하다(S11). 스마트계약에 의한 승낙은 전자문서형태로 주어지고, 전자문서형태에 동의 또는 승인의 클릭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협업매칭에 대한 승낙자가 없는 경우에는 협업매칭은 무효로 되고, 협업매칭이 없는 것으로 상품의 판매가 진행된다. 다만, 협업매칭 신청은 계속해서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신청할 수도 있다. 협업매칭 신청에 대한 승낙은 신청을 한 상대방의 승낙으로 이루어진다. 즉, 협업매칭 신청을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한 경우에는 협업매칭등록을 한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을 하게 되고, 협업매칭 신청을 크리에이터가 특정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한 경우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협업매칭이 이루어지면 자신의 팬덤을 통해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콘텐츠 등의 제작에 대한 협업일 경우에는 제작 완료된 콘텐츠를 자신의 팬덤을 통해서 판매를 할 수 있다(S12). 판매는 해당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덤에 대해서만 판매가 가능하며, 만일 자신이 팬덤으로 가입한 두명 이상의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사람의 크리에이터만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사람의 크리에이터만 선택하는 경우, 그 수익은 해당 크리에이터에게만 분배된다.
다음으로, 협업매칭을 통해서 상품이나 콘텐츠가 판매되는 경우, 수익의 분배가 이루어지게 된다(S13). 수익의 분배는,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판매한 실적에 따라 분배되는 실적배분, 판매실적에 상관없이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 별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균등배분,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판매실적 중 일부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실적으로 배분되고 나머지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균등하게 배분되는 혼합배분 및 특정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만 수익이 배분되는 지정배분 중 어느 하나의 배분방식을 따라서 분배된다. 즉,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판매한 실적에 따라서 수익을 가져가는 실적배분이 있을 수 있다. 실적배분은 제품을 제조하는 크리에이터가 정해놓은 수익부분에 대하여 판매된 개수를 곱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균등배분은 실적에 상관없이 각 크리에이터가 균등하게 배분하여 가는 것을 의미한다. 균등배분은 제품을 제조하는 크리에이터를 제외한 나머지의 크리에이터가 전체 판매한 금액을 크리에이터의 수로 나눈 금액을 수익으로 배분받는 것을 말한다. 혼합배분은 실적배분과 균등배분을 혼합한 형태를 의미한다. 즉, 수익이 10000원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크리에이터가 60%를 가져가고, 나머지 40%는 전체 크리에이터의 수익으로 하여 제품을 제조한 크리에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크리에이터가 균등하게 나누어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굿즈를 제작한 크리에이터도 동일하게 실적배분이나 균등배분 및 혼합배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크리에이터에게만 배분되는 지정배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익의 분배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간 분배를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분배할 수도 있다. 즉,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품이 판매되면 바로 정산이 이루어져 크리에이터의 지갑으로 정산금이 입금된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시스템
10 : 통신망(network) 20 : 데이터서버
30 : 관리서버 31 : 회원관리부
32 : 크리에이터 사용자 등록부 33 : 콘텐츠 관리부
34 : 크리에이터 사용자 마켓 관리부 35 : 협업매칭 관리부
36 : 협업마켓 관리부 37 : 수익 분배 관리부
38 : 개인정보 관리부
40 : 사용자 단말

Claims (8)

  1. 다수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서버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서버에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위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다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UI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된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통해 사용자의 인적정보를 입력하고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b) 상기 회원가입이 완료된 일반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로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일반 사용자가 크리에이터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크리에이터의 요건에 따라 크리에이터로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크리에이터로 등록된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회원가입된 일반 사용자 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들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통해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으로 가입하여 팬덤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UI를 이용하여 유·무형 상품의 판매 또는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등록을 상기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 요청에 대해 상기 관리서버는 등록가부를 결정하고, 등록이 완료된 협업매칭등록에 대해서는 협업매칭등록 리스트에 등재하는 단계;
    (f) 상기 협업매칭등록 리스트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협업매칭등록에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매칭신청을 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를 검색하고 매칭신청을 하는 단계;
    (g)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거나,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매칭신청을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승낙하는 단계;
    (h) 상기 협업매칭된 유·무형 상품을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구매하는 단계; 및
    (i)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상기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팬이 유·무형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수익이 매칭된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또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유·무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협업매칭신청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정보, 협업의 명칭, 판매되는 유·무형 상품에 대한 콘텐츠, 판매되는 유·무형 상품의 가격에 대한 정보 및 유·무형 상품의 판매수익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유·무형 상품의 제작을 위한 협업매칭신청에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정보, 협업의 명칭, 제작하고자 하는 유·무형 상품과 관련된 콘텐츠, 유·무형 상품의 제작기간에 대한 정보, 유·무형 상품의 제작에 필요한 인적·물적구성에 대한 정보 및 제작된 유·무형 상품의 판매수익의 분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수익의 분배는,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판매한 실적에 따라 분배되는 실적배분, 판매실적에 상관없이 각 크리에이터 사용자 별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균등배분,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판매실적 중 일부는 크리에이터 사용자의 실적으로 배분되고 나머지는 타 크리에이터 사용자와 균등하게 배분되는 혼합배분 및 특정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만 수익이 배분되는 지정배분 중 어느 하나의 배분방식을 따라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수익의 분배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의 협업매칭신청에 대한 승낙은, 스마트계약에 의한 크리에이터 사용자 간의 계약으로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수익의 분배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는,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업로드하는 텍스트, 사진 및 동영상과, 상기 크리에이터 사용자 자신이 제조 또는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홍보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KR1020190073436A 2019-06-20 2019-06-20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KR20200145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36A KR20200145044A (ko) 2019-06-20 2019-06-20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36A KR20200145044A (ko) 2019-06-20 2019-06-20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44A true KR20200145044A (ko) 2020-12-30

Family

ID=7408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36A KR20200145044A (ko) 2019-06-20 2019-06-20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0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901B1 (ko) * 2022-05-12 2022-11-17 주식회사 작은히어로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30017439A (ko) 2021-07-28 2023-02-06 김정수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99B1 (ko) 2013-07-08 2015-03-09 이창섭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101664377B1 (ko) 2014-01-17 2016-10-10 (주)스타콜라보 기업과 유명인 간 협력사업 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8405B1 (ko) 2015-04-21 2017-02-24 (주)스타콜라보 기업과 유명인의 협력 사업을 위한 매칭 시스템 및 이의 매칭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99B1 (ko) 2013-07-08 2015-03-09 이창섭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101664377B1 (ko) 2014-01-17 2016-10-10 (주)스타콜라보 기업과 유명인 간 협력사업 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8405B1 (ko) 2015-04-21 2017-02-24 (주)스타콜라보 기업과 유명인의 협력 사업을 위한 매칭 시스템 및 이의 매칭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439A (ko) 2021-07-28 2023-02-06 김정수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7901B1 (ko) * 2022-05-12 2022-11-17 주식회사 작은히어로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57922A (ko) * 2022-05-12 2022-11-29 주식회사 작은히어로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gaswamy et al. The role of marketing in digital business platforms
KR10211228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창작 서버, 콘텐츠 배급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100241576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ocial network based transactions
US20140019173A1 (en) Entertainment arrangement system
KR20190120940A (ko)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US20190205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and distributing messages
JP5457591B1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AU2019101649A4 (en) A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influencers on social media networks
CN111930834A (zh) 基于区块链的点评方法及装置
KR20200145044A (ko)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KR102101370B1 (ko)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JP5706929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US20230368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line of credit based digital content multichambered cloud based distribution platform
Lyons et al. Business models in emerging online services
US20200334711A1 (en) Online E 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with an Instant Payment and Settlement Digital Currency Application for Realizing Internet of Values
JP5710798B2 (ja) オークション装置、オークション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Rafati Niya et al. DeTi: A Decentralized Ticketing Management Platform
Wirtz et al. B2C Digital Business Models: Connection
JP5710799B2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Huang et al. ‘Traffic rewards’,‘algorithmic visibility’, and ‘advertiser satisfaction’: How Chinese short-video platforms cultivate creators in stages
Vlad et al. Social media as influence factor of quality
Linke Similarities of social networks functions and customer usage approaches in electronic markets
Competition et al. Digital platform services inquiry: interim report no. 6–report on social media services
KR20080096282A (ko) 회원간 컨텐츠 직거래 시스템
KR100365286B1 (ko) 추천인이 기재된 네트워크 마케팅의 회원등록신청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