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901B1 -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901B1
KR102467901B1 KR1020220059386A KR20220059386A KR102467901B1 KR 102467901 B1 KR102467901 B1 KR 102467901B1 KR 1020220059386 A KR1020220059386 A KR 1020220059386A KR 20220059386 A KR20220059386 A KR 20220059386A KR 102467901 B1 KR102467901 B1 KR 10246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or
manufacturer
product
collabor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용
김영준
류명한
이영서
사재빈
최민혁
강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작은히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작은히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작은히어로
Priority to KR102022015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299B1/ko
Priority to KR1020220150758A priority patent/KR2022015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서버는,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크리에이터 선별부; 상기 제조사의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DB 관리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며, 하는 제품 토큰화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FT-BASEDD CONSUMER AND MANUFACTURER COLLABORATION PRODUCTS}
본 발명은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이 네트워크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되어 저장되는 디지털 원장(ledger)을 나타낸다.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거래 내역은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통해 확정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은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 내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블록 및 해당 블록 이후에 연결된 모든 블록들에 대해 다시 과반수가 넘는 사용자들의 합의를 얻어야 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 내역은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은 매우 높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터넷 상거래 분야, 금융 서비스 분야 등과 같이 사용자들 사이의 거래를 다루는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거래 내역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은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통해 생성되는 토큰(token) 형태로 관리한다.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한 대체 가능 토큰(Fungible Token)과 토큰마다 고유한 ID를 갖고 있어서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체 불가능 토큰은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고유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자산의 소유권을 안전하게 보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대체 불가능 토큰을 사용하여 특정 자산을 안전하게 거래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과 매칭되는 NFT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성된 NFT에 기반하여 제품에 대한 공동 소유 방법 또는 단독 소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FT에 기반하여 소비자간 제품을 거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크리에이터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서버는,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상기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크리에이터 선별부; 상기 제조사의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DB 관리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는 제품 토큰화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 및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부를 포함하는, 서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품 토큰화부는, 상기 제1 디지털 파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NFT를 상기 제품의 소유권에 대한 분할 개수에 기반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1 NFT에 대한 초기 소유자 ID를 상기 제조사 ID로 링크시키고,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대한 상기 디지털 파일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저장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메타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중개부는,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NFT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제1 NFT에 대한 개당 구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NFT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제1 NFT에 대한 개당 판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조사의 판매량과 판매 가격이 구매자의 구매량이 일치하고, 상기 구매 가격과 상기 판매 가격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개수 정보의 대응하는 상기 제1 NFT에 대하여 상기 제조사 및 상기 제1 사용자 간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 중개부는, 상기 제1 NFT를 상기 제1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키고, 상기 고유한 디지털 제품 ID 코드 및 상기 새로운 고유한 소유자 ID 코드를 새로운 거래 블록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수의 피어들에 거래 내역을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품 토큰화부는, 상기 제1 NFT를 소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NFT와 구별되는 제2 NFT를 소지하고 있는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토큰화된 상기 제1 디지털 파일 및 토큰화된 제2 디지털 파일에 기반한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한 생성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파일 및 상기 제2 디지털 파일에 기반한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하여 복수개의 제3 NFT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3 NFT 중 일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키고, 생성된 상기 제3 NFT 중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제2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크리에이터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방법은,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조사의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크리에이터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조사의 제품의 소유권에 대한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제조사 단말; 및 상기 제조사 단말과 연동되며,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상기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크리에이터 선별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DB 관리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는 제품 토큰화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조사의 제품을 토큰화하여 부가적인 가치 창출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조사의 제품을 NFT에 기반하여 토큰화시켜 NFT를 소유한 사람들로하여금 위조, 복제가 불가능한 고유의 소유권을 단독 소유 내지 공동 소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조사와 크리에이터의 협력 제품을 통해 창의적인 제품을 만들어내고, 창의적인 제품을 바탕으로 수요를 끌어낼 수 있는 토큰화된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서버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품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NFT를 통해 상기 제품을 공동 소유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통합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동작들은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플랫폼(예: 웹 페이지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 내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하고, 출력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예: 소형 가전 제품)에 대응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하 NFT, Non-Fungible Token)들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NFT를 생성하고, 생성된 NFT에 기반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04) 및 판매자 단말(203) 간 NFT를 거래할 수 있도록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소형 가전 제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밥솥, 무선 청소기, 와플 기계, 토스티기, 커피머신,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기, 전동 과즙기,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토큰화된 제품을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할 수 있고, 토큰화된 제품은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들끼리 거래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 공간 상의 사용자 자신만의 저장 공간에 자신이 소유한 NFT에 대응하는 토큰화된 제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는 가상 샵, 가상 은행, 가상 공원 등이 구현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품을 NFT화함에 있어서, 제조사와 크리에이터가 협업한 제품에 대하여 NFT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가 제조하는 제품에 크리에이터가 리터칭하여 새롭게 창작된 제품 및 제조사가 제조한 제품을 크리에이터가 DIY(do it yourself)한 제품에 대하여 NFT를 생성하고, 생성된 NFT를 다수의 사람들이 거래하도록 하여 일종의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중개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하여 NFT를 생성한다는 것은, 상기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에 대하여 NFT를 생성한다는 말로 이해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제품 별로 고유한 토큰 ID를 갖는 NFT을 발행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미리 배포(deploy)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란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부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되는 코드로, Go, Node.js, Java 등의 언어로 작성된다. 전체 상태(이하, 월드 스테이트World State)의 일련의 키-값 쌍에 대한 접근 및 수정을 관리하며, 체인코드 라고도 한다. 월드 스테이트(world state)란 체인 트랜젝션 로그에 포함된 모든 키의 최신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체인 코드는 이것을 기준으로 트랜잭션(거래)을 실행한다.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
NFT(Non-Fungible Token)란 JPG, GIF, 비디오 등의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이하 '토큰')을 블록체인상에 저장함으로써 위조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 상태로 영구 보존하고, 그 소유권을 탈중앙화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놓은 것을 말한다.
OSN(Ordering Service Node, Orderer)는 검증된 트랜잭션들을 이용해 최종적으로 블록을 만든다. 합의 알고리즘(Kafka)에 따라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오는 거래(Transitional Proposal)들을 순서화하고 피어 노드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거래들이 안전하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클라이언트(Client)란 블록체인에 접근하기 위한 노드(node)로 피어에게 보낼 트랜잭션을 생성한다. 통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웹 앱(Web App)과 모바일 앱(Mobile App)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를 피어(Peer)노드 및 엔도저(Endoser)에 보내는 일을 하며, 거래 제안(Transaction Proposla)을 생성하여 OSN에 보낸다.
피어(Peer)란 원장(Ledger)을 가진 패브릭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노드이다.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를 가지며, 자신에게 요청된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전파한다.
앵커(Anchor)는 조직(Organization)에 속한 다른 피어들을 탐색하게 해주며, peer-to-peer 간의 gossip이 가능하게 해주는 피어이다.
엔도저(Endoser)는 스마트 계약이 설치된 피어이다. 거래 제안 형태로 전달된 트랜잭션을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여 시뮬레이션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엔도저가 직접 원장을 업데이트하지는 않는다.
커미터(Committer)는 트랜잭션이 유효한 경우 원장을 업데이트하는 피어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은 각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5G 등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은 온라인 거래 정보를 블록(Block)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여,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참여자(피어, Peer)들의 개인 디지털 장비에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한(chain) 모음의 형태이며, 피투피(P2P)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반수 이상의 참여자들이 거래 내역을 서로 교환해 확인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서명으로 동의한 거래 내역만 하나의 블록으로 만든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그 사본을 만들어 각 참여자들의 사용자 단말(즉, 노드(11))에 분산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경우, 거래 장부용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분산 처리로 해킹이 어려워 거래의 안전성도 향상된다. 블록체인 방식은 주식, 부동산 등의 거래에도 적용 가능하며, 토지 권리 양도나 가정 현관 키 등 보안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Public Blockchain Network),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 및/또는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동시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노드(11)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하나를 구성하는 노드이거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함과 동시에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일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노드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을 트랜잭션으로 원장에 기록하여 원장에 대응하는 블록 내지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들이 블록체인에 따른 합의 알고리즘 등에 의해 신뢰될 수 있으며, 노드들 중 선택 또는 합의된 일부 노드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 간 탈중앙화를 통해 데이터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느린 단점이 있는 반면,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빠르고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하지만 허가된 노드들로만 네트워크를 구성하므로 노드 수를 크게 확장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빠른 성능과 탈중앙화, 확장성을 모두 보장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노드들로 구성된 내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블록체인 API 브로커(blockchain API broker)를 통해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이오스(EOS) 등과 같은 통상적인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구성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허가된 노드들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사적 블록체인, 폐쇄형 블록체인, 허가형 블록체인, 기업형 블록체인 또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허가된 참여자 외 거래 내역과 여러 행동(Actions)은 공유되지 않고 추적할 수 없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11)로 참여하기 위해 특정 주체로부터 허가된 참여자만 노드(11)로 참여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며, 사용자 단말은 통합 관리 서버(100)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11)로 참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하이퍼렛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이용한 서버 이중화(HA, High Availability)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서버(10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11)의 일부가 분산하여 저장하는 정보를 다른 노드(11)에도 복제하여 저장하고, 특정 노드(11)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부여한 역할 중 적어도 일부를 다른 노드(11)가 대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관리되는 공유 원장(shared ledger)은 특정 시점에서의 원장 상태들을 기록한 데이터베이스인 월드 스테이트(world state) 및 현재 생성된 트랜잭션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트랜잭션 로그(transaction log)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로그에 기록된 정보는 월드 스테이트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특히, 공유 원장은, 월드 스테이트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월드 스테이트의 상태 변경 전후를 기록할 수 있다. 체인 코드가 실행되면 상기 월드 스테이트와만 상호작용하여 월드 스테이트의 기록을 참조 및 변경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구성되는 채널마다 각각 개별적인 공유 원장이 생성되어 관리하며, 노드(11)는 자신이 접근 가능한 채널들에 대한 공유 원장의 사본을 보관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11)들은 블록을 구성하기 위한 트랜잭션들의 순서와 결과를 미리 명시한 정책 기준에 따라 검증함으로써 합의(consensus)를 할 수 있다. 이때, 노드(11)들은 트랜잭션 각각의 유효성과 순서 및 결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공유원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으로 구성하기 전에 월드 스테이트를 참조하여 노드(11)들 사이에 합의된 공유 원장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노드(11)들 중 적어도 일부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검증(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참여를 위한 검증과 구별되며 노드(11)의 보안수준, 컴퓨팅 리소스 등에 따라 검증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음)된 노드로서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서 일어나는 모든 이벤트와 트랜잭션 등을 송수신하여 서로 공유하며, 노드(11)들 중 적어도 나머지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의해 검증되지 않은 노드로서 한정적인 이벤트 처리 및 REST API 서비스의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노드(1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드(11)들을 참여자로 하여 블록체인을 구현하고 있으며, 복수의 노드(11)들 각각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정보는 블록의 해쉬값 등일 수 있다.
복수의 노드(11)들은 복수의 노드(11)들 각각에 분산 저장된 정보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여,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노드(11)들 각각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11)들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정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11)들 중 단말 형태로 구현된 노드는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메모리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노드(11)들 중 서버 형태로 구현된 노드는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참여자가 단말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서버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참여자가 단말 및 서버 혼합으로 구성된 블록체인 등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11)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 하나의 노드로 참여하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 블록의 위변조를 탐지할 수 있다.
도 3은 통합 관리 서버(100)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합 관리 서버(100)는 DB 관리부(101), 제품 토큰화부(102), 거래 중개부(103), 크리에이터 선별부(104), 및 서비스 운영부(1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B 관리부(101)는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제품에 관한 제품 정보 및/또는 제조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품 정보는 제품에 대한 모델명,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번호, 범용 제품 코드(UPC),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 정보는 제조사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은 JPG, GIF, 비디오 등의 디지털 파일일 수 있으며, 상기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지털로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이하 설명될 협업 크리에이터와 제조사가 협업하여 설계한 제품일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제품 등록 정보 내지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품 등록 정보 내지 제품 등록 요청 신호는 제품 정보 및 제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사 단말(201)은 상기 제품의 소유권에 대한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제품 토큰화부(102)에 전송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품 내지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NFT를 상기 제품의 소유권에 대한 분할 개수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품 토큰화부(102)는 NFT에 대한 초기 소유자 ID를 상기 제조사 ID로 링크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NFT는 상기 제품 내지 상기 디지털 파일에 대한 고유값을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사람들에게 분배되는 경우 상기 제품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사람들이 공동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NFT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저장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제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메타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저장 서버는 통합 관리 서버(100)와 별개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저장 서버는 분산형 파일 시스템(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조사 ID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조사가 상기 제품 내지 상기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에 대응하는 NFT를 판매하여 상기 제조사가 소유하는 NFT가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상기 NFT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 내지 상기 제품에 대한 디지털 파일을 제조한 자는 상기 제조사라는 정보는 상기 NFT와 연결되는 메타데이터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에 대응하는 NFT들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거래 중개부(103)는 구매자 단말(204)과 판매자 단말(203) 간 제품에 대응하는 NFT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도 4는 제품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NFT를 통해 상기 제품을 공동 소유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거래 중개부(103)는 상기 제품에 대하여 복수 개의 NFT가 생성된 경우, 복수개의 NFT가 다수의 사람들에게 소유될 수 있도록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구매자 단말(204)로부터 NFT의 개수 정보 및 NFT에 대한 개당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구매 요청 신호에 포함된 NFT의 개수 정보에 기반하여 금액의 합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금액의 총 액수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20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상기 제품에 대한 소유권이 1000개로 분할된 1억원 상당의 제품을 10개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거래 중개부(103)는 1개의 분할된 소유권(예: NFT)의 가치금액(10만원)과 구매하고자 하는 분할된 소유권의 개수(10개)를 기초하여 구매자가 100만원을 지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판매자 단말(203)(예: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NFT의 개수 정보 및 개당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판매자의 판매량과 판매금액이 구매자의 구매량과 구매금액이 일치하는 경우, 판매자의 소유권이 구매자에게 양도되도록 중개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소유권의 이전에 관한 정보를 DB 관리부(101)에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구매자의 NFT 구매 정보 및 판매자의 NFT 판매 정보 등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거래 중개부(103)는 판매자 단말(203)(예: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획득된 판매 가격과 구매자 단말(204)로부터 획득된 구매 가격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된 가격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개수와 상기 구매자가 구매하는 개수 중 적은 개수에 관한 정보를 판매자 단말(203) 및 구매자 단말(204)에 전송하고, 상기 가격과 상기 개수에 대응하는 NFT를 구매자 단말(204)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NFT 3개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진 경우, 거래 중개부(103)는 상기 개수에 대응하는 NFT를 상기 구매자의 구매자 ID에 링크시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NFT에 대한 소유권을 변경시킬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제조사와 협업하여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 구인을 위한 선별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상기 선별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제조사와 협업하여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크리에어터는 일반인일 수 있고, 인플루언서일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제조사의 제조 분야, 제조 제품 및 컨셉 정보에 기반하여 제조사와 협업할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제조사 단말(201)로부터 획득된 제조사의 고객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및/또는 통합 관리 서버(100)에 등록된 크리에이터들의 정보를 저장한 크리에이터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명을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상기 크리에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크리에이터와 협업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협업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협업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를 협업 크리에이터로 선정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크리에이터의 제조사 제품을 구매한 구매 횟수, 크리에이터의 제조사 제품에 대한 평균 구매 주기, 상기 크리에이터의 SNS(예: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팔로워 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활동 분야와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의 관련도에 기반하여, 크리에이터에 대한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련도는 0이상 1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순히 인지도가 많은 사람들과의 협업 내지 리터칭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지도에 더하여 제조사의 기존 충성 고객인 사람 내지 제조사의 제조 분야와 연관된 사람을 선별하여 NFT 수요자로 하여금 동떨어진 느낌을 주지 않을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이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205135886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는 상기 협업 적합도, n은 상기 팔로워 수, p는 상기 평균 구매 주기, k는 상기 구매 횟수, r은 상기 관련도를 나타내며, r은 관련도의 정도에 따라 0이상 1이하 일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결정된 협업 적합도가 임계 적합도 이상인 크리에이터를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결정된 협업 크리에이터의 크리에이터 단말(202)에 제조사와 협업할 제품의 제품 정보와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협업 제안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선별부(104)는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202)로부터 상기 협업 제안 신호에 대응하는 협업 승낙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조사와 상기 크리에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토큰화된 디지털 파일(즉, NFT 제품)들에 기반하여 하나의 디지털 파일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생성된 디지털 파일에 대하여 NFT를 생성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토큰화된 제1 디지털 파일 및 토큰화된 제2 디지털 파일에 기반한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한 생성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상기 생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파일 및 상기 제2 디지털 파일에 기반한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제1 디지털 파일에 대응하는 제1 제품과 제2 디지털 파일에 대응하는 제2 제품이 동일 종류의 제품인지 여부, 제1 제품과 제2 제품의 사이즈가 유사한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제3 제품에 대응하는 제3 디지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품 및 제2 제품이 커피 머신이고, 커피 머신의 사이즈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제품 토큰화부(102)는 제3 디지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생성된 제3 제품에 대응하는 NFT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공동 소유할 수 있도록 제3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하여 복수개의 NFT를 생성할 수 있다. 제품 토큰화부(102)는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하여 생성된 복수개의 NFT 중 일부를 제1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NFT 중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2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양 당사자들의 NFT 제품들을 통해 새로운 NFT 제품을 생성한 것이므로, 새로운 NFT 제품에 대한 소유권은 상기 양 당사자들에게 귀속될 수 있다. 다만, 토큰화된 제1 디지털 파일 및 토큰화된 제2 디지털 파일은 서로 가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품 토큰화부(102)는 토큰화된 제1 디지털 파일의 갱신된 거래 금액 및 토큰화된 제2 디지털 파일의 갱신된 거래 금액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ID 및 제2 사용자 ID 각각에게 링크시킬 NFT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부(105)는 토큰화된 디지털 파일에 대한 제품 생산 요청 신호를 NFT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상기 생산 요청 신호를 제조사 단말(201)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부(105)는 NFT가 거래되는 경우, 제조사 및 크리에이터에게 보상(즉, 로열티)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조사 및 크리에이터는 처음에 등록시킨 제품에 대응하는 NFT가 팔릴 때만 수익을 얻는 것이 아니라, 제품에 대응하는 NFT가 리셀될 때마다 제조사 및 크리에이터는 보상(즉, 로열티)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통합 관리 서버(100)의 동작이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명령어들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통합 관리 서버(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도 5에 따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종 통합 관리 서버(100)와 단말들(201, 202, 203, 204)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및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코딩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시스템 20: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 통합 관리 서버 201: 제조사 단말
202: 크리에이터 단말 203: 판매자 단말
204: 구매자 단말

Claims (9)

  1.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크리에이터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상기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크리에이터 선별부;
    상기 제조사의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DB 관리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는 제품 토큰화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 및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리에이터 선별부는,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 구인을 위한 선별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선별 요청 신호 및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 제조 제품 및 컨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조사와 협업할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되,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조사의 고객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및 상기 서버에 등록된 크리에이터들의 정보를 저장한 크리에이터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명을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하고,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와 협업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협업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협업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를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선정할 것인지 결정하고,
    상기 크리에이터의 제조사 제품을 구매한 구매 횟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상기 제조사 제품에 대한 평균 구매 주기, 상기 크리에이터의 SNS 팔로워 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활동 분야와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2099225487-pat00011

    상기 수학식에서, C는 상기 협업 적합도, n은 상기 팔로워 수, p는 상기 평균 구매 주기, k는 상기 구매 횟수를 나타내며,
    결정된 협업 적합도가 임계 적합도 이상인 크리에이터를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의 크리에이터 단말에 상기 제조사와 협업할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와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협업 제안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상기 협업 제안 신호에 대응하는 협업 승낙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조사와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를 매칭하는, 서버.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품 토큰화부는,
    상기 제1 디지털 파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NFT를 상기 제품의 소유권에 대한 분할 개수에 기반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1 NFT에 대한 초기 소유자 ID를 제조사 ID로 링크시키고,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대한 상기 디지털 파일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저장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메타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 서버에 저장하는, 서버.
  3. 청구항 1에서,
    상기 거래 중개부는,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NFT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제1 NFT에 대한 개당 구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NFT의 개수 정보 및 상기 제1 NFT에 대한 개당 판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조사의 판매량과 판매 가격이 구매자의 구매량이 일치하고, 상기 구매 가격과 상기 판매 가격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개수 정보의 대응하는 상기 제1 NFT에 대하여 상기 제조사 및 상기 제1 사용자 간 거래를 중개하는, 서버.
  4. 청구항 3에서,
    상기 거래 중개부는,
    상기 제1 NFT를 상기 제1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키고,
    고유한 디지털 제품 ID 코드 및 새로운 고유한 소유자 ID 코드를 새로운 거래 블록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다수의 피어들에 거래 내역을 공유하는, 서버.
  5. 청구항 3에서,
    상기 제품 토큰화부는,
    상기 제1 NFT를 소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NFT와 구별되는 제2 NFT를 소지하고 있는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토큰화된 상기 제1 디지털 파일 및 토큰화된 제2 디지털 파일에 기반한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한 생성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지털 파일 및 상기 제2 디지털 파일에 기반한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지털 파일에 대하여 복수개의 제3 NFT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3 NFT 중 일부를 상기 제1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키고,
    생성된 상기 제3 NFT 중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제2 사용자의 ID에 링크시키는, 서버.
  6. 블록체인을 이용한 크리에이터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조사의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는 단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 구인을 위한 선별 요청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선별 요청 신호 및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 제조 제품 및 컨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조사와 협업할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되,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조사의 고객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및 서버에 등록된 크리에이터들의 정보를 저장한 크리에이터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명을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와 협업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협업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협업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를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선정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크리에이터의 제조사 제품을 구매한 구매 횟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상기 제조사 제품에 대한 평균 구매 주기, 상기 크리에이터의 SNS 팔로워 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활동 분야와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2099225487-pat00012

    상기 수학식에서, C는 상기 협업 적합도, n은 상기 팔로워 수, p는 상기 평균 구매 주기, k는 상기 구매 횟수를 나타내며,
    결정된 협업 적합도가 임계 적합도 이상인 크리에이터를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의 크리에이터 단말에 상기 제조사와 협업할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와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협업 제안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상기 협업 제안 신호에 대응하는 협업 승낙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조사와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를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8. 통합 관리 서버에서, 청구항 6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9. 블록체인을 이용한 크리에이터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조사의 제품의 소유권에 대한 분할 개수를 포함하는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제조사 단말; 및
    상기 제조사 단말과 연동되며,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제조사 간 협업 제품을 서비스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상기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는 크리에이터 선별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DB 관리부;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 등록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1 디지털 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NFT(Non-Fungible Token)을 생성하는 제품 토큰화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제1 NFT에 대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 및
    상기 크리에이터 및 상기 제조사에게 로열티(loyalty)를 제공하는 서비스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리에이터 선별부는,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조사와 협업하여 상기 제품을 설계할 크리에이터 구인을 위한 선별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선별 요청 신호 및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 제조 제품 및 컨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조사와 협업할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하되, 상기 제조사 단말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조사의 고객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및 상기 서버에 등록된 크리에이터들의 정보를 저장한 크리에이터 DB에 포함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 명을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하고,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와 협업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협업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협업 적합도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를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선정할 것인지 결정하고,
    상기 크리에이터의 제조사 제품을 구매한 구매 횟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상기 제조사 제품에 대한 평균 구매 주기, 상기 크리에이터의 SNS 팔로워 수, 상기 크리에이터의 활동 분야와 상기 제조사의 제조 분야의 관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에 대한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협업 적합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2099225487-pat00013

    상기 수학식에서, C는 상기 협업 적합도, n은 상기 팔로워 수, p는 상기 평균 구매 주기, k는 상기 구매 횟수를 나타내며,
    결정된 협업 적합도가 임계 적합도 이상인 크리에이터를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로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의 크리에이터 단말에 상기 제조사와 협업할 상기 제품의 제품 정보와 컨셉 정보를 포함하는 협업 제안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상기 협업 제안 신호에 대응하는 협업 승낙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조사와 상기 협업 크리에이터를 매칭하는, 시스템.
KR1020220059386A 2022-05-12 2022-05-16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6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752A KR102504299B1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디지털 제품에 대한 생산유통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20150758A KR20220157923A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8535 2022-05-12
KR1020220058535 2022-05-12
KR1020220058797 2022-05-13
KR20220058797 2022-05-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752A Division KR102504299B1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디지털 제품에 대한 생산유통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20150758A Division KR20220157923A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901B1 true KR102467901B1 (ko) 2022-11-17

Family

ID=842332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386A KR102467901B1 (ko) 2022-05-12 2022-05-16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20150752A KR102504299B1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디지털 제품에 대한 생산유통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20150758A KR20220157923A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752A KR102504299B1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디지털 제품에 대한 생산유통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20150758A KR20220157923A (ko) 2022-05-12 2022-11-11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67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0112A (zh) * 2024-02-02 2024-03-15 湖南马兰数字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nft生成方法及系统
CN117710112B (zh) * 2024-02-02 2024-06-04 湖南马兰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nft生成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044A (ko) * 2019-06-20 2020-12-30 김재섭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KR2021005958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KR20210127132A (ko) * 2018-11-02 2021-10-21 베로나 홀딩스 에스이지씨 토큰화 플랫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132A (ko) * 2018-11-02 2021-10-21 베로나 홀딩스 에스이지씨 토큰화 플랫폼
KR20200145044A (ko) * 2019-06-20 2020-12-30 김재섭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KR2021005958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0112A (zh) * 2024-02-02 2024-03-15 湖南马兰数字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nft生成方法及系统
CN117710112B (zh) * 2024-02-02 2024-06-04 湖南马兰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nft生成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299B1 (ko) 2023-02-28
KR20220157923A (ko) 2022-11-29
KR20220157922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i et al. Blockchain for Internet of Things: A survey
KR102524660B1 (ko)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059510A1 (en) Blockchain digital twin
KR102345551B1 (ko) 공간 대여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27243B1 (ko) 인공신경망 기반의 제품추천모델을 지원하는 온라인 전자 상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238448B1 (en) Efficient network service provisioning
Kabbinale et al. Blockchain for economically sustainable wireless mesh networks
KR102499736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351370A1 (en) Electronic wallet and method for atomic swapping of two different blockchain tokens by using electronic wallet
KR102467901B1 (ko) Nft 기반의 소비자와 제조사 협업 제품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30246828A1 (en) Data Communication Using Millimeter Wave Technology And Storage Thereof
CN109544131A (zh) 一种游戏商品管理方法及装置
CN104123637A (zh) 一种对处理对象进行处理的方法、系统及设备
KR102658827B1 (ko) Nft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수목탄소흡수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서버
KR102413526B1 (ko) 공유 주방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60751A (ko) Nft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수목탄소흡수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서버
KR102424247B1 (ko) 배달 메뉴 공유 플랫폼
KR102662038B1 (ko) 풀필먼트 기반 b2b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운영서버
KR102491656B1 (ko) 메타버스 서비스에 기반한 해외 공장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27962B1 (ko) 사용자의 쇼핑을 위한 제품 추천 및 배송 알고리즘 생성 방법
KR102477616B1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94812B1 (ko)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562358B1 (ko) 사용자를 위한 광고 대행 방법
KR20230118051A (ko)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맞춤형 상품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