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40A -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40A
KR20190120940A KR1020180044334A KR20180044334A KR20190120940A KR 20190120940 A KR20190120940 A KR 20190120940A KR 1020180044334 A KR1020180044334 A KR 1020180044334A KR 20180044334 A KR20180044334 A KR 20180044334A KR 20190120940 A KR20190120940 A KR 2019012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al
cryptocurrency
user
content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국
Original Assignee
배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국 filed Critical 배용국
Priority to KR102018004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940A/ko
Publication of KR2019012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아 이를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보상으로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급되는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통해 문화콘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PLATFORM FOR SHARING CULTURE CONTENTS BASED ON CRYPTOCURRENCY COMPENSATION AND THE METHOD THERE0F}
본 발명은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웹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플랫폼 이용자들로부터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업로드 받아 게시하고, 플랫폼 이용자들로 하여금 클릭,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통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플랫폼 이용자들과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플랫폼 이용자들 양자 모두에게 플랫폼 이용 활동의 보상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제공해주는 새로운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유경제를 모델로 하는 공유모델들이 급속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공유모델의 대명사로는 ‘우버(Uber)’와 ‘에어비엔비(Airbnb)’를 꼽을 수 있다. 현재 우버는 83개국, 674개 도시에서 4천만 명의 유저들이 이용중인‘세계 최대의 운송기업’이 되었고, 에어비엔비는 창업 9년 만에 기업가치가 28조원에 이르렀을 뿐 아니라, 세계 3대 호텔체인인 “메리엇(Marriott)”, “힐튼(Hilton)”, “인터콘티넨탈(Intercontinental)”의 객실 수를 합한 것보다 더 많은 객실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유모델은 수많은 이용자들의 참여로 이루어진다. ‘우버’는 전세계 150만 명의 운전자와 4천만 명의 이용자들의 참여로 이익이 창출되고, ‘에어비엔비’는 전세계 300만 명의 장소 제공자와 1억 6천만 명의 이용자들에 의해 이익이 창출된다. 그러나 이렇게 창출된 이익은 소수의 주주들에 의해 독점될 뿐, 이용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없다.
네이버로 대표되는 대형포탈도 마찬가지이다. 문화콘텐츠 중 하나인 영화를 예로 들자면, 영화를 본 관람객들이 대형포탈의 영화 섹션에‘20자평’을 올리고, ‘영화리뷰’를 블로그의 형태로 올린다. 그러면 이용자들은 자신이 동의하는 글에 ‘좋아요’ 표시를 하여 지지를 하고, 지지를 많이 받은 글이 가장 앞쪽에 노출된다. 이렇듯 수많은 영화 관람객들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대형포탈에 다양한 형태의 글을 올리고 또 자신의 공감하는 글에 ‘좋아요’ 표시를 하지만, 이들에게 주어지는 경제적 보상은 없다. 다수의 노력으로 창출된 가치의 혜택은 오로지 대형 포탈의 소수 주주들에게 돌아갈 뿐이다.
이와 같이 콘텐츠를 창출하는 참여자에게는 아무런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지 못하는 포탈은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고, 더 나아가 훨씬 더 많은 노력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수준 높은 콘텐츠가 만들어지지 못하는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들은 문화콘텐츠 창작자 또는 권리자가 문화콘텐츠를 플랫폼에 등록하거나, 소비자들이 플랫폼에 등록된 문화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을 통해 소비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운영자에게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불해야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웹 환경 상에서는 불법 다운로드, 불법 스트리밍 등의 방법으로 손쉽게 문화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 사용자들이 노출되어 있고, 또한 개봉, 출간 등의 출시일이 어느 정도 경과한 문화콘텐츠들을 무료로 제공하는 플랫폼도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웹 환경 상에서는 문화콘텐츠 이용료가 아무리 적은 금액이어도 소비를 꺼리는 경향이 강하며, 이와 같이 소비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플랫폼에는 창작자들이 자신의 문화콘텐츠를 등록하지도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들이 다양하고 많은 문화콘텐츠를 공유하는 데 있어 큰 장애가 있었다.
한편,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창작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 창작물을 발표, 배포 혹은 판매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는 창작자와 실수요자 사이에 존재하는 중개인을 통해야만 발표, 배포 혹은 판매 등의 행위가 가능하고, 중개인에게 그 행위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다. 더불어, 발표, 배포 혹은 판매 등의 행위 시에 창작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중개인에 의한 다양한 제약이 존재하여, 오프라인 상에서의 창작자의 문화콘텐츠를 발표, 배포 혹은 판매 등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예를 들면, 무명의 소규모 독립영화 제작자, 신인 작가 등이 중개인을 통하여 정당한 보상을 받으면서 대중에게 발표, 배포 혹은 판매 등이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모바일 웹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공유하는 플랫폼에 있어서, 플랫폼 이용자들로부터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업로드 받아 게시하고, 플랫폼 이용자들로 하여금 클릭,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통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플랫폼 이용자들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플랫폼 이용자들에게도 플랫폼 이용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이용자들로 하여금 더욱 활발히 문화콘텐츠 업로드, 문화콘텐츠 소비 등의 플랫폼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플랫폼 이용자들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플랫폼 이용자들에게도 암호화폐 형태로 보상을 제공하고, 플랫폼 수익 중 일부를 금, 유가증권, 비트코인 등의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으로 예치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가치를 보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933호 (2011.06.15. 공개일)은 정보공유 기능을 갖는 전자책 및 온라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전자책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103)를 토대로 온라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전자책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네트워크(103)로 접속되는 다수의 포털 웹서버(111)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상기 유무선 통신네트워크(103)와 접속되어 상기 전자책(101)으로 공급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책(101)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 축적된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ECP(E-book Contents Provider) 서버(105); 상기 ECP 서버(105)와 연동되어 표준버전의 상기 콘텐츠를 등록 관리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7); 파워이북커에 의해 제작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워 콘텐츠를 등록 관리하는 파워이북커 데이터베이스(121); 및 상기 콘텐츠 내 특정 정보로서, 단어정보, 밑줄 정보, 문의정보, 호평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각 등록정보에 대한 접속율, 댓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공유 데이터베이스(109);로 이루어진 전자책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책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는 파워이북커에 추천수에 따라 별도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933호는 문화콘텐츠(E-book Contents)를 등록 및 공유를 위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본 발명이 전자책 뿐만 아니라 영화, 음악, 뮤지컬, 평론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업로드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콘텐츠의 추천수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 콘텐츠 이용자에게는 보상이 제공되지 않아 상기한 종래의 공유 플랫폼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1670호 (2002.02.09. 공고일)는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콘텐츠 서버에 상기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내용에 따라 분류한 후, 상기 콘텐츠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이용 클라이언트에 의해 다운로드된 횟수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보상금을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등록한 콘텐츠 등록 클라이언트에게 지불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이용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가 소정 횟수 이상 다운로드 되었을 경우, 상기 콘텐츠 구현 클라이언트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발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1670호는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기 제작한 디지털 콘텐츠(예:문학, 문서, 미술, 음악, 영화)를 공유하는 데 관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실제로 구현하여 판매하기 위해 네티즌들로부터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받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638592호 (2016.07.05. 공고일)는 인터넷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업자가 자신의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자신만의 가상영역을 형성해 놓은 후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생성 도구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한 후 자신의 가상영역에 업로드하여 관련자들이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등록특허공보 제10-1638592호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들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등록받고 이를 타사용자들이 다운로드받도록 하는 플랫폼이라는 점에 있어서만 유사점이 있을 뿐, 본 발명과 달리 문화콘텐츠 공유에 관한 개념 및 기술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933호 (2011.06.15. 공개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1670호 (2002.02.09. 공고일) 등록특허공보 제10-1638592호 (2016.07.05. 공고일)
본 발명은 상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모바일 웹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플랫폼 이용자들로부터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업로드 받아 게시하고, 플랫폼 이용자들로 하여금 클릭,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통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플랫폼 이용자들과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플랫폼 이용자들에게 플랫폼 이용 활동의 보상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의 게시 등으로 인해 창출되는 수익 중 일정 비율의 금액을 금, 유가증권, 비트코인 등의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으로 예치하여 상기 암호화폐의 가치를 보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아 이를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에 대한 저장, 게시 및 관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부;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발급하고 보관 및 관리하는 암호화폐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플랫폼 활동의 보상으로서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에서 발급한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사용자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체 광고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예치 및 관리하는 플랫폼 수익 관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에서 발급된 암호화폐는 상기 수익 관리부를 통해 예치되는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에 의해 현금화가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암호화폐 환전 접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환전을 요구할 경우, 현재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식 1)에 따라 환전을 수행하는 암호화폐 환전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Figure pat00001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암호화폐를 받을 수 있는 전자지갑정보, 암호화폐 환전 시 현금을 받을 수 있는 은행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상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내장형 저장장치, 외장형 저장장치, 네트워크상의 저장장치,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의 가상화된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저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등록 및 게시를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관련 평가의견와, 상기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에 대한 등록 및 게시를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의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아 이를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보상으로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급되는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체 광고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예치하여, 이와 같이 예치되는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암호화폐의 현금화를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일정 기간 동안 전체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폐의 총합이 일정량으로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한 달 동안 1,000개의 암호화폐를 지급하거나, 하루에 100개의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것 등 지급하는 암호화폐의 총합이 일정량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환전을 요구할 경우, 현재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식 1)에 따라 환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Figure pat00002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한 클릭, 스트리밍, 다운로드, 또는 평가성 투표의 횟수를 보상의 기준으로 하여,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평가성 투표에 있어서, 평가성 투표를 한 횟수를 보상의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웹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플랫폼 이용자들로부터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업로드 받아 게시하고, 플랫폼 이용자들로 하여금 클릭,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통하여 상기 문화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플랫폼 이용자들과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플랫폼 이용자들에게 플랫폼 이용 활동의 보상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이용자들의 플랫폼 이용 활동의 동기를 극대화시켜 문화콘텐츠 관련 다양한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문화 콘텐츠 창작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배포 및 판매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제약 및 중개인에게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고, 문화콘텐츠 창작물을 업로드한 보상을 받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 이용자들에게 보상으로 지급하는 암호화폐에 있어서, 광고의뢰 등으로 발생하는 플랫폼의 수익 중 일정 비율의 금액을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예치하고, 이와 같이 예치되는 현금화 가능한 자산을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폐의 가치를 보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지급되는 암호화폐가 언제든지 통용화폐로 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기간 동안 전체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폐의 총합을 일정량으로 한정함으로써, 예치되는 현금화 가능한 자산이 누적될수록 암호화폐의 가치가 상승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플랫폼 활동의 동기를 더욱 극대화시켜 문화콘텐츠 관련 다양한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문화콘텐츠는 배포의 권한을 가진 자가 소유한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동영상 형태로 촬영된 연극 또는 뮤지컬 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형태의 창작물도 포함되고, 공중에 배포되지 않은 영화, 동영상, 책, 악보, 음원, 평론 등이 포함된다. 또한, 공중에 배포되었을 지라도, 2차적인 배포를 목적으로 하는 영화, 동영상, 책, 악보, 음원, 평론 등 역시 포함된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들로부터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20자평, 리뷰 등의 평가의견이나, ‘좋아요’투표 와 같은 평가성 투표를 등록받아 이를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타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게시한다. 상기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 또는 상기 평가의견이나, 평가성 투표를 등록한 사용자에게는 상기와 같은 플랫폼 활동의 보상으로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발급하여 지급한다. 여기서,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그 문화콘텐츠에 대한 배포의 권한을 가지고 있거나, 배포의 권한을 위임 받은 자이다.
즉, 오프라인에서 문화콘텐츠를 공중에 배포 또는 판매할 수 없었던 사용자가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여, 자신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보상을 받으면서 종래의 문화콘텐츠 배포의 형식과 상이한 방법으로 타 사용자에게 배포가 가능해지고, 이미 공중에 판매 혹은 배포된 문화콘텐츠라 할지라도 본 발명을 통하여 2차적으로 배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에 게시된 문화콘텐츠를 클릭,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의 방법을 통해 소비하는 사용자들에게도, 문화콘텐츠 소비의 보상으로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발급하여 지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들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에게도 플랫폼의 이용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플랫폼을 통해 문화콘텐츠 공유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들이 플랫폼에서 발생한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도록 하여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욱 활발히 문화콘텐츠 업로드, 문화콘텐츠 소비 등의 플랫폼 활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은 광고의 게시 등으로 인해 창출되는 수익 중 일정 비율의 금액을 금, 유가증권, 비트코인 등의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으로 예치하고, 이와 같이 누적 예치되는 자산으로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암호화폐의 가치를 보증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정보 관리부, 콘텐츠 정보 관리부, 암호화폐 관리부 및 사용자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플랫폼 수익 관리부 또는 암호화폐 환전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영화, 연극, 뮤지컬, 책, 음악, 평론 또는 기타 창작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타사용자들의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고, 이를 타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암호화폐를 받을 수 있는 전자지갑정보, 암호화폐 환전 시 현금을 받을 수 있는 은행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정보 관리부는 각각의 문화콘텐츠 별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타사용자들이 업로드한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에 대한 저장, 게시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등록 및 게시를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관련 평가의견 및 상기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에 대한 등록 및 게시를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의견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는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발급하고 보관 및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보상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플랫폼 활동의 보상으로서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에서 발급한 암호화폐를 제공한다. 이때 일정 기간 동안 전체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폐의 총합을 일정량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익 관리부는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체 광고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금, 유가증권, 비트코인 등의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으로 예치 및 관리한다.
한편,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 상에 광고를 게시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과,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내에 광고를 삽입하여 문화콘텐츠를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한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에서 발급된 암호화폐의 가치를 상기 수익 관리부를 통해 예치되는 자산에 의해 보증한다.
즉, 본 발명은 일정 기간 동안 전체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폐의 총합을 일정량으로 한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한달 동안 1,000개의 암호화폐를 지급하거나, 하루에 100개의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것 등으로 한정함으로써, 예치되는 현금화 가능한 자산이 누적될수록 암호화폐의 가치가 상승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플랫폼 활동의 동기를 더욱 극대화시켜 문화콘텐츠 관련 다양한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플랫폼에서 공유되는 문화콘텐츠의 양이 증가할수록 광고 등의 플랫폼 수익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예치되는 현금화 가능한 자산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암호화폐의 가치는 플랫폼이 성장할수록 함께 커지게 되며, 이와 같은 플랫폼의 사용자 보상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플랫폼에서 공유되는 문화콘텐츠가 충분하지 않은 초창기에도 문화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업로드 하는 등의 플랫폼 활동에 대한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암호화폐 환전 접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환전을 요구할 경우, 현재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식 1)에 따라 환전을 수행하는 암호화폐 환전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식 1)
Figure pat00003
즉,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게 지급(=제공)되는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은 현재까지 예치된 현금화 가능한 자산의 총합을 현재까지 사용자들에게 지급된 암호화폐의 총합으로 나눈 값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상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타사용자들이 입력한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내장형 저장장치, 외장형 저장장치, 네트워크상의 저장장치,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의 가상화된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저장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먼저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아 이를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01).
그 후,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보상으로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급되는 암호화폐를 제공한다(S102).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 문화콘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그 문화콘텐츠에 대한 배포의 권한을 가지고 있거나, 배포의 권한을 위임 받은 자이며, 오프라인에서 사용자가 문화콘텐츠를 공중에 배포 또는 판매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신인 작가 혹은 무명 작가인 경우 상업적인 위험성 등의 이유로 중계인을 통해서 오프라인에서 배포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이유로 문화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는 공간이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도 주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화컨텐츠를 사용자가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여, 자신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보상을 받으면서 종래의 문화콘텐츠 배포의 형식과 상이한 방법으로 타 사용자에게 배포가 가능해지고, 더불어 이미 공중에 판매 혹은 배포된 문화콘텐츠라 할지라도 본 발명을 통하여 온라인 상에 업로드하여 2차적인 배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체 광고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예치하여, 이와 같이 예치되는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암호화폐의 현금화를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환전을 요구할 경우, 현재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식 1)에 따라 환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S103).
(식 1)
Figure pat0000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은, 사용자에게 암호화폐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한 클릭, 스트리밍, 다운로드, 또는 평가성 투표의 횟수를 보상의 기준으로 하여,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평가성 투표에 있어서는, 평가성 투표를 한 횟수를 보상의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져야 할 것이다.
100 :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사용자 정보 관리부
130 : 콘텐츠 정보 관리부
131 : 콘텐츠 관리모듈
132 : 사용자 의견 관리모듈
140 : 암호화폐 관리부
150 : 사용자 보상 처리부
160 : 플랫폼 수익 관리부
170 : 암호화폐 환전 처리부
18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아 이를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에 대한 저장, 게시 및 관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부;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발급하고 보관 및 관리하는 암호화폐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플랫폼 활동의 보상으로서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에서 발급한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사용자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체 광고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예치 및 관리하는 플랫폼 수익 관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폐 관리부에서 발급된 암호화폐는 상기 수익 관리부를 통해 예치되는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에 의해 현금화가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암호화폐 환전 접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환전을 요구할 경우, 현재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식 1)에 따라 환전을 수행하는 암호화폐 환전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식 1)
    Figure pat00005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암호화폐를 받을 수 있는 전자지갑정보, 암호화폐 환전 시 현금을 받을 수 있는 은행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내장형 저장장치, 외장형 저장장치, 네트워크상의 저장장치,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의 가상화된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저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등록 및 게시를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모듈;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관련 평가의견와, 상기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에 대한 등록 및 게시를 포함하는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의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7.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받아 이를 게시하고, 게시된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해 클릭을 통한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 또는 문화콘텐츠 및 평가의견에 대한 평가성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열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한 사용자에게 보상으로서 오픈 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급되는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광고를 등록받아 이를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체 광고 수익 중 소정의 비율을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예치하여, 이와 같이 예치되는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암호화폐의 현금화를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일정 기간 동안 전체 사용자들에게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암호화폐의 총합이 일정량으로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암호화폐의 환전을 요구할 경우, 현재 암호화폐의 단위당 최소 보장금액(식 1)에 따라 환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
    (식 1)
    Figure pat00006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에 대한 클릭, 스트리밍, 다운로드, 또는 평가성 투표의 횟수를 보상의 기준으로 하여, 문화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의견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평가성 투표에 있어서, 평가성 투표를 한 횟수를 보상의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방법.
KR1020180044334A 2018-04-17 2018-04-17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190120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34A KR20190120940A (ko) 2018-04-17 2018-04-17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34A KR20190120940A (ko) 2018-04-17 2018-04-17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40A true KR20190120940A (ko) 2019-10-25

Family

ID=6842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34A KR20190120940A (ko) 2018-04-17 2018-04-17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94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22A1 (ko) * 2018-12-21 2020-06-25 (주)밀리언써클 설문지에 대한 응답들 중 추첨에 의해 선택된 응답에 대해 보상되는 암호화폐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63778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서비스이용분석에 기반한 보상시스템
WO2021100885A1 (ko) * 2019-11-18 2021-05-27 주식회사 헤세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유통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30001698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헤세그 투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블록체인 상의 투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049394A3 (en) * 2021-09-27 2023-05-04 Cut And Dry Inc. Distributed cryptographic network integrated with crowd-sourced database
WO2023096007A1 (ko) * 2021-11-29 2023-06-01 심혁보 독서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70A (ko) 2000-08-03 2002-02-09 고종현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110063933A (ko) 2009-12-07 2011-06-15 이서민 정보공유 기능을 갖는 전자책 및 온라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전자책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638592B1 (ko) 2014-01-28 2016-07-11 정근수 인터넷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70A (ko) 2000-08-03 2002-02-09 고종현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110063933A (ko) 2009-12-07 2011-06-15 이서민 정보공유 기능을 갖는 전자책 및 온라인 정보공유가 가능한 전자책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638592B1 (ko) 2014-01-28 2016-07-11 정근수 인터넷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미디어 콘텐츠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722A1 (ko) * 2018-12-21 2020-06-25 (주)밀리언써클 설문지에 대한 응답들 중 추첨에 의해 선택된 응답에 대해 보상되는 암호화폐의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1100885A1 (ko) * 2019-11-18 2021-05-27 주식회사 헤세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유통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163778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서비스이용분석에 기반한 보상시스템
KR20230001698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헤세그 투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블록체인 상의 투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277429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헤세그 투표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블록체인 상의 투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049394A3 (en) * 2021-09-27 2023-05-04 Cut And Dry Inc. Distributed cryptographic network integrated with crowd-sourced database
WO2023096007A1 (ko) * 2021-11-29 2023-06-01 심혁보 독서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7950B2 (en) Generation online e-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transform scattered assets data on the internet into centralized assets data and generate my assets ratings for internet users
Veisdal The dynamics of entry for digital platforms in two-sided markets: a multi-case study
US8145526B2 (en) Revenue sharing system that incentivizes content providers and registered users and includes payment processing
KR20190120940A (ko) 암호화폐 보상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공유 플랫폼 및 그 방법
US200802285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online content contributors and editors
US20090006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mand aggregation for proposed future items
JP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ollin et al. Task force on taxation of the digital economy
JP2021057088A (ja) コンテンツ公開、広告サービス、および報酬回収間の統合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8028188A2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KR20210031053A (ko) 연예인 굿즈 유통 양성화를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WO2014108911A1 (en) Userbase and/or deals and/or advertising space trading exchange and marketplace
CN111930834A (zh) 基于区块链的点评方法及装置
Green et al. Exploratory research on Internet-enabled work exchanges and employability
Lyons et al. Business models in emerging online services
US20200334711A1 (en) Online E 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with an Instant Payment and Settlement Digital Currency Application for Realizing Internet of Values
Tan The impact of hotel website quality on customer reservation
KR20070121172A (ko)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Adhari Strategic policies & business models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gital printing startup in Indonesia
USRE46092E1 (en) Revenue sharing system that incentivizes content providers and registered users and includes payment processing
Lee Mobile applications and knowledge advancements in e-business
US202001933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a Performance Event
Emmanuel Adoption of E-commerce in Nigerian Businesses: A change from traditional to e-commerce business model in Richbol Environmental Services Limited
Bovsh et al. Digital marketing of hotel business entities
US201400745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target market business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