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370B1 -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370B1
KR102101370B1 KR1020180035263A KR20180035263A KR102101370B1 KR 102101370 B1 KR102101370 B1 KR 102101370B1 KR 1020180035263 A KR1020180035263 A KR 1020180035263A KR 20180035263 A KR20180035263 A KR 20180035263A KR 102101370 B1 KR102101370 B1 KR 10210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contribution
creator
unit
cre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075A (ko
Inventor
이준수
Original Assignee
이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수 filed Critical 이준수
Priority to KR102018003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3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승전결이 있는 이야기 창작에 기여한 자들의 활동에 대한 기여도를 수치화한 후 알맞은 데이터 타입으로 중앙서버 및 분산네트워크 원장에 저장하고, 판권구매자 광고주주에 의해 스토리에 수익이 발생하면 그 동안 스토리에 각자 기여한 만큼의 기여도와 성장지수를 고려한 알파 값을 더하여 창작과 큐레이션에 대한 노력에 대해 공정한 배분을 제3자의 개입 없이 사전 합의된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배분하는데 있다.
일례로, 원 창작자로부터 기본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고, 공동 창작자로부터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구성요소를 추가 받아 생성된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고,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의 등록 시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창작 스토리의 성장에 따른 수익분배 거래조건과 상기 거래조건의 달성 시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독자들의 기여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창작 스토리의 성장을 위한 창작자, 독자 및 스폰서의 기여활동을 활동지표로 관리하고, 상기 원 창작자와 상기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기여도 비율과 상기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하는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 및 상기 활동지표에 기초한 성장지수를 일정기간마다 산출하고, 상기 활동지표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여 충족 시 상기 기여도 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되, 상기 성장지수의 변동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 및 확정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를 포함하는 리워드 분배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SYSTEM FOR DISTRIBUTING REWARD ACCORDING TO STORY CREATION CONTRIBUTION}
본 발명은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하여 스토리 창작의 기여도를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 서버에 저장하고, 기여도 활동과 미래에 받을 기여도에 따른 집필료 예치금을 위변조 없이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네러티브(기승전결)가 있는 스토리 창작의 가치는 문화 콘텐트 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임에도 수익배분이 공정하지 못한 사례가 많다.
좀 더 구체적으로, 현재 창작 스토리 플랫폼을 구성하는 창작자, 독자, 스폰서(브랜드 광고주, 제작자)의 입장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스토리 창작자 입장에서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는, 원작에서 파생된 2차 저작물인 영화, 웹툰, 뮤지컬, 연극, 웹 소설, 드라마로 발생하는 판권판매 수익에 대하여 투명한 분배를 공증이 없이는 불가능하고, 공동 창작을 하여도 정확한 기여도에 따라 수익이 배분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토리를 협업하는데 있어서 플롯, 캐릭터, 대사, 이모티콘, 삽화, 번역, 스토리 코멘트, 코칭, 자문, 소재 제공 및 사연 제공 등 분업화가 잘된 팀 공동 창작자를 만나고 싶어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창작된 스토리로 독자들에게 영상화 전 검증을 받고 수익도 얻고 싶어 하며, 기승전결이 있는 스토리 창작물 내용과 해당 내용에 기여한 행위에 대해 금전적 보상에 대한 내용을 쉽게 증명 할 수 없으며, 글쓴이는 스폰서 업체를 두려워해 진실성 있는 내용을 쓸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다음, 독자 입장에서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는, 독자가 어떠한 스토리를 읽고 혼자 웃는 리액션은 소비이지만, 웃었다는 리액션 정보를 타 고객군에게 제공 시 네트워크효과를 가져다 주는 기여도 행위이나, 그에 대한 보상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픽션 스토리일 경우 재미있다고 퍼트려도 나에게 보상이 없고, 팩트 스토리일 경우 거짓 정보들이 많은데 검증 할 방법이 없으며, 솔직한 리액션이 있는 포스팅/뉴스/스토리를 보고 싶어도 스폰서의 눈치를 보며 솔직하게 스토리를 창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재미없을지도 모를 유료 콘텐츠에 읽기 전에 선 결제를 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다음, 스폰서 입장에서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는, 재미있게 쓸지 불확실한 창작자에게 혜택(체험/원고료)을 제공해야 하며, 쿠폰의 효용 가치를 모르는 즉, 쓸지 안쓸 지 모르는 사람에게 쿠폰을 배포해 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원 투자한 스토리(블로그글, 뉴스기사, 픽션)에 내 스폰서가 얼마나 신뢰도 있게 전파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기존 중앙서버에 저장하는 창작자 분배 시스템의 경우 디도스 공격등을 통해 창작자가 받을 예치금이 위변조 되거나, 기여도가 오염 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으나, 블록체인 및 스마트컨트랙트를 사용하여 확률적으로 더욱 안전하게 위변조를 방지하여 창작자가 받을 예치금을 분배해 줄 수 있다.
한편, 암호통화의 가치가 실물경제와 인간의 창작행위와의 동떨어진 채로 실체 없는 투기성 버블이 있어 온 점도 부인 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때, 단순히 전기세와 해시 암호를 푸는 컴퓨팅 연산능력을 제공해주는 것에 대한 대가로 인센티브를 주는 것에 지나지 않고, 인간의 이야기 창작행위가 암호통화의 가치 기반이 되게 하려는 시도가 아직까지 없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135호(공개일자: 2010년12월31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4621호(공개일자: 2017년07월2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승전결이 있는 이야기 창작에 기여한 자들의 활동에 대한 기여도를 수치화한 후 알맞은 데이터 타입으로 중앙서버 및 분산네트워크 원장에 저장하고, 판권구매자인 제작자 및 광고주에 의해 스토리에 수익이 발생하면 그 동안 스토리에 각자 기여한 만큼의 기여도와 성장지수를 고려한 알파 값을 더하여 창작과 큐레이션 및 리액션에 대한 노력에 대해 공정한 배분을 제3자의 개입 없이 사전 합의된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배분할 수 있는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은, 원 창작자로부터 기본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고, 공동 창작자로부터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구성요소를 추가 받아 생성된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고,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의 등록 시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창작 스토리의 성장에 따른 수익분배 거래조건과 상기 거래조건의 달성 시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독자들의 기여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창작 스토리의 성장을 위한 창작자, 독자 및 스폰서의 기여활동을 활동지표로 관리하고, 상기 원 창작자와 상기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기여도 비율과 상기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하는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 및 상기 활동지표에 기초한 성장지수를 일정기간마다 산출하고, 상기 활동지표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여 충족 시 상기 기여도 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되, 상기 성장지수의 변동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 및 확정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대한 내용을 각 씬(scene)의 설명문, 캐릭터, 캐틱터 별 대사, 삽화, 번역, 소재 및 사연을 각각 구분하여 입력 받고, 독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리액션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등록 받고, 등록된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를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와 연동하고,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거래조건과 상기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고, 상기 씬(scene)의 설명문, 캐릭터, 캐틱터 별 대사, 삽화, 번역, 소재 및 사연과, 상기 거래조건 및 상기 이행규약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부;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대하여 상기 공동 창작자로부터 씬, 캐릭터, 캐릭터의 대사를 추가로 입력 받아 스토리 브랜치(story branch)를 생성하거나, 상기 공동 창작자에 의해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의 씬 별 리메이크(remake)를 수행하기 위한 공동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창작 스토리의 사이 사이에 채팅 방식으로 댓글을 입력하기 위한 댓글 입력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각 씬 별로 다른 독자들과의 공유를 위한 스토리 공유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창작 스토리의 사이 사이에 독자들의 반응을 입력하기 위한 무료 리액션 입력부;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창작 스토리 내 다수의 캐릭터 리액션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독자들에 의한 리액션 항목의 선택 시 유료 결제를 처리하는 유료 리액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는, 시간당 평균 글자 수, 씬 생성 개수, 스토리 브랜치(branch) 개수, 스토리 리메이크(remake) 개수를 포함하는 창작자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하기 위한 창작자 활동지표 관리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댓글 개수, 공유 개수, 무료 리액션 개수 및 유료 리액션 개수를 포함하는 독자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하기 위한 독자 활동지표 관리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구독 쿠폰, 판권 계약 금액, 광고 계약 금액 및 스폰싱 후원금을 포함하는 스폰서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하기 위한 스폰서 활동지표 관리부; 상기 원 창작자와 상기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하는 기여도 비율 산정부; 및 상기 기여도 비율 산정부를 통해 산정된 상기 기여도 비율과 상기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하는 기여도 비율 기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는, 일정기간마다
Figure 112020022070939-pat00001
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성장지수를 산출하는 성장지수 산출부; 상기 활동지표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 상기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를 통해 상기 활동지표의 각 파라미터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 경우, 상기 기여도 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 및 정산하여 상기 이행규약을 이행하기 위한 수익 분배 정산부; 및 상기 성장지수 산출부를 통해 상기 성장지수의 변동이 있는 경우, 변동된 상기 성장지수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하여 수익을 정산하는 수익분배비율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익 분배 정산부는, 유통화폐(Fiat Money) 및 암호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수익을 분배 및 정산하고, 수익 분배 정산 트랜젝션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승전결이 있는 이야기 창작에 기여한 자들의 활동에 대한 기여도를 수치화한 후 알맞은 데이터 타입으로 중앙서버 및 분산네트워크 원장에 저장하고, 판권구매자인 제작자 및 광고주에 의해 스토리에 수익이 발생하면 그 동안 스토리에 각자 기여한 만큼의 기여도와 성장지수를 고려한 알파 값을 더하여 창작과 큐레이션 및 리액션에 대한 노력에 대해 공정한 배분을 제3자의 개입 없이 사전 합의된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배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중 작가군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중 독자군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를 통한 스토리 생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를 통한 독자의 기여활동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작 스토리의 현황 중 거래조건에 따른 보장 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작 스토리의 현황 중 성장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중 작가군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중 독자군에 대한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를 통한 스토리 생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를 통한 독자의 기여활동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작 스토리의 현황 중 거래조건에 따른 보장 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작 스토리의 현황 중 성장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스토리는,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 또는 기사 게시물로서, 시나리오, 드라마 대본, 라디오 대본, 팟 캐스트 대본, 만화 웹튠, 애니메이션 대본, 뉴스 기사, 소설, 스낵 컬쳐 무비, CF 홍보 영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여도는, 고객군(작가, 독자, 스폰서)이 스토리에 대한 참여행위가 스토리 성장에 기여한다는 가정하에 그 가치를 부여한 수치로, 성장지수에 따라 과거 기여도 정산일 날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볼래요' 버튼을 누른 기여도가 0.5였지만, 성장지수가 현재 오른 상태로 정산되면, 해당 성장지수를 감안하여 해당 기여도 수치가 오르거나 또는 내려갈 수 있다.
활동지표는, 작가, 독자, 스폰서 등이 스토리에 대하여 기여하는 행위를 지표화한 숫자로, 대표적인 예로는 조회수와 공유수가 있다. 또한, 리액션 지표가 있으며, 이는 좋아요, 더볼래요 등 작가가 커스텀하게 만들 수 있는 반응 버튼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독자 고객에 대한 활동지표는 조회수, 공유수, 댓글수, 리액션 수, 별점 평점 수 등이 있고, 작가 고객에 대한 활동지표는 시간당 평균 글자수, 씬(scene) 생성 수, 브랜치 수(이야기 가지치기 수), 리메이크 수(스토리를 새버전으로 리메이크한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폰서 고객에 대한 활동지표는 판권 계약 금액과 광고 계약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성장지수는, 스토리가 성장하는데 기여한 만큼 작가와 독자에게 보상을 해주기 위한 수치로 전일대비(또는 전주대비, 또는 전월대비) 성장지수를 보여준다. 성장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Figure 112018030455303-pat00002
의 수식에 따를 수 있다.
보상 파이(reward Pi)는, 고객군 모두가 나누어 가질 수 있는 수익의 총액을 의미하며, 이 보상 파이에서 고객군 별로 보상풀이 나누어질 수 있다.
작가 보상 풀은, 원 창작자를 비롯한 공동 창작자(글작가, 삽화작가, 이모티콘작가)들에게 지급될 수 있는 총액으로서, 보상 파이 총액의 일정 비율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작가 보상 풀은 그 비율이 인원수대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원 창작자와 공동 창작자는 대략 6:4의 비율로 나눌 수 있다. 공동 창작자 1명이 4를 모두 갖는 것이 아니라 4중에서 기여도만큼 분배 예정되었다가 수익을 정산하는 날의 성장지수만큼과 알파 값을 곱해서 분배될 금액이 확정되거나, 원 창작자가 스토리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설정 시 상기의 비율을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독자 보상 풀은, 스토리를 읽고 공유, 댓글, 리액션 버튼 등을 누르는 고객군들에게 지급될 수 있는 총액으로서, 보상 파이 총액의 일정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독자 고객이 1/n으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이중에서 기여도와 정산 시 성장지수에 따라 차등 지급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원 창작자가 등록한 거래조건을 만족하면 제3자의 개입이 없이도 프로그래밍 된 대로 이행되는 자동화된 규약으로, 블록체인(메인넷 블록체인 이리더움, 퀀텀, EOS 등의 Dapp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에서 각 고객군이 기여도 활동을 할 때 기여도 활동과 그 가치가 트랜젝션으로 기록되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사전 프로그래밍된 조건 파라미터가 충족되면, 이행되는 탈중앙화된 앱(DAPP: decentralized app) 내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칭할 수 있다.
암호통화(Cryptocurrency)는, Sha256 등 그 이상의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으로 암호화 한 블록체인의 인센티브로 발행 된 코인 또는 통화로 암호화폐, 가상통화와 이음 동의어로 간주할 수 있다.
코인, 토큰은, 암호통화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통화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토리 플랫폼 내에서 통용, 보상되고, 전환될 수 있는 포인트 격 통화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객은 작가군, 독자군, 스폰서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작가군은 스토리 창작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즉 스토리를 쓴 사람을 의미한다. 혼자 창작하거나, 공동 창작자를 초대하여 스토리를 만들어 나갈 수 있으며, 스토리의 브랜치(branch)를 만들 수 있고, 스토리의 인과관계를 끊고 전혀 다른 버전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독자군에게 조회수, 리액션 등의 활동지표를 많이 얻어서 스토리를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독자군은, 스토리를 읽는 사람으로, 재미있는 스토리에 유료결제를 하거나 자신이 재미있다고 느끼는 스토리에 기여활동(리액션 버튼 클릭 등)을 하여 스토리를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스폰서는 판권을 구매하거나 광고 및 구독 쿠폰 배포 등을 후원하는 고객군을 의미한다. 스토리에 독자들이 반응하는 성장지수를 보고 재미에 대한 신뢰를 느낀 곳에서는 더 많은 후원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100),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200),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300) 및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100)는, 원 창작자로부터 기본 창작 스토리(예를 들어, 각 씬(scene)의 설명문, 캐릭터, 캐틱터 별 대사, 삽화, 번역, 소재 제공 및 사연 제공)를 등록 받고, 공동 창작자로부터 기본 창작 스토리에 구성요소(예를 들어, 스토리 브랜치)를 추가 받아 생성된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100)는 기본 창작 스토리의 등록 시 원 창작자로부터 창작 스토리의 성장에 따른 수익분배 거래조건과 거래조건의 달성 시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100)는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110),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부(120) 및 공동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110)는, 원 창작자로부터 기본 창작 스토리에 대한 내용을 각 씬(scene)의 설명과 캐틱터 별 대사를 각각 구분하여 입력 받고, 독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리액션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등록 받고, 등록된 기본 창작 스토리를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상에 기본 창작 스토리를 구성하는 씬, 씬의 설명, 캐릭터(등장인물) 생성 및 추가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팅 창을 통해 대화 입력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110)는 원 창작자가 원하는 스토리 부분에 씬 별로 유료 리액션 버튼을 추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춘향이 고문을 당하는 현장에 이도령이 도착한 상황에서 'A: 춘향이 반가워 한다', 'B: 춘향이 일부러 감정을 숨긴다'라는 리액션 버튼을 넣을 수 있고, 'A: 마패를 가져간 이도령', 'B: 마패를 집 또는 주막에 놓고 온 이도령'이라는 리액션 버튼을 넣을 수 있으며, 이러한 리액션 버튼은 유료결제를 통해 독자들이 선택하여 스토리 내에서 캐릭터의 리액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리액션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소정 금액의 유료결제를 토큰머니로 달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부(120)는,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400)와 연동하고, 원 창작자로부터 입력 받은 각 씬(scene)의 설명문, 캐릭터, 캐틱터 별 대사, 삽화, 번역, 소재 및 사연과, 거래조건 및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조건은 '독자 고객이 공유하기를 한 후 조회수가 1천명에 도달하면'이라는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행 규약으로서 '이 창작 스토리가 영화화되어 판권 계약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기여도만큼 배분한다. 이 창작 스토리에 후원된 배너수익의 절반을 좋아요와 공유한 독자에게 1/n으로 배당한다'라는 이행규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130)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기본 창작 스토리에 대하여 공동 창작자로부터 씬, 캐릭터, 캐릭터의 대사를 추가로 입력 받아 스토리 브랜치(story branch)를 생성하거나, 공동 창작자에 의해 기본 창작 스토리의 씬 별 리메이크(remake)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공동 창작자는 원 창작자에 의해 요청 및 선택되는 공동 작가로서 이를 위해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110)에는 스토리의 카테고리 별로 공동 작가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즐겨찾기로 특정 공동 작가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공동 작가의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공동 작가에게 원 창작자가 제공하는 기본 창작 스토리를 공동으로 만들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해당 공동 작가가 승낙하는 경우 공동 창작자로서 해당 창작 스토리 작성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200)는 원 창작자와 공동 창작자에 의해 창작 스토리에 대한 독자들의 기여활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200)는 댓글 입력부(210), 스토리 공유부(220), 무료 리액션 입력부(230) 및 유료 리액션 입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댓글 입력부(210)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창작 스토리의 사이 사이에 채팅 방식으로 댓글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채팅 창에서 표시되는 창작 스토리의 대본과 대본 사이 또는 씬과 씬 사이에 독자가 생각하는 의견을 채팅 방식으로 작성하여 기록함으로써 댓글이 달릴 수 있다.
상기 스토리 공유부(220)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창작 스토리의 각 씬 별로 다른 독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자와 독자 사이에 특정 창작 스토리를 소개하고 해당 스토리를 구독할 수 있는 웹 주소(URL)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료 리액션 입력부(230)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창작 스토리의 사이 사이에 독자들의 반응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대화 방식의 독자 리액션을 입력할 수 있고, 이모티콘 방식의 리액션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스토리를 이어서 더 보겠다는 의사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독자들의 반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유료 리액션 입력부(240)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창작 스토리 내 다수의 캐릭터 리액션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독자들에 의한 리액션 항목의 선택 시 유료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춘향이 고문을 당하는 현장에 이도령이 도착한 상황에서 'A: 춘향이 반가워 한다', 'B: 춘향이 일부러 감정을 숨긴다'라는 리액션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A: 마패를 가져간 이도령', 'B: 마패를 집 또는 주막에 놓고 온 이도령'이라는 리액션 버튼 붕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액션 버튼은 유료결제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리액션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소정 금액의 유료결제를 토큰머니로 달 수 있다.
상기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300)는, 창작 스토리의 성장을 위한 창작자, 독자 및 스폰서의 기여활동을 활동지표로 관리하고, 원 창작자와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하고, 산정된 기여도 비율과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300)는 창작자 활동지표 관리부(310), 독자 활동지표 관리부(320), 스폰서 활동지표 관리부(330) 및 기여도 비율 산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작자 활동지표 관리부(310)는, 시간당 평균 글자 수, 씬 생성 개수, 스토리 브랜치(branch) 개수, 스토리 리메이크(remake) 개수를 포함하는 창작자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독자 활동지표 관리부(320)는, 창작 스토리에 대한 댓글 개수, 공유 개수, 무료 리액션 개수 및 유료 리액션 개수를 포함하는 독자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스폰서 활동지표 관리부(330)는, 창작 스토리에 대한 구독 쿠폰, 판권 계약 금액 및 광고 계약 금액을 포함하는 스폰서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기여도 비율 산정부(340)는, 원 창작자와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기여도 비율 기록부(350)는, 상기여도 비율 산정부를 통해 산정된 기여도 비율과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400)는, 활동지표에 기초한 성장지수를 일정기간마다 산출하고, 활동지표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기록된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여 충족 시 해당 기여도 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다만, 추후 성장지수의 변동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 및 확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400)는 성장지수 산출부(410),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420), 수익 분배 정산부(430) 및 수익분배비율 조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지수 산출부(410)는, 일정기간마다
Figure 112018030455303-pat00003
의 수식을 이용하여 성장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별 성장지수는 '(오늘활동지표/어제활동지표)*100'의 산출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420)는, 활동지표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기록된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거래조건의 각 요소(파라미터)를 파악하고, 해당 파라미터와 관련된 활동지표를 확인한 후, 활동지표가 거래조건에 명시된 특정 수치를 충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조건이 '독자 고객이 공유하기를 한 후 조회수가 1천명에 도달하면'이라고 할 경우, 조회수라는 활동지표가 1천명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익 분배 정산부(430)는,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420)를 통해 활동지표의 각 파라미터가 거래조건에 충족하는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미리 기록된 기여도 비율에 따라서 작가와 독자에게 그 수익을 분배 및 정산함으로써 이행규약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거래조건이 '독자 고객이 공유하기를 한 후 조회수가 1천명에 도달하면'이라는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이행 규약이 '이 창작 스토리가 영화화되어 판권 계약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기여도만큼 배분한다.'라고 했을 때, 판권 계약에 의한 수익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기여도만큼 분배 및 정산할 수 있다. 이때, 수익 분배 정산부(430)는, 유통화폐(Fiat Money) 및 암호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수익을 분배 및 정산하고, 수익 분배 정산 트랜젝션을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수익분배비율 조정부(440)는, 성장지수 산출부(410)를 통해 성장지수의 변동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변동된 성장지수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하여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즉, 성장지수가 오르면 오른 배수만큼 기여도 만큼과 알파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여했을 시점보다 성장지수가 변동되면 변동된 만큼을 따져서 분배비율을 조정한 후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수익 분배 정산부(430)는 수익분배거리가 완료되면, 해당 거래내용을 트랜젝션에 기록할 수 있다.
기존에 공동창작의 경우 미래 수익에 대한 지분 비율과 창작에 기여한 기여도가 상이한 경우가 많아 스토리를 통한 수익이 생겨도 배분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분란이 생기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스토리 창작자가 캐릭터설명, 씬 설명문, 대사를 입력하는 행위가 미래에 금전적 보상이 되는 기준 트랜잭션으로 보고 입력 행위마다 그것이 중앙서버와 분산원장에 기록되어 스마트 컨트랙트에 명시된 조건정보를 충족하면 산출된 기여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스토리를 읽고 그에 따른 좋아요 등 반응버튼(리액션 버튼)을 누르면 스토리가 네트워크효과를 발휘하여 또 다른 고객들을 불러오는데 사업자는 이용하지만 그에 따른 보상을 하지 않아 왔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조회수가 10일 때 독자가 리액션 버튼을 누르는 것과 조회수가 1천일 때 독자가 리액션 버튼을 누르는 것은 그 가치의 비중이 다르기에 스토리가 수익을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비중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독자가 리액션 버튼을 누르는 시점의 조회수와 스토리 성장 지수를 고려하여 기여도를 산출하고 이를 스마트컨랙트에 명시된 조건에 의해 공정한 수익 분배가 가능하다.
기승전결 네러티브를 필요로 하는 스토리 사업자의 정의로는 영화사, 웹튠사, 스낵컬쳐무비사, 출판사 등 다양하다. 이러한 스토리를 필요로 하는 사업자는 최종 산출물(영화, 웹튠만화, 소설, 스낵컬쳐무비, 영상물)을 만들기 위한 기반 재료를 판권으로 갖기 위해 그 동안 스토리를 개발하는 R&D 비용을 선금으로 지불해 왔었다. 이때 재미가 보장 되지 않는 작가의 개발비를 선지급하여 왔던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사업자는 작가 또는 공동창작 작가군에게 원하는 스토리 개발을 의뢰 할 수 있거나, 이미 공동창작 기여가 완료되고 독자들의 리액션을 통해 달성된 활동지표와 평점 등을 통하여 재미가 수치화된 스토리를 판권 계약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하여 판권계약금이 지불되고 기여자에게 분배되므로 신뢰도 있는 거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리워드 분배 시스템
100: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110: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
120: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부
130: 공동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
200: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210: 댓글 입력부
220: 스토리 공유부
230: 무료 리액션 입력부
240: 유료 리액션 입력부
300: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
310: 창작자 활동지표 관리부
320: 독자 활동지표 관리부
330: 기여도 비율 관리부
340: 기여도 비율 기록부
400: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
410: 성장지수 산출부
420: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
430: 수익 분배 정산부
440: 수익분배비율 조정부

Claims (6)

  1. 원 창작자로부터 기본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고, 공동 창작자로부터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구성요소를 추가 받아 생성된 창작 스토리를 등록 받고,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의 등록 시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창작 스토리의 성장에 따른 수익분배 거래조건과 상기 거래조건의 달성 시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독자들의 기여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
    상기 창작 스토리의 성장을 위한 창작자, 독자 및 스폰서의 기여활동을 활동지표로 관리하고, 상기 원 창작자와 상기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기여도 비율과 상기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하는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 및
    상기 활동지표에 기초한 성장지수를 일정기간마다 산출하고, 상기 활동지표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여 충족 시 상기 기여도 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되, 상기 성장지수의 변동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 및 확정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작자 기여도 산정부는,
    시간당 평균 글자 수, 씬 생성 개수, 스토리 브랜치(branch) 개수, 스토리 리메이크(remake) 개수를 포함하는 창작자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하기 위한 창작자 활동지표 관리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댓글 개수, 공유 개수, 무료 리액션 개수 및 유료 리액션 개수를 포함하는 독자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하기 위한 독자 활동지표 관리부;
    상기 창작 스토리에 대한 구독 쿠폰, 판권 계약 금액, 광고 계약 금액 및 스폰싱 후원금을 포함하는 스폰서의 기여활동에 대한 활동지표를 관리하기 위한 스폰서 활동지표 관리부;
    상기 원 창작자와 상기 공동 창작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완성에 기여한 기여도 비율을 산정하는 기여도 비율 산정부; 및
    상기 기여도 비율 산정부를 통해 산정된 상기 기여도 비율과 상기 기여도 비율에 해당하는 암호화폐토큰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젝션에 기록하는 기여도 비율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는,
    일정기간마다
    Figure 112020022070939-pat00014
    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성장지수를 산출하는 성장지수 산출부;
    상기 활동지표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
    상기 거래조건 충족상태 확인부를 통해 상기 활동지표의 각 파라미터가 상기 거래조건에 충족하는 경우, 상기 기여도 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 및 정산하여 상기 이행규약을 이행하기 위한 수익 분배 정산부; 및
    상기 성장지수 산출부를 통해 상기 성장지수의 변동이 있는 경우, 변동된 상기 성장지수에 따라 수익분배비율을 조정하여 수익을 정산하는 수익분배비율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대한 내용을 각 씬(scene)의 설명문, 캐릭터, 캐틱터 별 대사, 삽화, 번역, 소재 및 사연을 각각 구분하여 입력 받고, 독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캐릭터 리액션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등록 받고, 등록된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를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원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부와 연동하고, 상기 원 창작자로부터 상기 거래조건과 상기 이행규약을 각각 등록 받고, 상기 씬(scene)의 설명문, 캐릭터, 캐틱터 별 대사, 삽화, 번역, 소재 및 사연과, 상기 거래조건 및 상기 이행규약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부;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에 대하여 상기 공동 창작자로부터 씬, 캐릭터, 캐릭터의 대사를 추가로 입력 받아 스토리 브랜치(story branch)를 생성하거나, 상기 공동 창작자에 의해 상기 기본 창작 스토리의 씬 별 리메이크(remake)를 수행하기 위한 공동 창작자 스토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리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창작 스토리의 사이 사이에 채팅 방식으로 댓글을 입력하기 위한 댓글 입력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창작 스토리의 각 씬 별로 다른 독자들과의 공유를 위한 스토리 공유부;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창작 스토리의 사이 사이에 독자들의 반응을 입력하기 위한 무료 리액션 입력부; 및
    상기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창작 스토리 내 다수의 캐릭터 리액션 항목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독자들에 의한 상기 캐릭터 리액션 항목의 선택 시 유료 결제를 처리하는 유료 리액션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리액션 카테고리와 상기 캐릭터 리액션 항목은,
    상기 창작 스토리 내에서 각 캐릭터가 취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행위 및 대사가 포함된 리액션이 서술 형태로 제시된 항목으로 제공되어 독자들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 정산부는,
    유통화폐(Fiat Money) 및 암호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수익을 분배 및 정산하고, 수익 분배 정산 트랜젝션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KR1020180035263A 2018-03-27 2018-03-27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KR10210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63A KR102101370B1 (ko) 2018-03-27 2018-03-27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63A KR102101370B1 (ko) 2018-03-27 2018-03-27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75A KR20190113075A (ko) 2019-10-08
KR102101370B1 true KR102101370B1 (ko) 2020-04-16

Family

ID=6820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63A KR102101370B1 (ko) 2018-03-27 2018-03-27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68B1 (ko) * 2019-12-27 2022-07-21 주식회사 무하유 공동 창작물의 정산 분배 방법 및 정산 분배 시스템
CN111966971A (zh) * 2020-08-20 2020-11-20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版权产品的收益分配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299405B1 (ko) * 2021-02-17 2021-09-08 (주)지앤글로벌 웹, 어플리케이션 및 디자인 제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617B1 (ko) 2009-06-24 2011-11-22 정희영 공동창작 커뮤니티의 공동지분 분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4621A (ko)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두들러 2차적 저작물의 수익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1284A (ko) * 2018-01-12 2018-01-31 주식회사 케이티 스토리 컨텐츠 생성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머니투데이. '좋아요' 받으면 돈 버는 블록체인 新세상 (2018.02.02)*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해외출판동향 Vol.03 - 해외 출판 시장의 디지털 온라인 마케팅, 2017년 8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75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4729B2 (en) Blockchain-enabled crypto asset compliance system for tracking asset allocation
Doyle A dictionary of marketing
US201801581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croshare based content funding and distribution
US75653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dget usable in affiliate marketing
US8145526B2 (en) Revenue sharing system that incentivizes content providers and registered users and includes payment processing
Goanta Selling LAND in Decentraland: The regime of non-fungible tokens on the Ethereum blockchain under the digital content directive
US20080097826A1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8009782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posing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US20130073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apportioning fees in an online environment
WO2008052013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dget usable in affiliate marketing
JP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92542B2 (ja) コンテンツ公開、広告サービス、および報酬回収間の統合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01370B1 (ko)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KR20190079079A (ko) 브랜디드 콘텐츠 제작을 통한 마케팅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enon et al. Blockchain: A non-technical primer for marketing academics
KR20200145044A (ko) 크리에이터 기반의 사용자간 매칭을 통한 온라인 마켓 서비스방법
US20230419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NFT Marketplace
KR101360873B1 (ko) 광고의 설명과 적립조건을 동기화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28617A (ko) 웹컨텐츠의 온라인광고 수익 배분 방법 및 시스템
US20130346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media marketplace
Kecskés Disruptive innovations in digital marketing: How blockchain could revolutionise the advertising industry
USRE46092E1 (en) Revenue sharing system that incentivizes content providers and registered users and includes payment processing
Tarkhanov et al. Crypto access: Is it possible to use cryptocurrencies in scholarly periodicals?
Danish Social Media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