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594B1 -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594B1
KR100889594B1 KR1020070018189A KR20070018189A KR100889594B1 KR 100889594 B1 KR100889594 B1 KR 100889594B1 KR 1020070018189 A KR1020070018189 A KR 1020070018189A KR 20070018189 A KR20070018189 A KR 20070018189A KR 100889594 B1 KR100889594 B1 KR 10088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556A (ko
Inventor
신영길
엄현상
김예성
황현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1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5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휴대용 클라이언트 기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단말, 휴대용 클라이언트 기기와 컨텐츠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자유로운 교환 및 컨텐츠의 편집 또는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컴퓨터에 접속하여, 컨텐츠(UCC)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거나 업로드하고,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 및 원격 제어 기능을 통해 컴퓨터에서의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사용자의 임의적인 키입력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를 교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며,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시스템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을 통한 원격 제어에 의해 컴퓨팅 자원의 활용을 통한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하는 컴퓨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18189
UCC, 컨텐츠,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 서버, 교환, 편집, 가공, 관리, 공유

Description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and Method That Exchange User Created Contents Information, and Construct and Manage User Created Contents, Connecting Computers and Portable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의 교환 및 제작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과 컴퓨터 단말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 컴퓨터 단말 간의 컨텐츠 교환 및 편집/가공을 위한 연관적인 구성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편집/가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 개인용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컨텐츠를 전송받아 편집 또는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 개인용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원격 제어에 의한 컨텐츠의 편집 또는 가공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의 컨텐츠 교환 및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정보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 정보 서버 간의 컨텐츠 교환 및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연관적인 구성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 정보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컨텐츠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 컨텐츠 정보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컨텐츠를 전송받아 편집 또는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통신 단말, 12:개인용 컴퓨터,
14:컨텐츠 정보 서버, 16: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18:컴퓨터 단말, 20:정보 제공 서버,
22: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휴대용 클라이언트 기기와 개인용 컴퓨터 및, 휴 대용 클라이언트 기기와 컨텐츠 서버와의 통신 연결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교환 및 컨텐츠 편집/가공이 쌍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인터넷의 멀티미디어화와 더불어, 통신망 기술의 발전에 의한 인터넷 통신 속도의 향상과 컴퓨팅 기술의 괄목할만한 발전에 힘입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작 및 유통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월드 와이드 웹(WWW)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을 타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논의되고 있는 웹 2.0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채워가는 플랫폼으로서의 웹이면서 가벼운 프로그래밍 특성과 복수의 디바이스가 복합되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과 접목되어, 인터넷 업체나 일정의 수익을 기대하는 사업자만이 아닌 개인 사용자 차원에서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양한 주제로 손쉽게 제작하여 유포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개인 사용자 차원에서 주로 제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UCC(User Created Contents)라고 명명하고 있으며,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 및 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정보 내용물을 통틀어 이르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현재는 동영상 컨텐츠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음성, 텍스트, 플래시 애니메이션 등의 여타 멀티미디어 정보도 포괄적으로 UCC로서 취급되고 있다.
이러한 UCC는 유튜브(yutube.com)나, 판도라TV, 다음 TV팟 등과 같은 UCC 공 유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활발히 서비스되고 있으며,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동호회, 카페나 미니홈피, 개인 블로그 등에서 UCC의 컨텐츠를 링크시키는 것만으로 해당 컨텐츠의 조회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UCC의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작되어 유통되는 컨텐츠가 해당 유선 인터넷의 영역 내에서만 유통이 가능하여, 해당 컨텐츠의 제작자 또는 UCC 공유 서비스 업체에서 별도로 편집 또는 가공하거나,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지 않는 한은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자유로운 유통이 어렵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UCC 공유 서비스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UCC는, 해당 UCC 제작자의 의도대로 제작된 원본 컨텐츠만을 여타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서비스하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양방향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의 자유로운 편집 및 가공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현재의 기술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한 휴대용 클라이언트 기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자유로운 교환 및 컨텐츠의 편집 또는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한 휴대용 클라이언트 기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UCC의 자유로운 교환 및 컨텐츠의 제작, 편집 또는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일예에 의하면, 개인용 컴퓨터에 대해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매개로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그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목록을 관리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컨텐츠를 교환하고,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 및 원격 제어 기능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사용자의 임의적인 키입력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그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를 교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을 통한 원격 제어에 의해 컴퓨팅 자원의 활용을 통한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일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개인용 컴퓨터에서 업로드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그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게 되면,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가공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고자 하게 되면,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 정보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제공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편집/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편집/가공 처리된 컨텐츠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원격 제어에 의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편집/가공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다운로드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다른 예에 의하면,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그 컨텐츠 정보 서 버로부터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목록을 관리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컨텐츠를 교환하고,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을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대해 컨텐츠의 제작을 요청하여 컨텐츠의 사용자 임의 제작을 위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그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를 교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컨텐츠의 교환 및 제작에 관련된 시스템 자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컨텐츠 제작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작 대상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지정하여 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정보 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다른 예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그 식별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개인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의 교환 및 제작에 관련된 시스템 자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그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공유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게 되면,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가공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대해 컨텐츠의 제작을 요청하게 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작 대상 컨텐츠의 선택 항목을 지정하여 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편집/가공 처리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전송하거나,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제작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에 의한 컨텐츠의 교환 및 제작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로서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제공 서버에 해당 단말 사용자의 개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게 되고, 개인용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해당 개인용 컴퓨 터에 대해 네트워크 통신망 상에서 지정된 IP 어드레스와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코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그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IP 정보를 입수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IP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게 되고,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상호 간에 원하는 UCC(이하 컨텐츠라 칭함)의 교환 및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컨텐츠의 교환 및 편집/가공을 위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상태에서, 컨텐츠 정보 서버와 상호 간에 컨텐츠의 교환이 가능함과 더불어, 제공받은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가능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 서버에게 컨텐츠의 제작을 의뢰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컨텐츠를 별도의 관리용 컴퓨터나 모니터링용 컴퓨터를 통해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정보 제공 서 버로부터 제공받아서, 컨텐츠의 제작시에 해당 사용자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는 단말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취향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0)과, 개인용 컴퓨터(12), 컨텐츠 정보 서버(14),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6), 컴퓨터 단말(18), 정보 제공 서버(2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이동 통신망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한 패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이루어져서,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IP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개인용 컴퓨터(12)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개인용 컴퓨터(12)와의 컨텐츠 교환 및, 다운로드받은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과, 개인용 컴퓨터(12)의 원격 제어에 의해 해당 개인용 컴퓨터(12)의 컴퓨팅 자원을 이용한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에 대해 인터넷망 상에서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대응하여 설정된 코드 정보를 해당 단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게 되며, 그 코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에 전송함에 의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드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이 간편하도록 숫자의 조합이나, 숫자와 영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에서 보유하고 있는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와 일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통해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 정보 서버(14)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자체적인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하거나,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에서 보유하는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대해 특정 분야의 컨텐츠 제작을 의뢰하여 양방향 정보 교환에 의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원격으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 또는 컨텐츠 정보 서버(14)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컨텐츠의 종류, 주제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폴더를 만들어서 각 폴더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받은 컨텐츠의 수신시간 별로 정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그 관리 목록을 확인하여 필요한 컨텐츠 정보를 찾아내어 재생이나, 삭제, 편집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유선 인터넷망에 연결하기 위한 모뎀 및 랜카드 등과 같은 네트워크 어댑터를 갖춘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단말로 이루어져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컨텐츠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 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의해 텍스트, 사진 이미지, 그림, 동영상의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이거나, 컨텐츠의 원격 제어에 의한 편집/가공이 허용될 수 있을 정도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의 사용자와 친분이 있거나 업무적으로 관계가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에 해당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의 IP 어드레스를 찾기 위한 관련 코드 정보를 입력하고,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숫자/문자키 및 기능키를 갖춘 키패드(30)와,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2),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의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모뎀(34), 상기 키패드(30)로부터의 키입력을 받아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의 컴퓨팅 자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 구동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38),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자체적으로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상기 개인용 컴퓨터(12) 또는 컨텐츠 정보 서버(14)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편집 또는 그 컨텐츠를 기초로 별도의 컨텐츠를 가공하기 위한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40), IP 어드레스 획득을 위한 코드 정보의 전송과,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 처리, 원격 제어에 의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의 컨텐츠 편집/가공 처리 및 전송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2), 상기 개인용 컴퓨터(12) 또는 컨텐츠 정보 서버(14)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컨텐츠의 교환 상태, 컨텐츠의 편집/가공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PDA와 같이 터치패드를 입력 수단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좌표 정보를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의 컨텐츠 편집/가공을 위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와 마우스 장치로 이루어져서 키입력 및 마우스의 좌표(포인터 이동)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입력부(50)와, 인터넷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모뎀 및 랜카드로 이루어진 데이터 통신부(5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의 정보 저장 매체로 이루어져서, 컴퓨터 운영 프로그램과 인터넷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편집/가공 대상의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54), 상기 데이터 저장부(54)에 저장된 컨텐츠를 자체적인 컴퓨팅 동작에 의해 편집/가공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원격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편집/가공하는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56),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원격제어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10)의 키입력 상태에 따른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58), 상기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56) 및 원격제어 프로그램(58)을 실행하여 해당 개인용 컴퓨터(12)의 컨텐츠 편집/가공 처리 및 전송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과 개인용 컴퓨터(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원격제어 프로그램(38,58)의 연동 동작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의 키입력 상태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12)의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56)이 실행되어 사용자 가 원하는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56)은 동영상 데이터의 제작 또는 편집을 위해, 윈도우즈 무비 메이커(Windows Movie maker)나 버츄얼 덥(Virtual Dub) 등과 같은 동영상 제작/편집 프로그램과,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를 제작 또는 편집하기 위한 포토샵(Photo Shop) 등과 같은 이미지 제작/편집 프로그램, 문서 데이터의 제작 또는 편집을 위한 MS 오피스, 훈민정음, 아래아 한글 등과 같은 문서 제작/편집 프로그램, 상기 동영상 제작/편집 프로그램과 이미지 제작/편집 프로그램, 문서 제작/편집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한 컨텐츠의 편집/가공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4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40)은, 카메라부(32)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동영상이나, 개인용 컴퓨터(12)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동영상을 제작 또는 편집하는 동영상 제작/편집 프로그램과, 카메라부(3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나, 개인용 컴퓨터(12)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이미지를 제작 또는 편집하는 이미지 제작/편집 프로그램, 키패드(30)의 키입력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문서나, 개인용 컴퓨터(12)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문서를 제작 또는 편집하는 문서 제작/편집 프로그램,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상기 동영상 제작/편집 프로그램과 이미지 제작/편집 프로그램, 문서 제작/편집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한 컨텐츠의 편집/가공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에서는, 예컨대 동영상이나 사진 이미지를 편집 또는 가공하는 경우에, 동영상이나 사진 이미지에 미 리 준비된 클립 아트(Clip Art)를 삽입하여 특정 문구를 입력하여 삽입한다거나, 동영상의 장면을 시간별로 편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의 데이터 저장부(54)로부터의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36)에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38)을 실행하여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과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 웹 사이트 상에 고유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제공함과 더불어, 그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업로드되는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웹사이트의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에 등록하여 여타 사용자와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컨텐츠 제작 의뢰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그 사용자 정보에 근거한 컨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6)는 컨텐츠 웹 사이트를 통해 공유되는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고, 컨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각종 툴 메뉴 정보와, 선택 아이템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 단말(18)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의해 공개적인 사용이 허용되도록 지정된 것으로서,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의한 상기 개인용 컴퓨 터(12)의 원격 제어 기능과 동일하게,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아서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게 된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등록받아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인터넷망 상에서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위해 등록되는 모든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IP 어드레스와, 각 IP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임의적으로 설정되는 코드 정보를 갖추고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12) 및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10)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는 각 개인용 컴퓨터에 대해 네트워크 상에서 할당되는 IP 어드레스와, 그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가 저장되고, 각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는, 네트워크 ID와, 사용자 성명, 성별, 연령, 거주지 정보, 취미, 특기, 취향, 관심사 등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에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는 네트워크 ID와 사용자 성명, 성별, 연령 정도의 극히 제한적인 정보만이 제공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는 네트워크 ID와 사용자 성명, 성별, 연령을 포함하여 거주지 정보, 취미, 특기, 취향, 관심사 등의 모든 개인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컨텐츠의 편집/가공 과정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편집/가공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10)이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20)에 접속한 상태에서(단계 S10), 개인용 컴퓨터(12)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사용자의 키패드(30) 조작에 의해 입력받은 코드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에 전송하여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게 되고(단계 S11),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는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찾아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전송한다(단계 S12).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인터넷망의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받은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그 IP 어드레스가 할당된 상기 개인용 컴퓨터(12)과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게 된다(단계 S13).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해당 단말 사용자에 대해 미리 부여된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게 되고(단계 S14),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입력받은 식별번호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에 전송하여 해당 식별번호가 부여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단계 S15).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는 상기 식별번호에 의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12) 에 제공하게 되는 바(단계 S16),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의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의 편집/가공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기본적인 환경(Config)의 설정을 수행하게 되지만(단계 S18),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식별번호가 부여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받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의 편집/가공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사용자에 특화된 환경 설정이 적용되도록 한다(단계 S19).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예컨대 응용 프로그램의 스킨 형태나 프로그램 실행 화면 상에서의 메뉴, 도구들의 배치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따른 환경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컨텐츠의 편집/가공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 결과를 전송하게 되고(단계 S20),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한 환경 설정 상태에서 컨텐츠의 편집/가공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21).
다음에,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개인용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컨텐츠를 전송받아 편집 또는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와 네트워크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개인용 컴퓨터(12)의 데이터 저장부(54)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에 대한 리스트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고(단계 S30),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그 데이터 저장부(54)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 정보의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전송한다(단계 S31).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로부터 받은 컨텐츠의 리스트를 그 표시부(44)에 화면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게 되고(단계 S32),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단계 S33).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컨텐츠 전송 요청에 따라, 그 이동통신 단말(10)의 데이터 수신 환경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단계 S34),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해당 단말의 수신 환경 정보(즉, 이동통신 단말의 기기 사양, 컨텐츠 관련 프로그램의 버전, 메모리의 용량, 통신 속도 등)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에 전달하게 된다(단계 S35). 즉, 실제적으로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의 변화에 적합하게 해당 정보를 변경한 후 전달하여 단말의 해당 환경 설정이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어 적용되도록 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수신 환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형식을 변경하게 된다(단계 S36).
상기 컨텐츠의 변경은, 상기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에 BMP, JPG, PNG, GIF, PCX, XJPG 등과 같은 이미지의 포맷(확장자)의 변경 또는 이미지의 크기, 팔레트의 수를 변경하게 되고,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에 AVI, MOV, MPG 등과 같은 동영상의 포맷(확장자)을 변경하거나, 동영상의 파일 크기, 팔레트의 수, 프레임수를 변경하고, TXT, DOC, HWP, RTF 등과 같은 텍스트 컨텐츠의 경우에 파일의 버전을 변경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컨텐츠의 포맷(확장자)를 변경하는 경우에, 컨텐츠 내용의 누락이 가장 적은 포맷으로 변경하도록 하게 되지만, 예컨대, 이미지 컨텐츠의 GIF 파일 포맷을 JPG 파일 포맷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투명 정보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고,텍스트 컨텐츠의 HWP 파일 포맷을 TXT 파일 포맷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텍스트 내용을 제외한 표, 그림 등의 정보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는 등, 그 포맷에 따라 내용 누락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파일 포맷의 변경시에 내용 누락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게 내용 누락 여부를 통보하여 단말 사용자에 의한 확인 처리가 이루어진 이후에 변경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기 변경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한도 용량과, 파일 또는 스트리밍 단위의 크기에 따라 정보 압축을 수행하게 되고(단계 S37), 상기 압축된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10)에 전송한다(단계 S38).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로부터 수신받은 컨텐츠의 압축을 해제하고(단계 S39),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40)을 구동하여 해당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한다(단계 S40).
다음에,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개인용 컴퓨터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원격 제어에 의한 컨텐츠의 편집 또는 가공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이 개인용 컴퓨터(12)에 접속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에 컨텐츠 정보의 원격 편집/가공 기능에 대한 기능 실행을 요청하게 되면(단계 S50),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원격 제어 프로그램(58)을 실행하게 된다(단계 S51).
그 상태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편집/가공 대상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 및 편집/가공할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편집/가공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단계 S52).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집/가공 대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고(단계 S53),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이에 반응하여 편집/가공할 컨텐츠의 선택 조작이 원격으로 진행된다(단계 S54).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선택된 컨텐츠를 편집/가공할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프로그램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단계 S55),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이에 반응하여 편집/가공 프로그램을 원격 제어에 의해 실행시키고,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56).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선택된 컨텐츠를 편집/가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키패드(30) 조작에 따른 키입력 정보(또는 PDA의 경우에 터치패드의 조작에 따른 좌표 입력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고(단계 S57), 상기 개인용 컴퓨터(12)는 상 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키입력 정보(또는 좌표 입력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편집/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한다(단계 S58).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의한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59),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의 편집/가공 동작이 완료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12)에 컨텐츠 정보의 원격 제어에 의한 편집/가공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60).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 정보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컨텐츠의 편집/가공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과의 컨텐츠 교환 및 컨텐츠 제작을 위한 컨텐츠 정보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 웹사이트(70)와, 개인정보 수집모듈(72), 컨텐츠 제작 모듈(74), 컨텐츠 변환 모듈(76),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이 접속하여 다운로드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해당 이동통신 단말(10)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요청에 의한 컨텐츠의 제작 과정에 대한 웹페이지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개인정보 수집 모듈(72)은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받아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텐츠 제작 모듈(74)은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한 컨텐츠의 제작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수집 모듈(72)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감안하여 컨텐츠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컨텐츠 변환 모듈(76)은 상기 컨텐츠 제작 모듈(74)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컨텐츠의 정보 포맷, 파일 크기 등을 변환한다.
상기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80)는 컨텐츠를 여러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동호회나 카페, 블로그의 형식으로 다수의 사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게시판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게시판의 정보 목록을 보고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업로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의 컨텐츠 웹사이트(7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자체적인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40)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편집/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40)은 동영상 제작/편집 프로그램과, 이미지 제작/편집 프로그램, 문서 제작/편집 프로그램, 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컨텐츠의 제작 요청을 받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주제 등에 따라 컨텐츠 제작 모듈(74)에서 컨텐츠를 제작하게 되는 바, 해당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한 컨텐츠의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을 제시하고, 그 제시된 제작 메 뉴 및 제작 아이템을 근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키입력 조작에 따라 컨텐츠를 실질적으로 제작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 정보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컨텐츠의 제작 과정 및 이동통신 단말의 컨텐츠 편집/가공 과정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컨텐츠 정보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컨텐츠 제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정보 서버(14)의 컨텐츠 웹사이트(70)에 접속하게 되고(단계 S70),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사용자에 대해 할당된 식별정보(즉,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부여된 사용자 ID)를 입력하게 된다(단계 S71).
이에,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개인정보 수집 모듈(72)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20)에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단계 S72),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의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제공하게 된다(단계 S73)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의 개인정보 수집 모듈(72)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7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 터의 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웹사이트(70)의 웹페이지 형태 및 컨텐츠 제작 모듈(74)에 대한 기본적인 환경의 설정을 수행하게 되지만(단계 S75),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식별번호가 부여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받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의 웹페이지 형태 및 컨텐츠 제작 모듈(74)이 사용자에 대해 특화된 환경 설정으로 적용되도록 한다(단계 S76).
그 다음에,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인터넷 웹사이트(7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환경 설정 상태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단계 S77),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인터넷 웹사이트(70) 상에서 컨텐츠의 종류(예컨대 동영상 컨텐츠)와, 컨텐츠의 주제(예컨대 패션 관련 컨텐츠) 등을 지정하고 해당 컨텐츠의 제작을 요청하게 된다(단계 S78).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 제작 모듈(74)의 실행 하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지정한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주제 등에 맞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즉, 개인의 성별, 거주지역, 연령, 취미, 관심사 등)에 근거한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을 생성하게 되고(단계 S79),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서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제공한다(단계 S80).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인터넷 웹사이트(70) 상에서 제공되는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을 키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하여 컨텐츠의 제작에 참여하게 되고(단계 S81), 상기 컨텐츠 제작 모듈(74)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키입력 조 작에 반응하여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의 조작 및 선택에 의한 컨텐츠 제작을 실질적으로 진행하게 된다(단계 S82).
예컨대, 상기 컨텐츠가 패션 관련 주제를 갖는 애니메이션 동영상 컨텐츠로 제작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성별(여자), 연령(20대), 거주 지역(서울), 좋아하는 색깔(빨강), 좋아하는 타입(심플 타입), 신체 사이즈(몸무게, 키, 바스트 및 허리 사이즈 등) 등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따라, 애니메이션에 포함되는 패션 아이템 즉, 의상, 악세서리, 가방 등의 디자인, 색상, 무늬, 사이즈 등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메뉴 조작을 통해 각 아이템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개인만의 패션을 창출한 애니메이션 컨텐츠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 제작 상태는, 실시간으로 웹페이지 화면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0)의 표시부 상에서 화면 표시되면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의 제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82), 상기 컨텐츠의 제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의 컨텐츠 제작 모듈(74)에 대해 컨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도록 처리(예컨대 웹페이지 상에서 컨텐츠의 제작 완료 버튼의 조작)하게 된다(단계 S84).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완성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서 완성된 컨텐츠를 재현하거나,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할 수 있게 된다(단계 S85).
다음에,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컨텐츠 정보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컨텐츠를 전송받아 편집 또는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웹사이트(70)에 접속한 상태에서(단계 S90),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80)의 조회를 요청하게 되고(단계 S91),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서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게 전송한다(단계 S92).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의 컨텐츠 목록을 화면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고(단계 S93), 그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단계 S94).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컨텐츠 전송 요청에 따라, 그 이동통신 단말(10)의 데이터 수신 환경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단계 S95),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해당 단말의 수신 환경 정보(즉, 이동통신 단말의 기기 사양, 컨텐츠 관련 프로그램의 버전, 메모리의 용량, 통신 속도 등)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에 전달하게 된다(단계 S96). 즉, 실제적으로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의 변화에 적합하게 해당 정보를 변경한 후 전달하여 단말의 해당 환경 설정이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어 적용되도록 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 변환 모듈(76)을 구동시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수신 환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형식을 변경하게 되는 바(단계 S97), 상기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에 이미지의 포맷(확장자)의 변경 또는 이미지의 크기, 팔레트의 수를 변경하게 되고,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에 동영상의 포맷(확장자)을 변경하거나, 동영상의 파일 크기, 팔레트의 수, 프레임수를 변경하고, 텍스트 컨텐츠의 경우에 파일의 버전을 변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컨텐츠의 포맷(확장자)를 변경하는 경우에, 컨텐츠 내용의 누락이 가장 적은 포맷으로 변경하도록 하게 되지만, 그 포맷에 따라 내용 누락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70)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에게 내용 누락 여부를 통보하여 단말 사용자에 의한 확인 처리가 이루어진 이후에 변경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는 그 컨텐츠 변환 모듈(76)을 통해서 상기 변경된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한도 용량과, 파일 또는 스트리밍 단위의 크기에 따라 정보 압축을 수행하게 되고(단계 S98), 상기 압축된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10)에 전송한다(단계 S99).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14)로부터 수신받은 컨텐츠의 압축을 해제하고(단계 S100), 그 이동통신 단말(10)에 구비된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40)을 구동하여 해당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한다(단계 S101).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정보 서버(14)에서 컨텐츠 변환 모듈(76)을 통하여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10)의 수신 환경 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 우에,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0)의 수신 환경이 일정하지 않고 동적으로 바뀔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전송중인 컨텐츠를 변경된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바, 컨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중에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10)의 네트워크 상황이 변화되는데 따른 전송율의 변화 상태, 이동통신 단말(10)의 제어부(CPU)의 점유율 변화에 따른 데이터 처리율 변동 등과 같이 일정하지 않게 변화될 수 있는 수신 환경 요소의 정보를 피드백 방식으로 수신받게 되면, 컨텐츠의 프레임수나 화질 정보를 변화된 수신 환경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개인용 컴퓨터(12)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신 환경에 따라 컨텐츠를 적합하게 변환하여 전송한다.
특히, 실시간의 스트리밍 정보와 같이 동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컨텐츠 정보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10)의 수신 환경 변화에 따라 컨텐츠의 정보 내용을 동적으로 변환시켜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용 컴퓨터 및 컨텐츠 서버와 접속하여 UCC 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 제작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교환 및 해당 목록이 있는 저장소 를 통한 공유가 가능함과 더불어, 원하는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가능하고,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해 개인용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여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 및 휴대형 기기 간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의 자유로운 유통이 가능함과 더불어, 휴대형 기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휴대형 기기와 컨텐츠 서버 간의 양방향 정보 교환 및 컨텐츠 데이터의 자유로운 편집 및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5)

  1. 개인용 컴퓨터에 대해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매개로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를 다운로드받아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목록을 통해 원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교환하고,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고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사용자의 임의적인 키입력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교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재생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을 통한 원격 제어에 의해 컴퓨팅 자원의 활용을 통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패드와,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의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모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컴퓨팅 자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 프로그램,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기 위한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 의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 처리와, 원격 제어에 의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편집/가공 처리 및 전송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교환 상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인터넷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편집/가공 대상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자체적인 컴퓨팅 동작에 의해 편집/가공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 조작에 따른 원격 제어에 의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하는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 상태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에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이 가능하도록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 상기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 및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편집/가공 처리 및 전송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정보는 인터넷망 상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대해 할당된 IP 어드레스 정보이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설정된 코드 정보를 보유하고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IP 어드레스 획득을 위한 코드정보 입력에 따라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해, 그 이동통신 단말의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에 적합하게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형식을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고, 수신 환경에 적합하게 형식이 변경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6.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제 1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업로드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제 3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게 되면,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 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고자 하게 되면,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 정보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제공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키입력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자체적으로 편집/가공 처리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원격 제어에 의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편집/가공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이 다운로드받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IP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설정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 정보에 대응함과 더불어 인터넷망 상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대해 할당된 IP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네트워크 접속 정보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인터넷망 상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개인용 컴퓨터에서 선택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수신 환경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에 적합하게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형식을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수신 환경에 적합하게 형식이 변경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압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9.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로부터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목록을 통해 원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교환하고,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자체적인 편집/가공을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대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제작을 요청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사용자 임의 제작을 위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교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교환 및 제작에 관련된 시스템 자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제작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작 대상 컨텐츠의 제작을 위해 선택이 필요한 항목을 지정하여 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정보 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패드와,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의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모뎀,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하기 위한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가공 처리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제작이 상기 키패드의 사용자 키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교환 상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의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제작 상태에 따른 표시 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하여 다운로드할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해당 이동통신 단말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의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제작 과정에 대한 웹페이지 화면을 제공하는 컨텐츠 웹사이트와,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하여, 그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개인정보 수집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종류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 주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을 제작 대상 컨텐츠의 제작을 위해 선택되는 필요 항목으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의 선택 조작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모듈,
    상기 컨텐츠 제작 모듈에 의해 제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형식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컨텐츠 변환 모듈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여러 사용자들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 게시판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상기 게시판의 정보 목록을 보고 원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공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
  12.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가 정보 제공 서버에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개인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교환 및 제작에 관련된 시스템 자원의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공유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재생하는 제 3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로부터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게 되면, 컨텐츠 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가공 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 대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제작을 요청하게 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작 대상 컨텐츠의 제작을 위해 선택이 필요한 항목을 지정하여 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편집/가공 처리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전송하거나,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제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받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컨텐츠 정보 서버의 웹사이트에 공유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수신 환경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해, 그 이동통신 단말의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수신 환경에 적합하게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형식을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상기 형식이 변경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압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에 전송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수신 환경이 변화됨을 통보하는 정보를 수신받으면, 그 수신 환경의 변화 상태에 대응하여 전송중인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형식을 변경하여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종류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 주제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을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한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컨텐츠 정보 서버에서 사용자의 선택 상태에 따라 제작 메뉴 및 제작 아이템을 적용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 교환 및 제작 관리 방법.
KR1020070018189A 2007-02-23 2007-02-23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8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189A KR100889594B1 (ko) 2007-02-23 2007-02-23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189A KR100889594B1 (ko) 2007-02-23 2007-02-23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56A KR20090000556A (ko) 2009-01-08
KR100889594B1 true KR100889594B1 (ko) 2009-03-20

Family

ID=4048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189A KR100889594B1 (ko) 2007-02-23 2007-02-23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409B1 (ko) * 2012-02-03 2013-10-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웹 기반 협업 저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486244B1 (ko) * 2014-03-07 2015-01-28 주식회사 세방에스디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공유하는 장치와 그 방법
KR102356010B1 (ko) * 2021-08-13 2022-02-08 주식회사 쓰리데이즈 장치 간에 데이터를 이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62A (ko) * 2000-08-24 2002-03-04 박종수 원격 홈페이지편집 방법 및 그 편집 수단
KR20040010457A (ko) * 2003-12-18 2004-01-31 주식회사 넥스모빌 원본 컨텐츠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편집 가공할 수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20040029342A (ko) * 2004-03-15 2004-04-06 (주) 케이지넷 사용자 창조형 모바일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70015488A (ko) * 2005-07-30 2007-02-05 모두스타 주식회사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62A (ko) * 2000-08-24 2002-03-04 박종수 원격 홈페이지편집 방법 및 그 편집 수단
KR20040010457A (ko) * 2003-12-18 2004-01-31 주식회사 넥스모빌 원본 컨텐츠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편집 가공할 수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20040029342A (ko) * 2004-03-15 2004-04-06 (주) 케이지넷 사용자 창조형 모바일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70015488A (ko) * 2005-07-30 2007-02-05 모두스타 주식회사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56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active systems with social networks and media playback devices
JP4866739B2 (ja) 画像を公開及び販売するためのウェブサイト
CN102067125A (zh) 用于搜索信息的方法和装置
US8665337B2 (en) Image sharing system, image manag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115995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JP2009510886A (ja) ユーザが直接製作するデジタルファッションアルバム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US9887941B1 (en) In-message applications in a messaging platform
US11146513B1 (en) Generating messages having in-message applications
CN104737196A (zh) 用于多照片馈送故事的系统和方法
WO201006308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mote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
KR20080080961A (ko) 개인 미디어 포탈 서비스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889594B1 (ko) 컴퓨터와 휴대용 기기를 연동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정보교환 및 제작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00131562A1 (en) Method of dynamically managing and sharing databas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system
JP603859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51966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40061340A (ko) Exif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게임 스크린샷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7248A (ko)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상호작용에 의한 웹캐스팅방법
US201301820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170049739A (ko) 전자 카탈로그 제작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JP2009059091A (ja) 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仮想空間提供サーバ、仮想空間提供方法及び仮想空間提供プログラム
JP200519661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008867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83076A (ko) 네트워크를 통한 폰트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9430A (ko) Exif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게임 스크린샷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TWI476728B (zh) 數位三維物件處理裝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