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947B1 -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947B1
KR100522947B1 KR10-2001-0079933A KR20010079933A KR100522947B1 KR 100522947 B1 KR100522947 B1 KR 100522947B1 KR 20010079933 A KR20010079933 A KR 20010079933A KR 100522947 B1 KR100522947 B1 KR 10052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rive unit
unit
moto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649A (ko
Inventor
노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filed Critical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Priority to KR10-2001-007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947B1/ko
Priority to AU2002236330A priority patent/AU2002236330A1/en
Priority to PCT/KR2002/000345 priority patent/WO2003051673A1/en
Publication of KR2003004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감속기 유닛과 롤러 플런저를 모듈화된 드라이브 유닛화 시키고, 이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스핀들 링크를 구비시켜 롤러 플런저의 상하 구동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직교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백래쉬와 소음의 제거 및 과부하 인가시 충격의 흡수와 제거가 가능하며, 생산효율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ACTUATOR BY OUT SIDE REAR VIEW MIRR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모터, 감속기 유닛과 롤러 플런저를 모듈화된 드라이브 유닛화 시키고, 이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스핀들 링크를 구비시켜 롤러 플런저의 상하 구동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직교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는 아웃사이트 미러의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전기적인 작동에 의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의 반사경을 X, Y축으로 이동시켜 각도조절을 하여 운전자의 시각에 맞도록 조절함으로써 후방시계를 확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후방의 도로상태, 차량주행상태 등의 제반사항을 인식하도록 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운전자가 차량 운행 전 직접 미러의 각도를 수작업으로 조절하는 수동식과 달리 차량 내에서 리모트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회전운동을 수직상하운동으로 전환시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전동식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 내에 모터(2)가 안치되고, 상기 모터(2)의 축에는 웜(3)을 고정하여 모터(2)의 전방 양측에 안치된 감속치차(4)의 외연에 형성된 웜기어(5)와 맞물리도록 하고, 감속치차(4)의 내부에는 외연에 수나사(6)를 형성한 작동자(7)를 형성하여 하부케이스(1)의 상면을 커버(8)로 밀폐시키고 있다.
상기 커버(8)의 상면 중앙에는 원호 형상의 고정선회축(9)을 형성하여 작동판(10)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선회축(11)이 결합되도록 하고, 커버(8)의 외연에는 작동판(10)의 외연에서 하방으로 내향 만곡되게 형성된 작동가이드(12)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가이드수용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판(10)의 저면에는 탄성너트(14)를 돌출시켜 커버(8)에 형성된 결합공(15)을 통하여 감속치차(4)의 내부에 형성된 작동자(7)의 수나사(6)와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작동관계는 모터(2)와 연결된 작동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2)가 회전함으로써 감속치차(4)가 회전하고 동시에 감속치차(4)의 내측에 형성된 작동자(7)도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자(7)와 나사결합된 탄성너트(14)가 작동자(7)의 상하측으로 승강함으로써 작동판(10)이 X, Y축으로 움직여 반사경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의 상면을 덮고 있는 커버(8)와 작동판(10)은 고정선회축(9)과 선회축(11)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판(10)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작동판(10)의 외연에 형성된 작동가이드(12)가 커버(8)의 외주연에 형성된 가이드수용구(13)를 따라서 승강하게 됨으로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반사경을 고정한 미러고정판이 작동판(10)과 고정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기어에 의하여 백래쉬가 발생되어 각도조절의 불량과 동력전달력의 감소라는 문제와 함께 감속비 증가를 위하여 장치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상황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의 크기와 구조에 따른 변화가 요구되는 바,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장치 전체를 재설계하여 구성해야 하는 점에 의해서 생산공정의 비효율화와 그에 따른 비용 증가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클로이드 치형을 이용하는 감속기를 구비하며, 모터와 감속기 유닛과 롤러 플런저를 모듈화된 드라이브 유닛화 시키고, 이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스핀들 링크를 구비시켜 롤러 플런저의 상하 구동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직교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작부, 베이스 및 조절부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로서, 상기 동작부는 모터, 사이클로이드치형을 이용하는 감속기 유닛 및 케이블에 의해 승강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롤러 플런저가 롤러 케이스와 모터 케이스로 케이싱되어 모듈화된 드라이브 유닛을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는 저면에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드라이브 유닛 안착부를 직교좌표로 2개 구비하고, 컨트롤장치의 작동지시와 전원인가를 위한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면 내즉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취부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스핀들 링크, 댐핑 스프링 및 아답터로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 링크는 Y자 형상으로 중간부분은 절곡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와 제2링크가 굽힘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의 양 종단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제2링크의 종단에는 구 형상의 볼조인트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 링크의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댐핑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아답터는 저면 중앙에 상기 취부부와 대응하는 반구형상의 회전부가 형성되며, 저면 외주연부 적소에 2개의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면에 반구형상의 피봇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장치는 글라스(17)를 내장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의 몸체를 이루는 미러하우징(18)의 내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는 동작부, 베이스 및 조절부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부는 모터(84)와, 상기 모터(84)의 축에 연결되는 감속기 유닛(83)과, 상기 감속기 유닛(83)과 연결되는 롤러 플런저(82)와, 상기 모터(84), 감속기 유닛(83) 및 롤러 플런저(82)를 외면에서 케이싱하는 롤러 케이스(81)와 모터 케이스(85)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 케이스(81)의 적소에는 다수의 삽입통공(91)이 형성되어 모터 케이스(85)에 형성되는 삽입돌기(94)와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모터(84), 감속기 유닛(83) 및 롤러 플런저(84)를 내부에 설치한 상태로 상기 롤러 케이스(81)와 모터 케이스(85)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케이스(85)의 상단 적소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입력홀(95)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감속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자의 선행 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6359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 유닛(83)은 중심부에 모터축공(107a)이 구비된 유닛 커버(107)과, 외주면에 다수의 사이클로이드치형(104a)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클로이드판(104)과,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사이클로이트치형(104a)에 외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웃터링기어(105)와, 각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출력측 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속회전원판(109)과, 저속회전원판(109)의 출력측 면에 접촉하는 클러치판(108)과, 클러치판(108)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클러치스프링(103)과, 저속회전원판(109)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감속기 유닛축(102)과, 유닛 커버(107)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101)으로 구성된다. 유닛 커버(107)는 그 중심부에 모터축공(107a)이 형성되고, 이 모터축공(107a)의 내측방향에는 고속회전축(미도시)이 외향돌출된다. 이 모터축공(107a)에는 상술한 모터(84)의 출력축이 삽입되어 고속회전축(미도시)의 내경면에 결합됨에 따라 고속회전축(미도시)은 모터(84)의 출력축에 연동하여 동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며, 이 고속회전축(미도시)의 자유단부에는 고속회전축(미도시)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간격 편심된 편심캠(106)을 구비하고, 이 편심캠(106)은 후술하는 각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입력홀(104b) 내로 삽입되며, 이 편심캠(106)은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입력홀(104b) 내에서 슬라이딩회전하게 된다. 사이클로이드판(104)은 그 외주면에 사이클로이드 치형(cycloid tooth, 104a)을 구비한 기어로서, 정원이 일직선상을 전동할 때 그 원주 상의 한정이 그리는 궤적이 사이클로이드(cycloid)를 이끝으로 하고, 원의 내주를 전동한 궤적인 내전사이클로이드(hypocycloid)를 이뿌리로 하는 형태의 치형을 이용한 기어이다. 이러한 사이클로이드판(104)은 동일한 형태의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각각의 사이클로이판(30)이 이뿌리를 기준으로 180°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약간 엇갈린 상태로 겹쳐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그 이뿌리의 위상차가 180°가 되도록 엇갈린 한 쌍의 사이클로이드판(10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사이클로이드판(104)은 그 중심부에 입력홀(104b)을 구비하고, 이 입력홀(104b)에는 상술한 편심캠(10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회전하게 되며, 입력홀(104b)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출력홀(104c)을 구비하고, 각 출력홀(104c)에는 후술하는 저속회전원판(109)의 감속핀(109a)이 삽입되어 위치된다. 아웃터링기어(105)는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외측에 설치되고, 그 내주면에는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사이클로이드 치형(104a)에 대응하는 치형을 가진다. 저속회전원판(109)은 원판상체로서, 그 중심부의 외측에 다수의 감속핀(109a)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고, 이 감속핀(109a)은 상술한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출력홀(104c)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한편, 이러한 저속회전원판(10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뿌리의 위상차가 180°로 엇갈린 상태로 겹쳐진 한 쌍의 사이클로이드판(104)이 2단 이상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한 쌍의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출력측 면에 감속핀(109a) 및 출력홀(104c)을 통해 각각 연결된다. 클러치판(10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출력측 면에 구비된 클러치스프링(103)의 탄성력에 의해 저속회전원판(109)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저속회전원판(109), 사이클로이드판(104) 및 아웃터링기어(105)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클러치판(108)의 구성에 의해, 감속기 유닛(83)의 출력 측으로 클러치스프링(103)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외력(과부하 또는 사용자에 의한 미러의 수동조작력)이 가해질 경우에 클러치(108) 및 저속회전원판(109)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슬립운동을 허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클로이드판(104) 및 아웃터링기어(105)는 공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클러치판(108) 및 클러치스프링(103)에 의해, 모터(8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감속기 유닛(83)의 출력 측으로 전달됨을 일시 차단하여 모터(80) 또는 액츄에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감속기 유닛축(102)은 그 일측단부가 클러치판(108)의 중심을 관통하여 최종 출력측의 저속회전원판(109)에 결합되고, 그 타측단부는 유닛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롤러 플런저(82)의 축이음공(82-1)에 결합된다. 유닛 하우징(101)은 상술한 구성요소들이 적층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유닛 커버(107)의 하부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속기 유닛(83)은 사이클로이드판(104) 및 아웃터링기어(105) 사이의 상호 접촉하는 치형수에 의해 원하는 일정한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그외에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감속기 유닛(83)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선출원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로 한다.
상기 롤러 플런저(82)는 중앙에 형성되는 축이음공(82-1)의 회전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케이블(92)이 권취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92)의 종단에는 플런저(93)가 구비되어, 케이블(92)의 감김과 풀림에 대응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이음공(82-1)은 상기 감속기 유닛(83)의 감속기 유닛축(102)의 타측단부가 결합되어, 감속기 유닛축(102)의 회전과 함께 롤러 플런저(82)도 회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라이브 유닛의 모듈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을 위한 동작부가 일체 조립되어 모듈화된 것으로서 후술하는 베이스(70)의 저면에 간단하게 끼움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베이스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70)의 저면은 상기 동작부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유닛(80)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드라이브 유닛 안착부(73)를 형성하되, 상기 드라이브 유닛 안착부(73)는 직교좌표로 2개소를 설치하여, 수평과 수직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드라이브 유닛 안착부(73)에는 상기 드라이브 유닛(80)의 모터 케이스(85) 상면에 형성된 전원입력홀(95)과 대응하는 전원입력돌기(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70)의 저면 적소에는 차량 내에 설치된 아웃사이드 미러의 리모트 컨트롤장치의 작동지시와 전원인가를 위한 터미널(71)을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71)은 상기 전원입력돌기(7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 내측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후술하는 아답터(40)의 취부부(75)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70)의 상부에는 조절부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부는 스핀들 링크(60), 댐핑 스프링(50) 및 아답터(40)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스핀들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핀들 링크(60)는 Y자 형상으로 중간부분은 절곡축(63)을 중심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이며, Y자의 갈라진 부분이 제1링크(62)가 되며, 타측이 제2링크(61)가 된다.
상기 제1링크(62)의 양 종단에는 결합구(65)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아탑터(40)의 저면과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61)의 종단에는 스핀들 링크(60)의 굽힘에 의한 운동을 아답터(40)로 전달하는 구 형상의 볼조인트(64)가 돌출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핀들 링크(60)의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댐핑 스프링(50)이 구비된다. 상기 댐핑 스프링(50)은 스핀들 링크(60)의 좌우 양단을 커버할 수 있도록 2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핑 스프링(50)의 상방향으로 아탑터(40)가 위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아답터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아탑터(40)는 외주연이 하향돌출한 원형판상체로서, 하향돌출된 외주연부가 상기 베이스(70)를 상방향으로 폐색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70)와 아답터(40)의 결합성 증대를 위하여 아탑터(40)의 적소에는 결합나사공(42)을 형성하여 베이스(7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답터(40)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취부부(75)와 대응하는 반구형상의 회전부(43)가 형성되며, 저면 외주연부 적소에는 2개의 결합홈(41)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홈(41)은 상기 스핀들 링크(60)에 형성된 결합구(6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아답터(40)의 상면으로 상기 회전부(43)의 형상과 대응하는 반구형상의 피봇(30)이 중간에 스프링(20)을 개재한 상태로 스크류(19)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조조절장치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도 1과 도 2를 통해 보면, 모터(84), 감속기 유닛(83), 롤러 플런저(81)가 롤러 케이스(81)와 모터 케이스(85)에 의해 일체화 조립된 드라이브 유닛(80) 2개가 각각 직교좌표로 하여 상기 베이스(70)의 하면에 삽입 장착된다. 이때, 각각의 드라이브 유닛(80)에 형성된 전원 입력홀(95)이 베이스(7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입력돌기(72)와 끼움결합되며 전기적 연결도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댐핑 스프링(50)을 중간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스핀들 링크(60)의 결합구(65)와 아답터(40)의 결합홈(41)이 끼움결합되며, 아답터(40)의 상면에는 피봇(30)이 스프링(2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스크류(19)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핀들 링크(60)와 아답터(40)의 결합체가 상기 베이스(70)와 결합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18) 내에 안착되며, 상기 피봇(30)이 글라스(17)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 완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아웃사이더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리모트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따라 모터(84)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모터(84)의 회전과 함께 감속기 유닛(83)의 편심캠(106)이 회전하면서 편심캠(106)의 편심량에 따라서 편심되어 있는 사이클로이드판(104)이 아웃터링기어(105)의 치형을 따라 편심되어 슬라이딩되면서 회전운동을 하며, 이에 물려있는 핀기어를 회전시키며 핀기어는 사이클로이드판(104)의 잇수만큼 감속되어 회전하게 되며, 감속된 회전속도는 감속기 유닛축(102)를 통하여 이에 고정되어 있는 롤러 플런저(8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롤러 플런저(82)의 회전과 함께 이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92)이 감았다 풀렸다 하면서 상기 케이블(92)의 끝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런저(93)는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드라이브 유닛(80)의 내부에 설치된 플런저(93)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아답터(40)는 회전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베이스(70)와 아답터(40) 사이에 설치된 스핀들 링크(60)에 의하여 운동방향이 조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스핀들 링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 링크(60)에 의하여 P1과 P3의 고정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제1링크(L 1)와 제2링크(L 2)가 접힘과 펼쳐짐이 반복되면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아답터(40)가 직교좌표만의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아답터(40)와 스핀들 링크(60) 사이에 설치된 댐핑 스프링(50)은 베이스(70)의 외곽 구면을 따라 회전하며 미러의 진동시에 엑튜에이터을 통해 글라스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가 아답터에 견고히 고정되며 롤러에 감겨 있으므로 기존의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조조절장치에서 발생하는 기어에 의한 백래쉬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아답터의 사이즈 및 장착되는 구조를 서로 상이하게 제작하지 아니하고 베이스의 장착위치와 아답터의 형상 및 크기만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효율적 생산 및 생산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전선이나 PCB 등을 삭제하고 베이스에 터미널을 삽입시킨 채로 사출하여 일체화하여 드라이브 유닛과 조립시 바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 효율화를 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수동으로 상하 작동시 볼트부의 치형을 강제고 타고 넘는 구조로 인하여 소음의 발생과 내구 수명 단축은 물론 갑작스런 충격의 인가시에 볼트부의 치형 파손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감속기 내부에 면판 클러치와 스프링을 내장하여 수동 작동시 스프링력에 의해 클러치판의 슬라이드 작동으로 소음 발생을 제거하였으며, 충격 발생시 롤러 플런저의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일부의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클러치의 작동에 의하여 내부 드라이브 유닛을 보호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감속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라이브 유닛의 모듈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베이스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스핀들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아답터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적용되는 스핀들 링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글라스, 18...미러 하우징,
19...스크류, 20...스프링,
30...피봇, 40...아답터,
41...결합홈, 42...결합나사공,
43...회전부, 50...댐핑 스프링,
60...스핀들 링크, 61...제2링크,
62...제1링크, 63...절곡축,
64...볼조인트, 65...결합구,
70...베이스, 71...터미널,
72...전원입력돌기, 73...드라이브 유닛 안착부,
75...취부부, 80...드라이브 유닛,
81...롤러 케이스, 82...롤러 플런저,
82-1...축이음공, 83...감속기 유닛,
84...모터, 85...모터 케이스,
91...삽입통공, 92...케이블,
93...플런저, 94...삽입돌기,
95...전원입력홀, 101...유닛 하우징,
102...감속기 유닛축, 103...클러치스프링,
104...사이클로이드판, 105...아웃터링기어,
106...편심캠, 107...유닛 커버,
108...클러치판.

Claims (2)

  1.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창치는 동작부, 베이스 및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동작부는 모터, 사이클로이드치형을 이용하는 감속기 유닛 및 케이블에 의해 승강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롤러 플런저가 롤러 케이스와 모터 케이스로 케이싱되어 모듈화된 드라이브 유닛을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는 저면에 상기 드라이브 유닛의 상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드라이브 유닛 안착부를 직교좌표로 2개 구비하고, 컨트롤장치의 작동지시와 전원인가를 위한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면 내즉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취부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스핀들 링크, 댐핑 스프링 및 아답터로 구성되며,
    상기 스핀들 링크는 Y자 형상으로 중간부분은 절곡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와 제2링크가 굽힘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의 양 종단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제2링크의 종단에는 구 형상의 볼조인트가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 링크의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댐핑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아답터는 저면 중앙에 상기 취부부와 대응하는 반구형상의 회전부가 형성되며, 저면 외주연부 적소에 2개의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면에 반구형상의 피봇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창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의 상단 적소에 전원 입력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브 유닛 안착부에 상기 전원입력홀과 대응하는 전원입력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1-0079933A 2001-12-17 2001-12-17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10052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33A KR100522947B1 (ko) 2001-12-17 2001-12-17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AU2002236330A AU2002236330A1 (en) 2001-12-17 2002-02-28 Actuator by outside rear view mirror
PCT/KR2002/000345 WO2003051673A1 (en) 2001-12-17 2002-02-28 Actuator by outside rear view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33A KR100522947B1 (ko) 2001-12-17 2001-12-17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49A KR20030049649A (ko) 2003-06-25
KR100522947B1 true KR100522947B1 (ko) 2005-10-24

Family

ID=1971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933A KR100522947B1 (ko) 2001-12-17 2001-12-17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22947B1 (ko)
AU (1) AU2002236330A1 (ko)
WO (1) WO2003051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960A (ko) * 2003-11-28 2005-06-02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전동식 백미러의 구동장치
WO2017105167A1 (es) * 2015-12-14 2017-06-22 Trujillo Diaz José Diseño de un pcb para luminarias led de alta potencia acopladas a vehiculos power sp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40A (ja) * 1983-02-10 1984-08-21 Nippon Denso Co Ltd サイドミラ−駆動装置
JPH06199179A (ja) * 1992-11-04 1994-07-19 Commer Spa 自動車用ドアミラーの方向調整装置
KR0140605Y1 (en) * 1996-11-04 1999-05-01 Su Sonn Angle control actuator of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KR100396730B1 (ko) * 1995-03-31 2003-12-11 리어 코포레이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차량거울조정기어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39A (en) * 1980-07-01 1982-01-26 Toyota Motor Corp Regulator for outer mirror angle of automobile
JPS6058054B2 (ja) * 1981-02-24 1985-12-18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電動式ミラ−駆動装置
US4504116A (en) * 1981-06-21 1985-03-12 Parker-Hannifin Corporation Rearview mirror positionable by remote control
US4572626A (en) * 1983-12-05 1986-02-25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Electric remote control back-mirror assembly
DE3913776A1 (de) * 1989-04-26 1990-10-31 Magna Auteca Autozubehoer Verstellbarer rueckspiegel fuer ein kraftfahrzeug
KR200184448Y1 (ko) * 1999-12-24 2000-06-01 한국기계연구원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KR200190423Y1 (ko) * 2000-03-02 2000-08-01 손수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각도조절용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640A (ja) * 1983-02-10 1984-08-21 Nippon Denso Co Ltd サイドミラ−駆動装置
JPH06199179A (ja) * 1992-11-04 1994-07-19 Commer Spa 自動車用ドアミラーの方向調整装置
KR100396730B1 (ko) * 1995-03-31 2003-12-11 리어 코포레이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차량거울조정기어열
KR0140605Y1 (en) * 1996-11-04 1999-05-01 Su Sonn Angle control actuator of side mirror for an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1673A1 (en) 2003-06-26
KR20030049649A (ko) 2003-06-25
AU2002236330A1 (en) 200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7398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JP5802714B2 (ja) ヒンジ構造
EP0549173B1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8672408B2 (en) Hinge mechanism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mechanism
WO2017217495A1 (ja) 減速機付モータおよび減速機付モータの組立方法
KR10140725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2013519583A (ja) 車両座席用の駆動装置
KR102601751B1 (ko) 인휠 구동장치 및 인휠 구동장치의 조립방법
CN103392082B (zh) 多轴驱动装置
CN105307902B (zh) 运动机构及用于设有该运动机构的车辆的后视镜
KR20030086265A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의 셀렉터축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00522947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CN110481436A (zh) 一种防撞击后视镜角度调节装置
JPH07179164A (ja) ワイパー装置
CN1947483A (zh) 园林工具用制动装置
CN105793127A (zh) 雨刮装置
KR20160054334A (ko)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전동식 폴딩장치
US20210215245A1 (en) Two-stage actuating gear mechanism with adjustable gear backlash
CA2061492A1 (en) Adjustable seat recline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405632B1 (ko) 자동차 엑츄에이터의 감속장치
JPH10278758A (ja) パーキング機構
CN218613756U (zh) 一种电动工具的扭力杯装置的固定结构及电动工具
CN213845517U (zh) 天线水平调节机构和天线
KR101403034B1 (ko) 미러 액추에이터
JP5451264B2 (ja) 駆動ユニットおよびシャッ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