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870B1 -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870B1
KR100521870B1 KR10-2003-0011011A KR20030011011A KR100521870B1 KR 100521870 B1 KR100521870 B1 KR 100521870B1 KR 20030011011 A KR20030011011 A KR 20030011011A KR 100521870 B1 KR100521870 B1 KR 10052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setting
processing
fix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492A (ko
Inventor
구명회
Original Assignee
구명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회 filed Critical 구명회
Priority to KR10-2003-0011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8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16Interlocking or wedging elements making up pieces of furniture without additional fasteners

Landscapes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가공장치에서 모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가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모재의 셋팅 및 가공을 전자동화하여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일측으로 모재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상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송된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와, 그 고정된 모재의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모재의 양측면을 절삭가공하는 밀링가공부로 구성된 제1가공부와; 상기 제1가공부를 거쳐 이송된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와, 그 고정된 모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모재의 양측 모서리를 절삭가공하는 모따기가공부로 구성된 제2가공부와; 상기 거치부 및 모재셋팅부에 거치된 모재를 파지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부재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상에서 이송부재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로 구성된 모재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가공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Processing unit for roller shaft}
본 발명은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가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모재의 셋팅 및 가공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할 수 있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모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제1,2가공부를 통해 길이가공 및 모따기가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모재의 셋팅 및 가공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져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는 컨베이어(conveyor)와 같은 이송장치를 포함한 각종 산업기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원통형의 몸체와 그 중심부에 구비된 축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롤러용 축봉을 제조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선반이나 밀링머신등의 공작기계로 모재의 양측 단부를 절삭하여 필요한 길이로 가공한 후, 상기 가공과정에서 모재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버(barr)를 제거하는 모따기가공을 실시하여 왔으며, 상기와 같은 기초가공이 끝난 후에도 필요에 따라 모재의 양측면 중심부에 드릴링가공이나 탭핑가공등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재를 가공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 가공별로 그에 필요한 공작기계를 구비해야 했으므로, 보다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많은 비용 및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직접 모재를 운반하여 수작업으로 기계를 작동시키며 가공해야 했으므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가공장치에서 모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가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모재의 셋팅 및 가공을 전자동화하여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재를 거치부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를 1차적으로 자동 셋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프레임의 폭을 보다 컴펙트하게 감소시켜 협소한 작업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거치부로 모재를 자동으로 연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전 모재의 양측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재가 정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이 완료된 후 각 클램핑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브이홈에 삽입된 모재가 상승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일측으로 모재를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상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로부터 이송된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와, 그 고정된 모재의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모재의 양측면을 절삭가공하는 밀링가공부로 구성된 제1가공부와; 상기 제1가공부를 거쳐 이송된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와, 그 고정된 모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모재의 양측 모서리를 절삭가공하는 모따기가공부로 구성된 제2가공부와; 상기 거치부 및 모재셋팅부에 거치된 모재를 파지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부재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상에서 이송부재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로 구성된 모재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모재가 삽입 및 고정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재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는 모재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링가공부는 본체프레임상에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테이블와, 그 상부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대와, 상기 이송베드를 모재에 직각방향으로 이송하는 주축대이송부로 구성되며, 상기 주축대이송부는 후방측이 상기 본체프레임상에 힌지고정되는 실린더와, 그 전방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왕복되는 피스톤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프레임상에 힌지고정되는 지지로드와, 일측이 상기 피스톤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테이블상에 힌지고정되는 푸시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다수의 모재가 수납되고 바닥면이 상기 받침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용프레임과; 상기 수용프레임과 받침대의 사이에 구비되고,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면에 위치된 모재를 상기 받침대의 거치홈으로 연속 공급하는 푸셔;로 구성된 자동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본체프레임상에 구비되는 베드와, 그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와 대응되며 이송부재에 의해 전후로 이송되어 모재를 고정 및 해제하는 가동지그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그의 일측면에는 모재가 고정되는 브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드의 일측에는 상기 브이홈의 높이에 따라 모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대의 일측으로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상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모재를 파지한 후 상기 연장부를 소정 간극으로 밀쳐내는 푸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1b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의 일측에는 모재(S)를 거치하는 거치부(10)와, 모재의 양측 단부를 절삭하여 일정한 길이로 가공하는 제1가공부(30)와, 모재의 양측 모서리를 절삭하여 모따기가공하는 제2가공부(4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거치부(10) 및 제1,2가공부(30)(40)의 사이를 왕복하면서 모재(S)를 자동으로 공급 및 배출하는 모재이송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가공부(30)(40) 및 모재이송부(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가공부(30)는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31)와, 그 고정된 모재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모재의 양측면을 동시에 절삭가공하는 밀링가공부(34)로 구성되며, 제2가공부(40)는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41)와, 그 고정된 모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모재의 양측 모서리를 동시에 가공하는 모따기가공부(4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가공부(30)(40)는 각각 모재의 길이에 따라 본체프레임(1)상에서 그 위치를 셋팅할 수 있게 구비된다.
또한, 거치부(10) 및 각 모재셋팅부(31,41)는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셋팅되며, 밀링가공부(34)는 본체프레임(1)상에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테이블(35)와, 그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대(36)와, 상기 이송베드(35)를 모재에 직각방향으로 이송하는 주축대이송부(37)로 구성되고, 모따기가공부(42)는 본체프레임(1)상에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테이블(44)과, 그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대(43)와, 상기 이송테이블(44)을 전,후로 이송하는 통상의 왕복부재(45)로 구성된다.
도 2a,b,c는 도 1에 따른 모재이송부를 보인 것으로, 도 2a,b는 이송 전,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c는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이송부는 모재를 파지하는 다수의 고정부재(51)와, 상기 고정부재(51)의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부재(53)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대(52)와, 상기 승강대(52)의 상부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56)상에서 이송부재(55)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54)로 구성된다.
이때, 이송대(54)는 상부프레임(56)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봉(560)상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부재(55)는 상기 상부프레임(56)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대(54)를 수평으로 왕복이송하며, 승강부재(53)는 상기 이송대(54)와 승강대(5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대(52)를 상하로 왕복이송한다.
상기 모재이송부(50)의 작동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고정부재(51)가 각각 거치부(10) 및 모재셋팅부(31,41)의 연직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10)에 모재가 거치되면, 승강부재(53)의 작동에 따라 승강대(52)가 하강하고, 상기 고정부재(51)가 모재를 파지하면 다시 원위치로 상승한다. 그 후 고정부재(51)는 이송부재(55)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 후 하강하여 파지하고 있던 모재를 모재셋팅부(31,41)에 거치하고, 역작동에 의해 원위치로 리턴되어 각 가공부에서 가공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다시 처음과 같은 작업을 반복수행하는데, 제2가공부를 거쳐 가공이 완료된 모재는 본체프레임(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고정부재(51)는 몸체(510)와 그 양측에 구비되는 홀더(511)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511)는 유/공압에 의해 작동하여 원통형의 모재(S)를 파지 및 탈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1)의 수평 및 수직이동은 유/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부재(55) 및 승강부재(53)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이동거리는 유/공압 제어를 통해 셋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제1,2가공부를 통해 길이가공 및 모따기가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모재의 셋팅 및 가공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져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송대(54)의 하부에는 승강대(52) 및 승강부재(53)와 다수의 고정부재(51)가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수평이동하여 정지할 때 관성(慣性, inertia)에 의해 심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송대(54)의 일측에 상부프레임(56)까지 연장된 연장부(57)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프레임(56)에는 상기 연장부(57)가 정지하는 위치에 그 상단과 접촉하여 충격을 탄성적으로 흡수하는 완충부(58)를 구비하면,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a,b는 도 1에 따른 거치부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S)를 거치하는 거치부(10)는 상면에 거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모재(S)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대(11)로 구성되며, 상기 거치홈(110)은 그 바닥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모재(S)가 삽입됨과 동시에 그 위치가 자동으로 셋팅된다.
또한, 모재의 양측 단부를 가공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모재의 가공 전 상기 모재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위치를 셋팅해야 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의 일측에 모재(S)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대(12)를 구비하면, 모재의 공급과정에서 그 위치가 1차적으로 자동셋팅됨으로써, 거치과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그 위치를 셋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a,b,c는 도 1에 따른 모재셋팅부를 보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위치셋팅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4c는 클램핑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모재셋팅부(31,41)는 가공 전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구성요소 및 작동관계는 상호 동일하므로, 그 중 제1가공부(30)에 구비된 모재셋팅부(3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셋팅부는 모재(S)가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양측 단부의 위치를 셋팅하는 위치셋팅부(32)와, 그 일측에 구비되며 가공 전에 모재(S)의 양측을 고정하고 가공 후에는 해제하는 클램핑부(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셋팅부(32)는 끝부분에 경사지게 가이드면(321)이 형성된 셋팅구(320)와, 상기 셋팅구(320)를 모재와 직각방향으로 이송하여 그 양측 단부의 위치를 셋팅하는 왕복부재(322)로 구성되며, 상기 셋팅구(320)의 외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3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33)는 본체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베드(330)와, 그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그(331)와, 상기 고정지그(331)와 대응되며 이송부재(334)에 의해 전후로 이송되어 모재를 고정 및 해제하는 가동지그(33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위치셋팅부(32)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재(S)가 고정지그(331)와 가동지그(333)의 사이에 거치되면, 왕복부재(322)가 작동하여 셋팅구(320)를 모재에 직각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며, 이 과정에서 모재(S)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셋팅구(320) 끝단의 가이드면(321)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치우침 없이 정위치에 셋팅된다.
다음으로, 클램핑부(3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모재(S)의 위치셋팅이 완료되면 왕복부재(334)가 작동하여 가동지그(333)를 고정지그(331)측으로 전진시켜 모재(S)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가동지그(333)를 후진시켜 모재(S)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331)의 일측면으로 모재(S)가 고정되는 브이홈(332)을 형성하고, 베드(330)의 일측에는 상기 브이홈(332)의 높이에 따라 모재(S)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335)를 구비하면, 가동지그(333)의 전진에 따라 모재(S)의 측면이 브이홈(332)에 삽입됨으로써, 모재(S)를 정위치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a,b,c는 도 1에 따른 주축대이송부를 보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c는 작동 전,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밀링가공부(34)는 본체프레임(1)상에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테이블(35)와, 그 상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대(36)와, 상기 이송베드(35)를 모재에 직각방향으로 이송하는 주축대이송부(37)로 구성되며, 상기 주축대이송부(37)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대이송부(37)는 후방측이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힌지고정되는 실린더(370)와, 그 전방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왕복되는 피스톤(371)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371)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힌지고정되는 지지로드(372)와, 일측이 상기 피스톤(371)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테이블(35)상에 힌지고정되는 푸시로드(373)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테이블(35)의 상측에는 주축대(36)가 설치되고, 상기 주축대(36)는 상부의 모터(M)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모재셋팅부에 의해 모재의 위치셋팅 및 고정이 완료되면 실린더(370)가 작동하여 피스톤(371)을 전진시키고, 상기 피스톤(371)의 전진에 따라 지지로드(372) 및 푸시로드(373)에 압력이 발생하는데, 상기 지지로드(372)는 일측이 본체프레임(1)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압력을 상기 푸시로드(373)측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푸시로드(373)는 일측이 이송테이블(35)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테이블(35)을 밀어 주축대(36)를 모재의 직각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역작동에 의해 다시 원상복귀된다.
이는, 실린더를 이송테이블의 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본체프레임의 폭을 보다 컴펙트하게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협소한 작업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의 일측에는, 내부에 다수의 모재(S)가 수납되고 바닥면이 상기 받침대(1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용프레임(21)과, 상기 수용프레임(21)과 받침대(11)의 사이에 설치되고 승강부재(23)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면에 위치된 모재를 상기 받침대(11)의 거치홈(110)으로 연속 공급하는 푸셔(22)로 구성된 자동공급부(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푸셔(22)는 받침대(11)에 거치된 모재가 이송됨과 동시에 상승하여 모재를 공급하게 되는데, 그 상면은 수용프레임(21)의 바닥면과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푸셔(22)의 상승시 모재가 거치홈(110)으로 저절로 공급되게 된다.
도 7a,b,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a,b는 작동 전,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A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54)에는 연장부(57)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56)에는 상기 연장부(57)가 정지하는 위치에 상기 연장부(57)를 소정 간극으로 밀쳐내는 푸셔(59)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51)가 모재(S)를 파지하기 위해 일측으로 이송된 후 하강하여 모재(S)를 파지하면, 푸셔(59)가 유/공압으로 작동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순간적으로 돌출되면서 연장부(57)의 상부를 밀쳐내며, 그와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51)가 모재(S)를 파지한 상태로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지그(331)의 브이홈(332)에 삽입되어 있던 모재(S)를 상기 브이홈(33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다.
이는, 모재(S)를 이송하기 위해 고정부재(51)가 이를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경우, 일측이 브이홈(332)에 삽입된 상태의 모재(S)가 상승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재의 양측 단부를 절삭하여 일정한 길이로 가공하는 제1가공부와, 모재의 양측 모서리를 절삭하여 모따기가공하는 제2가공부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프레임상에 제1,2가공부 중 필요한 부분을 추가 및 재배치하고, 주축대에 사용되는 공구를 교환함으로써, 실시가능한 가공이 무궁무진하게 확대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예를 들어 제2가공부의 일측으로 그와 동일한 구성의 제3가공부를 설치하고 주축대에 드릴을 장착하면, 모따기가공 후 모재의 양측 단부에 센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등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가공장치에서 모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가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모재의 셋팅 및 가공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가공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가공의 규격화 및 고정밀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모재를 거치부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가 1차적으로 자동셋팅되도록 함으로써, 거치과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그 위치를 셋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린더를 이송테이블의 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본체프레임의 폭을 보다 컴펙트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협소한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자동공급부를 구비하여 거치부에 모재를 자동으로 연속 공급할 수 있으므로, 모재의 공급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정지그에 브이홈을 형성하여 가공 전 모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재가 정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공 후 모재를 클램핑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브이홈에 삽입된 모재를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모재가 상승과정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전체 사시도.
도 1b는 평면 개략도.
도 2a,b,c는 도 1에 따른 모재이송부를 보인 것으로,
도 2a,b는 이송 전,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c는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a,b는 도 1에 따른 거치부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요부도.
도 4a,b,c는 도 1에 따른 모재셋팅부를 보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위치셋팅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4c는 클램핑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5a,b,c는 도 1에 따른 주축대이송부를 보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
도 5b,c는 작동 전,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a,b,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a,b는 작동 전,후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7c는 도 7a의 A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프레임
10 : 거치부
11 : 받침대 110 : 거치홈
12 : 가이드대
20 : 자동공급부
21 : 수용프레임 22 : 푸셔
23 : 승강부재
30 : 제1가공부
31 : 모재셋팅부 32 : 위치셋팅부
320 : 셋팅구 321 : 가이드면
322 : 왕복부재 323: 가이드구
33 : 클램핑부 330 : 베드
331 : 고정지그 332 : 브이홈
333 : 가동지그 334 : 왕복부재
335 : 지지대
34 : 밀링가공부 35 : 이송테이블
36 : 주축대 37 : 주축대이송부
370 : 실린더 371 : 피스톤
372 : 지지로드 373 : 푸시로드
40 : 제2가공부
41 : 모재셋팅부 42 : 모따기가공부
43 : 주축대 44 : 이송테이블
45 : 왕복부재
50 : 모재이송부
51 : 고정부재 510 : 몸체
511 : 홀더 52 : 승강대
53 : 승강부재 54 : 이송대
55 : 이송부재 56 : 상부지지대
560 : 가이드봉 57 : 연장부
58 : 완충부 59 : 푸셔
60 : 제어부
S : 모재 M : 모터

Claims (11)

  1. 본체프레임(1)의 일측으로 모재를 거치하는 거치부(10)와;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10)로부터 이송된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31)와, 그 고정된 모재의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모재의 양측면을 절삭가공하는 밀링가공부(34)로 구성된 제1가공부(30)와;
    상기 제1가공부(30)를 거쳐 이송된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 및 고정하는 모재셋팅부(41)와, 그 고정된 모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모재의 양측 모서리를 절삭가공하는 모따기가공부(42)로 구성된 제2가공부(40)와;
    상기 거치부(10) 및 모재셋팅부(31,41)에 거치된 모재를 파지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51)와, 상기 고정부재(51)의 상부에 구비되고 승강부재(53)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대(52)와, 상기 승강대(52)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56)상에서 이송부재(55)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54)로 구성된 모재이송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는,
    상면에 모재가 삽입 및 고정되는 거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모재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셋팅부(31,41)는,
    모재의 양단 위치를 셋팅하는 위치셋팅부(32)와, 그 셋팅된 모재의 양측을 고정 및 해제하는 클램핑부(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가공부(34)는,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테이블(35)와, 그 상부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대(36)와, 상기 이송베드(35)를 모재에 직각방향으로 이송하는 주축대이송부(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의 일측에는 모재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대(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셋팅부(32)는,
    끝부분에 모재의 단부측 모서리와 대응되는 가이드면(321)이 형성된 셋팅구(320)와, 상기 셋팅구(320)를 모재와 직각방향으로 이송하여 그 양단 위치를 셋팅하는 왕복부재(3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이송부(37)는,
    후방측이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힌지고정되는 실린더(370)와, 그 전방측에 구비되어 전후로 왕복되는 피스톤(371)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371)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힌지고정되는 지지로드(372)와, 일측이 상기 피스톤(371)의 끝부분에 힌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이송테이블(35)상에 힌지고정되는 푸시로드(3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다수의 모재가 수납되고 바닥면이 상기 받침대(1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용프레임(21)과;
    상기 수용프레임(21)과 받침대(11)의 사이에 구비되고, 승강부재(23)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면에 위치된 모재를 상기 받침대(11)의 거치홈(110)으로 연속 공급하는 푸셔(22);로 구성된 자동공급부(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9.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33)는,
    상기 본체프레임(1)상에 구비되는 베드(330)와, 그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그(331)와, 상기 고정지그(331)와 대응되며 이송부재(334)에 의해 전후로 이송되어 모재를 고정 및 해제하는 가동지그(3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331)의 일측면에는 모재가 고정되는 브이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베드(330)의 일측에는 상기 브이홈(332)의 높이에 따라 모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3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54)의 일측으로 연장부(57)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프레임(56)상에는 상기 고정부재(51)가 모재를 파지한 후 상기 연장부(57)를 소정 간극으로 밀쳐내는 푸셔(5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KR10-2003-0011011A 2003-02-21 2003-02-21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KR10052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011A KR100521870B1 (ko) 2003-02-21 2003-02-21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011A KR100521870B1 (ko) 2003-02-21 2003-02-21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92A KR20040075492A (ko) 2004-08-30
KR100521870B1 true KR100521870B1 (ko) 2005-10-17

Family

ID=3736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011A KR100521870B1 (ko) 2003-02-21 2003-02-21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1007B (zh) * 2020-03-06 2021-11-23 福州三迅机械有限公司 一种托辊轴的生产线设备
CN114505654A (zh) * 2022-03-10 2022-05-17 济南希能数控机器有限公司 门窗框扇型材锯切钻铣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92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763B1 (ko) 머쉬이닝센터
US20050059538A1 (en) Machining apparatus and machining line provided with same
US20080000072A1 (en) Flexible Transfer Machine
CN113412175B (zh) 机床的刀库
JP2866778B2 (ja) レーザ加工装置
CN211163096U (zh) 一种改进的机加工机床自动化上下料集成装置
CN112456140B (zh) 用于铝制吹胀均热板的自动送料系统
KR100521870B1 (ko) 롤러용 축봉 가공장치
EP1747845A1 (en) Machining centre with chuck structure displacable in a horizontal and a vertical direction
CN110961928A (zh) 一种深沟球轴承外圈内沟槽加工设备
CN210588036U (zh) 螺丝机
JPS62188652A (ja) トランスフア加工装置
JP2017104931A (ja) 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CN213196453U (zh) 一种高压油管直芯专用双面八轴钻床
US5187846A (en) Pallet changer
KR20020032712A (ko) 텔레스코픽 파이프 가공시스템 및 가공방법
KR20020036065A (ko) 파이프 면취기
CN112317870A (zh) 输送装置及锯床
KR100350037B1 (ko) 데스크탑 로보트
JP3978218B2 (ja) 工作機械
CN218476077U (zh) 一种切割装置及加工装置
CN114749696B (zh) 钻孔设备及钻孔方法
CN218363568U (zh) 一种进料装置
JP7400221B2 (ja) 搬送装置付き工作機械
CN218397159U (zh) 一种多方向进料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