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374B1 -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374B1
KR100521374B1 KR10-2002-0073650A KR20020073650A KR100521374B1 KR 100521374 B1 KR100521374 B1 KR 100521374B1 KR 20020073650 A KR20020073650 A KR 20020073650A KR 100521374 B1 KR100521374 B1 KR 10052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ting
rotating shaft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792A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7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3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8Hinges, e.g. for mounting chairs in a curved r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관람석(1)의 각 계단(3)에 일렬배치되는 복수의 의자(5)들을 자동회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는, 일렬배치되는 복수의 의자(5)들의 하부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대(11); 수납식관람석(1)의 계단(3) 바닥면과 연결대(11) 사이에 연결대(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1); 회전축(21)과 연결대(11)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축(21)의 회전력을 연결대(11)에 전달하여, 일렬배치된 복수의 의자(5)들을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51); 수납식관람석(1)의 계단(3) 바닥에 고정되어 회전축(2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유니트(31); 및 기어유니트(31)를 통해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수납식관람석의 각 계단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의자들을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으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Apparatus for swiveling chairs around}
본 발명은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나 실외의 공연장 및 체육관등에 설치되는 수납식관람석의 각 계단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의자들을 일체로 자동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식관람석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한국실용공개 제 1999-7390호 및 제 1999-8690호를 포함한 다수의 기술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각 계단에 복수의 의자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식관람석은 수동 혹은 기계적/전자적으로 그 작동을 시키기 위한 많은 개발이 진행되어, 최근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내구성을 증대시킨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수납식관람석에 설치된 복수의 의자들은, 수납식관람석의 인출 또는 수납시, 관중이나 행사진행요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우고 눕히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 이에 수납식관람석의 인출/수납과 연동 혹은 별개로 의자들을 자동으로 세울/눕힐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수납식관람석의 각 계단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의자들을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으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한 수납식관람석의 의자회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의자들을 세우고 눕힐 수 있어서 종래 이러한 작업을 위해 필요한 작업인원 혹은 행사진행요원의 수를 줄임으로써, 소요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빠르게 수납식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식관랍석의 의자회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수납식관람석의 각 계단에 일렬배치되는 복수의 의자들을 자동회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렬배치되는 복수의 의자들의 하부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대; 상기 수납식관람석의 계단 바닥면과 상기 연결대 사이에 상기 연결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연결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대에 전달하여, 상기 일렬배치된 복수의 의자들을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 상기 수납식관람석의 계단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유니트; 및 상기 기어유니트를 통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유니트는, 상기 회전축을 상기 연결대와 평행하게 관통시키며, 외면에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된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내에 돌출된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 상기 기어박스내의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된 웜휠; 및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웜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의 구동력을 상기 웜휠에 전달하는 웜휠구동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웜휠구동조립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마련되어 회전가능하며, 상기 웜휠과 맞물리는 원통형 원통 웜; 및 상기 원통 웜을 축으로 일체회전가능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맞물리는 피동베벨기어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관통하며, 후방영역의 상하방향으로 회동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하며, 일단이 상기 회동안내홈을 통해 상기 연결대와 결합되어 있는 회동브라켓;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상기 회동브라켓의 타단 사이에 접철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동브라켓의 회동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접철수단; 및 상기 회동브라켓을 상기 원위치로 탄성적 가압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접철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단이 일체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철브라켓; 상기 회동브라켓의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힌지축에 일단이 결합된 제2 접철브라켓; 및 상기 제1 접철브라켓의 타단내에 수용된 상기 제2 접철브라켓의 타단을 접철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접철회동축을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내에 상승 회동위치의 상기 회동브라켓에 대하여 인출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브라켓의 과도한 회동을 제한하는 한편, 상승 회동한 상기 회동브라켓을 보강지지하는 지지볼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수납식관람석의 의자회동장치에는 또한,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정역구동을 단속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회동장치가 장착된 수납식관람석이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의자회동장치(10)가 설치된 수납식관람석(1)은, 인출/수납가능한 각 계단(3)에 통로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의자(5)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일렬로 배치된 의자(5)들의 하부에 본 의자회동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통로를 중심으로 도면상 좌측에는, 수납식관람석(1)이 인출된 직후 혹은 수납되기 직전에 본 의자회동장치(10)에 의해 의자(5)들이 하강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상 우측에는 의자(5)들이 상승회동하여 관중들이 착석할 수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의자(5)들은 시트(6)와 등받이(7)로 구성되며, 시트(6)는 등받이(7)를 향해 탄성적 복원력을 가지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는 도 1의 요부사시도로서,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가 구동하여 관중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의자가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조 3은 도 2의 의자들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작동상태도로서, 의자가 원위치로 하강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10)는 크게, 구동모터(23), 일렬로 배치된 의자(5)들을 일체로 지지하는 연결대(11), 연결대(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1), 구동모터(23)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회전축에 제공하는 기어유니트(31), 및 회전축(21)의 회전력을 연결대(11)에 전달하여 의자(5)들을 세우고 눕히는 동력전달부(51)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대(11)는 사각막대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의자(5)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연결대(11)는 의자(5)들 사이에 고정되는 팔걸이고정프레임(8)의 하단과 결합하며, 이에 의해, 의자(5)들은 연결대(11)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기어유니트(3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통형상의 기어박스(32), 기어박스(32)에 내장되는 복수의 기어(33, 34, 42, 43)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박스(32)는 수납식관람석(1)의 각 계단(3) 바닥면에 연결대(11)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기어박스(32)의 하측 연부에는 각 모서리영역에 결합리브(34)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박스(32)는 상향 개구된 부품출입구를 개폐가능한 박스커버(32a)를 구비하며, 양측 판면에 회전축(21)을 통과시키는 회전축공(3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 회전축공(34a)의 전방에 회전축공(34a)과 평행한 구동축공(34b)이 마련되어 있다. 기어박스(32)의 구동축공(34b)에는 구동모터(23)의 구동축 혹은 구동축에 결합된 감속기(27)의 구동축이 결합된다.
기어박스(32)내에 수용된 회전축(21)의 외면에는 웜휠(34)이 일체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21)과 웜휠(34) 사이에는 부시(35) 및 한 쌍의 고정링(36)이 개재된다. 그리고, 기어박스(32)내에 돌출된 구동모터(23)의 구동축(23a)에는 키(23b)를 매개하여 역시 일체회전가능하게 구동베벨기어(33)가 결합되어 있다. 기어박스(32)내에는 또한, 구동베벨기어(33)의 구동력을 웜휠(34)에 제공하는 웜휠구동조립체(41)가 설치되어 있다.
웜휠구동조립체(41)는, 회전축(21)의 전방에 그 축선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마련되는 원통 웜(42)과, 원통 웜(42)에 일체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피동베벨기어(43)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 웜(42)은 그 하단이 기어박스(32)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박스커버(3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원통 웜(42)의 원할한 회전을 위해 그 상하단부에는 각각 베어링(44)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 웜(42)은 회전축(21)에 결합된 웜휠(34)과 상호 맞물림유지된다.
웜휠구동조립체(41)의 피동베벨기어(43)는 원통 웜(42)의 하부영역에 일체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회전을 위해 원통 웜(42)과 피동베벨기어(43) 사이에는 키(45)가 개재되어 있다. 피동베벨기어(43)는 구동모터(23)의 구동축(23a)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33)와 맞물리며, 이에 의해, 구동모터(23)의 구동력은 웜휠구동조립체(41)를 통해 회전축(21)에 전달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부호인 47은 부시가이드이다.
한편, 동력전달부(51)는 기어유니트(3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회전축(21)의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51)는, 회전축(21)의 단부를 통과시키는 하우징(52), 하우징(52)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를 회동가능한 회동브라켓(62), 그리고, 회전축(21)과 회동브라켓(62) 사이에 접철가능하게 마련된 제1 및 제2 접철브라켓(72, 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회동브라켓(62)을 상승회동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64)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52)은, 양측판(54)과 하부판으로 구성된 하부하우징(53)과, 이 하우징(53)의 상부를 덮는 하우징커버(55)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하우징(53)의 양측판(54)에는 각각 회전축(21)의 단부를 통과시키는 통과공(54a)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판(54)에는 또한, 각각 통과공(54a)의 후방영역에 회동브라켓(62)의 회동축(61)이 결합되는 축공(5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축공(54b)에는 하우징(52)내에 배치되는 회동축(61)의 양측 단부가 고정링(61a)을 매개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커버(55)의 후방영역에는 상하방향으로 절취되어 회동브라켓(62)의 상하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홈(56)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브라켓(62)은 길이방향 양측을 상호 대향하게 절곡시킨 한 쌍의 양측판부를 가진다. 이들 양측판부의 하부영역에 각각 하우징(52)에 설치된 회동축(61)에 결합되는 회동축공(62a)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브라켓(62)의 회동축공(62a)은 회동축(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의해, 회동브라켓(62)은 회동축(61)을 축으로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를 회동가능하다.
회동브라켓(62)의 양측판부에는 또한, 그 하단부에 각각 제2 접철브라켓(75)의 힌지축(68)이 결합되는 힌지축공(62b)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68)은 회동브라켓(62)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링(68a)을 매개하여 힌지축공(62b)에 결합된다. 그리고, 각 양측판부의 회동축공(62a)과 힌지축공(62b) 사이에는 스프링고정공(6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브라켓(62)의 양측판부의 전면개구에는 차단판(63)이 결합된다. 이에 의해 형성된 거의 사각막대상의 회동브라켓(62) 선단에는 연결대(11)가 직교방향을 결합되며, 이를 위해, 회동브라켓(62)과 연결대(11) 사이에 별도의 결합부재(도 3의 15)가 개재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64)은 하우징(52)의 내부에 회동브라켓(6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64)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힌지축(68)에 끼워져 회동브라켓(62)의 외면과 하우징(52) 내벽면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각 코일스프링(64)의 일단은 회동브라켓(62)의 스프링고정공(62c)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52)의 후방연부 상측에 고정결합된 스프링고정핀(66)에 결합되어, 회동브라켓(62)을 상승위치를 향해 탄성적 가압한다. 각 코일스프링(62)은 힌지축(68)에 결합되어 해당 코일스프링(62)의 양측에 배치되는 스프링홀더(65)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제1 접철브라켓(72)과 제2 접철브라켓(75)도,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상호 대향하게 하향 절곡시킨 양측판부를 구비한다. 제2 접철브라켓(75)은 제1 접철브라켓(72)내에 수용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그 양측판부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돌출된 힌지축부에 각각 축공(7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접철브라켓(75)의 힌지축부에 형성된 축공(75a)은 회동브라켓(62)에 설치된 힌지축(68)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제2 접철브라켓(75)은 힌지축(68)을 축으로 회동가능하다. 제2 접철브라켓(75)의 양측판부에는 또한, 그 전방단부영역에 각각 제2 접철회동축공(75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철회동축공(75b)에 대응하여 제1 접철브라켓(72)의 양측판부에도 각각 제1 접철회동축공(7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접철회동축공(75b)의 전방 즉, 제1 접철브라켓(75)의 양측판부의 전방영역에는 회전축(21)과 일체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공(7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21)이 회전하면 제1 접철브라켓(72)은 회전축(21)을 축으로 상하 회동가능하다.
제1 접철브라켓(72)의 각 제1 접철회동축공(72b)에는 한편, 제1 접철브라켓(72)내에 회전축(21)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접철회동축(78)의 양측 단부가 수용된다. 접철회동축(78)과 제1 접철회동축공(72b) 사이에는 고정링(78a)이 개재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접철회동축(78)에 제2 접철브라켓(75)의 제2 접철회동축공(75b)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접철브라켓(72)내에 그 하방으로 제2 접철브라켓(75)이 수용되어, 제2 접철브라켓(75)은 제1 접철브라켓(72)에 대하여 접철회동축(78)을 축으로 접철회동가능하다. 이 때, 제1 접철브라켓(72)의 후방단부는 제2 접철브라켓(75)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하향 회동만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부(51)의 하우징에는 또한, 그 상부판 하면에 설치된 볼트지지부(82)과, 이 볼트지지부(82)에 결합되어 회동브라켓(62)에 대하여 길이조절가능한 지지볼트(83)이 설치되어 있다. 볼트지지부(82)은 "┓"자 형상을 가지며, 그 하향 판면에 조절공(도시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볼트(83)는 그 길이방향 외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부가 볼트지지부(82)의 조절공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볼트(83)은 좌우회전으로 회동브라켓(62)에 대하여 접근이반가능하다. 회동브라켓(62)은 지지볼트(83)에 의해, 그 상측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지지볼트(83)은 또한, 상승회동위치에 배치된 회동브라켓(62)을 보강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기어유니트(31)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동력전달부(51) 사이에는 구동모터(23)의 작동을 단속하는 리미트스위치(91)가 설치되어 있다. 리미트스위치(91)는 예를 들어, 회전축(21)에 일체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캠(92)과, 이 캠(92)과 작용하여 구동모터(23)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93)로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의 작동을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의자들이 도 4에서와 같이 하강회동위치 즉, 접혀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의자(5)들이 하강회동위치 즉, 접혀진 상태에서는, 본 의자회동장치(10)의 코일스프링(64)이 인장되어 회동브라켓(62)을 상승회동방향으로 탄성적 가압하고 있다. 이 때, 제1 접철브라켓(72)은 회전축(21)을 축으로 상승회동위치에 배치되고, 제2 접철브라켓(75)은 이러한 제1 접철브라켓(72)과 상호 접철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부로부터 구동모터(23)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모터(23)가 일측방향 즉, 의자를 세울 수 있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구동모터(23)의 구동력이 감속기(27) 및 기어유니트(31)를 통해 회전축(21)에 전달되어, 회전축(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축(21)의 회전은 리미트스위치(91)에 의해 감지되며, 그 외주면에 결합된 캠(92)의 돌출부가 스위치부(93)를 가압하면 구동모터(23)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회전축(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양측 단부에 일체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철브라켓(72)이 하강회동한다. 이 때, 하강회동하는 제1 접철브라켓(72)과 접철된 제2 접철브라켓(75)이 접철회동축(78)을 축으로 상대 회동한다. 그리고, 이와 연동하여 제2 접철브라켓(75)과 힌지축(68)을 축으로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브라켓(62)이 상향 회동하여 일렬로 배치된 의자(5)들을 세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관중은 등받이(7)를 향해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는 시트(6)를 하향 가압하여 회동시켜, 그 상부에 앉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회동위치 즉, 세워진 의자(5)들을 하강회동위치 즉, 접혀진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역시 도시않은 콘트롤부의 조작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23)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식관람석의 각 계단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의자들을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으로 세우거나 눕힐 수 있는 수납식관람석의 의자회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수납식관람석의 의자회동장치는, 자동으로 의자들을 세우고 눕힐 수 있어서 종래 이러한 작업을 위해 필요한 작업인원 혹은 행사진행요원의 수를 줄임으로써, 소요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빠르게 수납식관람석을 인출 또는 수납시킬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회동장치가 장착된 수납식관람석이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사시도로서,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가 구동하여 관중이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의자가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
조 3은 도 2의 의자들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작동상태도로서, 의자가 원위치로 하강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로서, 기어유니트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는 도 5의 조립사시도,
도 7은 도 3의 본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로서,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도 7의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식관람석 5 : 의자
10 : 의자회동장치
11 : 연결대 21 : 회전축
23 : 구동모터 31 : 기어유니트
32 : 기어박스 33 : 구동베벨기어
34 : 웜휠 41 : 웜휠구동조립체
42 : 원통 웜 43 : 피동베벨기어
51 : 동력전달부 52 : 하우징
61 : 회동축 62 : 회동브라켓
64 : 코일스프링 68 : 힌지축
72 : 제1 접철브라켓 75 : 제2 접철브라켓
78 : 접철회동축 83 : 지지볼트
91 : 리미트스위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납식관람석(1)의 각 계단(3)에 일렬배치되는 복수의 의자(5)들을 자동회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일렬배치되는 복수의 의자(5)들의 하부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대(11);
    상기 수납식관람석(1)의 계단(3) 바닥면과 상기 연결대(11) 사이에 상기 연결대(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1);
    상기 회전축(21)과 상기 연결대(1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21)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대(11)에 전달하여 상기 일렬배치된 복수의 의자(5)들을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21)의 단부가 관통하며, 후방영역의 상하방향으로 회동안내홈(56)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52)과, 이 하우징(52)내에 상기 회전축(21)과 평행한 회동축(61)을 축으로 회동하며, 일단이 상기 회동안내홈(56)을 통해 상기 연결대(11)와 결합되어 있는 회동브라켓(62)과, 상기 회전축(21)의 단부와 상기 회동브라켓(62) 사이에 접철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동브라켓(62)의 회동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접철수단(71) 및 상기 회동브라켓(62)을 상기 원위치로 탄성적 가압하는 코일스프링(64)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51);
    상기 수납식관람석(1)의 계단(3)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유니트(31); 및
    상기 기어유니트(31)를 통해 상기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71)은,
    상기 회전축(21)에 일단이 일체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철브라켓(72);
    상기 회동브라켓(62)의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축(21)과 평행한 힌지축(68)에 일단이 결합된 제2 접철브라켓(75); 및
    상기 제1 접철브라켓(72)의 타단내에 수용된 상기 제2 접철브라켓(75)의 타단을 접철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접철회동축(78)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2)내에 상승 회동위치의 상기 회동브라켓(62)에 대하여 접근이반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브라켓(62)의 과도한 회동을 제한하는 한편, 상승 회동상태의 상기 회동브라켓을 보강지지하는 지지볼트(8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23)의 정역구동을 단속하는 리미트스위치(9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KR10-2002-0073650A 2002-11-25 2002-11-25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KR10052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50A KR100521374B1 (ko) 2002-11-25 2002-11-25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50A KR100521374B1 (ko) 2002-11-25 2002-11-25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92A KR20040045792A (ko) 2004-06-02
KR100521374B1 true KR100521374B1 (ko) 2005-10-12

Family

ID=3734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650A KR100521374B1 (ko) 2002-11-25 2002-11-25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23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호수산업 수납식 관람석 자동 절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386B1 (ko) * 2004-08-31 2007-08-22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보조관람석단을 갖는 수납식 관람석
KR100934128B1 (ko) * 2007-11-27 2009-12-29 주식회사 호수산업 수납식 관람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048A (en) * 1980-02-04 1981-10-13 Hussey Manufacturing Co.,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pivotally mounted seats
JPH07324503A (ja) * 1994-05-31 1995-12-12 Kotobuki:Kk 伸縮式階段状観覧席の起立転倒装置
KR0148470B1 (ko) * 1995-03-30 1998-11-02 김종성 수납식관람석의눕힘장치
JPH1122217A (ja) * 1997-06-30 1999-01-26 Okamura Corp 移動観覧席における座席起倒装置
JP2000204779A (ja) * 1999-01-19 2000-07-25 Kokuyo Co Ltd 収納式椅子の起倒動作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048A (en) * 1980-02-04 1981-10-13 Hussey Manufacturing Co.,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pivotally mounted seats
JPH07324503A (ja) * 1994-05-31 1995-12-12 Kotobuki:Kk 伸縮式階段状観覧席の起立転倒装置
KR0148470B1 (ko) * 1995-03-30 1998-11-02 김종성 수납식관람석의눕힘장치
JPH1122217A (ja) * 1997-06-30 1999-01-26 Okamura Corp 移動観覧席における座席起倒装置
JP2000204779A (ja) * 1999-01-19 2000-07-25 Kokuyo Co Ltd 収納式椅子の起倒動作連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23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호수산업 수납식 관람석 자동 절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92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253A (en) Variable bed having multiple functions
US5926877A (en) Adjustable supporting table
WO2006020368A2 (en) Single motor adjustable bed
US20040164601A1 (en) Chair with a rack-and-pinion assembly for adjusting height of a seat member
KR100521374B1 (ko) 수납식관람석 의자회동장치
US6152478A (en) Wheelchair with a pivoting back, seat and leg supports
CN114847703B (zh) 一种智能电动折叠震动型多功能沙发床
KR200305477Y1 (ko) 침대 겸용 소파
JPH02274973A (ja) 電動ステージ装置
CN211092803U (zh) 卧式园林椅
KR102365106B1 (ko) 오염방지용 커버가 구비된 벤치
CN209564566U (zh) 一种跑步机用扶手单元
TWM614020U (zh) 鉸鏈
WO1997025905A1 (en) Reclining office chair
JP2002177340A (ja) 折り畳み電動車椅子
JP4320221B2 (ja) 昇降便座
CN217827314U (zh) 一种智能电动折叠的多功能沙发床
CN215456679U (zh) 一种具有翻折靠背的礼堂椅
KR100352557B1 (ko) 스탠드용 시트의 일방향 회동장치
JP2003180762A (ja) 電動式寝台
KR200306808Y1 (ko) 의자
CN108821071B (zh) 一种能够自动打开平台踏板的残疾人电梯
KR200288282Y1 (ko) 메트리스 지지장치
JPH10315840A (ja) 車両用乗降ランプ装置
JP2581067Y2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