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953B1 -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 Google Patents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953B1
KR100520953B1 KR10-2002-0084525A KR20020084525A KR100520953B1 KR 100520953 B1 KR100520953 B1 KR 100520953B1 KR 20020084525 A KR20020084525 A KR 20020084525A KR 100520953 B1 KR100520953 B1 KR 10052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mixing tube
salt
gri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733A (ko
Inventor
예진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9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10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elongated tubular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1Flame diffusing means characterised by surface shape
    • F23D2203/1012Flame diffusing means characterised by surface shape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오븐레인지의 탑버너 하부에 마련되는 그릴실에 설치되는 버너로써; 전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혼합관(62)을 구비하며; 상기 혼합관의 외측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또는 단면적의 복수개의 염공이 형성되고; 입구측의 혼합관 상부에는 외측에서 최상부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불옮김염공(82)이 형성되며; 상기 최상부의 불옮김염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성형된 슬릿(84)을 구비하는 배플이 상기 혼합관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Grill burner for gas oven range}
본 발명은 가스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실 내부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그릴버너에서 소화실 발생하는 소화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탑버너(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탑버너(2)는 일반적인 용기를 올려놓고 가열하기 위한 버너이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2)의 하부에는 그릴실 및 오븐실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그릴실 및 오븐실은, 그릴도어(4) 및 오븐도어(6)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그릴실 및 오븐실의 내부에는 각각 별도의 버너가 설치되어 있어서,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도어(4)는 드로어타입으로 설치되어,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드로어어셈블리가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븐실도어(6)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잡아당겨서 오븐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실(4) 및 오븐실(6)에서 가열시 발생하는 연기 등은, 탑버너의 후면에 설치되는 백가드(8)를 통하여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백가드(8)를 나오는 열기 및 연기 등은, 주방에서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드 또는 후드겸용전자레인지에 의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도 2는 종래의 그릴실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2)과, 케이스체(10)으로 구성되는 그릴실의 내부에는, 한쌍의 그릴버너(14a,14b)이 설치된다. 상기 그릴버너(14a,14b)는 그릴실의 내부에서 양측 저면에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버너커버(16a,16b)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2)에는 다른 별도의 가열원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열원은 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 또는 별도의 버너가 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릴버너(14a,14b)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파이프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성형된 다수개의 염공을 통하여 나오는 가스를 점화하는 것에 의하여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그릴버너는, 원통상에 단순히 구멍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소화시 화염의 역류 및 그로 인한 소화음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시 충격적인 소화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화염을 형성할 수 있는 그릴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오븐레인지의 탑버너 하부에 마련되는 그릴실에 설치되는 버너로써; 전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혼합관을 구비하며; 상기 혼합관의 외측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또는 단면적의 복수개의 염공이 형성되고; 입구측의 혼합관 상부에는 외측에서 최상부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불옮김염공이 형성되며; 상기 최상부의 불옮김염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성형된 슬릿을 구비하는 배플이 상기 혼합관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릴버너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상판과 하판의 일부가 밀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상판과 하판이 이격되어, 상기 혼합관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판과 하판이 일정간격 이격되나, 연속되는 복수개의 압착부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복수개의 상기 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염공의 외측단부에서 가스가 분출되는 염공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염공이 형성된 부분의 상판의 외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염공이 하향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접하는 염공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비드염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불옮김염공에 의하여, 혼합관 내부의 잔류가스를 최종적으로 배기시킴으로써, 화염의 역류에 의한 소화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릴버너(이하에서는 단순히 버너라고도 칭함)는, 가스 및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70A)를 구비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버너의 중심부분을 따르는 길이방향으로는, 가스 및 공기의 혼합물이 유입되는 혼합관(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관(62)은, 후술하는 염공(7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 또는 큰 단면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버너에는, 상기 혼합관(62)의 적어도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통하도록 성형된 다수개의 염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염공(72)은, 일정한 길이(예를 들면 8mm 내지 15mm)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관(62)에 비하여 작은 직경 또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버너가 적용되는 그릴실에 대한 실시예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그릴실 내부 구성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릴실은,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그릴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부에 상판(42)을 조립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캐비티어셈블리(40)의 내부에는 드로어바디(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어바디(30)의 중심하부와, 상기 그릴캐비티어셈블리(40) 상에는 그릴의 하부에 설치되는 그릴버너(50)가 설치된다.
다음에는 상기 그릴버너(50)의 본체를 구성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그릴버너(50)는, 상판(60)과 하판(70)이 판금과정에 의하여 합쳐져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릴버너(50)의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릴버너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그릴버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중심으로 살펴 보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상판(60)과 하판(70)에 의하여 그릴버너(50)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60)과 하판(70)의 중심부분을 따라서 혼합관(62)가 형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관(62)은, 입구(70A)에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가 일정한 범위 내의 비율로 혼합되어 유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혼합관(62)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 또는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만일 소화시 화염이 여기까지 역류하게 되면, 소화음이 매우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혼합관(62)를 기준으로 우측은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우측의 상판(60) 단부는 하판(70)의 단부를 감싸도록 컬링된 컬링단부(64)를 형성하고 있어서, 양자 사이가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혼합관(62)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혼합관(62)에서 외측으로 복수개의 염공(72)가 형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염공(72) 사이에는, 상판(60)과 하판(70)이 압착되는 압착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판(60)과 하판(70)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키되, 복수개의 압착부(76)에서 상판(60)과 하판(70)이 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은 염공(72)이 형성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염공(72)의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상판(60)과 하판(70)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것이어서, 상기 혼합관(62) 내부의 혼합 가스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염공(72)의 단부에는 가스가 분출되는 염공단부(74)가 형성된다. 상기 염공단부(74)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가 점화되어 연소됨으로써, 그릴버너(50) 자체에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버너(5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염공(72)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공단부(74)을 형성하는 상판(60)의 일측단부(66)는 하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염공단부(74)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60)의 일측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염공단부(74)는 실질적으로 하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염공(7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판(60)에는 상부로 볼록하도록 바이패스 비드염공(6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비드염공(61)은 상술한 염공(72)과 거의 직각을 이루고, 인접 염공(72)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드염공(61)은,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염공(72)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드염공(61)의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너의 소화시 화염의 역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화음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릴버너(50)의 일측에만, 염공(72) 및 염공단부(74)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혼합관(62)를 기준으로 좌측부분의 구성을, 혼합관(62)의 우측부분에도 형성함으로써, 양측에 염공을 형성하여, 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배플(8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버너(50)의 입구측 상부에는, 상부를 감싸는 형태의 배플(80)이 설치된다. 상기 배플(80)은, 예를 들면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버너(50)의 상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스크류 등에 의하여 버너(5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배플(80)과 버너(50)의 상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고, 이는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버너(5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불옮김염공(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불옮김염공(72)은 혼합관(62)에서 가스가 분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염(F)에 인접한 위치에서 혼합관(62)의 중심위치까지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불옮김염공(82)은 상기 염공(72)에서 형성되는 화염(F)에 의하여 점화되어 불꽃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불꽃은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상기 불옮김염공(82)이 형성된 부분의 버너(50)의 상부에는, 배플(80)이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버너(50)의 상부와 배플(8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불옮김염공(82)에서 형성되는 화염은 상기 간격을 통하여,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까지 옮겨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플(80)의 전방 상부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슬릿(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84)은,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의 불옮김염공(82)에서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으로 옮겨진 화염은 상기 슬릿(84)을 통하여 상부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화염은, 다른 버너의 점화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불옮김염공(82)의 구성은, 이와 같은 불옮김 기능 이외에, 혼합관(62) 내부의 잔류가스를 배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소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불옮김염공(82)을 통하여 형성되는 화염은 상부에 있는 배플(80)의 슬릿(84) 부분을 가열하여 고온화시키게 되고, 그 부분에서 강한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이렇게 고온화되는 배플(80)의 슬릿(84) 부분은, 연소가 차단되는 순간 버너 내부의 잔류가스를 상승시키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소화가 된다. 이 때 최종적으로 소화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혼합관(62) 내부의 가스가 최후로 상기 불옮김염공(최상부의 것)(82)을 통하여 배기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화염이 역류하는 것에 의한 소화음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의 화염이 최종적으로 꺼지는 것은, 혼합관 내부의 잔류가스가, 상기 슬릿(84) 주변에서 형성되는 상승기류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다른 염공(72) 부분에서는 잔류가스가 빨리 제거되면서, 상기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 측으로 마지막 가스가 배기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상기 슬릿(84) 주변의 상승기류도 이와 같은 가스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84)이 형성된 배플(80)은, 혼합관(62)의 외측면과는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1mm 내지 3mm)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간격도 실질적으로 염공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도 일정한 길이의 염공을 가지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염공의 길이에 의하여, 상기 불옮김염공(82)에서 형성된 화염이 역류하면서 소화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돕게 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소화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다음과 같은 구조에 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염공(72)은, 실질적으로 작은 단면적 또는 직경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염공(72)의 내부에서는, 역류하는 화염에 의한 소화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거나 발생하더라도 실제로 느끼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염공(72)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는 비드염공(61)의 구성에 의하면, 역류하는 화염은, 상기 비드염공(61)과 염공(72)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분산되면서, 거의 완전하게 소화된다. 따라서 혼합관(62) 까지 화염이 역류하면서 소화되는 경우 발생하는 소화음은 상대적으로 크나,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의 염공(72)에서 발생하는 소화음은 실질적으로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염공(72)을 가지는 버너구조에 의하면, 소화시 발생하는 소화음의 발생은 실제로 거의 느끼지 못하는 정도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를 적용하게 되면, 연소시 형성되어 있는 화염을 소화할 때 발생하는 소화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너의 혼합부에 형성된 불옮김공 및 배플에 의하여, 혼합관 내부의 잔류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소화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화음의 최소화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염공에 의하여, 더욱이 비드염공에 의하여 더욱 확실하게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오븐레인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그릴실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릴버너의 상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그릴버너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그릴버너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그릴버너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그릴버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그릴버너가 적용되는 그릴실의 내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그릴버너 60 ..... 상판
61 ..... 비드염공 62 ..... 혼합관
64 ..... 컬링 단부 70 ..... 하판
72 ..... 염공 74 ..... 염공단부
80 ..... 배플 82 ..... 불옮김염공
84 ..... 슬릿

Claims (5)

  1. 가스오븐레인지의 탑버너 하부에 마련되는 그릴실에 설치되는 버너로써;
    전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혼합관(62)을 구비하며; 상기 혼합관(62)의 외측으로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또는 단면적의 복수개의 염공이 형성되고; 입구측의 혼합관(62) 상부에는 외측에서 최상부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불옮김염공(82)이 형성되며; 상기 최상부의 불옮김염공(82)에 대응되는 혼합관(62)의 상부에는 배플이 상기 혼합관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버너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상판(60)과 하판(70)의 일부가 밀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상판과 하판이 이격되어, 상기 혼합관(62)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관(62)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판과 하판이 일정 간격 이격되나, 연속되는 복수개의 압착부(76)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복수개의 상기 염공(72)이 형성되며;
    상기 염공의 외측단부에서 염공단부(7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이 형성된 부분의 상판의 외측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염공이 하향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염공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비드염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에는 상기 혼합관의 최상부의 불옮김염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84)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KR10-2002-0084525A 2002-12-26 2002-12-26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KR10052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525A KR100520953B1 (ko) 2002-12-26 2002-12-26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525A KR100520953B1 (ko) 2002-12-26 2002-12-26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733A KR20040057733A (ko) 2004-07-02
KR100520953B1 true KR100520953B1 (ko) 2005-10-17

Family

ID=3735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525A KR100520953B1 (ko) 2002-12-26 2002-12-26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708B1 (ko) * 2010-02-09 201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733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705B2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KR100520953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JP4279824B2 (ja) グリル用バーナ
EP2149750B1 (en) Burner and gas oven including the same
EP2161503B1 (en) Reflecto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101220624B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 상부버너
KR20040061370A (ko) 가스오븐레인지용 그릴버너
KR20040057736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KR100629739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버너 점화장치
JP7489342B2 (ja) 加熱調理器
KR910009224B1 (ko) 구이기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CN215175048U (zh) 一种新型喷火枪
JP2000245624A (ja) ガスグリル
CN219414762U (zh) 上燃烧器、烤箱和烤箱灶
JP3005845B2 (ja) グリル庫の排気構造
JP2022139066A (ja) 加熱調理器
JP2922831B2 (ja) 焙焼器用上バーナ
JP2819813B2 (ja) 焼成調理器
JP3703593B2 (ja) 調理用ガスグリルおよびガスバーナ
KR20030059904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버너 점화장치
KR100209527B1 (ko) 그릴연소장치
KR200177737Y1 (ko) 오븐렌지의 오븐버너를 이용한 그릴조리구조
JP6832556B2 (ja) グリルバーナ及びグリル付コンロ
JP2022033441A (ja) グリル用バーナ及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