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64B1 -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64B1
KR100517764B1 KR10-2004-0010738A KR20040010738A KR100517764B1 KR 100517764 B1 KR100517764 B1 KR 100517764B1 KR 20040010738 A KR20040010738 A KR 20040010738A KR 100517764 B1 KR100517764 B1 KR 10051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molding
sensing means
mold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315A (ko
Inventor
박수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7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75War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를 개선하여 성형 후 성형물이 자동으로 취출 되도록 하는 동시에, 성형물의 미취출시 이를 외부로 지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의 상부금형(300) 내부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감지수단(110)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상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1감지수단(110)과 접촉하며 하단은 돌출 되어 하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취출수단(120)으로 이루어진 상부유닛(100)과; 프레스의 하부금형(40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감지수단(210)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하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2감지수단(210)과 접촉하며 상단은 돌출 되어 상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취출수단(220)으로 이루어진 하부유닛(200)으로 구성되어, 작업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성형물은 물론 프레스 자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Device for detaching and sensing an article for press}
본 발명은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를 개선하여 성형 후 성형물이 자동으로 취출 되도록 하는 동시에, 성형물의 미취출시 이를 외부로 지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작업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성형물은 물론 프레스 자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재료에 힘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굽힘·전단·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를 말하며, 프레스 가공을 간단히 프레스라고도 한다.
프레스 가공의 대표적인 예는, 주로 금속판에 압축력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여러 모양을 만들어낸 것으로 시계·카메라의 정밀부품에서부터 자동차의 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이용되며, 이러한 프레스 가공의 재료로는 강판·동판·황동판·알루미늄판은 물론 플라스틱·섬유 등도 사용되고, 프레스 가공의 특징으로는 특별히 가열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정확한 치수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교환성이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스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프레스에 대한 성형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프레스에 대한 성형 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다.
종래의 프레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측에 위치하여 양각된 상부금형(10)과, 하측에 위치하여 음각된 하부금형(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 사이에 성형물(30)을 놓은 후, 모터 혹은 엑추에이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승강 하게 되는 슬라이더(미도시)에 고정 체결된 상기 상부금형(10)이 성형물(30)에 큰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은 프레스 몸체 혹은 슬라이더 등 적절한 위치에 클램프 및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하여 고정되며, 통상, 상기 하부금형(20)의 중앙에는 완충재 역할을 하는 패드(21) 및 쿠션핀(22) 등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레스를 통한 프레스 가공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20) 중앙에 성형물(30)을 놓은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0)을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의 형상에 부합하는 성형물(30)이 성형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0)을 원래의 높이로 복귀시키게 되면, 성형물(30)은 실선으로 도시된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의 중앙으로 취출 됨으로써 프레스 가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스는 성형물을 성형한 상부금형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켰을 경우, 도 3에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물이 상부금형의 외주면에 끼이거나, 혹은 도 3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물이 하부금형의 내주면에 끼이게 됨으로써, 성형물이 프레스 가공 후 프레스로부터 취출 되지 않게 되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뿐 아니라, 가공 후의 성형물이 상부금형 혹은 하부금형에 그대로 잔존한 상태를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한 체 지속적인 성형작업 수행시, 성형물의 손상은 물론 프레스 자체의 파손까지도 발생하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스의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내부에 감지수단 및 취출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성형물이 취출수단을 통하여 상부금형 혹은 하부금형으로부터 자동 취출 되도록 하는 동시에, 성형물의 취출 여부를 감지수단이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성형물은 물론 프레스 자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스의 상부금형 내부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감지수단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상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1감지수단과 접촉하며 하단은 돌출 되어 하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취출수단으로 이루어진 상부유닛과; 프레스의 하부금형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감지수단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하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2감지수단과 접촉하며 상단은 돌출 되어 상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취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하부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에 대한 성형 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의 상부금형(300) 내부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감지수단(110)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상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1감지수단(110)과 접촉하며 하단은 돌출 되어 하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취출수단(120)으로 이루어진 상부유닛(100)과; 프레스의 하부금형(40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감지수단(210)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하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2감지수단(210)과 접촉하며 상단은 돌출 되어 상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취출수단(220)으로 이루어진 하부유닛(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유닛(220)은 프레스의 하부금형(400) 내부 중앙에 마련된 패드(41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측에 위치하여 양각된 상부금형(300)의 내부에 마련된 상부유닛(100)과, 하측에 위치하여 음각된 하부금형(400)의 내부에 마련된 하부유닛(2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은 각각 탄성수단(111, 121, 221)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지지되는 감지수단(110, 210) 및 취출수단(120, 2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레스 가공시 상기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 사이에 성형물(500)을 놓은 후, 모터 혹은 엑추에이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승강 하게 되는 슬라이더(미도시)에 상부금형(300)을 고정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금형(300)이 승강 하면서 성형물(500)에 큰 압력을 가하여 성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은 프레스 몸체 혹은 슬라이더 등 적절한 위치에 클램프 및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하여 고정되며, 통상, 상기 하부금형(400)의 중앙에는 완충재 역할을 하는 패드(23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유닛(100)에 마련된 제1감지수단(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300) 내부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소정구간 좌우로 유동 가능하며, 탄성수단(111)에 의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지되며, 그 내측단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유닛(100)의 제1취출수단(120)은 상기 상부금형(300) 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소정구간 상하로 유동 가능하며, 탄성수단(121)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지되어 그 하단이 성형물(500)을 탄성적으로 취출 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 상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1감지수단(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취출수단(120)은 탄성수단(121)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부금형(300)의 하단 외주면에 끼인 성형물(500)을 탄성적으로 취출 시키게 되며, 만약 제1취출수단(120)의 탄지력에 의하여 성형물(500)이 취출 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1감지수단(110)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프레스 내부에 성형 가공된 성형물(500)이 취출 되지 않았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유닛(200)에 마련된 제2감지수단(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400) 내부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소정구간 전후로 유동 가능하며,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지되며, 그 내측단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유닛(200)의 제2취출수단(220)은 상기 하부금형 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소정구간 상하로 유동 가능하며, 탄성수단(221)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지되어 그 상단이 성형물(500)을 탄성적으로 취출 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 하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2감지수단(2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취출수단(220)은 탄성수단(221)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하부금형(400)의 상단 내주면에 끼인 성형물(500)을 탄성적으로 취출 시키게 되며, 만약 제2취출수단(220)의 탄지력에 의하여 성형물(500)이 취출 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2감지수단(220)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프레스 내부에 성형 가공된 성형물(500)이 취출 되지 않았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기 제1감지수단(110) 혹은 제2감지수단(21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취출수단(120)을 강제적으로 하강시키거나, 제2취출수단(220)을 강제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가공된 성형물(500)을 수동적으로 상부금형(300)나 혹은 하부금형(4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를 통한 프레스 가공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400) 중앙에 성형물(500)을 놓은 후, 상부금형(300)을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의 형상에 부합하는 성형물(500)이 성형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300)을 원래의 높이로 복귀시켰을 때, 상기 상부금형(300)의 상부유닛(100)에 마련된 제1취출수단(120)이 탄성수단(121)을 통하여 하측방향으로 탄지되면서 상부금형(300) 하단 외주면에 끼인 성형물(500)을 탄성적으로 취출 시키게 되며, 상기 하부금형(400)의 하부유닛(200)에 마련된 제2취출수단(220)이 탄성수단(221)을 통하여 상측방향으로 탄지되면서 하부금형(400) 상단 내주면에 끼인 성형물(500)을 탄성적으로 취출 시키게 되는 것이다.
만약, 성형물이 제1취출수단(120) 혹은 제2취출수단(220)의 탄지력에 의하여 상부금형(300) 혹은 하부금형(400)으로부터 취출 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1취출수단(120)은 상부금형(300) 내에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취출수단(120)의 테이퍼부와 제1감지수단(110)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제1감지수단(110)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상부금형(300)으로부터 성형물(500)이 취출 되지 않았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돌출된 제1감지수단(110)에 외력을 가하여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제1감지수단(110)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제1취출수단(120)을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상부금형(300) 하단에 끼인 성형물(500)을 수동적으로 취출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취출수단(220) 또한 하부금형(400) 내에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취출수단(220)의 테이퍼부와 제2감지수단(210)의 경사면이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제2감지수단(210)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하부금형(400)으로부터 성형물(500)이 취출 되지 않았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돌출된 제2감지수단(210)에 외력을 가하여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제2감지수단(210)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제2취출수단(220)을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하부금형(400) 하단에 끼인 성형물(500)을 수동적으로 취출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는 성형물(500)을 성형한 상부금형(300)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켰을 경우, 취출수단(120, 220)의 탄지력에 의하여 성형물(500)을 자동적으로 취출 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5에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물(500)이 상부금형(300)의 외주면에 끼이거나, 혹은 도 5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물(500)이 하부금형(400)의 내주면에 끼여, 가공 후의 성형물(500)이 상부금형(300) 혹은 하부금형(400)에 그대로 잔존한 상태를 감지수단(110, 210)의 돌출 여부를 통하여 프레스 외부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형작업에 의한 성형물(500)의 손상이나, 프레스 자체의 파손까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 또한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프레스의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내부에 감지수단 및 취출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성형물이 취출수단을 통하여 상부금형 혹은 하부금형으로부터 자동 취출 되도록 하는 동시에, 성형물의 취출 여부를 감지수단이 작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성형물은 물론 프레스 자체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스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프레스에 대한 성형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프레스에 대한 성형 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에 대한 성형 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유닛 110 : 제1감지수단
111, 121, 221 : 탄성수단 120 : 제1취출수단
200 : 하부유닛 210 : 제2감지수단
220 : 제2취출수단 300 : 상부금형
400 : 하부금형 410 : 패드
500 : 성형물

Claims (2)

  1. 프레스의 상부금형 내부에 횡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감지수단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상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1감지수단과 접촉하며 하단은 돌출 되어 하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1취출수단으로 이루어진 상부유닛과;
    프레스의 하부금형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감지수단과, 수직하게 배설되어 하단은 테이퍼 가공되어 상기 제2감지수단과 접촉하며 상단은 돌출 되어 상측방향으로 탄지되는 제2취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하부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프레스의 하부금형 내부 중앙에 마련된 패드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KR10-2004-0010738A 2004-02-18 2004-02-18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KR10051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38A KR100517764B1 (ko) 2004-02-18 2004-02-18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38A KR100517764B1 (ko) 2004-02-18 2004-02-18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315A KR20050082315A (ko) 2005-08-23
KR100517764B1 true KR100517764B1 (ko) 2005-09-28

Family

ID=3726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738A KR100517764B1 (ko) 2004-02-18 2004-02-18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6473B (zh) * 2016-08-02 2018-06-05 中山胜祥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顶出功能的电器配件制造用冲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315A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83833B (zh) 冲孔落料复合模具及冲孔落料方法
CN206483908U (zh) 模具的限位装置
JP4549521B2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金型
KR100517764B1 (ko) 프레스의 성형물 취출 및 감지장치
KR101352511B1 (ko) 범퍼 빔 금형 장치 및 범퍼 빔 제조 방법
KR20160082451A (ko) 반도체 소자 몰딩 장치
KR101520802B1 (ko) 순차 가공 소재의 성형 탈형장치
JP2007021947A (ja) 成形装置
KR101386887B1 (ko) 클램핑 및 단차가공 동시 구동형 단차성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재 성형장치
CN215144027U (zh) 一种系列产品通用模具定位结构
CN211191598U (zh) 一种特殊的落料模具结构
CN213533600U (zh) 一种控制薄壁塑件翘曲的模具结构
KR20110000249A (ko) 사출 성형물 가공용 금형장치
KR20080098968A (ko) 형체장치의 이동형판
KR101299030B1 (ko) 가공물을 보호하도록 한 프레스금형의 이젝트핀 구조
KR101965392B1 (ko)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KR100663269B1 (ko) 상형금형의 언더컷 성형장치
JP5543531B2 (ja) 剥離板を設けた微細構造転写成形装置
CN218283353U (zh) 一种盖板生产设备
CN211539193U (zh) 一种汽车车门冲压模具
CN217223227U (zh) 一种平整脱模的拉深成型模具
CN216782566U (zh) 一种便于使用的汽车用塑料制品用全自动注塑模具
CN207224390U (zh) 车灯用模具
JP5266838B2 (ja) プレス成形品の分離装置
CN213257046U (zh) 一种防止产品刮伤的模具斜顶顶针延迟顶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