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24B1 -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24B1
KR100516424B1 KR10-2000-7006694A KR20007006694A KR100516424B1 KR 100516424 B1 KR100516424 B1 KR 100516424B1 KR 20007006694 A KR20007006694 A KR 20007006694A KR 100516424 B1 KR100516424 B1 KR 10051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weight
copolymer
weight perc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258A (ko
Inventor
카를하인츠 하우스만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3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0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두께에서 양호한 입자 보유성 및 낮은 광택을 가지며 많은 용도,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가격이 경쟁적인 열성형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35 중량%, (b) 에틸렌 함량이 60 내지 80 중량%인 비가교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0 내지 30 중량%, (c) 에틸렌과 α,β-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의 이오노머성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d) 에틸렌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 (e) 폴리에틸렌 5 내지 20 중량%, 및 (f)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탄성중합체 0 내지 25 중량%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본 발명은 열성형성인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열성형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층품, 쉬이트 및 필름을 제조하는데 유용하며, 많은 통상의 용도에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수지를 대체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성형 제품은 자동차 분야에 있어 PVC 대체품으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조성물 및 제품은 자동차의 내부 피복물, 예를 들어, 장치 판넬 표피물, 문 판넬, 천장 라이너 및 시트 커버의 제조에 유용하다.
자동차 용도는 양호한 가요성, 저온 특성, 유연한 표면 텍스쳐의 제공 능력 및 입자 보유성을 포함하는 수지내 특정한 특성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고온 특성, 및 자동차의 내부의 매우 높은 온도에서 낮은 방사성이 고온의 여름철에 달성될 필요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이오노머 수지,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비가교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PVC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이 미국 특허 제5,206,294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블렌드는 대부분의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어 있고, 양호한 열성형성 및 입자 보유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렌드는 얇은 두께가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몇몇 단점을 갖는다. 약 1 mm 이하의 두께에서, 낮은 엠보싱 깊이는 불충분한 입자 보유성을 초래할 수 있고, 더욱이, 이러한 블렌드는 특정 용도에 대해 너무 값이 비쌀 수 있다.슐만(Schulman) GMBH에 허여된 DE 196 10 415는 사출 성형 용도의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비가교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이오노머성 공중합체,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에폭시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에폭시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이어야 한다: 식중, n은 0 내지 10이고, R1은 수소, 알킬, 아랄킬 또는 아릴기이고, R2는 알킬, 아랄킬, 알킬알콕시,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케닐기이고, n이 0이 아닌 경우, R3이고, n이 0인 경우, R3는 수소이다. 에폭시드 화합물은 n-부틸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 에테르, 장쇄 지방족 알코올의 글리시딜 에테르 등일 수 있다.EP 0 452 010 A2는 결정성 프로필렌 중합체, 랜덤 스티렌성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탄성중합체성 올레핀 중합체, 및 에폭시기 함유 올레핀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양호한 인성 및 내열변형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얇은 두께에서 양호한 입자 보유성 및 낮은 광택을 가지며 많은 용도에 대해 가격이 경쟁적인 열성형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35 중량%, (b) 에틸렌 함량이 60 내지 80 중량%인 비가교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0 내지 30 중량%, (c) 에틸렌과 α,β-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의 이오노머성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d) 에틸렌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 (e) 폴리에틸렌 5 내지 20 중량%, 및 (f)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탄성중합체 0 내지 25 중량%를 함유한다.
조성물의 성분 (a)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성분 (a)가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져 있고, 단일 중합체에 이외에 또한 고급 또는 저급 α-올레핀, 예를 들어, 에틸렌, 부텐, 옥텐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8의 α-올레핀을 소량으로, 일반적으로 15 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지수는 230℃/2.16 kg에서 약 0.07 내지 30 g/10분이다.
성분 (a)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15 중량%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한다. 그러한 중합체는 당업계의 숙련자에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시판된다.
성분 (a)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10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로 존재한다.
비가교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성분 (b))는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EPDM)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일 수 있다. EPDM은 성분 (b)로서 바람직하다. 비가교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는 약 60 내지 80 중량%, 일반적으로 약 65 내지 75 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한다.
비공액 디엔은 적어도 한 개가 용이하게 중합가능한 이중결합인 6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비공액 디엔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7 중량%, 일반적으로 2 내지 5 중량%이다. 특히 바람직한 EPDM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렌/프로필렌/노르보르넨, 에틸렌/프로필렌/메틸렌-2-노르보르넨 및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노르보르나디엔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는 비가교된 것이 바람직하다. 블렌드중에 성분 (a)(ii)로서 존재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는 1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이다.
성분 (b)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로 존재한다.
에틸렌과 α,β-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의 이온성 공중합체(성분(c))는 임의로는 에틸렌과 공중합성인 적어도 1종의 연화 공단량체를 함유한다.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은 바람직한 산 공단량체이다. 연화 공단량체는 n-프로필, n-부틸, n-옥틸, 2-에틸헥실- 및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n-부틸, 2-에틸헥실- 및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이다. 연화 공단량체는 또한 n-부틸, n-헥실, 2-에틸헥실- 및 2-메톡시에틸-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킬 비닐 에테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 비닐 에테르는 n-부틸 비닐 에테르 및 n-헥실 비닐 에테르이다. 공단량체는 나트륨, 칼륨, 아연, 칼슘, 마그네슘, 리튬, 알루미늄, 니켈 및 크롬과 같은, 원소 주기표의 Ia, Ib, IIa, IIIa, IVa, VIb 및 VIII 족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으로 약 10 내지 70% 중화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나트륨, 칼륨, 아연,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이온을 사용하는 중화에 의해 이온화된 카르복실산기를 약 35 내지 약 70%로 함유한다. 성분 (c)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1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로 존재한다.
에틸렌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성분 (d))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단위를 함유한다.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60 내지 88 중량%의 에틸렌 및 1 내지 12 중량%의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에틸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n-부틸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직접 중합, 예를 들어, 에틸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를 유리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 승온, 일반적으로 100 내지 230℃, 및 승압, 즉 140 내지 350 MPa에서 공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 n-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화합물 (d)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2 내지 6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중량%로 존재한다.
폴리에틸렌 성분(성분(e))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다. LLDPE는 통상의 LDPE와 비교하여 거의 장쇄 분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계열이다. LLDPE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이 폴리올레핀의 상업적 등급이 시판되고 있다. 용어 LLDPE는 에틸렌과 기타 알파-올레핀, 예를 들어,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LLDPE의 용융지수는 190℃/2.16 kg에서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다. 성분 (a)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로 존재한다.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탄성중합체(성분 (f))는 탄소수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알파-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참조, 미국 특허 제5,272,236호, 제5,278,272호, PCT WO 94/06817). 알파-올레핀은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및 1-도데센, 바람직하게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이다. 성분(f)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고 전단 조건하에, 예를 들어, 압출기에서 중합체 성분을 용융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된다. 먼저, 각종 성분을 또 다른 성분과 예를들어 펠렛 블렌드로 배합하거나, 각종 성분을 동시 또는 별도의 계량을 통해 또 다른 성분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을 나누고, 한 개 이상의 통로에서 별도의 혼합 장치 부분중으로 블렌딩할 수 있다.
생성된 조성물은 쉬이트를 포함하는 각종 제품으로 열성형될 수 있거나 임의의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이 조성물은 자동차용 장치 판넬 표피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높은 디프-드로(deep-draw) 비로 열성형될 수 있다. 이외에, 제품을 열성형전에 발포체로 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품은 특히 자동체 용도에 유용하다.
우수한 저온 가요성 및 고온 내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폭넓은 범위의 온도 및 연마 조건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이외에, 이들 조성물은 승온, 예를 들어, 150 내지 200℃에서 금속에 접착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온 중합체가 고온 금속 롤과 압력으로 접촉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이해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서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백분율은 중량 단위이다.
조성물을 25 mm 프리즘(PRISM)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배합하였다. 모든 성분을 염 및 페퍼(pepper) 블렌드로서 제조하고, 압출기를 나온후 과립화하였다. 이 방식에서 얻어진 과립을 또다른 압출기에서 용융하여 두께 1 mm의 쉬이트를 압출하고, 이어서 엠보싱 롤상에서 엠보싱하였다. 그 후, 쉬이트를 상업적 계기판 형태상에 열성형하였다. 입자 정의 및 광택을 객관적으로 비교하였다.
실시예에 사용되는 성분은:
1. 모플렌(MOPLEN)(등록상표명) 30CS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 용융 유동 지수 230℃ ASTM D-1238, 조건 L에서 8 g/10분(Montell사 제조)
2. 하이팩스(HIFAX)(등록상표명) CA12A 폴리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Montell사 제조)
3. 노르델(NORDEL)(등록상표명) 3681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DuPont-Dow Elastomers사 제조)
4. 설린(SURLYN)(등록상표명) 9520 아연 이오노머(DuPont사 제조)
5. 엘발로이(ELVALOY)(등록상표명) AS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DuPont사 제조)
6. 스타밀란(STAMILAN)(등록상표명) 2200TC00 폴리에틸렌-MFI=0.3; DSM 1808 폴리에틸렌-MFI=8(DSM사 제조)
7. 인게이지(ENGAGE)(등록상표명) 8150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탄성중합체(DuPont-Dow Elastomers사 제조)
엘발로이 AS 및 설린은 각각 중합체 개질제 및 이오노머 수지로서 E.I. du Pont de Nemours사의 상표명이다.
스타밀란은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DSM사의 상표명이다.
인게이지 및 노르델은 각각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및 EPDM 탄성중합체 수지로서 DuPont-Dow Elastomers사의 상표명이다.
하이팩스는 폴리프로필렌 반응기 공중합체로서 Montell사의 상표명이다.
모플렌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Montell사의 상표명이다.
하기 양은 중량%이다.
대조물 1 2 3 4 5
모플렌 30CS 20 20
하이팩스 CA12A 30 30 30 30 10
노르델 3681 44 20
인게이지 8150 18 28 28 25 25
엘발로이 AS 2 2 2 2 6 6
설린 9520 34 20 20 20 20 20
DSM 1808 10 20
스타밀란 2200TC00 20 19 19
결과
MFI 0.03 0.06 0.3 0.2 N/A 0.04
엠보싱 불량함 양호함 양호함 양호함 양호함 양호함
입자 보유성 매우 양호함 가장 양호함 가장 양호함
열성형성 양호함 불량함 불량함 적절함 적절함 적절함
광택 낮음 높음 높음 낮음 가장 낮음 가장 낮음
시험 결과는 노르델 고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대체하는 것은 엠보싱 성능을 개선하나(엠보싱 깊이를 증가시킴), 또한 MFI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원치않는 광택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서, 낮은 광택, 양호한 엠보싱 및 낮은 MFI를 갖는 쉬이트를 얻기 위해 낮은 MFI 폴리에틸렌 및 높은 수준의 가교제 엘발로이 A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열성형성은 상이한 용융 온도를 갖는 2종의 상이한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존재로 인해 약간 떨어진다.

Claims (9)

  1. (a)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35 중량%,
    (b) 에틸렌 함량이 60 내지 80 중량%인 비가교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0 내지 30 중량%,
    (c) 에틸렌과 α,β-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의 이오노머성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d) 에틸렌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
    (e) 폴리에틸렌 5 내지 20 중량%, 및
    (f)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탄성중합체 0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폴리프로필렌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10 내지 30 중량%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f)가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탄성중합체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f)가 15 내지 25 중량%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6. (a)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35 중량%,
    (b) 에틸렌 함량이 60 내지 80 중량%인 비가교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0 내지 30 중량%,
    (c) 에틸렌과 α,β-불포화 C3-C8 카르복실산의 이오노머성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d) 에틸렌과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
    (e) 폴리에틸렌 5 내지 20 중량%, 및
    (f)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탄성중합체 0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열성형된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제품이 장치 판넬 표피물인 열성형된 제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품이 열성형전에 발포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인 열성형된 제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e)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조성물.
KR10-2000-7006694A 1997-12-18 1998-12-11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KR100516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3986 1997-12-18
EP97203986.1 1997-12-18
PCT/US1998/026423 WO1999031177A1 (en) 1997-12-18 1998-12-11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258A KR20010033258A (ko) 2001-04-25
KR100516424B1 true KR100516424B1 (ko) 2005-09-23

Family

ID=822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694A KR100516424B1 (ko) 1997-12-18 1998-12-11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40162B1 (ko)
JP (1) JP2002508424A (ko)
KR (1) KR100516424B1 (ko)
CA (1) CA2314084A1 (ko)
DE (1) DE69835233T2 (ko)
WO (1) WO19990311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498B1 (ko) 2016-07-28 2018-04-19 주식회사 디와이엠 솔루션 인입성이 향상된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 전선
WO2021107723A1 (ko) * 2019-11-28 2021-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료용 호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6586T2 (de) * 2000-08-18 2006-08-31 Riken Technos Corp.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und daraus geformte Laminate
US7741408B2 (en) 2003-03-28 2010-06-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Low gloss thermoformable flooring structure
EP2650329B1 (en) 2012-04-12 2017-04-05 Borealis AG Automotive material with high quality perception
WO2016089647A1 (en) * 2014-12-02 2016-06-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ynamic vulcanization of a blend composition,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EA034411B1 (ru) 2015-10-06 2020-02-05 Бореалис Аг Композиции полипропилен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автомоби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CN112679861A (zh) * 2020-12-15 2021-04-20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免火焰处理汽车保险杠用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8747A (en) * 1990-03-30 1990-11-06 Arco Chemical Technology, Inc. Compatibilized blends of crystalline propylene polymers and styrenic copolymers
US5206294A (en) * 1991-11-06 1993-04-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alloy composition
DE19610415A1 (de) * 1996-03-16 1997-09-18 Schulman A Gmbh Thermoplastische Formmas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498B1 (ko) 2016-07-28 2018-04-19 주식회사 디와이엠 솔루션 인입성이 향상된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 전선
WO2021107723A1 (ko) * 2019-11-28 2021-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료용 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08424A (ja) 2002-03-19
CA2314084A1 (en) 1999-06-24
DE69835233T2 (de) 2007-05-31
WO1999031177A1 (en) 1999-06-24
EP1040162B1 (en) 2006-07-12
DE69835233D1 (de) 2006-08-24
KR20010033258A (ko) 2001-04-25
EP1040162A1 (en) 200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67B1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A2008925C (en) Ionomer composition
JP2886107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シート状成形体
TWI650331B (zh) 交聯體與其製造方法及用途,暨乙烯系共聚合體
US5721314A (en) Thermoformable thermoplastic polymer alloy compositions
US4863995A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EP0613487A1 (en) THERMOPLASTIC POLYMER ALLOY COMPOSITION.
KR102445633B1 (ko) 블렌드 조성물의 동적 가황,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20110030704A (ko) 개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1012084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1520248A (ja) 熱可塑性ポリマーアロイ組成物
KR100516424B1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EP0922729B1 (en) Thermoformable thermoplastic polymer alloy compositions
US6288156B1 (en) Calenderable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US6407172B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JPH11124440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WO1999011698A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EP0299486B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H11124441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JPS5842643A (ja) 樹脂組成物
JP3895857B2 (ja) 熱成形可能熱可塑性ポリマーアロイ組成物
JPH0823178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S60127149A (ja) 表面光沢及び表面硬度良好な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80335A (ja) 樹脂組成物
JPS63674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