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515B1 -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515B1
KR100514515B1 KR10-2003-0015786A KR20030015786A KR100514515B1 KR 100514515 B1 KR100514515 B1 KR 100514515B1 KR 20030015786 A KR20030015786 A KR 20030015786A KR 100514515 B1 KR100514515 B1 KR 10051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horn
membrane
horn switch
cov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802A (ko
Inventor
김국종
이준희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5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H와 I형의 개봉 패턴이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와, 커버에 형성된 센터 개봉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멤브레인 혼 스위치 및 반동 판과, 반동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멤브레인 혼 스위치가 스태킹으로 고정된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는 센터 개봉 라인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1피스로 구비하고, 2피스인 반동 판의 중앙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스태킹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멤브레인 혼 스위치의 실제 작동영역을 넓혀 균일한 성능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membrane horn for an air ba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와 I형태의 개봉 패턴을 갖는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멤브레인 혼 스위치를 1피스로 하고, 반동 판을 2피스로 구비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 혼의 실제 작동영역을 넓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시트벨트와는 별도로, 차량의 충돌시에 운전자와 조향핸들 사이 또는 보조석의 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에어백 쿠션을 부풀려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줄일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뇌관의 점화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터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으로 이루어져 조향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과, 충돌시 충격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센서와, 충격센서의 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의 뇌관을 점화시키는 전자 제어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쿠션 외곽에는 팽창 전개시에 조향휠로부터 분리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1)가 멤브레인 혼 스위치(2)와 반동 판(3)이 개재된 상태로 씌워져 있고,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는 뇌관이 점화됨에 따라 팽창가스를 발생시켜서 에어백 쿠션으로 공급하는 가스발생제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1)의 내측면에는 "H"와 "I"형태를 갖는 개봉 패턴(tear pattern)(4)이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이 외곽으로 용이하게 팽창되면서 전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2)는 에어백 전개시 커버(1)가 원활하게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멤브레인 혼 스위치(2)와 반동 판(3)을 커버(1)에 형성된 센터 개봉 라인(5)을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멤브레인 혼 스위치(2)를 반동 판(3)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스태킹(staking)(6)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이 충돌함과 동시에 충격 센서에서 충격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충격 신호를 인식한 전자 제어모듈은 뇌관을 점화시켜 가스발생제를 순간적으로 연소시키면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급속한 팽창으로 에어백 쿠션을 부풀리게 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은 커버(1)를 조향휠에서 분리시키면서 운전자쪽으로 전개됨으로써, 운전자의 전면 상체와 접촉하면서 충돌에 의한 충격하중을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관성에 의해 운전자의 머리와 가슴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과 충돌될 때, 에어백 쿠션내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배출되면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평상시에는 커버(1)의 전면이나 일측을 누를 경우, 그 내측에 구비된 멤브레인 혼 스위치(2)가 눌리면서 경적이 발생되고, 커버(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뗌과 동시에 반동 판(3)의 반발력에 의해 멤브레인 혼 스위치(2)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경적이 멈추게 된다.
그러나, 도 1의 스태킹(6)으로 둘러싸인 혼을 작동시킬 수 있는 실제 작동영역(7)이 협소함에 따라 다급한 상황에서 가장자리 부근을 누를 경우, 혼이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다시 안 쪽 부위를 눌러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멤브레인 혼스위치의 실제 작동영역을 넓혀 작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혼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에어백 작동시 발생되는 반동 판의 이탈로 인한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H와 I형의 개봉 패턴이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와, 커버에 형성된 센터 개봉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멤브레인 혼 스위치 및 반동 판과, 반동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멤브레인 혼 스위치가 스태킹으로 고정된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는 센터 개봉 라인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1피스로 구비하고, 2피스의 반동 판의 중앙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스태킹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피스의 반동 판이 센터 개봉 라인과 근접된 곳에 리브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혼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은 에어백 쿠션 외곽에 에어백 쿠션의 팽창시에 조향휠로부터 분리되는 커버(1)가 멤브레인 혼 스위치(2a)와 반동 판(3a)이 개재된 상태로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1)의 내측면에는 "H"와 "I"형태의 개봉 패턴(4)이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이 외곽으로 용이하게 팽창되면서 전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2a)는 센터 개봉 라인(5)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1피스로 구비하고, 2피스의 반동 판(3a)의 중앙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스태킹(6)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2a)는 1피스로 구비하되, 센터 개봉 라인(5)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에어백 전개시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2곳 이상, 바람직하게는 4곳 정도가 폭이 좁은 박판지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2b)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재(2b)를 사용하였으나, 연결부재(2b)가 위치하는 부위만 남겨 놓고 펀칭이나 기타의 도구 또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구멍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은 멤브레인 혼 스위치(2a)의 작동영역(7)을 넓힘으로써, 평상시에는 커버(1)의 전면이나 일측을 누를 경우, 그 내측에 구비된 멤브레인 혼 스위치(2a)가 눌리면서 경적이 발생되고, 커버(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뗌과 동시에 반동 판(3a)의 반발력에 의해 멤브레인 혼 스위치(2a)가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귀환됨에 따라 경적이 멈추게 된다.
한편, 주행중 차량이 충돌함과 동시에 충격 센서에서 충격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충격 신호를 인식한 전자 제어모듈은 뇌관을 점화시켜 가스발생제를 순간적으로 연소시키게 되고??발생된 연소가스가 급속한 팽창으로 에어백 쿠션을 부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백 쿠션이 팽창하는 가운데 커버(1)가 조향휠에서 분리되는데 먼저, 반동 판(3a)이 양측으로 분리되며, 반동 판(3a)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가 스태킹(6)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멤브레인 혼 스위치(2a)의 중앙부분이 자동적으로 절개되면서 분리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운전자쪽으로 전개되어 운전자의 전면 상체와 접촉하면서 충돌에 의한 충격하중을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관성에 의해 운전자의 머리와 가슴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과 충돌될 때, 에어백 쿠션내의 가스는 에어백 쿠션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급속히 배출되면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한편, 첨부 도면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멤브레인 혼의 예시도와 그에 따른 E-E, F-F, G-G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은 에어백 쿠션 외곽에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에 조향휠로부터 분리되는 커버(1)가 멤브레인 혼 스위치(2a)와 반동 판(3a)이 개재된 상태로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1)의 내측면에는 "H"와 "I"형태의 개봉 패턴(4)이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이 외곽으로 용이하게 팽창되면서 전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2a)는 센터 개봉 라인(5)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1피스로 구비하고, 2피스의 반동 판(3a)의 중앙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스태킹(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2a)는 1피스로 구비하되, 센터 개봉 라인(5)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에어백 전개시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2곳이상, 바람직하게는 4곳 정도가 폭이 좁은 박판지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2b) 등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재(2b)를 사용하였으나, 연결부재(2b)가 위치하는 부위만 남겨 놓고 펀칭이나 기타의 도구 또는 공구등을 이용하여 구멍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피스의 반동 판(3a)은 센터 개봉 라인(5)과 근접된 곳에 리브(3b)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반력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실시예인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은 상기와 같이 멤브레인 혼 스위치(2a)의 작동영역(7)을 넓힘으로써, 평상시에는 커버(1)의 전면이나 일측을 누를 경우, 그 내측에 구비된 멤브레인 혼 스위치(2a)가 눌리면서 경적이 발생하게 되고, 커버(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뗌과 동시에 반동 판(3a)의 반발력에 의해 멤브레인 혼 스위치(2a)가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귀환됨에 따라 경적을 멈추게 된다.
이때, 반동 판(3a)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리브(3b)에 의해 탄성력 내지 반력이 증가됨에 따라 신속한 작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H와 I형태의 개봉 패턴을 갖는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멤브레인 혼 스위치를 1피스로 하고, 반동 판을 2피스로 구비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 혼의 실제 작동영역을 넓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2피스로 이루어진 반동 판에 리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반동 판의 반발력을 높여 작동의 신속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멤브레인 혼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혼의 예시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멤브레인 혼의 예시도.
도 7은 도 6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F-F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G-G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커버 2,2a:멤브레인 혼 스위치
3,3a:반동 판 4:개봉 패턴
5:센터 개봉 라인 6:스태킹

Claims (2)

  1. H와 I형의 개봉 패턴(4)이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1)와, 커버(1)에 형성된 센터 개봉 라인(5)을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멤브레인 혼 스위치(2a) 및 반동 판(3a)과, 반동 판(3a)의 가장자리를 따라 멤브레인 혼 스위치(2a)가 스태킹(6)으로 고정된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혼 스위치(2a)는 센터 개봉 라인(5)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1피스로 구비하고, 2피스인 반동 판(3a)의 중앙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스태킹(6)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피스의 반동 판(3a)은 센터 개봉 라인(5)과 근접된 곳에 리브(3b)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KR10-2003-0015786A 2003-03-13 2003-03-13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KR10051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786A KR100514515B1 (ko) 2003-03-13 2003-03-13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786A KR100514515B1 (ko) 2003-03-13 2003-03-13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02A KR20040080802A (ko) 2004-09-20
KR100514515B1 true KR100514515B1 (ko) 2005-09-14

Family

ID=3736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786A KR100514515B1 (ko) 2003-03-13 2003-03-13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5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02A (ko)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9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US6565113B2 (en) Air bag module
KR100514515B1 (ko) 에어백 모듈용 멤브레인 혼
KR100520755B1 (ko) 다중 챔버형 에어백
JPH02303949A (ja) エアバックのカバー体
KR100308578B1 (ko) 운전석용에어백모듈조립구조
JP2527285B2 (ja) エアバッグのカバ―体
US5704636A (en) Air bag apparatus
KR100618762B1 (ko) 자동차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
JP2003220956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0278717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65369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KR200200709Y1 (ko) 에어백의 내측커버젖힘구조
KR100292106B1 (ko) 에어백외측커버어셈블리
KR100519008B1 (ko)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
KR200225745Y1 (ko) 에어백모듈용인너커버
JPH06312641A (ja) エアバッグ用カバー
JPH074083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46088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6076381A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126079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00119671A (ko) 에어백 모듈
JP4595623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12852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
KR20040080800A (ko) 에어백 커버의 분리방지용 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