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982B1 - 개구부를 갖는 가위 - Google Patents

개구부를 갖는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982B1
KR100513982B1 KR10-2001-7008363A KR20017008363A KR100513982B1 KR 100513982 B1 KR100513982 B1 KR 100513982B1 KR 20017008363 A KR20017008363 A KR 20017008363A KR 100513982 B1 KR100513982 B1 KR 10051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opening
handle
bag
ba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258A (ko
Inventor
아다치히데미
Original Assignee
아다치 고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치 고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다치 고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6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날 부분, 자루 부분 및 손잡이를 가지는 가위 몸체 1쌍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한 가위로서, 자루 부분의 일정 부분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고, 상기 폭이 넓은 면에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위의 자루 부분을 경량화하고, 가위의 개폐 조작에 대한 자루 부분의 비틀림 대항 강도를 증진시켰다. 제1 개구부는 자루 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의 원주 부분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고, 상기 폭이 넓은 면에 제2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제2 개구부의 외주측에 손가락 꺽쇠나 충돌점 등의 부속 부재를 부착하였다. 이에 따라 부속 부재용 나사 구멍 등에 의한 가위를 잡았을 때 손가락의 감촉이 나빠지지 않는 가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구부를 갖는 가위{SCISSORS WITH OPENINGS}
본 발명은 이미용(理美容) 가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가위의 자루 부분의 경량을 도모하는 것에 의해 가위 전체의 경량화를 꾀함과 동시에, 자루 부분의 비틀림 대항 강도(strength against deflection)를 증진시키고, 또한 손가락 꺽쇠(finger brace) 및 충돌점(hit point) 등의 부속 부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나사 구멍 등이 마련되나, 이 나사 구멍 등에 의해 손잡이의 그립에 지장이 없는 손잡이를 구비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이미용 가위의 대부분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재료로 하고 있으나, 가위의 경량화의 시도로서 스테인레스 스틸보다 경량인 재료로 대체하고 있으며, 티타늄 합금 및 세라믹을 재료로 이용하고 있다.
삭제
혹은 가위의 전체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고, 날 앞 부분만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한 것도 있다. 그러나 티타늄 합금은 가공이 곤란하고, 세라믹 재료는 깨지기 쉽고, 혹은 가위의 전체가 플라스틱이면 매우 싸구려처럼 보이기 때문에 인기가 없어, 종래의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한 가위가 아직도 많이 사용된다. 또한, 경량화의 다른 방법으로서 가위를 얇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위(100)를 이루는 한 쌍의 가위 몸체(110)은, 날 부분(101), 자루 부분(102), 손잡이(103) 등을 얇게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날 부분(101)은 가위를 모을 때 날 부분(101), (101)끼리 적절한 압력을 수반하여 모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너무 얇게할 수는 없다. 또한 자루 부분(102)을 과도하게 얇게 하면, 헤어를 자를 때(특히, 모속(毛束)을 자를 때) 자루 부분(102)에 비틀림이 발생하고, 가위 취급시의 감촉이 나빠지는 등의 원인이 되어 작업에 지장이 있다. 또한 손잡이(103)는 얇은 링으로 하면 손가락을 불편하게 하거나, 또한 링 형상보다도 손가락이 통과하는 도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도관 형태는 링 형태보다 무겁고 가위의 전체 무게를 줄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손잡이(103)내에 손가락을 넣게 되므로, 손가락의 감촉, 감각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즉, 손잡이(103)에는 손가락 꺽쇠(130)를 제공하여 사용하기 편하게 하였으나, 이 손가락 꺽쇠(130)는 손잡이(103)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로 제조한 다음 부착한 것이다. 별개로 제조된 손가락 꺽쇠(130)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근접 말단(131)에 갖는 나사를 손잡이(103) 측에 제공된 나사 구멍(103a)내로 감합함으로써 결합된다. 단 상기 나사 구멍(103a)은 관통홀이기 때문에 손잡이(103)의 내측에 구멍이 뚫린 상태가 되고, 이 구멍의 오목부가 손잡이(103)를 통과하는 손가락에 직접 접촉하게 되며, 감촉이 나빠지게 된다. 가위는 조금씩 개폐하면서 머리를 자르는 것인데, 이 같은 방해는 계속된다. 따라서 나사 구멍(103a)을 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대체하면, 손잡이(103) 내측의 오목부가 없게 되고 이 문제도 사라지게 되나, 관통홀이 없으면 나사 구멍이 막혀 충분한 나사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조시의 나사 절단 작업에서 나온 스크랩이 거의 제거되지 않아 실현될 수 없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손잡이(103)는 충돌점(120)을 통상 수반할 수 있다. 충돌점(120)은 고무 혹은 합성 수지와 같은 쿠션 재질로 보통 제조되며, 가위가 모아질때 한쌍의 손잡이(103)가 서로 맞부딪치는 위치에 구비된다. 맞부딪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충돌점(120)은 한 쌍의 손잡이(103)중 어느 일방에 탑재된다. 그 결과, 상기 충돌점(120)은 이같은 맞부딪치는 소음을 제거하고 맞부딪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충돌점(120)도 그 근접 말단의 고무 등에 나사가 매입되고, 손잡이에 마련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고, 이 나사 구멍도 손가락 꺽쇠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관통홀로 되어 있다. 혹은 손잡이에 감입 구멍을 마련하고, 고무제의 충돌점의 근접 말단에 일체 성형한 감입부를 감입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감입부가 뒤쪽으로 돌출하는 경우도 있다. 여하튼 손잡이 내측의 구멍과 여기에 돌출된 감입부 등이 손가락에 닿아서, 감촉의 악화를 초래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위 몸체의 자루 부분을 경량화하며, 또한 가위를 모을 때 자루 부분의 비틀림 대항 강도를 증진시킨 가위를 제공하고, 또한 손잡이에 손가락 꺽쇠나 충돌점 등의 부속 부재를 부착하여도, 부속 부재를 위한 나사 구멍 등에 의해 손가락의 감촉이 악화되지 않는 가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위 몸체의 한 쌍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한 가위로서, 가위 몸체는 날 부분, 자루 부분 및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가위를 대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자루 부분에 제1 개구부를 마련하여 경량화를 도모하였다.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때에는, 상기 자루 부분의 일정 부분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폭이 넓은 면에 제1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였다. 따라서, 개구부는 평면 방향으로 관통되게 된다. 여기서 평면이란, 가위를 도1에 도시한 방향에서 본 것을 말하며, 이 방향에서 본 가위의 자루 부분의 폭을 넓게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제1 개구부를 형성할 장소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1 개구부는 자루 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루 부분이 2개의 리브부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개구부가 평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리브부에 의해 가위를 모을 때 자루 부분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리브부의 총단면적이 종래의 자루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어도, 종래의 자루 부분과 동등 혹은 그 이상의 비틀림 대항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손잡이 꺽쇠나 충돌점 등의 부속 부재에 관한 것이다. 즉 손잡이의 원주 부분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폭이 넓은 면에 제2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제2 개구부의 외주 측에 부속 부재를 부착시킨 것이다. 이 때, 손잡이에 마련된 부속 부재의 부착을 위한 구멍(나사 구멍, 감입 구멍 등)이 종래와 같이 관통홀이어도, 이 관통홀은 제2 개구부의 외주측을 관통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닿는 손잡이의 내주에는 닿지 않으므로 영향이 없다.또한 청구항 4는, 가위에 청구항1 ~ 2에 개시된 제1 개구부와, 청구항3에 개시된 제2 개구부를 함께 형성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5와 청구항6은, 상기 청구항1 ~ 4에 ① 제1 개구부가 있으면, 이를 자루 부분보다 가벼운 부재로 폐쇄하고, 또한 ② 제2 개구부가 있으면, 이를, 특히 ③ 제1 및 제2 개구부를 가지면, 이들의 일부나 전부를, 자루 부분보다 가벼운 부재로 폐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개구부에 머리카락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위 몸체와 다른 색채의 재료를 이용하는 등, 디자인 면에서도 우수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자루 부분에 제1 개구부를 형성한 가위의 평면도(a) 및 그 측면도(b);
도 2는 자루 부분에 제1 개구부를 형성한 가위의 도면;
도 3은 자루 부분에 제1 개구부(4)를 형성하고, 움직이는 날 측의 손잡이에 충돌점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6)를 형성한 가위를 나타내며, 이들 제1 및 제2 개구부와 유사한 형태의 장식용 개구부(7)도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개선시켰다.
도 4는 자루 부분에 제1 개구부(4)를 형성하고, 움직이는 날 측의 손잡이에 제2 개구부(6)를 형성한 가위를 나타내며, 장식용 개구부(7)이 손가락 꺽쇠 P의 근접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자루 부분에 제1 개구부를 형성하고, 충돌점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형성한 가위를 나타내며, 제1 개구부의 형상을 집게 손가락을 수용하기에 용이한 형상(Q)으로 한다.
도 6은 하나의 자루 부분에 한 쌍의 제1 개구부를 갖는 가위의 도면;
도 7은 제1 개구부(4)와 제2 개구부(6)가 서로 연결된 가위의 도면;
도 8은 제1 개구부(4) 및 손가락 꺽쇠(30)를 대상으로 한 제2 개구부(6)를 갖는 가위의 도면;
도 9는 손가락 꺽쇠(30)를 대상으로 한 제2 개구부(6)과, 충돌점(20)을 대상으로 한 제2 개구부(6)을 형성한 가위의 도면;
도 10은 손가락 꺽쇠(30) 및 충돌점(20)을 대상으로 한 두 개의 제2 개구부(6), (6)을 형성한 가위의 도면;
도 11은 제1 및 제2 개구부를 장식용 개구부와 함께 폐쇄한 가위의 도면이며, 각각의 개구부의 개구 부분에 플라스틱 판을 씌워서 폐쇄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Z-Z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이미용 가위의 도면; 및
도 14는 이미용 가위의 충돌점(120)과 손잡이로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날 부분 2... 자루 부분(shank) 3a,3b... 손잡이(finger grip)
4,6,7... 개구부 5... 리브 10... 가위 몸체 11... 축 20,120... 충돌점(hit point)
22... 나사 구멍(thread hole)
30,130,P... 손가락 꺽쇠(finger brace)
100, 1A,1B,1C,1D,1E,1F,1G,1H,1J,1K,1L... 이미용 가위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가위는, 이미용 용도의 커트 가위(1A)이며,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료에 의한 가위 몸체(10) 한 쌍이 축(11)에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가위 몸체(10), (10)은 날 부분(1), 자루 부분(2) 및 손잡이(3)을 갖는다. 상기 자루 부분(2)는, 그 근접측X(자루 부분(2)의 축(11)으로부터를 말한다)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막대기 형상의 자루 부분의 폭으로 이루어지며, 말단측Y(자루 부분(2)의 손잡이(3)으로부터를 말한다)에 걸쳐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자루 부분(2)의 전체 형상은 근접측X를 정점으로 하고, 말단측Y를 저부로서 갖는 삼각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폭이 넓은 면에는 삼각형의 제1 개구부(4)가 자루 부분(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제1 개구부(4)가 자루 부분(2)를 분지하는 형상으로 두 개의 리브부(5,5)를 형성한다. 움직이는 날측 가위 몸체(10a)의 손잡이(3)에는, 가위 날 부분(1)을 모을 때 손잡이(3,3)끼리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고무 충돌점(20)이 부착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자루 부분(2)은 2개의 리브부(5,5)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도13에 도시된 통상의 막대기 형상의 자루 부분보다 가벼운 자루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부(5,5)가 얇아도, 이 리브부(5,5)와 손잡이(3)의 일부가 삼각형을 이루기 때문에 자루 부분(2)에는 높은 비틀림 대항 강도가 얻어진다. 이는 자루 부분(2)이 일종의 강성-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리브부(5,5)는 트러스 빔으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자루 부분(2)의 근접측X는 일반적인 자루 부분과 유사한 막대기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전체가 막대기 형상인 일반적인 자루 부분에 비해 비틀림이 적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가위1B는 제1 개구부(4)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얇고 길게 형성되고, 자루 부분(2)의 대부분이 2개의 평행 리브부(5,5)로 이루어지며, 가볍고 보다 큰 비틀림 강도를 갖게 된다.
도 3에는 도시한 가위1C는, 움직이는 날 측 가위 몸체(10a)의 손잡이(3)의 충돌점(20)의 부착 위치가 되는 원주 부분(21)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며, 이 폭이 넓은 면(21)에 얇고 긴 제2 개구부(6)를 갖는다. 이 제2 개구부(6)의 외주측에는 충돌점(20)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22)이 관통되어 있고, 이 나사 구멍22에 충돌점(20)이 감합된다. 상기 자루 부분(2)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삼각형 형상의 제1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움직이지 않는 날 측 가위 몸체(10b)의 손잡이(3)에는 장식용 개구부(7)이 마련되며, 제1 개구부(4) 및 제2 개구부(6)와 함께 디자인을 좋게한다.
삭제
도 4에 도시한 가위1D는 움직이지 않는 날 측 가위 몸체(10b)의 자루 부분(2)에 제1 개구부(4)가 마련되고, 손잡이(3)와 일체로 형성된 손가락 꺽쇠P의 근접 부분에 장식용 개구부(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움직이는 날 측 가위 몸체(10a)의 손잡이(3)은 충돌점(20)의 부착 위치가 되는 원주 부분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팽출시켜 평면으로 폭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하며, 제2 개구부(6)는 그 폭이 넓은 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마련되어 있고, 이 제2 개구부(6)의 외주측에는 관통된 나사 구멍(22)에 충돌점(20)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가위1E는 전체 구성이 도4의 가위1D와 거의 동일하나 움직이지 않는 날 측 가위 몸체(10b)의 제1 개구부(4b)의 형상이 다르다. 즉, 제1 개구부(4b)에 의해 형성된 2개의 리브부(5',5") 중, 외측 리브부(5')(손가락을 얹은 쪽)가 내측으로 곡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위(1E)를 손으로 들 때, 엄지를 움직이는 날 측 손잡이(3a)에 통과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움직이지 않는 날 측 손잡이(3b)에 걸리게 되나, 이 때, 중지(中指)를 손잡이(3b)에 통하고, 약지가 손가락 꺽쇠P에 걸리며, 집게 손가락은 자루 부분(2a)에 걸리는 것이 대표적인 지지 방법이다. 도 5에 도시된 리브부(5')의 내측으로 곡진 부분Q는 이러한 지지 방법과 부합되도록 설계되며, 집게 손가락이 리브부(5')의 내측으로 곡진 부분Q에 놓여지기 때문에, 지지가 쉬워진다.
도 6에는 가위(1E)가 변형된 형태의 가위(1F)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1 개구부(4b)의 내측으로 곡진 부분을 가로질러 제공되는 파티션으로 나누고, 제1 개구부(4b)를 2개로 나누는 것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2개의 제1 개구부(4,4)를 형성시킨 가위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개구부는 1개의 자루 부분(2)에 여러 개 마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가위1G는 움직이지 않는 날 측 가위 몸체(10b)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제1 개구부(4)와 장식용 개구부(7)이 마련되어 있다. 움직이는 날 측 가위 몸체 가위10a에는 손잡이(3)의 충돌점(20)의 부착 부분으로부터 자루 부분의 말단측에 걸쳐서 비교적 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충돌점(20)의 부착 장소 부근의 개구부가 제2 개구부(6)를 이루며, 자루 부분의 말단 부근의 개구부가 제1 개구부(4)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제1 개구부(4)와 제2 개구부(6)가 연결된 것이어도 좋다.
도 8에 도시한 가위1H는 제1 개구부(4)와 제2 개구부(6)를 갖는다. 제2 개구부(6)는 움직이지 않는 날 측 가위 몸체(10b)의 손잡이에 디자인을 위하여 얇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2 개구부(6)의 외주에 손가락 꺽쇠(30)가 나사 결합되어 부착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가위1J는 2개의 손잡이(3,3)에 각각 디자인된 제2 개구부(6a, 6b)가 얇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움직이지 않는 날 측 가위 몸체(10b)의 제2 개구부(6b) 외주에는 손가락 꺽쇠30이 나사 결합되고, 움직이는 날 측의 가위 몸체(10a)의 제2 개구부(6a)에는 충돌점(20)이 나사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한 가위1K에는, 한 쌍의 제2 개구부(6a,6b)와 한 쌍의 장식용 개구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가위1L은 도 5에 도시된 제1 개구부(4b,4), 제2 개구부(6) 및 장식용 개구부(7)를 가지는 가위에 대하여, 이들 개구부(4b,4,6,7)를 자루 부분(2)의 재료보다 경량인 부재(8,8..)로 폐쇄한 것이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8)는 색채가 있는 플라스틱 판을 각각의 개구부(4b,4,6,7)에 씌운 것이고, 각 개구부의 표리(表裏)의 개구 부분에는 플라스틱 판을 수납하기 위한 단차부9가 마련되고, 플라스틱 판이 자루 부분(2) 및 손잡이(3)의 표면과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폐쇄하는 것은 전체의 개구부나, 여러 개인 개구부 중 일부라도 좋다. 또한 각 개구부의 개구 부분을 폐쇄할 때에도, 표리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폐쇄하여도 좋고, 또한 판 형상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마개와 같이 개구부에 충진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의 내주면 형상으로 형성한 합성 수지 등의 탄성체를 충진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개구부는 어느 형상이어도 좋으며, 삼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원, 타원 혹은 다이아몬드 형상의 어떠한 적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는 한 쌍의 가위 몸체의 일측 혹은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개구부들이 양측 가위 몸체에 제공될 때, 그 형상은 2개의 가위 몸체에서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를 작은 개구부로 여러 개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면서 이와 동시에 개폐 이동을 위해 비틀림 대항 강도를 증진시킨 자루 부분을 갖고, 특히 손가락 꺽쇠와 충돌점과 같은 부속 부재가 손잡이에 부착될 때, 부착을 위해 형성된 나사 구멍이 손가락을 방해하지 않는 가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날 부분, 자루 부분 및 손잡이를 가지는 가위 몸체 1쌍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한 가위로서,
    상기 자루 부분의 일정 부분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고, 상기 폭이 넓은 면에 제1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자루 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루 부분이 2개의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가위.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원주 부분을 평면으로 폭이 넓게 형성하고, 상기 폭이 넓은 면에 제2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외주 측에 부속 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가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를, 상기 자루 부분의 재료보다 가벼운 부재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가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를, 상기 자루 부분의 재료보다 가벼운 부재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를 갖는 가위.
KR10-2001-7008363A 2000-10-06 2000-10-06 개구부를 갖는 가위 KR100513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7014 WO2002030632A1 (fr) 2000-10-06 2000-10-06 Ciseaux dotes de parties munies de tro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258A KR20020068258A (ko) 2002-08-27
KR100513982B1 true KR100513982B1 (ko) 2005-09-13

Family

ID=1173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363A KR100513982B1 (ko) 2000-10-06 2000-10-06 개구부를 갖는 가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65939B1 (ko)
EP (1) EP1323504A1 (ko)
JP (1) JP3876371B2 (ko)
KR (1) KR100513982B1 (ko)
CN (1) CN1175963C (ko)
HK (1) HK1047067B (ko)
TW (1) TW578670U (ko)
WO (1) WO2002030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11842T3 (es) * 2002-06-06 2004-07-16 Rothenberger Aktiengesellschaft Util manuel en forma de tenazas para ensanchar cuerpos huecos.
EP1421911A1 (de) * 2002-11-19 2004-05-26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Instrument
US20050257378A1 (en) * 2003-04-14 2005-11-24 Hidemi Adachi Barber's scissors
JP4511813B2 (ja) * 2003-07-18 2010-07-28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鋏における把持柄
US6883238B1 (en) * 2003-09-08 2005-04-26 Khiem Tran Hairstyling scissors
JP4069296B2 (ja) * 2004-01-28 2008-04-02 足立工業株式会社 理美容用の鋏
US6928740B1 (en) * 2004-02-10 2005-08-16 Wen-Ya Yeh Buffering member for scissors
WO2005090013A1 (ja) * 2004-03-24 2005-09-29 Adachi Industry Co.,Ltd. 理美容鋏
JPWO2006022368A1 (ja) * 2004-08-27 2008-05-08 株式会社 菊星
US7458160B2 (en) * 2005-11-07 2008-12-02 Helen Of Troy Limited Ergonomic handle for scissors and other tools
KR100786979B1 (ko) * 2007-03-15 2007-12-18 서정래 가위 손잡이 몸체측면에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이, 미용가위
US20110047802A1 (en) * 2009-05-28 2011-03-03 Sandra Kay Long Cut blocker
JP4964995B1 (ja) * 2011-06-13 2012-07-04 株式会社エンジニア
US20160368156A1 (en) * 2015-06-16 2016-12-22 Acme United Corporation Sciss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5030302A (zh) * 2015-07-03 2015-11-11 张家港市双银医疗器械有限公司 具有指印凹槽的医用剪
CN105014697A (zh) * 2015-07-03 2015-11-04 张家港市双银医疗器械有限公司 具有凹面剪刃的医用剪
EP3626414B1 (en) 2018-02-20 2024-02-21 Yagyu Co., Ltd. Hairdressing sciss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0491U (ko) * 1974-02-16 1975-09-09
JPS5678766U (ko) * 1979-11-17 1981-06-26
US4364174A (en) * 1981-04-27 1982-12-21 Lester De Asis Apparatus and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ing handles for butterfly defense knife
DE8229507U1 (de) * 1982-10-21 1983-02-03 Vereinigte Stahlwarenfabriken Gebr. Richartz und Söhne GmbH, 5650 Solingen Schere, insbesondere haushaltsschere
JPS60137971U (ja) * 1984-02-23 1985-09-12 有限会社ウカイ利器 はさみ
JPH033972U (ko) * 1989-06-05 1991-01-16
JPH055077U (ja) * 1991-07-04 1993-01-26 ニチワ産業株式会社 理美容鋏
JPH0531773U (ja) * 1991-09-28 1993-04-27 豊裕 川沢 小指孔を設けた理髪鋏
JP2601878Y2 (ja) * 1993-07-14 1999-12-06 株式会社マテックマツザキ 理美容はさみ
JPH08336677A (ja) * 1995-06-14 1996-12-24 Imoto:Kk 手動利器における孔開き刃
JPH1085468A (ja) * 1996-09-12 1998-04-07 Tec Mec:Kk フィッシング用はさみ
US6272754B1 (en) * 1999-09-27 2001-08-14 Jameson Corporation Retrofit handle attachment for scissors
EP1270153A4 (en) * 2000-03-29 2003-07-23 Adachi Kogyo Inc SHE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3504A1 (en) 2003-07-02
JP3876371B2 (ja) 2007-01-31
JPWO2002030632A1 (ja) 2004-02-19
WO2002030632A1 (fr) 2002-04-18
HK1047067A1 (en) 2003-02-07
US6665939B1 (en) 2003-12-23
CN1175963C (zh) 2004-11-17
TW578670U (en) 2004-03-01
KR20020068258A (ko) 2002-08-27
CN1376104A (zh) 2002-10-23
HK1047067B (zh)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982B1 (ko) 개구부를 갖는 가위
CA2117425C (en) Ergonomic handle construction for hand-held tools
US5577725A (en) Hockey stick handle
US5306003A (en) Hockey stick shaft
EP1843879B1 (en) Razor handle having ergonomic gripping areas
US20060123634A1 (en) Scissors with handle opening overmold and ribbing
EP1848573B1 (en) Razor handle having converging side surfaces
CA1239013A (en) Hand operated cutting tool
US20040155229A1 (en) Pry Bar Handle
US20040226178A1 (en) Ergonomic handle for a shaving implement
US5509228A (en) Ergonomically designed handle and contoured gripping portion
JP2000127103A (ja) 手 鋸
JP6764215B2 (ja) 理髪用鋏
US20010022028A1 (en) Scissors
US5720103A (en) Self-opening finger inserts for scissors and shears
USD442690S1 (en) Dental hand instrument with opposing smooth wavy handgrip portions
US2581643A (en) Folding fan
EP0998864B1 (en) Cutting device with two cutting blades having plastic applications on the handles
WO2000076364A1 (en) Constructive disposition introduced in pliers
WO2002094512A1 (en) The hair cutting scissors
JP4980513B2 (ja)
JP2001137569A (ja)
KR20220001992U (ko) 미용 가위
WO2004065077A1 (en) Sheath knife with a from the user angled blade attached to handle via a blunt part
USD402869S (en) Pair of scissors bl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