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992U - 미용 가위 - Google Patents

미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992U
KR20220001992U KR2020210000407U KR20210000407U KR20220001992U KR 20220001992 U KR20220001992 U KR 20220001992U KR 2020210000407 U KR2020210000407 U KR 2020210000407U KR 20210000407 U KR20210000407 U KR 20210000407U KR 20220001992 U KR20220001992 U KR 202200019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ollow
scissors
gripping part
finger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수
Original Assignee
황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수 filed Critical 황명수
Priority to KR2020210000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992U/ko
Publication of KR20220001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2Hand shears; Scissors with moulded-i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미용 가위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이 파지되는 링 형태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중공을 차폐시켜 엄지 손가락이 링 내부의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미용 가위를 이용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도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미용 가위{SCISSORS FOR HAIRCUT}
본 고안은 미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용 가위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이 파지되는 링 형태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중공을 차폐시켜 엄지 손가락이 링 내부의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미용 가위를 이용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도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해 사용하는 미용가위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에 손가락을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조절함에 따라 간편하게 머리카락 등을 자를 수 있다.
이러한, 미용 가위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동 동작에 의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50)와, 가위날부(50)에 포함되는 복수의 가위날이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핀(52)과, 가위날부(50)의 타측에 연결되며 손가락을 끼워 가위날부(5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60, 70)을 가지는 링 형태의 두 개의 손가락 파지부(6, 7)를 포함하는 손잡이부(54)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60, 70)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위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미용 가위의 사용에 있어서 링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에 손가락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함에 따라 손가락이 링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이와 같이 손가락이 손잡이의 링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경우 가위를 이용한 헤어 커팅 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미용 가위를 이용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요구되는 미용을 직업하는 사람의 경우 헤어 커팅 작업시 느끼는 불편함이 상대적으로 더 큰 상태이며, 또한, 손가락을 링을 관통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장시간 헤어 커팅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커팅 작업을 위해 손에 가하는 힘에 비례하여 엄지 손가락이 링에 의해 더 압박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이 증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89982호(등록일자 : 2019년 08월 29일)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미용 가위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이 파지되는 링 형태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중공을 차폐시켜 엄지 손가락이 링 내부의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미용 가위를 이용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도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용 가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미용 가위로서, 내부에 제1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와, 내부에 제2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는, 상기 제1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쪽이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제1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못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가락은, 엄지 손가락이며, 상기 제1 중공이 차폐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서, 상기 차폐된 구조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구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반구면은 상기 반대 방향쪽이 볼록하고 상기 삽입 방향쪽이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미용 가위로서, 내부에 제1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와, 내부에 제2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 착탈식으로 탈부착되어 상기 제1 중공을 차폐시키거나 오픈시키는 중공 차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차폐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중공 차폐 부재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중공 차폐 부재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중공을 차폐시켜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제1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에 장착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구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반구면은 상기 반대 방향쪽이 볼록하고, 상기 삽입 방향쪽이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기설정된 인장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손가락은, 엄지 손가락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미용 가위로서, 내부에 제1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와, 내부에 제2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일면에 형성되는 조작 패들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시키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 다시 삽입되는 중공 차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조리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조작 패들에 의해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 중 상기 제1 중공을 형성하는 제1 면에서 일정 길이만큼 고르게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지름을 축소시키는 형태로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용 가위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이 파지되는 링 형태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중공을 차폐시켜 엄지 손가락이 링 내부의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미용 가위를 이용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도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미용 가위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 가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 차폐 부재와 제1 손가락 파지부간 결합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손가락 파지부의 중공 차폐 부재 돌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 가위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 가위(100)는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잡이부(54)의 중공(60)이 금속, 플라스틱 등의 기설정된 일정 인장 강도 이상을 가지는 물질로 차폐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용 가위는 손잡이부(54), 힌지핀(52), 가위날부(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위날부(50)는 복수의 가위날을 가지며, 손잡이부(54)의 동작에 따라 가위날이 회동 동작되고, 회동 동작에 의해 복수의 가위날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머리 카락 등의 절단 대상물 절단하게 된다.
힌지핀(52)은 가위날부(50)에 포함되는 복수의 가위날이 회동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손잡이부(54)는 가위날부(50)의 타측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손잡이부(54)를 동작시키는 경우 타측에 연결된 가위날부(50)가 힌지핀(52)을 중심으로 회동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54)는 미용 가위를 이용한 헤어 커팅 작업 시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6)와 엄지 손가락 외에 검지 손가락 등의 다른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제1 손가락 파지부(6)와 제2 손가락 파지부(7)는 손가락이 내부 중공(60, 70)을 관통하여 삽입한 상태로 미용 가위(100)를 잡기 위한 구성요소이나, 엄지 손가락 등이 내부 중공(60)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손가락이 돌출되는 경우 헤어 커팅을 위한 미용 가위 동작에 불편함에 있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중공(60)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기설정된 일정 인장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차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손가락 파지부(6)에는 중공(60)이 없어지게 되어 미용 가위를 사용할 시 제1 손가락 파지부(6)에 삽입되는 엄지 손가락이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반대편으로 돌출되지 못하게 되어 미용 가위를 이용한 헤어 커팅 작업 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도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제1 손가락 파지부(6)상 중공을 없애는 방법으로 도 3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공 차폐 부재(56)를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도 3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공 차폐 부재(56)를 탈부착 방식으로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일면에 부착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의 (b)는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일면에 탈부착 형태로 부착되거나 탈착 가능한 중공 차폐 부재(56)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손가락 파지부(6)에 탈부착 가능한 중공 차폐 부재(56)의 경우, 도 3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공 차폐 부재(56)의 일면에는 제1 손가락 파지부(6)에 결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돌기 형태의 제1 결합부재(5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일면에는 제1 결합부재(58)와 결합될 수 있는 홈 형태의 제2 결합부재(5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재(58)와 제2 결합부재(59)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일정 압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공 차폐 부재(56)는 제1 손가락 파지부(6)상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인 제1 손가락이 제1 중공(60)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105)의 반대 방향에 장착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구면 형태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구면은 예를 들어 참조 번호 (90)번에서와 같은 형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105)의 반대 방향쪽이 볼록하고, 삽입 방향(105) 쪽이 오목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위와 같은 중공 차폐 부재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삽입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제1 중공의 전체를 차폐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 중공의 일부 영역만을 차폐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중공 차폐 부재(416)는 제1 손가락 파지부(6)의 내부 공간(500)에 삽입되며,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일면에 형성되는 조작 패들(412)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중공(60)의 일부를 차폐시키거나 내부 공간으로 다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중공 차폐 부재(416)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조리개 형태로 제작되어 조리개 구동 방식으로 펼치거나 접혀지면서 제1 중공의 크기를 작거나 크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중공 차폐 부재는 조작 패들(412)에 의해 제1 손가락 파지부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제1 손가락 파지부 중 제1 중공을 형성하는 제1 면에서 일정 길이만큼 고르게 돌출되어 1 중공의 지름을 축소시키는 형태로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들은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조작 패들이 이동할 수 있는 조작틀(4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조작을 통해 조리개 형태의 중공 차폐 부재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미용 가위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이 파지되는 링 형태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중공을 차폐시켜 엄지 손가락이 링 내부의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시켜 미용 가위를 이용한 신속한 헤어 커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시간 작업시에도 엄지 손가락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6 : 제1 손가락 파지부 7 : 제2 손가락 파지부
50 : 가위날부 52 : 힌지핀
54 : 손잡이부 56 : 중공 차폐 부재
58 : 제1 결합부재 59 : 제2 결합부재
60 : 제1 중공 70 : 제2 중공

Claims (10)

  1. 미용 가위로서,
    내부에 제1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와, 내부에 제2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는,
    상기 제1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쪽이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제1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못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가지는
    미용 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은, 엄지 손가락이며,
    상기 제1 중공이 차폐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서, 상기 차폐된 구조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구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반구면은 상기 반대 방향쪽이 볼록하고 상기 삽입 방향쪽이 오목한 형태인 미용 가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미용 가위.
  4. 미용 가위로서,
    내부에 제1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와, 내부에 제2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 착탈식으로 탈부착되어 상기 제1 중공을 차폐시키거나 오픈시키는 중공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미용 가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차폐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중공 차폐 부재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중공 차폐 부재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미용 가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중공을 차폐시켜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제1 중공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미용 가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상기 제1 손가락이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에 장착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구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반구면은 상기 반대 방향쪽이 볼록하고, 상기 삽입 방향쪽이 오목한 형태인 미용 가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손가락은,
    엄지 손가락인 미용 가위.
  9. 미용 가위로서,
    내부에 제1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1 손가락 파지부와, 내부에 제2 중공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손가락이 파지되는 제2 손가락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서로 겹쳐지거나 이탈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가위날부와,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상 일면에 형성되는 조작 패들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시키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 다시 삽입되는 중공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미용 가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차폐 부재는,
    조리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조작 패들에 의해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손가락 파지부 중 상기 제1 중공을 형성하는 제1 면에서 일정 길이만큼 고르게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공의 지름을 축소시키는 형태로 상기 제1 중공의 일부를 차폐시키는 미용 가위.


KR2020210000407U 2021-02-06 2021-02-06 미용 가위 KR202200019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07U KR20220001992U (ko) 2021-02-06 2021-02-06 미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07U KR20220001992U (ko) 2021-02-06 2021-02-06 미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92U true KR20220001992U (ko) 2022-08-16

Family

ID=8306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07U KR20220001992U (ko) 2021-02-06 2021-02-06 미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99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82Y1 (ko) 2018-03-06 2019-11-04 (주)리케이 고정링을 변형하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미용 가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82Y1 (ko) 2018-03-06 2019-11-04 (주)리케이 고정링을 변형하여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미용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192B2 (en) Electric hair clipper
EP1972417B1 (en) Eyebrow beautifying apparatus
US5259114A (en) Reversible comb-shears
EP3030386B1 (en) Electric hair clipper
US5010648A (en) Gray hair cutter
CA2538975A1 (en) Hybrid scissors and razor
KR20220001992U (ko) 미용 가위
JP3230278U (ja) 爪切り
US20110232105A1 (en) Hair Cutting Machine
EP3411201B1 (en) Electric hair clipper
JP7218951B2 (ja) 理美容はさみ型毛髪剃り器
JP2020130824A (ja) ニッパー式爪切り
US20140317938A1 (en) Hair Bang Clipper
RU27896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KR20090011790A (ko) 다중 절단기능을 갖는 미용가위
JP3053384U (ja) 美容鋏
EP2156928B1 (en) Hair cutting machine
KR200199312Y1 (ko) 자동소형 양날 레이저용구
KR200188503Y1 (ko) 소형 레이저 용구
JP2023169421A (ja) カミソリ
JPH079389A (ja) 超音波装置を併用して使用する刃体
CA2814453C (en) Electric head shaver
ITPI20000035U1 (it) Strumento per il taglio di capelli costituito da lame sovrapposte.
JPH09313751A (ja) 理美容はさみ型毛髪レザー
TWM603408U (zh) 安全美髮剪刀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