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584B1 -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584B1
KR100511584B1 KR10-2002-7008919A KR20027008919A KR100511584B1 KR 100511584 B1 KR100511584 B1 KR 100511584B1 KR 20027008919 A KR20027008919 A KR 20027008919A KR 100511584 B1 KR100511584 B1 KR 10051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rut
bottom pan
sidewall
inter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934A (ko
Inventor
너스로버트아이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7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3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용기는 바닥 팬(22)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20)을 갖는다. 측벽은 직립 스트럿(42)과 선택적으로 보강가능하다. 스트럿은 측벽으로부터 제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보강 위치와 비보강 위치 사이에서 변형가능하다. 또한, 용기의 바닥 팬은 보강될 수 있다. 용기의 바닥이 보강되길 원할 경우, 바닥 팬 지지체 및 측벽 스트럿은 연속적이고 관절굽힘가능하며 평평한 보강재(40)로 제조될 수 있다. 측벽 스트럿은 바닥 팬과 나란하게 배치된 기단 단부(44)를 중심으로 관절굽힘될 수 있다. 측벽 스트럿은 절첩가능한 용기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CONTAINER HAVING REINFORCING MEANS}
본 발명은 물건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역적으로 보강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용기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1995년 1월 10일자로 머켄퍼스 등에게 허여되고 공동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379,897 호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패키지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는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그러나, 이 패키지는 용기와 사용하기 위한 보조 보강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1991년 4월 23일자로 골드버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99,939 호에는 페이퍼보드와 중합체 필름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1989년 1월 31일자로 아투시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01,017 호에는 블랭크(blank)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트래이를 포함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트래이에 결합된 용기를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블랭크의 선택된 부분은 트래이에 선택적으로 및 가역적으로 부착가능하지 않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직립 스트럿으로 보강가능하다. 일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상기 측벽으로부터 제거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측벽은 제거가능한 스트럿으로 보강될 수 있으며, 스트럿은 측벽을 보강하는 제 1 자세에서 상기 스트럿이 측벽을 보강하지 않는 제 2 자세로 변형가능하다. 스트럿은 상기 제 1 자세와 상기 제 2 자세 사이에서 관절굽힘가능하게(articulably)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절첩가능한 용기의 조립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측벽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기는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일 없이 선택적으로 측벽에 부착가능하고 측벽에서 제거될 수 있는 스트럿을 더 포함한다. 스트럿은 측벽에 부착되지 않는다. 스트럿은 기단 단부를 중심으로 관절굽힘가능한 말단 단부에서 용기에 결합된 기단 단부를 갖는다. 스트럿은 측벽 근처의 위치에 관절굽힘되며 스트럿은 측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배치된다. 그 후 스트럿, 및 바람직하게는 그의 말단 단부는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선택적인 커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용기로부터 분리된 보강재를 도시하는 도 1의 용기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보강재가 용기의 보강 위치에 부착된 도 1의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보강재의 좌측 스트럿이 보강 위치에 있으며, 보강재의 우측 스트럿은 측벽에서 제거되어 보강 위치에 있지 않은 용기 및 보강재의 사시도,
도 5는 비보강 위치에 관절굽힘된 보강재를 도시하는 용기의 저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및 관련된 보강재(4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10)는 시트 재료로 바람직하게 단일하게 형성된 용기(10) 몸체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커버(12)가 포함될 수 있으며 용기(10)와 단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용기(10)는 커버(12) 및 용기(10)를 밀봉하기 위한 폐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평할 수 있거나, 또는 소망하는 경우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거나 또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될 수 있다. 선택적인 커버(12)와 시일(seal)(14)이 필요한 경우, 플러그 시일(14)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및 1974년 1월 8일자로 앤더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784,055 호 및 1976년 7월 19일자로 바리스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67,756 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양 특허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그러나, 커버(12)는 보조 특징부이고 청구된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커버(12)가 실질적으로 평평하여 용기(10)가 적층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는 주머니 또는 지갑에 보관될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소형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10)는 선택적인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약 및 캡슐 등을 저장하기에 유용하다. 선택적으로, 용기(10)는 평상꼴 세미-트럭(flat bed semi-truck)에 끼워지도록 크기가 설정되는 비교적 대형일 수 있다. 이러한 용기(10)는 구조 재료 등을 이송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선택적인 커버(12)와 다른 선택적인 시일(14)이 포함되는 경우, 용기(10)의 하나의 예시적인 용도는 음식물과 같은 썩기 쉬운 품목을 저장하는 것이다.
용기(10)는 바닥 팬(22)과 상기 바닥 팬(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측벽(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중, 측벽(20)은 상측으로 돌출하여 용기(10)의 마우스(mouth) 또는 개구(26)를 형성하는 말단 단부(46)에서 종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4개의 측벽(20)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바닥 팬(22)은 제 1 평면을 형성하고 이에 놓인다.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바닥 팬(22)은 직립 측벽(20)의 4개 모서리의 정점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 팬(22)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볼록하게 돔형(domed)으로 될 수 있다. 특히, 돔형 바닥 팬(22)은 바닥 팬(22)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용기(10)의 내용물에 의한 하중에 대해 증가된 강도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용기(10)가 수평한 표면에 놓일때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바닥 팬(22)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닥 팬(22)은 돔형으로 될 수도 있고 그냥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0)는 보강재(40)가 제공된다. 특히, 보강재(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 측벽(20)을 지지하는 스트럿(42)과 바람직하게는 바닥 팬 지지체(4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42)은 자체지지(self-supporting)하고, 가역적으로 관절굽힘가능한 측벽(20), 연약한 측벽(20), 또는 이들의 조합체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트럿(42)은 관절굽힘가능하여, 소망하는 경우 측벽(20)에 가해질 수 있고 측벽(2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럿(42)은 기단 단부(44)를 중심으로 관절굽힘가능하며, 기단 단부(44)는 바닥 팬(22)과 나란히 있다. 스트럿(42)의 말단 단부(46)는 측벽(20), 용기(10)의 개구(마우스)(26)를 둘러싼 플랜지, 또는 용기(10)의 상측 또는 개구부 근처의 다른 지점과 맞물릴 수 있으며, 이는 편리하며 용기(10)의 절첩에 저항하는 구조적인 지지체를 제공한다.
또한, 보강재(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닥 팬 지지체(4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팬 지지체(48)는 부분적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길이부를 완전히 가로지르며, 바닥 팬(22)의 폭을 선택적으로 가로지른다. 바닥 팬(22)이 1이상의 종횡비를 갖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바닥 팬 지지체(48)는 관통하여 주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스트럿(42) 및 바닥 팬 지지체(4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통일형 그리고 일체형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강재(40)는 연속적으로 평평한 부재를 포함하며, 이 연속적으로 평평한 부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럿(42)과 바닥 팬 지지체(4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보강재(40)가 단일 요소로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보강재(40)를 용기(10)에 부착하는 것은 간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 팬 지지체(48)는 용기(10)의 바닥 팬(22)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은 비록 초음파 용접 및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가열 밀봉과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측벽(20)을 보강하는 스트럿(42)은 다수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해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럿(42)은 측벽에 대해 평행 이동함으로써 측벽(20)에 활주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스트럿(42)은 스트럿(42)의 기단 단부(44)에서 각 측벽(20)에 대해 관절굽힘가능하게(articulably)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럿(42)의 기단 단부(44)는 바닥 팬(22)과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에서 용기(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스트럿(42)이 용기(10)의 상측에서 바닥 팬(22)과 개구(26) 사이의 측벽(20)의 전체 길이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전체 길이부를 지지함으로써, 측벽(20)의 전체 깊이는 보강된다. 이러한 구조는 용기(10)가 하기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가역적으로 절첩되고 직립할 때 보다 중요해 진다.
스트럿(42)의 말단 단부(46)는 마찰 맞물림, 접착제 부착, 점착제 부착, 후크와 루프 파스너, 및 탭-슬롯 구조 등과 같은 여러 공지된 수단을 사용해서 또는 이들을 조합해서 용기(10)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럿(42)의 말단 단부(46)를 용기(10)에 제거식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적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럿(42)을 용기(10)에 부착하는 것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각적인 표시를 사용자에게 유발시킨다. 감각적인 표시는 가시가능하고, 시청가능하거나 또는 감촉가능할 수 있다. 탭-슬롯 구성과 같은 기계적인 맞물림을 사용해 스트럿(42)이 용기(10)에 결합되었을 때 감각적인 표시가 발생한다.
용기(10)는 주위의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커버(12)가 용기(10)에 제공되는 경우, 플랜지는 밀봉 수단을 제공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택적인 커버(12)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은 플랜지는 용기(10)를 파지하고, 선택적인 커버(12)를 개방 및 폐쇄 등을 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스트럿(42)은 스트럿(42)의 기단 단부와 말단 단부(46)의 중간 위치에서 용기(10)에 부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스트럿(42)을 말단 단부(46)에 부착하는 것은 편리하며 이격된 고정점을 제공하여, 스트럿(42)이 캔틸레버식 지지 외관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럿(42)은 측벽(20)에 보강재(40)를 제공하지 않는 위치로 관절굽힘될 수 있으며, 바닥 팬(22) 또는 바닥 팬 지지체(48)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특히, 비록 하기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측 표면에 제거식으로 부착가능한 스트럿(42)을 구비한 구조가 고려될 수 있지만, 스트럿(42)은 용기(10)의 외측 표면에 제거식으로 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하지 않을 때 스트럿(42)과의 간섭없이 용기(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럿(42)은 패널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스트럿(42)이 자신이 보강하는 각 측벽(20)의 폭의 적어도 75%의 폭을 가질 경우, 스트럿(42)은 패널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런 경우, 이러한 패널은 선택적으로 용기(10)의 측벽(20)과 실질적으로 같은 넓이이며, 용기(10)의 측벽(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직립 측벽(20)의 전체 폭을 관통해 지지하는 스트럿(42)을 제공한다. 그러나, 스트럿(42)의 강성은 스트럿(42)에 수직한 굽힘 모멘트에 대해 그의 폭의 1차 함수이고 그의 두께의 3차 함수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스트럿(42)은 하기에 상술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용기(10)는 직사각형 풋프린트 및/또는 직사각형 측벽(20)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런 경우, 특정 형상을 고려했을 때, 높이는 측벽(20)의 폭보다 클 수 있거나, 그 반대이다. 또한, 스트럿(42)은 관통될 수 있다. 관통 스트럿(42)이 투명한 용기(10)와 관련하여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스트럿(42)의 뒤에 놓인 용기(10)의 내용물을 보다 쉽게 볼 수 있다고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강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 팬(22)을 보강하기 위한 바닥 팬 지지체(4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스트럿(42) 또는 스트럿들(42) 및 바닥 팬 지지체(48)는 연속적이고 전술된 바와 같은 일체형의 재료 피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 및 구조가 청구된 발명에서 벗어남이 없이 활용될 수 있지만, 용기(10)는 주축과 상기 주축에 대향된 작은 축을 가질 수 있다. 용기(10)가 주축과 작은 축을 가지는 경우, 바닥 팬 지지체(48)는 주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팬(22)을 불균질적으로(heterogeneously)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축을 따라서의 불균질 지지는 바닥 팬(22)의 가장 긴 지지되지 않은 스팬을 보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스트럿(42)은 용기(10)를 바닥 팬(22)에 수직한, 및 바람직하게는 바닥 팬(22)에 동일하게 수직한 벡터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불균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용기(10)의 사용시 굽힘 및 의도되지 않은 절첩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용기(10)를 보강하기 위한 적절한 재료는 단면 및 양면 주름형 카드보드 및 용기(10)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중합체성 재료 등을 포함한다. 카드보드, 페이퍼보드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 재료가 스트럿(42) 및/또는 바닥 팬 지지체(48)용으로 선택되는 경우, 이들 재료는 습기 및 세척 등으로 인한 저하를 방지하도록 크기가 설정되거나 또는 소수성 피복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10)는 제 1 재료로 구성되고, 보강재(40)는 제 2 재료로 구성되며, 제 1 재료와 제 2 재료는 상이하다. 각각은 특정 기능에 맞춤된다. 예를 들면, 용기(10)는 불침투성이고 용기내에 수납된 액체 내용물의 기화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42)은 힌지 라인(30)을 중심으로 관절굽힘되기 적합한 불균질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각 재료는 사용 관점에서 유용할 수 있는 특별한 특성으로 맞춤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재료는 동일한 조성물일 수 있지만 외형은 상이한데, 예를 들면 용기(10)는 제 1 게이지를 갖는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42) 및/또는 바닥 팬 지지체(48)는 제 2 게이지를 갖는 중합체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게이지는 제 1 게이지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용기(10)가 재료 절감을 위해 보다 얇은 게이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보강 스트럿(42) 및/또는 바닥 팬 지지체(48)는 강도를 위해 보다 두꺼운 게이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망하는 경우, 스트럿(42)은 상기 스트럿(42)의 파지 및 조작을 위한 노치(34), 기복부(undulations), 탭 또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스트럿(42)이 보다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에서 보다 쉽게 변형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소망하는 경우, 스트럿(42)은 가변 단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럿(42)은 말단 단부(46)에서보다 스트럿(42)의 기단 단부(44)에서 보다 큰 굽힘 계수를 제공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망하는 경우 용기(10)는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변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강재(40)는 용기(10)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어, 보강재(40)가 근처 물체와 우연히 얽히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재(40)는 용기(10)의 외측 표면에 연결되어, 용기(10)의 내용물이 쉽게 제거되고, 용기(10)가 쉽게 세척될 수 있다. 용기(10)는 선택적으로 가역적으로 절첩가능하고 직립가능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용기(10)는 절첩된 상태와 관련된 제 1 체적을 갖는다. 또한, 용기(10)는 직립 상태와 관련된 제 2 체적을 갖는다. 제 2 체적은 제 1 체적보다 크다. 내용물이 고갈되었을 때 용기(10)는 절첩된다. 이러한 것은 작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고, 썩기 쉬운 내용물이 용기내에 저장된 경우 용기(10)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용기(10)는 절첩된 상태와 직립 상태 사이에서 다수의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가역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및 바람직하게는 각 측벽(20)은 바닥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힌지 라인(30)을 갖는다. 힌지 라인(30)은 측벽(20)을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분할하며, 용기(10)가 절첩된 상태와 직립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때, 이들 각각은 힌지 라인(30)을 중심으로 관절굽힘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용기(10)는 1999년 12월 7일자로 랜달에게 허여되었으며 공동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996,882 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상태와 직립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는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럿(42)은 용기(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럿(42)은 스트럿(42)의 기단 단부(44)와 말단 단부(46) 양자에 개별 부착 수단을 갖는다. 또한, 스트럿(42)은 기단 단부(44)와 말단 단부(46)의 중간 위치에서 용기(10)에 부착될 수 있다. 기단 단부(44) 및 말단 단부(46)에서의 부착, 및 중간 위치는 전술된 및 공지된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망하는 경우, 스트럿(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42)이 바닥 팬 지지체(48)의 외향 표면에 접촉하여 결합할 때까지 관절굽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스트럿(42)으로 보강된 2개의 측벽(20)을 개시하고 있지만,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나의 측벽(20), 모든 측벽(20),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조합체가 스트럿(42)에 의해 보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용기(10)는 2개의 바닥 팬 지지체(48)가 제공될 수 있다. 바닥 팬 지지체(48)가 바닥 팬(22)을 불균질적으로 보강하는 경우, 불균질 보강재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가해져, 바닥 팬(22)을 가로질러 보다 일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앞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4개의 측벽(20)을 갖는 용기(10)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럿(42)의 기단 단부(44)가 바닥 팬(22)과 나란할 필요는 없다. 스트럿(42)은 상부 또는 용기(10)의 개구(26)와 나란하게 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관절굽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용기(10)는 다수의 스트럿(42)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스트럿은 바닥 팬(22)과 나란하게 배치된 기단 단부(44)를 중심으로 관절굽힘될 수 있으며, 반면에 다른 스트럿(42)은 용기(10)의 상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기단 단부(44)를 중심으로 관절굽힘되고, 또다른 스트럿(42)은 중간 위치를 중심으로 관절굽힘된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고려된다.

Claims (14)

  1. 바닥 팬(a floor pan)(22)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20)을 갖는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측벽중 적어도 하나는 직립 스트럿(upstanding strut)(42)에 의해 보강가능하며, 상기 스트럿은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상기 측벽으로부터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기단 단부(44) 및 말단 단부(46)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럿은 상기 기단 단부에서 상기 측벽에 관절굽힘가능하게(articulably)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상기 바닥 팬과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에서 상기 용기에 관절굽힘가능하게(articulably)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은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패널은 상기 용기의 측벽과 동일의 넓이를 가지며, 또 상기 용기의 측벽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6. 바닥 팬(22)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20)을 갖는 용기(10)로서, 상기 측벽은 교호식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대향된 쌍으로 배치된,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중 적어도 한쌍은 제거가능한 스트럿(42)에 의해 보강가능하며, 여기에서 제 1 측벽과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2 측벽은 각기 이와 관련된 제 1 스트럿 및 제 2 스트럿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럿은, 상기 스트럿이 상기 측벽을 보강하는 제 1 자세(position)와 상기 스트럿이 상기 측벽을 보강하지 않는 제 2 자세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형가능한(reversibly transformable)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스트럿 및 바닥 팬 지지체를 포함하는 보강재(40)(a reinforcement)를 더 포함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상기 제거가능한 스트럿 및 상기 바닥 팬 지지체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평평한 부재(a contiguous planar member)를 포함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 1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연속적인 평평한 부재는 제 2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재료와 상기 제 2 재료는 상이한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평평한 부재는 주름진 카드보드(fluted cardboard)로 구성되는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및 상기 보강재는 동일한 조성물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는 제 1 게이지(gauge)를 갖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재는 제 2 게이지를 갖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게이지가 상기 제 1 게이지보다 큰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KR10-2002-7008919A 2000-01-11 2001-01-11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KR100511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62600P 2000-01-11 2000-01-11
US60/175,626 2000-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934A KR20020071934A (ko) 2002-09-13
KR100511584B1 true KR100511584B1 (ko) 2005-09-02

Family

ID=2264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19A KR100511584B1 (ko) 2000-01-11 2001-01-11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20000445A1 (ko)
EP (1) EP1259430B1 (ko)
JP (1) JP2003519600A (ko)
KR (1) KR100511584B1 (ko)
CN (1) CN1394184A (ko)
AU (1) AU2001230904A1 (ko)
BR (1) BR0107587A (ko)
CA (1) CA2395067C (ko)
DE (1) DE60105558T2 (ko)
ES (1) ES2225473T3 (ko)
MX (1) MXPA02006476A (ko)
WO (1) WO20010513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9599A1 (en) * 2009-10-06 2011-04-07 Jennifer Macewan Flexible organic waste receptacle
WO2014084721A1 (en) * 2012-11-27 2014-06-05 N.V. Nutricia Container construction for powdered material
JP6429637B2 (ja) * 2015-01-19 2018-11-28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
IT201900021093A1 (it) * 2019-11-13 2021-05-13 Noce S R L Contenitore per alimenti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per alimenti
CN111547377A (zh) * 2020-06-12 2020-08-18 安徽乐岁新材料有限公司 一种菜饭分离的便当盒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4055A (en) 1972-12-04 1974-01-08 Anderson Packaging Inc Reclosable package
US3967756A (en) 1975-06-09 1976-07-06 Johnson & Johnson Wet wipe dispenser
JPS5627073Y2 (ko) * 1977-11-14 1981-06-27
US4606461A (en) * 1985-04-18 1986-08-19 Ace Paper Products Co. Collapsible container
GB8621010D0 (en) * 1986-08-30 1986-10-08 Waddingtons Cartons Ltd Composite packages
US4801017A (en) * 1986-10-17 1989-01-31 Aldo Artusi Container, particularly for receiving foods
ES2015372A6 (es) 1988-02-04 1990-08-1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Instalacion de direccion de varios ejes.
SE469749B (sv) * 1988-02-15 1993-09-06 Alfastar Ab Tvaadelad foerpackning, samt foerfarande foer dess tillverkning
FR2667572B1 (fr) * 1990-10-03 1993-08-13 Impression Cartonnage Ste Pari Contenant comprenant une feuille thermoformee et une plaque de renforcement.
JPH0610135U (ja) * 1991-12-10 1994-02-08 天昇電気工業株式会社 収納ケース
WO1994002384A1 (en) 1992-07-20 1994-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compactable, shape-restorable package for storing and dispensing dry or premoistened sheets
CA2103830C (en) * 1992-08-19 2005-05-17 Gerald M. Syrek Stackable container for premoistened wipes
US5622276A (en) * 1995-06-01 1997-04-22 Simmons; John M. Collapsible container/cooler apparatus
JP2935169B2 (ja) * 1995-08-25 1999-08-16 アイ・シー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ーヒードリッパー
US6015071A (en) * 1997-03-11 2000-01-18 Prince Corporation Vehicle storage divider
US5996882A (en) * 1997-05-09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llapsible, foldable, stackable, and self-supporting container
US6050410A (en) * 1998-01-11 2000-04-18 Quirion; M. Yvan Foldable pallet-mounte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5558D1 (de) 2004-10-21
AU2001230904A1 (en) 2001-07-24
CA2395067C (en) 2009-04-14
CN1394184A (zh) 2003-01-29
BR0107587A (pt) 2002-09-24
WO2001051363A3 (en) 2001-12-20
US20020000445A1 (en) 2002-01-03
EP1259430A2 (en) 2002-11-27
DE60105558T2 (de) 2005-10-06
KR20020071934A (ko) 2002-09-13
JP2003519600A (ja) 2003-06-24
CA2395067A1 (en) 2001-07-19
MXPA02006476A (es) 2002-11-29
WO2001051363A2 (en) 2001-07-19
ES2225473T3 (es) 2005-03-16
EP1259430B1 (en)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859B1 (en) Foldable storage container
US4657176A (en) Collapsible box including bag and attached lid
US20080264938A1 (en) Container having sliding corner support
JP4439736B2 (ja) 関節運動自在容器
MX2007010470A (es) Recipiente poco profundo que incluye secciones unidas verticalmente por bisagras en las secciones laterales.
US20190256253A1 (en) Foldable container for transport of piece goods
US5921465A (en) Instant set-up bulk box
US5848699A (en) Package for fragile goods
US20020158115A1 (en) Packing box design
JPH02139336A (ja) カバー付物品容器
KR100511584B1 (ko) 바닥 팬에 의해 상호연결된 다수의 직립 측벽을 갖는 용기
US5096306A (en) Package
JPH0624487A (ja) バラ荷材料、流体および同等品用コンテナー
KR20230024372A (ko) 블랭크 및 패키지
GB2283728A (en) Container
EP0731032B1 (en) Box and blank for a box
TW450923B (en) Reversibly collapsible/erecta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CA2851679A1 (en) Flexible pouches for goods on a roll
US6357653B1 (en) Wood charcoal container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JPH101134A (ja) 折畳み式包装容器
KR200246167Y1 (ko) 운반용 상자
JPH0723377Y2 (ja) 上下区画を有する容器
JP3023957U (ja) 紙製容器
KR200236865Y1 (ko) 운반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