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376B1 -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376B1
KR100511376B1 KR1019980059390A KR19980059390A KR100511376B1 KR 100511376 B1 KR100511376 B1 KR 100511376B1 KR 1019980059390 A KR1019980059390 A KR 1019980059390A KR 19980059390 A KR19980059390 A KR 19980059390A KR 100511376 B1 KR100511376 B1 KR 10051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r
rate
full
space ut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3083A (ko
Inventor
서희주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카를 상하로 연결하여 운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부하를 적절히 배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상하부 카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운행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카 각 내부의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율 검출수단과; 상기 상하부 카 각각의 실내공간 이용률을 검출하는 공간이용률 검출수단과; 상기 부하율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상하부 카에 대한 부하율을 합하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는 부하율 비교수단과; 상기 공간이용률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상하부 카에 대한 공간이용률을 이용하여 각 카의 만원판정 이용률과 비교하는 공간이용률 비교수단과; 상기 부하율 비교수단과 공간이용률 비교수단의 비교결과를 모두 이용하여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만원 판정수단과; 상기 만원 판정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운전 결정수단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카를 상하로 연결하여 운행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부하를 적절히 배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의 탑승에 따른 만원 판정을 할 때 상하부 각 카의 현재 부하의 상태만을 근거로 만원을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각 카의 공간이용율을 함께 고려하여 만원 판정을 하도록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수송능력의 증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가 고속화 되고, 운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수송능력의 증대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대수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하는 경우 건물에서 엘리베이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많게 되고, 부가설비 및 비용이 증가되는 결함이 있다.
따라서, 수송능력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카를 상하로 연결하여 운전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행시켜 수송능력을 극대화 하고, 이용객들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전체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승강로상에 상하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운행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부 카(115U),(115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를 상하로 주행시키기 위한 모터(112)와;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상기 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카 제어기(116)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제어기(117U),(117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내부에 각종 운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118U),(118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상하부 카 부하검출장치(119U),(119L)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가 제공하는 각종 표시정보 신호를 통신망 제어기로부터 전달받아 처리하는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의 제어를 받아 각 층상의 승강장에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122A),(122B)와; 승강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의 부름을 받아들이고, 부름등록 결과를 표시하는 승강장 부름버튼(123A),(123B)과; 상기 카제어기(116)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통신라인(101)과;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통신라인(102)으로 구성되었다.
도 2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기(203)와; 상기 카 제어기(116)와 통신을 수행하는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204)와;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통신을 수행하는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205)와; 상기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204) 및 승강장네트워크 통신 제어기(20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수신데이터 버퍼(206)와; 상기 운전 제어기(203)로부터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204) 및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205)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송신데이터 버퍼(207)와; 상기 카 제어기(116)로부터의 수신데이터와 만원판정 부하율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부하율 비교장치(208)와; 만원 판정을 위한 각 상하부 카(115U),(115L)의 부하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만원판정 부하율데이터 저장장치(209)와;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만원 판정장치(210)와; 상기 만원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운전 결정장치(211)와; 상기 운전 제어기(203)의 지령에 따라 상기 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구동제어장치(212)로 구성되었다.
도 3은 상기 도 1에서 카 제어기(116)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부하율 검출부(301)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각 카(115U),(115L)의 부하율을 연산하는 부하율 연산부(302)와; 상기 부하율 연산부(302)의 부하율 연산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부하율 데이터 기억부(303)로 구성되었다.
상기 부하율 연산부(302)는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부하검출장치(119U),(119L)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입력부하신호 처리부(302A)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무부하시의 부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부카 무부하데이터 버퍼(302B), 하부카 무부하데이터 버퍼(302E)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전부하시의 부하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부카 전부하데이터 버퍼(302C), 하부카 전부하데이터 버퍼(302F)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현재부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부카 현재부하데이터 버퍼(302D), 하부카 현재부하데이터 버퍼(302G)와; 상기 각 데이터버퍼(302B-302G)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카(115U),(115L)의 현재 부하율을 계산하는 부하율 연산부(302H)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작용을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 카 부하검출장치(119U),(119L)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엘리베이터의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정지중인 상태인지 확인하여 기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만원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판단되면 우선 상부카(115U)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 확인한다.(SA1,SA2)
상기의 확인 결과 상부카(115U)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명되면, 부하율 검출부(301)에서 검출한 상부카(115U)의 부하율과 상부카 만원판정 부하율을 부하율 비교장치(208)에서 비교하여, 상부카 부하율이 만원판정 부하율보다 큰 것으로 판명되면 만원 판정장치(210)에서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를 셋(set)하고, 이 결과를 카 제어기(116) 및 승강장 제어기(121A),(121B)에게 전송하여 각 카(115U),(115L)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기(118U),(118L)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기(122A),(122B)에 표시되도록 한다.(SA3,SA4)
그러나, 상기의 확인 결과 상부카(115U)의 도어가 오픈상태가 아니거나 상부카(115U)의 부하율이 상부카(115U)의 만원판정 부하율보다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를 리셋(reset)하고, 만원 안내표시도 해제한다.(SA5)
즉, 이전에 만원판정 및 만원 안내 표시가 되어 있었다면 이것들을 해제하게 되고, 만원판정이 안된 상태였다면 계속 만원판정을 하지 않는다.
또한, 하부카(115L)에 대해서도 상기 상부카(115U)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원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하부카 만원판정 플래그(LCFF)를 셋하거나 리셋하고 만원안내를 표시하거나 해제한다.(SA6-SA9)
그리고, 상기 만원판정 플래그(UCFF),(LCFF)의 셋팅 여부에 따라 기 설정된 순서에 입각하여 각 카(115U),(115L)의 도어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즉, 우선 엘리베이터의 정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지상태로 판단되면 상부카(115U)의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 개방상태로 판명되면 상기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의 셋팅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의 확인 결과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가 셋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 도어 클로즈 가능 플래그(UDCF)를 리셋시키고, 상부카(115U)의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상부카(115U)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고,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가 셋되어 있으면 상부가 도어 클로즈 조건인가 확인하여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상기 상부카 도어 클로즈 가능 플래그(UDCF)를 리셋시키고, 조건이 성립되면 기존 상부카 도어 클로즈 가능 플래그(UDCF)의 상태를 확인하여 셋되어 있으면 상부카 도어 클로즈 지령의 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클로즈를 실시한다.
그리고, 하부카(115L)의 도어에 대해서도 상부카(115U)의 도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만원 판정 및 도어제어는 결국, 도 2의 운전 결정장치(211)에 영향을 주게 되고, 만약, 만원판정상태이면 도어를 클로즈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구동제어장치(212)측으로 구동지령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것은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만 상기의 일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정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지된 상태이고, 상하부 카(115U),(115L)의 도어 중에서 하나라도 오픈 상태이지 확인한다.(SB1,SB2)
상기의 조건이 성립하면 상부카(115U)의 부하율과 하부카(115L)의 부하율의 합이 각 카(115U),(115L)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큰지 비교하여 큰 것으로 판명되면 다음으로 상부카(115U)의 부하율과 하부카(115L)의 부하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부하율이 큰쪽의 카에 대한 만원판정 플래그를 셋함과 아울러 만원안내 표시를 실시한다.(SB3-SB6)
한편, 상부카(115U)의 부하율과 하부카(115L)의 부하율의 합이 각 카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큰지 비교하여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하부 카(115U),(115L)의 만원판정 플래그(UCFF),(LCFF)를 리셋하고 만원안내 표시도 해제한다.(SB3,SB7)
이것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수송효율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부하의 합이 만원판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명될때 정상운전을 계속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각 카(115U),(115L)에 대한 부하율을 각 부하검출장치(119U),(119L)를 통해 검출하고, 부하율 연산부(302)에서 부하율을 연산하여 각 카(115U),(115L)에 대한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현재 부하의 상태를 판정하여, 이때, 어느 하나의 카라도 검출된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 이상으로 판명되면 정상운행을 하지 않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처리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로써, 상부카(115U)에 무거운 화물 등이 실려서 부하율이 높게 판정되는 경우, 실제 상부카(115U)의 내부 공간은 승객이 충분히 더 탑승할 수 있고, 하부카(115L)에는 가벼운 화물 등이 실려서 만원으로 판정되지는 않았지만 화물의 부피가 커서 더 이상 승객을 탑승시키거나 화물을 적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N층의 승강장부름에 대해서 하부카(115L)가 할당된다. 이로 인하여, N층 승강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은 카가 도착하더라도 하차하는 승객이 없는 경우 탑승공간 부족에 의해 탑승할 수 없게 되고, 결국 탑승을 위해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하부 카(115U),(115L)의 부하율의 합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최대 허용부하율 이하이면 만원 판정을 하지 않고 정상운행을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하부의 특정 카에 너무 많은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어 결국, 그 카 내부의 쾌적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이용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적재 공간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각 카의 하중만을 고려하여 만원 여부를 판정하게 되므로 탑승 가능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공간이 부족하여 탑승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카라도 만원으로 판정되면 전체 부하가 적은 경우일지라도 즉, 상하부 카의 부하를 합쳤을 때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허용 가능한 부하에 많이 미달되는 경우인데도 엘리베이터는 만원판정을 한 해당 카의 최종 탑승객이 하차하여 부하가 만원판정 수준 이하로 될 때까지 운행을 하지 않고 승강장부름을 무시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에 대한 수송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원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각 카의 하중 뿐만 아니라 적재 가능한 공간을 고려하여 상하부 카에 가급적 많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승강로상에 상하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운행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부 카(115U),(115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를 상하로 주행시키기 위한 모터(112)와;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상기 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각종 제어를 담당하는 카 제어기(116)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도어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제어기(117U),(117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내부에 각종 운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118U),(118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상하부 카 부하검출장치(119U),(119L)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공간 이용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촬상장치(120U),(120L)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가 제공하는 각종 표시정보 신호를 통신망 제어기로부터 전달받아 처리하는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의 제어를 받아 각 층상의 승강장에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122A),(122B)와; 승강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의 부름을 받아들이고, 부름등록 결과를 표시하는 승강장 부름버튼(123A),(123B)과; 상기 카제어기(116)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통신라인(101)과;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통신라인(102)으로 구성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기(703)와; 상기 카 제어기(116)와 통신을 수행하는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704)와;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통신을 수행하는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705)와; 상기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704) 및 승강장네트워크 통신 제어기(70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수신데이터 버퍼(706)와; 상기 운전 제어기(703)로부터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704) 및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705)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송신데이터 버퍼(707)와; 상기 카 제어기(116)로부터의 수신데이터와 만원판정 부하율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부하율 비교장치(708)와; 만원 판정을 위한 상하부 카(115U),(115L)의 부하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만원판정 부하율데이터 저장장치(709)와; 상기 각 카(115U),(115L)로부터 수신된 공간이용률 데이터와 만원판정부하율데이터 저장장치(711)에 저장되어 있는 만원판정 공간이용률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공간이용률 비교장치(710)와; 만원판정을 위한 각 카(115U),(115L)의 공간이용률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만원판정부하율데이터 저장장치(711)와; 상기 각 비교장치(708),(710)의 비교결과에 따라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만원 판정장치(712)와; 상기 만원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운전 결정장치(713)와; 상기 운전 제어기(703)의 지령에 따라 상기 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구동제어장치(714)로 구성하였다.
도 1에서 카 제어기(116)는 도 3과 같은 부하율 검출장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공간이용율 검출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 공간이용률 검출장치는 도 8과 같이, 상하부 카(115U),(115L) 내부의 승객 또는 화물에 의한 공간이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부카 촬상장치(120U), 하부카 촬상장치(120L)로 구성된 촬상부(801)와; 상기 촬상부(80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공간이용률을 연산하는 공간이용률 연산부(802)와; 상기 공간이용률 연산부(802)에서 연산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현재공간이용률데이터 기억부(803)로 구성하였다.
상기 공간이용률 연산부(802)는 상기 촬상장치(120U),(120L)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입력이미지데이터 처리부(802A)와; 상기 각 카(115U),(115L)에 탑승객이 없거나 화물이 없을 때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상부카 기준 이미지버퍼(802B), 하부카 기준 이미지버퍼(802C)와; 상기 각 카(115U),(115L)의 입력 이미지에서 기준 이미지를 감산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802F)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802F)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부카 처리이미지버퍼(802G), 하부카 처리이미지버퍼(802H)와; 상기 각 카(115U),(115L)에 대한 처리 이미지를 이용하여 그들의 현재 공간이용률을 계산하는 공간이용률 연산장치(802I)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만원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장치로 종래와 달리 상하부 카(115U),(115L) 내부의 하중을 검출하는 부하검출장치(119U),(119L)와 그 카(115U),(115L) 내부의 승객 또는 화물에 의한 공간이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촬상장치(120U),(120L)를 이용한다.
도 8의 공간이용 연산부(802)는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상부에 설치된 촬상장치(120U),(120L)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공간 이용율을 연산하게 된다. 즉, 입력이미지 데이터 처리부(802A)에서 상기 촬상장치(120U),(120L)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인 입력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9의 (a)와 같이 탑승객과 화물이 없을 때 다시말해서 무부하시의 이미지와 현재상태의 이미지를 각각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의 기준 이미지 버퍼(802B,802D),(802C,802E)에 저장한다.
이후, 이미지 처리부(802F)는 상기 각 기준 이미지 버퍼(802B,802D),(802C,802E)에 저장된 각 카(115U),(115L)의 입력 이미지(도 9의 (b))에서 기준 이미지(도 9의 (a))를 감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그 결과(도 9의 (c))를 각 상하부 카 처리 이미지버퍼(802G),(802H)에 저장한다.
공간이용율 연산장치(802I)에서는 상기 이미지버퍼(802G),(802H)에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만원판정 장치(712)에 의해 미리 정의된 만원판정공간이용률과 비교할 공간 이용률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현재공간이용률데이터 기억부(803)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만원판정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정지중인 상태인지 확인하여 기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만원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판단되면 우선 상부카(115U)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 확인한다.(SC1,SC2)
상기의 확인 결과 상부카(115U)의 도어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 공간이용률과 상부카 만원판정 공간이용률을 비교하여, 상부카 공간이용률이 큰 것으로 판명되면 만원판정장치(712)에서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를 셋(set)하고, 이 결과를 카 제어기(116) 및 승강장 제어기(121A),(121B)에게 전송하여 각 카(115U),(115L)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기(118U),(118L)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기(122A),(122B)에 표시되도록 한다.(SC3,SC4)
그러나, 상기의 확인 결과 상부카(115U)의 도어가 오픈상태가 아니거나,상부카 공간이용률이 상부카 만원판정 공간이용률보다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를 리셋(reset)하고, 만원 안내표시도 해제한다.(SC5)
즉, 이전에 만원판정 및 만원 안내 표시가 되어 있었다면 이것들을 해제하게 되고, 만원판정이 안된 상태였다면 계속 만원판정을 하지 않는다.
또한, 하부카(115L)에 대해서도 상기 상부카(115U)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원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하부카 만원판정 플래그(LCFF)를 셋하거나 리셋하고 만원안내를 표시하거나 해제한다.(SC6-SC9)
이후, 상부카 부하율과 하부카 부하율의 합이 각 카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큰지 비교하여 부하율이 큰쪽의 카에 대한 만원판정 플래그를 셋하고, 상기와 같이 만원안내표시를 실시한다.(SC10-SC13)
단, 상기 상부카 부하율과 하부카 부하율의 합이 각 카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공간이용률 비교에 의해 결정된 각 카의 만원판정 플래그(UCFF,LCFF)의 셋팅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만원판정 플래그(UCFF,LCFF)의 셋팅 여부에 따라 도 11에서와 같이 각 카(115U),(115L)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즉, 우선 엘리베이터의 정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지상태로 판단되면 상부카(115U)의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 개방상태로 판명되면 상기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의 셋팅 여부를 확인한다.(SD1-SD3)
상기의 확인 결과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가 셋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 도어 클로즈 가능 플래그(UDCF)를 리셋시키고, 상부카(115U)의 도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SD5,SD9)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상부카(115U)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고, 상부카 만원판정 플래그(UCFF)가 셋되어 있으면 상부가 도어 클로즈 조건인가 확인하여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상기 상부카 도어 클로즈 가능 플래그(UDCF)를 리셋시키고, 조건이 성립되면 기존 상부카 도어 클로즈 가능 플래그(UDCF)의 상태를 확인하여 셋되어 있으면 상부카 도어 클로즈 지령의 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클로즈를 실시한다.(SD4,SD6-SD9)
그리고, 하부카(115L)의 도어에 대해서도 상부카(115U)의 도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한다.(SD10-SD17)
상기에서 설명한 만원 판정 및 도어제어는 결국, 도 7의 운전 결정장치(713)에 영향을 주게 되고, 만약, 만원판정상태이면 도어를 클로즈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구동제어장치(714)측으로 구동지령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의 설명을 종합해 보면, 에리베이터가 정상운전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부카(115U)의 공간이용률이 상부카(115U)의 만원판정 공간이용률보다 작아야 하고, 하부카(115L)의 공간이용률이 하부카(115L)의 만원판정 공간이용률보다 작아야 하고, 상부카 부하율과 하부카 부하율의 합이 각 카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작아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만원판정 조건에 카 내부의 공간이용률을 이용하기 때문에 특정 카에 너무 많은 화물이나 승객이 탑승하여 전체 승객에 대한 쾌적성을 저해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이용률과 함께 상하부 각 카(115U), (115L)의 부하율의 합을 만원판정에 이용함으로써 특정 카에 무거운 화물 등이 실리더라도 상부카 부하율과 하부카 부하율의 합이 각 카(115U), (115L)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작고 상기 특정 카의 공간이용률이 작으면 상기 특정 카에 더 많은 화물 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송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만약 상부카(115U)에 무거운 화물(B) 등이 실리면 부하율이 높게 판정되지만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은 공간검출 결과에 의해 실제 그 카(115U)의 내부 공간에 승객이 더 탑승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고, 이와 반대로 하부카(115L)에는 가벼운 화물(D) 등이 실려서 부하율이 낮게 판정되지만 공간검출 결과에 의해 실제 그 카(115L)의 내부 공간에 승객이 더 탑승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되어, (N+1)층의 승강장 부름에 대해서 상부카(115U)가 할당된다. 이로 인하여 승강장에 대기중인 승객(E)들은 내부 공간에 여유가 많은 상부카(115U)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만원판정 조건에 카 내부의 공간이용률을 반영하기 때문에 특정 카에 너무 많은 화물이나 승객이 탑승하여 전체 승객에 대한 쾌적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이용률과 함께 상하부 각 카의 부하율의 합을 만원판정에 이용함으로써 특정 카에 무거운 화물 등이 실리더라도 상부카 부하율과 하부카 부하율의 합이 각 카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작고 상기 특정 카의 공간이용률이 작으면 그 특정 카에 더 많은 화물 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수송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 카 제어기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만원판정 신호 흐름도.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만원판정의 다른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전체 개략도.
도 7은 도 6에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8은 도 6에서 카 제어기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9의 (a)-(c)는 공간이용률을 검출하기 위한 카의 이미지 처리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만원판정의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제어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12 : 모터
113 : 균형추 114 : 로프
115U : 상부카 115L : 하부카
116 : 카 제어기 117U,117L : 도어 제어기
118U,118L,122A,122B : 표시기 119U,119L : 부하검출장치
120U,120L : 촬상장치 121A,121B : 승강장 제어기
123A,123B : 승강장 부름버튼

Claims (5)

  1.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상하부 카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운행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카 각 내부의 부하율을 검출하는 부하율 검출수단과; 상하부 카에 각기 설치된 촬상수단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그 상하부 카 각각의 실내공간 이용률을 검출하는 공간이용률 검출수단과; 상기 부하율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상하부 카에 대한 부하율을 합하여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는 부하율 비교수단과; 상기 공간이용률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상하부 카에 대한 공간이용률을 이용하여 각 카의 만원판정 이용률과 비교하는 공간이용률 비교수단과; 상기 부하율 비교수단과 공간이용률 비교수단의 비교결과를 모두 이용하여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만원 판정수단과; 상기 만원 판정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운전 결정수단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만원 판정수단은 상기 상하부 카 중 임의의 카의 부하율이 해당 카의 만원판정부하율 이상이더라도 상하부 카의 내부 공간이용률이 만원판정 공간이용률 이하이고 각 카의 부하율의 합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각 카의 만원판정 부하율의 합보다 작은 경우 만원 판정을 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공간이용률 검출수단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상하부 카 내부의 승객 또는 화물의 영상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각 카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촬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공간이용률 검출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을 통해 취득한 이미지를 처리하여 순수한 현재의 승객 또는 화물의 영상 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의 공간이용률을 연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상기 공간이용률 비교수단에서 상기 만원판정공간이용률과 상기 공간이용률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상하부 카의 공간이용률을 입력받아 비교할 만원판정공간이용률을 미리 정의하여 저장하는 만원판정 공간이용률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KR1019980059390A 1998-12-28 1998-12-28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KR10051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390A KR100511376B1 (ko) 1998-12-28 1998-12-28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390A KR100511376B1 (ko) 1998-12-28 1998-12-28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083A KR20000043083A (ko) 2000-07-15
KR100511376B1 true KR100511376B1 (ko) 2006-02-28

Family

ID=1956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390A KR100511376B1 (ko) 1998-12-28 1998-12-28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986B1 (ko) * 1999-10-07 2002-05-10 장병우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901579A (zh) * 2020-01-14 2022-08-12 三菱电机株式会社 双层电梯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224A (en) * 1985-04-12 1986-12-30 Otis Elevator Company Multicompartment elevator call assigning
JPH02295867A (ja) * 1989-05-10 1990-12-06 Hokkaido Nippon Denki Software Kk エレベーター自動運行制御方式
JPH0543152A (ja) * 1991-08-20 1993-02-23 Fujitsu Ltd エレベータ負荷測定方式
JPH0873138A (ja) * 1994-09-07 1996-03-19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US5625176A (en) * 1995-06-26 1997-04-29 Otis Elevator Company Crowd service enhancements with multi-deck elevators
JPH09290964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人荷用エレベータの満載通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224A (en) * 1985-04-12 1986-12-30 Otis Elevator Company Multicompartment elevator call assigning
JPH02295867A (ja) * 1989-05-10 1990-12-06 Hokkaido Nippon Denki Software Kk エレベーター自動運行制御方式
JPH0543152A (ja) * 1991-08-20 1993-02-23 Fujitsu Ltd エレベータ負荷測定方式
JPH0873138A (ja) * 1994-09-07 1996-03-19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US5625176A (en) * 1995-06-26 1997-04-29 Otis Elevator Company Crowd service enhancements with multi-deck elevators
JPH09290964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人荷用エレベータの満載通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083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224A (en) Apparatus for the load dependent control of an elevator
US2005018918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the method
WO2018221023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JPH04213573A (ja) 運転コストと可変的なプラス点/マイナス点ファクタとに基づくエレベータ群内での即時的な行先呼出しの割当てのための方法と装置
US7389857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JPH11180652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運転方法
US499860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operation of an elevator system at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CN105980284A (zh) 电梯中的制动器操作管理
US5861587A (en) Method for operating a double deck elevator car
KR100511376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KR940010790B1 (ko)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 장치
JP2000086095A (ja) エレベーター運転装置
KR950007563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장치
CN114789950A (zh) 电梯集群智能控制装置
JPH05139634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6815568B2 (ja) 運行管理装置および運行管理プログラム
KR100335986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JPS6296277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2505645B2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7031780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533075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69361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911848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WO2021144832A1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H11222372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