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986B1 -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986B1
KR100335986B1 KR1019990043282A KR19990043282A KR100335986B1 KR 100335986 B1 KR100335986 B1 KR 100335986B1 KR 1019990043282 A KR1019990043282 A KR 1019990043282A KR 19990043282 A KR19990043282 A KR 19990043282A KR 100335986 B1 KR100335986 B1 KR 10033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load
passengers
driving
c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324A (ko
Inventor
서희주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4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9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2009/006Ganged elev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8Ganged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 상하부의 카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카의 내부에 승객이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상운행이 가능한 나머지 카의 운행을 적절히 제어하여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 카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카고장검출수단과; 상기 카고장검출수단의 고장검출 여부에 따라 상하부카운전모드 또는 상부카운전모드 또는 하부카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운전모드변경수단과; 상기 각 카의 부하량 데이터를 근거로 부하율을 연산하는 부하율연산수단과; 상기 부하량 데이터를 근거로 고장난 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카내부승객 검출수단과; 상기 두 대의 카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될 때 그 고장난 카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들을 위해 승강장부름을 자동으로 등록해 주는 승강장부름자동 등록수단과; 상기 부하율연산수단에서 연산한 각 카의 부하율을기 저장된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여 만원판정을 하는 만원판정수단과; 상기 운전모드변경수단과 만원판정수단의 결과에 따라 고장난 카의 승객들이 우선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운전결정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OUBLE DECK ELEVATOR}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강로에서 두 대의 카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운전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비상운전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의 카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카의 내부에 승객이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상운행이 가능한 나머지 카의 운행을 적절히 제어하여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수송능력의 증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의 고속화, 운전의 효율화 등에 관련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수송능력을 증대시키는 대책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행 대수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와 같은 경우 건물에서 엘리베이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또한 부가설비 및 비용의 증가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송능력을 증대시키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카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운행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행하여 수송능력을 극대화 시키고 이용 승객들의 편의를 도모하는 다양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물론, 고장 발생율을 최소화 한 엘리베이터를 생산하는 것이 우선 과제이지만, 그에 못지 않게 고장이 발생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술 또한 중요한사항이다. 예를 들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상하부 카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카를 이용하여 가능한 최선의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와 관련된 중요한 기술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전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연결된 상하부 카(15U),(15L)를 운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2)와;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상기 모터(12)의 구동을 총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연계하여 상기 카(15U),(15L)의 운행을 각기 제어하는 상하부카 제어기(16U),(16L)와; 상기 카(15U),(15L)의 도어 개폐동작을 각기 제어하는 상하부카 도어제어기(17U),(17L)와; 상기 카(15U),(15L)에 탑승한 승객에 의해 요구되는 행선지 부름을 등록하기 위한 상하부카의 조작반(18U),(18L)과; 상기 카(15U),(15L)의 내부에 각기 설치되어 각종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각각의 표시안내기(19U),(19L)와; 상기 카(15U), (15L)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장치(20U),(20L)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가 제공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통신망 제어기를 통해 전달받아 처리하고, 승강장 부름버튼(23A),(23B)을 통해 입력되는 승강장 부름신호를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측으로 전송하는 승강장 제어기(21A),(21B)와; 상기 승강장 제어기(21A),(21B)의 제어를 받아 승강장에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안내기(22A), (22B)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카제어기(16U),(16L)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카 직렬통신라인(1)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와 승강장 제어기(21A),(21B)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승강장 직렬통신라인(2)로 구성되었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 카(15U), (15L)의 운전을 총괄 제어하는 운전제어부(33)와; 상기 카 직렬통신라인 (1)을 통해 상기 카제어기(16U),(16L)와 통신을 수행하는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34)와; 상기 승강장 직렬통신라인(2)을 통해 하부카 제어기(16L)와 통신을 수행하는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35)와; 상기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34)와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3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수신데이터 버퍼(36)와; 운전제어부(33)로부터 상기 통신제어기(35),(36)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송신데이터 버퍼(37)와; 상기 카(15U),(15L)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카고장 판정부(38)와; 운행 서비스에 이용할 카를 결정하는 운전모드 변경부(39)와; 상기 카(15U),(15L)의 하부에 설치된 부하검출장치(20U),(20L)를 통해 검출된 부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부하율을 연산하는 부하율연산부(40)와; 상기 각 카(15U),(15L)의 만원판정부하율을 저장하는 만원판정부하율데이터 저장부 (41)와; 상기 부하율연산부(40)에서 연산한 각 부하율을 해당 카의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는 부하율비교부(42)와; 상기 부하율비교부(42)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하여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만원판정부(43)와; 상기 만원판정부(43)의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여부를 결정하는 운전결정부(44)와; 상기 운전제어부(33)의 지령에 따라 상기 모터(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구동제어부(45)와; 상기 도어제어기 (17U),(17L)에 도어 온/오프지령을 출력하는 도어구동부(46)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상하부카 제어기(16U),(16L)는 상하부 카(15U),(15L) 내부의 무게를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장치(20U),(20L)를 통해 검출한 부하량 신호를 부하량 데이터로 연산하여 카 직렬통신라인(1)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의 부하율연산부(40)는 상기 각 카(15U),(15L)의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들의 부하율을 연산한다. 또한, 부하율비교부(42)에서는 만원판정부하율 저장부(4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 카(15U),(15L)의 만원판정부하율데이터와 현재 부하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만원판정부(43)가 각 카(15U),(15L)의 만원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의 카고장 판정부(38)에서는 직렬통신 데이터와 각 카(15U),(15L)의 안전관련 신호들을 이용하여 그 카(15U),(15L)를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그들의 고장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운전모드 변경부(39)에서는 상하부의 카(15U),(15L) 모두 서비스에 이용하는 상하부카운전모드를 설정하거나, 상부의 카(15U)만을 서비스에 이용하는 상부카운전모드 또는 하부의 카(15L)만을 서비스에 이용하는 하부카운전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하부카 제어기(16U),(16L) 중 어느 한 대에 고장이 발생되면 카고장 판정부(38)에서 어느 카의 고장인지 판정하게 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모드 변경부(39)에서 상기 상부카 운전모드를 결정하거나 하부가 운전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운전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만약, 운행 중이던 상하부 카(15U),(15L)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하여 해당 카를 서비스에 이용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정상인 나머지 한 대의 카로 서비스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카에 승객이 갇히게 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카 내부의 부하량 데이터를 생성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로 전달하는 카제어기(15U 또는 15L) 자체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해당 카제어기가 전달한 데이터는 모두 신뢰할 수 없으므로 고장이 발생한 카 내부의 부하상태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카제어기의 고장을 검출한 후 상하부카운전모드에서 상부카운전모드 또는 하부카운전모드로 변경하여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에 대한 서비스를 계속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한 카에 승객이 갇히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고장이 발생한 카의 내부에 있는 각 표시안내기 (19U),(19L)도 상하부카 제어기(16U),(16L)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내부 승객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기술에 있어서는 고장이 발생한 카에 탑승한 승객이 갇히게 되는 결함이 있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갇혀 있는 승객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려줄 수 없는 결함이 있으며, 설령 고장이 발생한 카에서 승객이 하차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직접 승강장에서 부름등록하여 오랜 시간동안 기다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 상하부 카를 정상운행하고 있는 도중에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되어 한 대의 카만을 정상운행할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될 때, 고장이 발생된 카에 승객이 갇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카에서 하차한 승객이 기준층으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운전을 수행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부하검출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의 전체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장플래그 처리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가능플래그 처리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객중간내림플래그 처리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8a-8c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카 직렬통신라인 102 : 승강장 직렬통신라인
103,104 : 부하검출신호라인 105 : 카
111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12 : 모터
115U : 상부카 115L : 하부카
116U,116L : 카제어기 117U,117L : 도어제어기
118U,118L : 조작반 119U,119L : 표시안내기
120U,120L : 부하검출장치 121A,121B : 승강장 제어기
123A,123B : 승강장 부름버튼 133 : 운전제어부
134 :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 135 :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
136 : 수신데이터 버퍼 137 : 송신데이터 버퍼
138 : 카고장 판정부 139 : 운전모드 변경부
140 : 부하율연산부 141 : 만원판정부하율 데이터저장부
142 : 부하율비교부 143 : 만원판정부
144 : 운전결정부 145 : 엘리베이터 구동제어부
146 : 도어구동부 147 : 카내부승객 검출부
148 : 승강장부름 자동등록부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방법은, 고장이 발생된 카를 서비스 가능한 최근접층으로 주행시켜 그 카에 탑승한 승객들을 하차시키는 제1과정과; 정상운행이 가능한 카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의 소정치 이하인지 확인하여 이하로 판명되면, 그 카를 상기 서비스 가능한 층으로 주행시켜 대기 승객들이 탑승하도록 하고, 탑승 후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 이하로 판명되면 기준층을 향해 복귀운전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정상운행이 가능한 카를 상기 최근접층으로 주행시켜 대기 승객들이 탑승하도록 하고, 탑승 후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을 상회하면 일부 승객의 하차를 유도하는 제3과정과; 상기에서 정상운행이 가능한 카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의 소정치 이상으로 판명되거나, 탑승후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을 상회하면 기준층을 향해 복귀운전을 수행하면서 동일방향의 승강장부름만 등록하고 나머지의 부름들에 대해서는 무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연결된 상하부 카(115U),(115L)를 운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12)와; 상하부 카(115U),(115L)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될 때 부하량을 근거로 탑승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한 안내정보를카제어기(116U),(116L)에 전송하고, 고장난 카의 승객들이 정상적인 카를 이용하여 기준층으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운전제어지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해당 층상에서의 만원승차로 인한 잔류 승객들을 위해 자동으로 승강장부름을 등록해 주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의 운전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카(115U),(115L)의 운행을 각기 제어하고, 상대 카에 고장이 발생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의 제어를 받아 표시안내기(119L),(119U)에 운행상황 및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고장난 카를 서비스 가능한 최근접층으로 주행시켜 승객들을 하차시킨 후 정상운행이 가능한 카를 해당 층상으로 주행시켜 대피승객들이 승차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카 제어기(116U),(116L)와; 상기 카(115U),(115L)의 도어 개폐동작을 각기 제어하는 상하부카 도어제어기(117U),(117L)와; 상기 카(115U),(115L)에 탑승한 승객에 의해 요구되는 행선지 부름을 등록하기 위한 상하부카 조작반(118U),(118L)과; 상기 카(115U),(115L)의 내부에 각기 설치되어 각종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안내기(119U),(119L)와; 상기 카(115U),(115L)의 하중을 각기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장치(120U),(120L)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가 제공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통신망 제어기를 통해 전달받아 처리하고, 승강장 부름버튼(123A),(123B)을 통해 입력되는 승강장 부름신호를 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측으로 전송하는 승강장 제어기(121A),(121B)와; 상기 승강장 제어기(121A),(121B)의 제어를 받아 승강장에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안내기 (122A),(122B)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와 카제어기(116U), (116L)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카 직렬통신라인(101)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와 승강장제어기(121A),(121B)간의 직렬통신을 위한 승강장 직렬통신라인(102)으로 구성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카(115U),(115L)의 운전을 총괄 제어하는 운전제어부(133)와; 상기 카 직렬통신라인(101)을 통해 상기 카제어기(116U),(116L)와 통신을 수행하는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134)와; 상기 승강장 직렬통신라인(102)을 통해 하부카 제어기(116L)와 통신을 수행하는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135)와; 상기 카네트워크 통신제어기(134)와 승강장네트워크 통신제어기(135)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수신데이터 버퍼(136)와; 운전제어부(133)로부터 상기 통신제어기(135),(136)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송신데이터 버퍼(137)와; 상기 카(115U),(115L)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카고장 판정부(138)와; 운행 서비스에 이용할 카를 결정하는 운전모드 변경부(139)와; 상기 카(115U),(115L)의 하부에 설치된 부하검출장치(120U),(120L)를 통해 검출된 부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부하율을 연산하는 부하율연산부(140)와; 상기 각 카(115U),(115L)의 만원판정부하율 데이터를 저장하는 만원판정부하율데이터 저장부(141)와; 상기 부하율연산부(140)에서 연산한 각 부하율을 해당 카의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는 부하율비교부(142)와; 상기 부하율비교부(142)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하여 각 카(115U),(115L)의 만원 여부를 판정하는 만원판정부(143)와; 상기 만원판정부(143)의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여부를 결정하는 운전결정부(144)와; 상기 운전제어부(133)의 지령에 따라 상기 모터(1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구동제어부(145)와; 상기 도어제어기(117U),(117L)에 도어 온/오프지령을 출력하는 도어구동부(146)와; 상기 상하부 카(115U),(115L)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하부카 제어기(116U),(116L) 중 정상적인 카제어기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량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그 고장이 발생한 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카내부승객 검출부(147)와; 고장난 카에서 하차하는 승객들을 그 카와 결합되어 정상운행되는 카에 탑승시키기 위해 1개층 상승 또는 하강운전하고, 해당 승객들이 한번에 모두 탑승하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층의 승강장부름을 등록해 주는 승강장부름 자동등록부(148)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부카 제어기(116U),(116L)는 상하부 카(115U),(115L) 내부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장치(120U),(120L)를 통해 검출한 부하량 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부하데이터로 연산하여 카 직렬통신라인(101)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로 전송한다.
즉, 상부카 제어기(116U)는 각각의 부하검출신호라인(103),(104)를 통해 두 부하검출장치(120U),(120L)의 출력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부하데이터로 연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에 전송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카 제어기(116L)도 부하검출신호라인(103),(104)을 통해 부하검출장치(120U),(120L)의 출력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부하데이터로 연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에 전송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11)의 부하율연산부(140)는 상기 각 상하부카 제어기(116U),(116L)로부터 전송되어 온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카(115U),(115L)의 현재 부하율을 연산한다. 그리고, 부하율비교부(142)는 만원판정부하율 데이터저장부(14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 카(115U),(115L)의 만원판정부하율 데이터와 그들의 현재 부하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만원판정부(143)에서 만원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운전결정부(144)는 상기 만원판정부(143)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하부의 카(115U),(115L) 모두를 서비스에 이용하는 상하부카운전모드를 결정하거나, 상부의 카(115U)만을 서비스에 이용하는 상부카운전모드를 결정하거나 하부의 카(115L)만을 서비스에 이용하는 하부카운전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상하부 카(115U),(115L)의 고장플래그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고장검출스위치를 통해 상부카(115U)의 정상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상부카고장플래그를 리세트시키거나 세트시킨다(SA1-SA3).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카(115L)의 정상상태 여부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따라 하부카고장플래그를 리세트시키거나 세트시킨다(SA4-SA6).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운전가능플래그의 처리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부카고장플래그가 모두 리세트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모두 리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하부카운전가능플래그를 세트시킨다(SB1,SB2). 그러나, 상기의 확인 결과 상하부카고장플래그가 모두 리세트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고장플래그과 하부카고장플래그 중에서 어느 한 대의 고장플래그가 리세트되었는지 확인하여 상부카운전가능플래그가를 세트시키거나 하부카운전가능플래그를세트시킨다(SB3-SB6). 또한, 상기의 확인결과 상하부고장플래그가 모두 세트된 것으로 판명되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고장을 처리한다(SB7).
한편, 도 7a,7b는 상기 상하부 카(115U),(115L)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해당 카에 탑승한 승객이 최근접 층의 승강장에 하차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안내하기 위한 승객중간내림플래그 처리의 신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하차 조치 및 안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카운전가능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C1)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115U)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로 그 내부에 탑승한 승객이 있는지 확인한다(SC2).
상기의 확인 결과 다행히 상부카(115U)에 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115U)의 도어 닫힘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C8). 그러나, 상기의 확인결과 승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현재 상부카(115U)가 정지한 위치가 서비스 가능한 층인지 확인하여(SC3) 서비스가 불가능한 층으로 판명되면 최근접층으로 주행한다(SC4).
서비스 가능한 층으로 이동한 후 상부카(115U)의 도어를 개방하고, 하부카 제어기(116L)가 상부카(115U) 내부의 표시안내기(119U)를 통해 승객들에게 고장으로 인하여 중간층에 하차하여야 함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하부카(115L) 승객들에게는 내부의 표시안내기(119L)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여 각 카(115U),(115L)에 탑승한 승객들이 공히 서비스 지연 이유를 숙지할 수 있게 된다(SC5).
이후, 상부카(115U) 내부의 승객들이 모두 하차하였는지 확인하여(SC6) 모두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부카(115U) 내부의 표시안내기(119U)를 통해 하차할 것을 유도하는 안내문을 디스플레이하고, 모두 하차한 것으로 판명되면 상부카승객중간내림플래그를 세트한 후 상부카(115U)의 도어를 닫는다(SC7,SC8).
만약, 상기 하부카운전가능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카운전가능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C9)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이는 하부카(115L)에 고장이 발생된 것이므로 그 카(115L)의 내부에 승객이 있는지 확인한다(SC10).
상기의 확인 결과 다행히 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하부카(115L) 도어의 열림상태를 계속 유지하고(SC8), 승객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정지한 위치가 서비스 가능한 층인지 확인하여(SC11) 서비스가 불가능한 층으로 판명되면 최근접층으로 주행한다(SC12).
그리고, 서비스 가능층에서 하부카(115L)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부카 제어기(116U)가 하부카(115L) 내부의 표시안내기(119L)를 통해 승객들에게 고장으로 인하여 중간층에 하차하여야 함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부카(115U) 승객들에게는 내부의 표시안내기(119U)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여 각 카(115U),(115L)에 탑승한 승객들이 공히 서비스 지연 이유를 숙지할 수 있게 된다(SC13).
이후, 하부카(115L) 내부의 승객들이 모두 하차하였는지 확인하여(SC14) 모두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하부카(115L) 내부의 표시안내기(119L)를 통해하차할 것을 유도하는 안내문을 디스플레이하고, 모두 하차한 것으로 판명되면 하부카승객중간내림플래그를 세트한 후 하부카(115U)의 도어를 닫는다 (SC15,SC16).
한편, 도 8a-8c는 상기 상하부 카(115U),(115L)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하여 승객이 상기와 같이 중간층에 내린 후, 그 승객들이 기준층(예: 1층)으로 신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로서, 상부카(115U)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카승객중간내림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D1)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정상인 하부카(115L)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의 소정치(예: 60%) 미만인지 확인한다(SD2).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하부카에 이미 승객이 많이 탑승해 있는 경우 더 이상의 승객이 탑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탑승객들에 대한 또 하나의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상기의 확인 결과 하부카(115L)의 부하율이 60% 미만인 것으로 판명되면 그 카(115L)에 승객을 더 탑승기킬 수 있는 상황이므로 탑승객들에게 현재의 상황을 안내하고, 상부카(115U)에서 하차하여 승강장에 대기중인 승객들에게 하부카(115L)가 서비스하기 위해 곧 도착할 것이라는 것을 예보한 후 하부카(115L)를 바로 위층으로 상승운전하여 그 층상에 도착한 후 도어를 개방하여 대기중인 승객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한다(SD3,SD4).
이후 하부카(115L)의 부하율을 만원판정 부하율과 비교하여(SD5) 그보다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 도어 닫힘조건이 만족될 때 도어를 닫는다(SD6,SD7). 이어서, 상기 상부카승객 중간내림플래그를 리세트하고(SD8), 이후부터는 하부카(115L)만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하부카운전모드로 운전한다(SD9).
그런데, 상기 제5스텝(SD5)의 확인결과 하부카(115L)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 이상으로 판명되면, 하부카(115L)에 탑승한 승객 중에서 일부 승객이 하차하도록 유도하는 안내를 한다(SD10). 이후, 하부카(115L)의 부하율이 만원판정 부하율보다 작은 것으로 판명되면(SD11), 도어 닫힘조건이 만족될 때 그 카(115L)의 도어를 닫는다(SD12,SD13).
이와 같은 경우 또는 상기 제2스텝(SD2)에서 하부카(115L)의 부하율이 60% 미만인 것으로 판명된 경우 해당 승강장에는 아직 승객들이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현재의 운행방향을 확인하여 동일한 방향의 상부카 승객 중간내림층 승강장 부름을 자동으로 등록시켜 해당 층에서 대기중인 승객들이 별도로 부름등록을 하지 않더라도 빠른 시간내에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SD14-SD16).
그리고, 상기 하부카(115L)에 탑승한 승객들을 위해 하부카운전모드로 운전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기준층으로 복귀하여 운전방향이 절환될 때까지는 현재의 운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승강장부름만 등록이 허용된다(SD17,SD18).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만약 현재의 운행방향과 다른 방향의 승강장부름을 등록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카 승객 중간내림층에서 대기중인 승객들이 너무 오랜 시간동안 기다리게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기준층으로 복귀하여 운전방향이 절환되면 상기 자동 등록된 승강장부름을 우선적으로 서비스하게 되며, 그 상황을 각종 표시안내기를 통해 안내하고(SD19), 상기 대기승객들이 탑승한 후 자동 등록된 승강장부름을 리세트시킨다(SD20). 이후에는 우선 서비스가 완료될 때까지 승강장부름을 무시하고 카부름만을 서비스하게 되는데(SD21,SD22), 그 이유는 상기 대기승객들을 되도록 빨리 기준층으로 복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상부카 승객 중간내림층에서 탑승한 승객들에 대한 우선 서비스가 완료되면(SD22) 상기 상부카승객 중간내림플래그를 리세트하고 (SD8), 이후부터는 하부카(115L)만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하부카운전모드로 운전한다(SD9).
참고로, 하부카(115L)에 고장이 발생되어 하부카승객 중간내림플래그가 세트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카(115U)에 고장이 발생되어 상부카승객 중간내림플래그가 세트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SD23-SD44).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서 상하부 카를 정상운행하고 있는 도중에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되어 한 대의 카만을 정상운행할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될 때, 정상인 카제어기에서 고장이 발생된 카의 부하량을 검출하여 고장난 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기준층으로 복귀할 때 가능한 한 고장난 카에서 하차한 승객들이 우선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운전모드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승객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나의 승강로에 두 대의 카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운행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각 카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카고장검출수단과; 상기 카고장검출수단의 고장검출 여부에 따라 상하부카운전모드 또는 상부카운전모드 또는 하부카운전모드를 변경하는 운전모드변경수단과; 상기 각 카의 부하량 데이터를 근거로 부하율을 연산하는 부하율연산수단과; 상기 부하량 데이터를 근거로 고장난 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카내부승객 검출수단과; 상기 두 대의 카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될 때 그 고장난 카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들을 위해 승강장부름을 자동으로 등록해 주는 승강장부름자동 등록수단과; 상기 부하율연산수단에서 연산한 각 카의 부하율을기 저장된 만원판정부하율과 비교하여 만원판정을 하는 만원판정수단과; 상기 운전모드변경수단과 만원판정수단의 결과에 따라 고장난 카의 승객들이 우선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운전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장부름자동 등록수단은 상기 두 대의 카 중에서 어느 한 대의 카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 고장난 카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들을 정상인 카에 한번만에 탑승시키지 못하면 잔류 승객들을 위해 자동으로 승강장부름을 등록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자기 카 및 상대 카의 부하검출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부하량을 검출하고, 그 부하량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측으로 출력하는 상하부카 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하부카 제어기는 정상인 카의 카제어기가 자기 카 내부의 표시안내기와 상대 카 내부의 표시안내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어 정상인 카 내부의 표시안내기를 통해서는 현재의 고장 상황을 설명하고, 고장난 카 내부의 표시안내기를 통해서는 고장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며, 고장난 카가 서비스 가능한 층에 도착한 후에는 카에서 하차할 것을 안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5. 고장이 발생된 카를 서비스 가능한 최근접층으로 주행시켜 그 카에 탑승한 승객을 하차시키는 제1과정과; 정상인 카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의 소정치 이하인지 확인하여 이하로 판명되면, 그 카를 상기 최근접층으로 주행시켜 대기 승객들이 탑승하도록 하고, 탑승 후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 이하로 판명되면 기준층을 향해 복귀운전을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탑승 후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을 상회하면 일부 승객의 하차를 유도하는 제3과정과; 상기에서 정상인 카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의 소정치 이상으로 판명되거나, 탑승 후의 부하율이 만원판정부하율을 상회하면 기준층을 향해 복귀운전을 수행하면서 동일방향의 승강장부름만 등록하고 나머지의 부름들에 대해서는 무시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4과정은 정상인 한 대의 카만을 이용하여 기준층으로의 복귀운전을 수행할 때, 현재의 운전방향과 동일한 승강장부름만 등록하고, 기준층에 도착하여 운전방향이 절환된 후 상기 고장난 카의 잔류승객들이 우선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방법.
KR1019990043282A 1999-10-07 1999-10-07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3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82A KR100335986B1 (ko) 1999-10-07 1999-10-07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82A KR100335986B1 (ko) 1999-10-07 1999-10-07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324A KR20010036324A (ko) 2001-05-07
KR100335986B1 true KR100335986B1 (ko) 2002-05-10

Family

ID=1961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282A KR100335986B1 (ko) 1999-10-07 1999-10-07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829B1 (ko) 2018-04-27 2019-12-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가변형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이동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173A (en) * 1983-08-12 1986-04-15 Inventio Ag Group control for elevators with double cars
JPH0741267A (ja) * 1993-07-27 199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08231140A (ja) * 1995-02-23 1996-09-10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5625176A (en) * 1995-06-26 1997-04-29 Otis Elevator Company Crowd service enhancements with multi-deck elevators
JPH09227032A (ja) * 1996-02-23 1997-09-02 Toshiba Elevator Eng Kk 多連デッキエレベーター
KR20000043083A (ko) * 1998-12-28 2000-07-15 이종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173A (en) * 1983-08-12 1986-04-15 Inventio Ag Group control for elevators with double cars
JPH0741267A (ja) * 1993-07-27 1995-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08231140A (ja) * 1995-02-23 1996-09-10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5625176A (en) * 1995-06-26 1997-04-29 Otis Elevator Company Crowd service enhancements with multi-deck elevators
JPH09227032A (ja) * 1996-02-23 1997-09-02 Toshiba Elevator Eng Kk 多連デッキエレベーター
KR20000043083A (ko) * 1998-12-28 2000-07-15 이종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324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918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elevator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4131456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US8020668B2 (en) Operating less than all of multiple cars in a hoistway following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some or all cars
JP493106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7389857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US5861587A (en) Method for operating a double deck elevator car
WO2005102893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04340783B (zh) 电梯运转装置和电梯运转方法
KR100335986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US5844179A (en) Method of operation for double-deck elevator system
TW200846269A (en) Method for operation of a lift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lift installation
US9527696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for double operation
JPH0227078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539173A (ja)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JP47379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410678B2 (ja) エレベータ
KR100511376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JPH0533075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11130349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2001233553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13308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7435888B1 (ja) エレベータ連携制御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連携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連携制御プログラム
JP332701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13506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135436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