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752B1 -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752B1
KR100509752B1 KR1019970045327A KR19970045327A KR100509752B1 KR 100509752 B1 KR100509752 B1 KR 100509752B1 KR 1019970045327 A KR1019970045327 A KR 1019970045327A KR 19970045327 A KR19970045327 A KR 19970045327A KR 100509752 B1 KR100509752 B1 KR 10050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verification
signal
subbeam
mai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753A (ko
Inventor
강동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4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7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함으로써 기록시간을 단축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광 기록/재생 방법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홀로그램 격자를 이용하여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동일 트랙 상에 일렬로 조사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과 동시에 기록된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반복 기록 가능한 광 기록/재생 방법 및 광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함으로써 기록시간을 단축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 기록/재생 매체는 반복 기록의 가능 여부에 따라 읽기 전용인 ROM 타입의 CD-DA, CD-ROM, DVD, DVD-ROM등과, 단 한번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읽기는 자유로운 WORM 타입의 CD-R, DVD-R 등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반복하여 기록/재생할 수 있는 RAM 타입의 CD-RW, DVD-RAM, MOD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근래에 와서 광 기록/재생 매체는 ROM으로부터 발전을 거듭하여 기록/재생 가능한 매체로 개발의 중심이 이동되어 가고 있다. 반복 기록 가능 매체에서는 사용자가 정보를 기록할 때, 그 정보가 정확하게 기록되었는가를 검증(verifying)하는 과정이 기록에 뒤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에는 이러한 기록/검증 과정이 도 1과 같이 이루어졌다.
도 1을 참조하면, 처음에 일정한 양(예를 들면, 섹터단위의 양)의 정보를 기록하고, 그 정보를 검증하며, 잘못 기록되었을 때는 재기록하고 다시 검증한다. 이 경우 기록에러가 없을 때에는 다음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총기록 시간은 실제로 정보를 기록하는 시간의 최소 2배이상이 된다.
이러한 정보 기록/검증 방법은 기록에 뒤이어 검증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므로,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광 기록/재생 매체에서는 기록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고, 이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홀로그램 격자를 이용하여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동일 트랙 상에 일렬로 조사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과 동시에 기록된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은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홀로그램 격자를 이용하여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동일 트랙 상에 일렬로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에 의해 기록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 상에 기록함과 동시에 미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검증용 부빔의 광전변환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코드된 원데이터를 상기 검증용 부빔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재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는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빔을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리하는 홀로그램 격자와; 상기 광디스크에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집광시키는 집광수단과;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기록용 주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검출수단과: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검증용 부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검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는 광빔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빔을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리하는 홀로그램 격자, 상기 광디스크에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집광시키는 집광수단,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기록용 주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검출수단,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검증용 부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검출수단을 포함한 광픽업 수단과; 기록 데이터를 채널특성에 맞도록 인코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와 상기 광픽업 수단에 공통접속되어 기록펄스를 생성하는 기록펄스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인코더와 상기 광픽업 수단에 공통접속되어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제2 광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비교검증하는 비교검증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CD-DA에서 사용하는 3빔(beam) 조사방식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픽업에서 3빔이 디스크의 트랙(track)상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빔(2)은 트랙(10)에 트랙(10)의 기록피트(10a)에 조사되어,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데 쓰인다. 그리고 2개의 부빔(4)은 주빔(2)이 트랙(10)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하는 트랙킹 서보(tracking Servo)를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트랙의 양측 경계변에 조사되어 양측 경계변에서 검출되는 광차신호(푸쉬풀 신호 ; pushpull)에 의해 트랙킹 서보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3빔 방식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픽업에서 빔이 디스크면에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광픽업은 3빔 방식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픽업을 사용한다.
주빔(6)과 부빔(8)이 한 트랙상에 일렬로 위치하여 광을 조사하고 있으며, 주빔(6)은 기록용으로 사용되며, 주빔(6)에 후행하는 부빔(8)은 검증용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기록용 주빔(6)과 검증용 부빔(8)의 광파워의 비율은 검증용 부빔(8)이 기록 매질의 기록피트(10a)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록된 정보를 읽어낼 수 있는 광파워로 조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에서 출력되는 광빔을 홀로그램 격자(Hologram grating) 제작시 회절 효율을 적절히 조정하여 주빔(6)과 부빔(8)의 광파워를 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의 광빔을 주빔(6)과 부빔(8)으로 분광시키는 홀로그램 격자(12)와, 주빔(6)과 부빔(8)을 디스크(15) 쪽으로 반사시키는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13)와, 디스크(15)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13)에 의해 반사하지 않고 투과하도록 하는 페이즈 리타더(14)를 구비한다.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나오는 광은 홀로그램 격자(Hologram grating ; 12)에 의해 주빔(6)과 부빔(8)으로 나누어진다. 주빔(6)과 부빔(8)은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Polarizing Beam Splitter ; 13)에 의해 반사되어 페이즈 리타더(Phase retarder ; 14)를 통과한다. 페이즈 리타더(14)는 광빔의 편광 방향을 변화시켜 반사되어 나온 빛이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13)에 의해 반사하지 않고 투과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페이즈 리타더(14)를 통과한 광빔은 디스크(5) 표면에 입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는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주빔을 광전변환하는 제1 광다이오드(PD1 ;16)와,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부빔을 광전변환하는 제2 광다이오드(PD2 ;17)를 구비한다.
주빔(6)은 기록파워로 디스크(15)표면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기록된 데이터는 주빔(6)에 일정시간 경과 후 뒤따라오는 부빔(8)에 의해 읽혀져 페이즈 리타더(14)와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13)를 경유하여 제2 광다이오드(17)에 입사되어 광전변환된다. 제2 광다이오드(17)에 의해 광전 변환된 신호는 후술되는 데이터 검증처리부(28)에 공급된다.
한편, 디스크(15)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주빔(6)은 페이즈 리타더(14)와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13)를 경유하여 제1 광다이오드(16)에 입사되어 광전변환된다. 제1 광다이오드(16)에 의해 광전변환된 신호는 신호처리되어 트랙킹 서보(tracking servo)와 포커싱 서보(focusing servo) 및 APC(레이저 다이오드의 자동 파워 제어 ; Automatic power control)신호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4와 다중 펄스 변조방식을 나타내는 도 6 및 데이터 검증 처리부에서의 각 서브 블록의 파형을 도시한 도 7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는 디스크(15)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채널특성에 맞는 코드로 변조하는 인코더(20)와, 인코더(20)에 공통접속된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 및 데이터 검증 처리부(28)와,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 및 데이터 검증 처리부(28)에 공통 접속된 광픽업(24)과, 광픽업(24)의 일측에 접속된 서보/자동 파워 제어기(26)를 구비한다.
기록될 데이터는 인코더(20)에 의해 디스크 매체의 채널특성에 맞도록 코드(Code)로 변조된다. (예를 들면 DVD-RAM의 경우 8/16으로 변조된다. ) 인코더(20)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는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와 데이터 검증 처리부(28)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는 인코더(20)의 출력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워를 기록 파워로 변조시키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여 광픽업(24)에 공급한다.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는 상변화 물질과 같은 기록 매질은 열의 축적과 확산에 의해 기록피트 형성에 오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 펄스 변조(Multi Pulse Modulation) 방법으로 인코더(20)로부터의 신호를 변조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면,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4T 일때,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의 기록 펄스신호(Write Pulse)는 4T 동안 기록 파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수로 분주된 펄스로 나뉘어 기록파워(Pw), 소거파워(Pe), 재생파워(Pr)의 다중 파워레벨(Power level)로 디스크의 트랙에 조사된다. 이러한, 펄스 변조 방식을 다중 펄스 변조(Multi Pulse Modulation)라 하고,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에 의해 수행된다.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로부터 변조된 다중펄스신호는 기록 신호로서 광픽업(3)의 레이저 다이오드(11)에 공급된다. 그러면, 기록펄스신호 발생기(22)의 출력신호의 파워로 레이저 다이오드(11)를 구동시켜 광이 출사된다.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의 출사된 광은 홀로그램 격자(12)에 의해 주빔(6)과 부빔(8)으로 분리되는데 , 이 중 주빔(6)은 디스크(15)에 데이타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주빔(6)은 디스크(15)로부터 반사되어 제1 광다이오드(16)에 수광되어 광전변환되어 서보/자동 파워 제어기(26)에 공급된다.
서보/자동 파워 제어기(26)는 제1 광다이오드(16)의 출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광빔이 디스크의 트랙에서 초점심도에 들도록 포커싱 서보(focus servo)와, 광빔이 디스크의 트랙 중심을 추종하도록 하는 트랙킹 서보(tracking servo) 및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자동 파워 제어(APC)를 위한 광픽업(24)에 피드백(feed back)된다. 부빔(8)은 디스크(15)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제2 광다이오드(17)에 수광되어 광전변환된다. 이 신호는 검증용 신호로 사용되는데, 이때 제2 광다이오드(17)에 수광되는 광은 일반적인 재생시 반사된 광과는 특성이 약간 다르다.
일반적인 재생시 디스크(15)에 입사되는 광빔은 일정한 파워(Power)로 조사되기 때문에 , 제2 광다이오드(17)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도 디스크상에 기록피트(pit 또는 기록 마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따라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진다. 기록피트(pit)가 있을 때의 반사율을 "Rp" 라 하고 기록피트가 없을 때의 반사율을 "Rm" 이라 하면, 그리고 이 때의 홀로그램 격자(12)의 회절효율은 " η " 이라 하면 제2 광다이오드(17)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는 ηPrRp와 ηPrRm (여기서 , Pr은 재생파워)의 두 종류이다.
그러나 기록시 디스크에 조사되는 광빔은 도 6에서와 같이 다중펄스형태로 되고 광파워도 기록레벨(Pw), 소거레벨(Pe), 재생레벨(Pr)의 3종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 제2 광다이오드(17)에 검출되는 신호는 기록피트가 있느냐(pit) 없느냐(mirror)에 따라 표1과 같이 6가지 종류의 레벨이 검출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상변화 디스크의 반사율을 기록피트가 없는 미러영역(mirror)에서 Rm=1이고, 기록피트(pit)에서 Rp=0.3 이라 하면, 그리고 광파워를 각각 Pw=11mW, Pe=5mW, Pr=1mW라 하고 홀로그램의 효율 "η" 을 0.1 이라 하면 제2 광다이오드(17)에 검출되는 신호는 표2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02
데이터 검증 처리부(28)는 이러한 6단계의 에러레밸 신호와 인코더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를 비교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검증 처리부(28)는 제2광다이오드(17)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에 직렬 접속된 데이터 추출부(32)와, 데이터 추출부(32)에 직렬 접속되고 버퍼(36)에 의해 주빔(6)에 의해 선행되어 기록된 인코드 신호를 공급받는 비교 검증부(34)와, 비교 검증부(34)에 직렬 접속된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이하 "CPU" 라 함 , 38)를 구비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와 데이터 추출부(32)는 제2 광다이오드(17)로부터 공급되는 다단계 레벨의 신호로부터 인코더(20)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를 도 7의 파형도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부빔(8)에 재생될 디스크의 정보가 (a)의 파형도와 같고, 이때 기록 펄스패턴(Write pulse pattern)이 (b)와 같은 파형도와 같다면 제2 광다이오드(17)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c)와 같은 파형으로 나타난다.
제2 광다이오드(17)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즉, (c)와 같은 파형의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에 공급되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는 이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시켜, 그 출력파형은 (d)와 같이 나타난다.
이로부터 데이터 추출부(32)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의 출력신호 즉, (d)와 같은 파형을 갖는 신호를 공급받아, 이 신호로부터 기록피트영역과 미러영역을 추출한다.
데이터 추출부(32)의 출려파형은 기록피트영역과 피트(pit)가 없는 미러영역에서 서로 다른 논리 값을 유지하는 신호(예를 들면, 기록피트 영역에서 하이(high)의 논리 값을 유지하고, 미러영역에서 로우(low)의 논리 값을 유지하는 신호)로 (e)와 같은 파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와, 데이터 추출부(32)에 의해 검증용 신호를 얻어낼 수 있다.
비교 검증부(34)는 이러한 검증용 신호를 버퍼(36)의 출력신호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CPU(38)에 공급한다.
버퍼(36)는 제1 노드(N1)를 경유하여 자신에게 공급되는 인코더(20)의 출력신호를 주빔(6)과 부빔(8)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시간간격 △t 만큼 인코더의 데이터를 지연시켜 비교 검증부(34)에 공급한다.
따라서, 비교 검증부(34)는 버퍼(36)로부터의 -N번째 (주빔과 부빔의 거리에 해당되는 만큼 앞선 데이터 즉, 현재 부빔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데이타를 기록했던 인코드 신호) 데이터와 데이터 추출부(32)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데이터 비교 검증부(34)는 기록 데이터와 재생 데이터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CPU(38)에 공급한다. 그러면 CPU(38)는 비교 검증부(34)의 출력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여 재기록 처리 또는 베드 섹터(Bad Sector)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록/검증 동시수행 가능한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는 기록시 광원(Laser Diode)에서 나오는 빔(beam)을 홀로그램 격자(grating)의 회절에 의해 기록용 광빔과 검증용 광빔으로 나눈다. 검증용 광빔은 기록용 광빔에 선/후행되어 진행하는데, 기록용 광빔에 의해 기록된 기록 정보를 검출한다. 검출된 신호는 원래의 정보와 비교/검증되어 기록하면서 동시에 데이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는 결국, 기록과 검증을 반복하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정보기록시간을 1/2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기록/검증 동시수행 가능한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는 DW-RAM과 같이 고용량 기록 매체에서, 디스크 초기화(또는 포맷팅) 작업시 소비되는 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록/검증 동시수행 가능한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는 기록용 광빔에 선행하는 검증용 광빔에서 재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 좋은 오버라이트(Over write)의 다중펄스 기록패턴(multi pulse write pattern) 이나 파워레벨(power level)을 적용함으로써 지터(jitter)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는 기록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기록/검증과정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CD-DA에서 사용되는 3빔 방식의 광픽업 장치의 광빔 조사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장치에서 광빔 조사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기록펄스신호 발생기의 다중펄스 변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검증 처리부에서의 각 서브 블록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 주빔 4,8 : 부빔
10 :트랙 10a : 기록 마크
11 : 레이저 다이오드 12 : 홀로그램 격자
13 : 폴러라이징 빔 스플리터 14 : 페이즈 리타더
15 : 디스크 16 : 제1 광다이오드
17 : 제2 광다이오드 20 : 인코더
22 : 기록펄스 신호 발생기 24 : 광픽업
26 : 서보/자동 파워 제어기 28 : 데이터 검증 처리부
3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32 : 데이터 추출부
34 : 비교 검증부 36 : 버퍼
38 : CPU

Claims (19)

  1. 광디스크의 기록/재생 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홀로그램 격자를 이용하여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동일 트랙상에 일렬로 조사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과 동시에 기록된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용 광빔은 상기 기록용 광빔에 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3.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광빔을 홀로그램 격자를 이용하여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동일 트랙상에 일렬로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용 주빔에 의해 기록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 상에 기록함과 동시에 미리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검증용 부빔의 광전변환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코드된 원데이터를 상기 검증용 부빔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재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용 부빔의 광전변환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기록된 데이터는 상기 주빔이 조사되는 기록위치와 상기 부빔이 조사되는 검출위치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에 앞선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해당 섹터에서 배드섹터(Bad sector)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방법.
  7.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빔을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리하는 홀로그램 격자와;
    상기 광디스크에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집광시키는 집광수단과;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기록용 주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검출수단과;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검증용 부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용 부빔은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파워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용 광빔의 파워조정은 상기 홀로그램 격자의 회절 효율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은 빔스플리터에 의해 상기 집광수단으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수단은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동일한 트랙에 일렬로 집광시킴과 아울러;
    상기 기록용 주빔이 상기 제1 광검출수단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검증용 부빔이 상기 제2 광검출수단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
  12.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수단은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반사된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이 상기 빔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페이즈 리타더(Phase 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의 광픽업 장치.
  13. 광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빔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빔을 기록용 주빔과 검증용 부빔으로 분리하는 홀로그램 격자, 상기 광디스크에 상기 기록용 주빔과 상기 검증용 부빔을 집광시키는 집광수단,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기록용 주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검출수단,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상기 검증용 부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검출수단을 포함한 광픽업수단과;
    기록 데이터를 채널특성에 맞도록 인코드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더와 상기 광픽업 수단에 공통접속되어 기록펄스를 생성하는 기록펄스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인코더와 상기 광픽업 수단에 공통접속되어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제2 광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비교검증하는 비교 검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어,
    상기 기록용 주빔의 반사광은 상기 제1 광검출수단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트랙킹서보와 포커싱 서보 및 상기 광원의 파워를 자동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기록/재생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증수단은 상기 광픽업 수단과 접속되어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검출된 신호에서 상기 인코더에 의해 인코드된 원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인코더에 접속되어 상기 인코드된 원신호와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를 비교검증하는 비교검증부와;
    상기 비교검증부에 접속되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재기록 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증부는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원신호와 상기 광디스크에 선행되어 기록된 데이터의 인코드된 데이터와 상기 원신호를 비교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증부는 상기 인코더로부터의 신호를 지연시키도록 상기 인코더와 접속된 지연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수단은 상기 광픽업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광픽업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접속되어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영역과 기록되지 않은 영역에 서로 다른 논리 값을 유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데이터 섹터를 배드섹터(Bad Sector)처리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과 검증을 동시에 수행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KR1019970045327A 1997-08-30 1997-08-30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KR10050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27A KR100509752B1 (ko) 1997-08-30 1997-08-30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27A KR100509752B1 (ko) 1997-08-30 1997-08-30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53A KR19990021753A (ko) 1999-03-25
KR100509752B1 true KR100509752B1 (ko) 2005-10-28

Family

ID=373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327A KR100509752B1 (ko) 1997-08-30 1997-08-30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7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145A (ko) * 1986-07-02 1988-04-29 오가 노리오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JPS63206965A (ja) * 1987-02-23 1988-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H05174502A (ja) * 1991-12-19 1993-07-13 Canon Inc 情報記録装置
JPH0612676A (ja) * 1992-06-29 1994-01-21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KR960032349A (ko) * 1995-02-27 1996-09-17 가네코 히사시 광학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 방법과 그 장치
KR960042568A (ko) * 1995-05-29 1996-12-21 가네꼬 히사시 광학 데이타 기록의 동시 검증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 및 광학 데이타 기록 매체
KR19980059939A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19990047625A (ko) * 1997-12-05 1999-07-05 이형도 광픽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145A (ko) * 1986-07-02 1988-04-29 오가 노리오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JPS63206965A (ja) * 1987-02-23 1988-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H05174502A (ja) * 1991-12-19 1993-07-13 Canon Inc 情報記録装置
JPH0612676A (ja) * 1992-06-29 1994-01-21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KR960032349A (ko) * 1995-02-27 1996-09-17 가네코 히사시 광학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 방법과 그 장치
KR960042568A (ko) * 1995-05-29 1996-12-21 가네꼬 히사시 광학 데이타 기록의 동시 검증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 및 광학 데이타 기록 매체
KR19980059939A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19990047625A (ko) * 1997-12-05 1999-07-05 이형도 광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53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7591B2 (ja) 記録レーザビームの制御方法
US6480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by varying recording pulse width
KR100795280B1 (ko) 광 기록 장치, 및 광 기록 장치에서의 레이저 파워를제어하는 방법
EP0431185B1 (en) Optical recorder
US6700846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k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KR100268486B1 (ko) 광디스크기록및재생방법과그장치
KR100509752B1 (ko) 기록과검증을동시에수행하는광기록/재생방법및장치
JPH08297855A (ja) コンパチブル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517609B2 (ko)
JP4050761B2 (ja) 光ディスク装置、最適記録パワー決定方法
JP2605421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29372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WO2003079337A1 (fr) Procede d'enregistrement/reproduction de disque optique et appareil d'enregistrement/reproduction l'utilisant
JPH0253223A (ja) 光学式記録再生方法
KR100606679B1 (ko) 광 기록재생기의 기록제어신호 생성 방법
JP2785207B2 (ja) 光書き込み制御装置
JP2785311B2 (ja) 記録レーザビームの制御方法、制御装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JPH10124914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3035400B2 (ja) 光学式再生装置
KR100565796B1 (ko) 데이터 기록을 위한 광기록매체 및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광기록장치
JP3382985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S59215027A (ja) 記録再生方式
JPH07334918A (ja) 記録領域検出回路
JPH11273156A (ja) 光ディスク
JPH0668471A (ja) 光情報再生装置および光情報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