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414B1 -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414B1
KR100509414B1 KR10-2002-0075691A KR20020075691A KR100509414B1 KR 100509414 B1 KR100509414 B1 KR 100509414B1 KR 20020075691 A KR20020075691 A KR 20020075691A KR 100509414 B1 KR100509414 B1 KR 10050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vy
composition
components
liquid
small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459A (ko
Inventor
백순길
Original Assignee
백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순길 filed Critical 백순길
Priority to KR10-2002-007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4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에서 채취한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필요한 담쟁이덩굴을 채취하고 줄기만을 분리하고, 분리된 담쟁이덩굴 줄기를 건조시킨 후 작은 조각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작은 조각을 에탄올을 포함한 용기에 넣은 후 밀봉하여 약 3개월 정도 저장하며, 다시 이를 여과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시킨 후, 이를 음료용으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액체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건조 후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정제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성분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질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COMPOSITIONS PRODUCED WITH COMPONENTS EXTRACTED FROM IVY}
본 발명은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과 관련되며, 구체적으로 담쟁이덩굴의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된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성분에 적당한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된 조성물과 관련된다.
담쟁이덩굴은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덩굴식물이며 지금상춘등(地錦常春藤)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란다. 줄이는 충분히 성장하면 10m 이상 자라며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고 갈라지면 끝에 둥근 흡착근이 있어 담 벽이나 암벽에 붙으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폭이 10내지 20cm의 넓은 달걀 모양으로서 잎 끝이 뾰족하고 3개로 갈라지며 밑은 심장 밑 모양이고, 앞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 잎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양성화이고 6-7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꽃받침은 뭉뚝하고 갈라지지 않으며, 꽃잎은 길이 2.5mm의 좁은 타원모양이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흰 가루로 덮여 있으며 지름이 6-8mm이고 8-10월에 검게 익는다. 종자는 1-3개이다. 잎은 가을에 붉게 단풍이 든다. 이러한 담쟁이덩굴은 한방에서 뿌리와 줄기를 지금(地錦)이라는 약재로 사용하며, 어혈을 풀어주고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가라앉힌다. 분포하는 지역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이다. 비슷한 종류로는 잎이 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면 미국담쟁이 덩굴(P. quinquefolia)이라고 한다.
한방에서 사용되는 담쟁이덩굴은 주로 줄기와 열매를 이용하며 술에 담가서 사용하거나 또는 잘게 썰어 그늘에 말려 가루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효력을 가지는 담쟁이덩굴의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된 성분 중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여,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적당한 형태의 조성물을 만드는 것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로 본 발명은 담쟁이덩굴의 성분을 분석하여 필요한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분의 분석을 위하여 NMR 또는 ESMS 등 다양한 기기분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담쟁이덩굴은 줄기에서 단맛이 나며 일부 지역에서는 설탕 원료로 사용된 적도 있다. 또한 담쟁이덩굴이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풍, 관절염, 근육통, 어혈, 뱃속의 갖가지 출혈 등에도 효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활혈, 거풍, 지통 작용이 있고 부인의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밥맛을 좋게 하는 효력이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이러한 효력을 나타내는 성분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고 그 작용 기작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담쟁이덩굴의 성분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그러한 성분이 추출될 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로 본 발명은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인체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알코올을 이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캡슐화된 정제 형태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담쟁이덩굴은 술에 담가서 사용하거나 또는 그늘에서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인체에 섭취되는 경우에 효력을 나타내기 위해서 얼마 정도의 양이 섭취되는 것이 적당한가는 일정량의 담쟁이덩굴에 포함된 필요한 성분을 분석하고 이러한 성분의 유효량을 임상실험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임상실험을 통하여 이러한 유효량을 결정하여 액체형태로 또는 정제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성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담쟁이덩굴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것으로 분석 결과로서 나타나는 성분 중 세 개의 주요한 성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담쟁이덩굴의 줄기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므로 줄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유효한 성분을 조사하였다. 먼저, 담쟁이덩굴의 건조중량 381.5g을 60%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성분분석을 하였다. 건조중량 381.5g에 대한 에탄올 추출 액을 이용하여 1.79g의 아세트산 에틸 엑스를 얻었고, 다시 추출된 성분을 세파덱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3가지의 순수한 성분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분리된 성분을 1H NMR, 13C NMR, ESMS 등의 다양한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최종 성분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세 개의 성분 (가), (나) 및 (다)는 각각 3-히드록시fp스베라트롤(3-hydroxyresveratrol, 일반명은 piceatan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및 레스베라트롤 3-베타-클루코피라노사이드(3-β-D-glucopyranoside, 일반명: piceid)를 도시한 것이다. 분리된 최종 양은 3-히드록시레스베라트롤이 37.2mg, 레스베라트롤이 65.4mg, 레스베라트롤 3-베타-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65.4mg으로 된다. 최초의 담쟁이덩굴의 건조중량이 381.5g 이므로 각각의 성분의 함유비는 각각 0.0097%, 0.017% 및 0.0067%가 된다.
일반적으로 레스베라트롤은 암의 발생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적혈구의 응집을 감소시키며, 혈관확장 및 혈관의 유연성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심장질환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항산화 작용이 있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으로 동맥경화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DL들의 산화는 심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동맥에 클레스테롤의 축척을 유발시킨다. 레스베라트롤은 동맥에 혈전이 축척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혈전의 축척으로 인한 심장이나 뇌에서의 혈액 순환의 저해를 예방할 수 있다.
3-히드록시레스베라트롤과 레스베라트롤 3-베타-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실질적으로 아직까지 담쟁이덩굴로부터는 분리되었다는 보고가 없는 성분으로서 이들의 약리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된 것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이 레스베라트롤과 구조가 유사하므로 레스베라트롤의 약리 효과와 비슷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에탄올을 이용하여 액체 형태로 제조되는 방법과 건조 담쟁이덩굴을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고 다시 이 분말을 정제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다. 이하에서 이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에탄올은 담쟁이덩굴로부터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추출 액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일단 에탄올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을 성분 분석을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험에서는 다시 분리하였지만 실제 사용의 경우에는 다시 분리할 필요가 없다. 물론 증류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별도의 분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성분이 포함된 에탄올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담쟁이덩굴로부터 필요한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에탄올은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필요한 에탄올의 농도는 대략 50 내지 70%의 에탄올을 사용한다. 물론 더 낮은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흔히 구할 수 있는 15% 내지 30% 사이의 농도로 희석된 소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높은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제 인체에 적용할 경우에는 적당한 농도로 희석되어야 할 것이다.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담쟁이덩굴은 주로 나무 등에서 자란 담쟁이덩굴을 이용하여야 한다. 바위 또는 담벽 등에 붙어서 성장하는 담쟁이덩굴의 경우에는 독성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나무 중에서도 소나무를 타고 자라는 것, 그 중에서도 한국산 소나무에서 자라는 것으로서 3년 이상이 된 것으로부터 채취된 담쟁이덩굴의 줄기를 분리하여 잘게 썰어서 그늘진 곳에서 건조시킨다. 또한 이러한 담쟁이덩굴의 채취 시기는 10월에서 3월 사이의 기간이 되며 이 기간은 담쟁이 덩굴이 충분히 자란 후 새순이 나기 전의 시기를 의미한다. 또한 약효를 충분히 발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기에 실외의 그늘에서 약 3일 정도 건조시킨다. 대량 생산의 경우 물질 속에 들어 있는 수분을 없애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려는 물질과 수분을 잘 흡수하는 물질을 함께 용기 속에 넣고, 건조한 공기로 물질 속의 수분을 증발시킨 다음, 물질을 넣은 용기 속의 공기를 저압으로 만들어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약품을 함께 사용하거나 부가적인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먼저 분리된 담쟁이덩굴을 건조시킨 후 이를 살균된 절단기를 이용하여 작은 조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조각의 두께는 얇을수록 유리하지만 약 0.1 내지 0.5 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충분히 건조된 담쟁이덩굴을 위에서 설명한 알코올을 포함하는 적당한 용기에 넣어 밀봉시킨다. 이와 같이 밀봉된 용기를 온도가 약 40 내지 60℃가 되는 곳에 약 3개월 정도 보관한다. 물론 제시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둘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저장 기간을 약 5개월 내지 6개월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 후 용기에서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된 액은 적당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시킨다. 이 과정을 통하여 여과된 성분은 일반적으로 아세트산 에틸 유의 성분이 되고 이 성분에는 위에서 설명한 약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세 가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 다음 단계로 분리된 여과액을 증류수 등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적당한 농도로 희석시킨다. 희석의 정도는 증류수 대 여과된 액의 중량비가 약 3 : 1 내지 6 : 1이 되도록 한다. 이는 처음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된 알코올의 농도에 따라 적당히 조절될 수 있다. 사용된 알코올의 농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희석되는 비율이 낮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담쟁이덩굴의 추출 액은 사람의 음료 용도로 사용되므로 희석하는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희석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당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흔히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혼합되는 적당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하여 음료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음료용 액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소나무에서 3년 이상 자란 담쟁이덩굴을 10월 내지 3월 사이에 채취하여 줄기만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담쟁이덩굴 줄기를 건조 장치를 이용하거나 그늘에서 실외에서 약 2 내지 4일 정도 건조시킨 후 작은 조각으로 형성하는 단계;
(3) 형성된 작은 조각을 약 40내지 70%의 에탄올을 포함한 용기에 넣은 후 밀봉하여 약 40내지 60℃에서 약 3개월 정도 저장하는 단계;
(4) 저장되어 추출된 액을 여과시키고 필요에 따라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적당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시키는 단계;
(5) 필요에 따라 적당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음료용으로 제조하는 단계.
위와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음료용 액체는 인체의 증상에 따라 또는 연령에 따라 필요한 양으로 사람에게 복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또 다른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조성물은 액체로 뿐만 아니라 분말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분말형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에탄올을 사용하지 않고 적당한 방법으로 건조시킨 후 이를 분말형태로 만들어 다른 적당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캡슐 형태로 제조한다. 다만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건조 장치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그늘을 이용하여 충분히 기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기간은 기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건조된 상태는 약 5 내지 15℃의 온도에서 2내지 3일간 건조시켜 수분 함유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온도는 실외의 자연적 온도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담쟁이덩굴은 주로 3년 이상 소나무에서 자란 것으로서 주로 10월에서 3월 사이에 새순이 나기 전의 것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기의 실외에서 자연적으로 그늘을 이용하여 건조시킬 때의 온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온도 범위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적당한 정도로 건조시킨 후 동결 건조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분말을 만들기가 힘들기 때문에 자연 건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건조된 담쟁이덩굴은 적당한 공지의 기계를 사용하여 분말형태로 만든 후 캡슐을 이용하여 정제형태로 만든다. 일반적으로 담쟁이덩굴은 단맛과 떫은맛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므로 담쟁이덩굴의 건조 줄기만을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복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맛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다른 약리 작용을 위하여 다른 약리 효과를 지닌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다른 적당한 성분을 혼합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된 액에서 에탄올을 증류시키고 남은 성분을 이용하여 다른 필요한 성분과 혼합하여 정제 또는 액체 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분말 형태로 만든 것을 필요에 따라 다른 액체 혼합물에 용해시켜 액체 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음료 또는 정제 형태는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담쟁이덩굴의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에탄올 포함 음료 또는 정제의 효과를 시험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위에서 설명한 제조 과정에서 희석시키지 않고 사용하기 위하여 식용 에탄올 약 20%를 사용하여 음료용 액체를 제조하였다. 액체 음료의 경우 저장 온도는 약 50℃가 되고 저장 기간은 약 3개월로 하였다. 분말로 이용한 정제의 경우 온도 약 10℃에서 3일간 건조하여 정제 하나 당 중량이 약 500mg이 되도록 하였다.
1. 액체음료의 실시 효과
표 1
성별 나이 증상 투여량
54 다리의 쥐가 나고 붓는 증상, 두통 전체 복용량 복용량 1440ml, 2개월 투여
76 허리통증, 다리에 쥐 및 저림증세, 어혈 위와 동일
54 두통, 변비 위와 동일
75 무릎 통증 및 관절염 위와 동일
54 두통, 목부위 순환기통증 위와 동일
62 발가락 통풍 위와 동일
65 우울증, 편두통, 근육통 위와 동일
표 1에서 각각 다른 사람에게 투여한 효과를 나타낸 것이며 투여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투여 결과로서 나타난 증세가 완치되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투여 양 및 투여 기간을 다르게 한 경우는 실험되지 않았다. 위의 시험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음료는 다리의 쥐 또는 붓는 현상, 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만성적인 두통이나 순환기 통증, 우울증, 편두통 등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액체 음료의 경우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사용하는 정제 형태의 미용에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또한 외상에 대하여 적당하게 분말을 만들어서 또는 연고 형태로 만들어서 외상 부위에 바르는 경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담쟁이덩굴을 에탄올을 이용해서 추출한 후, 여과시키고 이를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남은 잔액을 이용하여 연고 등의 형태로 제작한다. 그 다음 이를 상처부위에 바르면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정확하게 그 효과를 측정할 수는 없지만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는 다른 적당한 액체와 혼합하여 미용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실험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분말 형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2. 캡슐화된 정제 형태의 효과
표 2
성별 나이 증상 투여 양 효과
49 간경화,소화불량,신경통,우울증 500mg 200알, 2개월 투여 완치
50 우울증, 편두통, 혈액순환 장애 위와 동일 완치
21 혈액순환장애, 편두통, 우울증, 심페기능저하 위와 동일 완치
19 우울증, 편두통, 혈액순환장애 위와 동일 완치
54 무릎 통풍 500mg 150알, 2개월 투여 70% 호전
74 무릎 통증 500mg 250알, 2개월 투여 완치
46 타박상, 우울증 500mg 250알, 2개월 투여 완치
50 신경통, 타박상 500mg 200알, 2개월 투여 80% 호전
51 타박상, 무릎 통풍 500mg 250알, 2개월 투여 완치
50 근육통, 타박상 500mg 200알, 2개월 투여 완치
49 타박상, 신경통 500mg 250알, 2개월 투여 완치
52 무릎 통풍, 타박상 500mg 300알, 2개월 투여 완치
표 2에서 나타난 것처럼 정제 형태로 투여된 경우에는 액체 음료 형태로 투여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담쟁이덩굴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정한 외상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액체 음료와 정제 형태를 동시에 투여한 경우의 효과
아래의 표 3에서는 액체와 정제 형태를 동시에 투여한 경우에 나타나는 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증상의 정도 또는 나이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양으로 조정될 수 있다.
표 3
성별 나이 증상 투여 양
71 수전증20년 액체음료 1440ml, 500mg 200알, 4개월 투여
55 변비, 우울증, 미용 액체음료 1440ml, 500mg 200알, 3개월 투여
63 수전증12년 액체음료 1440ml, 500mg 100알 투여,
표 3에서 제시된 양을 투여한 효과는 위의 두 가지 경우에는 완치되었으며 세 번째 경우에는 현재 투여 중인 상태로서 약 80%정도 상태가 호전되었다. 표 3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수전증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실험 결과로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다리의 쥐 또는 붓는 현상이나 두통, 또는 허리 통증, 변비, 관절염이나 만성적인 수전증 등에 대해서도 효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신체적인 외상으로 인한 통증의 경우에도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의 실험 예에서 자세히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외상이나 미용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표1 내지 3에서 제시된 증상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약 2내지 3개월 동안 액체 음료의 경우에는 전체 1440ml 양으로, 정제 형태의 경우에는 500mg으로 제조된 것을 하루 3내지 4알의 양으로 투여되는 경우 완치에 가까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 밖의 증상에 대해서는 실험되지 않아서 알 수 없지만 일반적인 레스베라트롤의 효과를 감안할 때 암 등에 대해서도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위에서 적절한 실시 예의 형태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담쟁이덩굴의 성분을 분석하는 개략적인 방법 및 분석 결과로서 나타난 필요한 성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 (나), (다)는 도 1의 성분 분석의 결과물 중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력과 관련이 있는 세 개의 주요 성분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8)

  1.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액체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소나무에서 3년 이상 자란 담쟁이덩굴을 채취하고 줄기만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담쟁이덩굴 줄기를 건조 장치를 이용하거나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작은 조각으로 형성하는 단계;
    (3) 형성된 작은 조각을 약 40내지 70%의 에탄올을 포함한 용기에 넣은 후 밀봉하여 약 40내지 60℃에서 3개월 정도 저장하는 단계;
    (4) 저장되어 추출된 액을 여과시키고 필요에 따라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담쟁이덩굴을 이용하여 액체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의하여 제조된 액체 음료 조성물.
  4. 삭제
  5.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분말 형태의 고형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소나무에서 3년 이상 자란 담쟁이덩굴을 채취하고 줄기만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담쟁이덩굴 줄기를 그늘에서 온도 10내지 15℃에서 실외에서 약 3일간 건조시킨 후 작은 조각으로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작은 조각을 미세한 분말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8. 삭제
KR10-2002-0075691A 2002-11-30 2002-11-30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KR10050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91A KR100509414B1 (ko) 2002-11-30 2002-11-30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91A KR100509414B1 (ko) 2002-11-30 2002-11-30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59A KR20040047459A (ko) 2004-06-05
KR100509414B1 true KR100509414B1 (ko) 2005-08-22

Family

ID=3734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691A KR100509414B1 (ko) 2002-11-30 2002-11-30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4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343B1 (ko) * 1995-07-13 1997-12-29 이능희 탄닌계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020064730A (ko) * 2002-07-08 2002-08-09 이승용 자연 재료로 만든 약령시 전통 한방 단술인 감주차 제조방법
KR20030043024A (ko) * 2001-11-26 2003-06-02 김성호 항암성분을 함유한 약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343B1 (ko) * 1995-07-13 1997-12-29 이능희 탄닌계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030043024A (ko) * 2001-11-26 2003-06-02 김성호 항암성분을 함유한 약차 제조방법
KR20020064730A (ko) * 2002-07-08 2002-08-09 이승용 자연 재료로 만든 약령시 전통 한방 단술인 감주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59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95822B1 (ko) 고지혈증 및 뇌졸중 회복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추출물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차 및 이의제조방법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Sabir et al. Pharmaco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Cydonia oblonga: A review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Zevin A Russian herbal: traditional remedies for health and healing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Tarantul et al. Dill (lat. Anéthum)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US5262161A (en) Stevia extract-containing medicine
KR100509414B1 (ko) 담쟁이덩굴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
Hernández-Herrera et al. Mexican Desertic Medicinal Plants
KR20080104221A (ko) 순간발포(瞬間發泡)에 의한 달콤한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052762A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Das et al. Medicinal value of underutilized fruits in hilly Tripura
KR101234304B1 (ko) 머위 및 돼지감자가 함유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Williams Drug and condiment plants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450640B1 (ko)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비트 주스의 제조 방법
US11576943B2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cranial nerve protection effect and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KR102537281B1 (ko) 솔순 발효액과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KR10248828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모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