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35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359B1
KR100509359B1 KR10-2003-0002732A KR20030002732A KR100509359B1 KR 100509359 B1 KR100509359 B1 KR 100509359B1 KR 20030002732 A KR20030002732 A KR 20030002732A KR 100509359 B1 KR100509359 B1 KR 10050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air conditioner
ultraviolet lamp
visible light
machi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145A (ko
Inventor
오카다히로카즈
코우마카즈토요
카미도우조노토시로
모리요시히로
아키야마신이치
후쿠다토모하루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살균을 행하기 위한 자외선램프의 발광을 이용하여, 자외선램프 자체의 운전표시 및 본체케이스 외관의 디자인 향상을 행한다.
기계본체의 본체케이스의 내면 부근에, 한 면에서부터 가시광을 발광하고, 다른 면에서부터 자외선을 발광하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를, 전면(前面)측이 가시광 발광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그 전면에 전면커버를 설치하고, 이 전면커버를 빛나게 한다. 전면커버를,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반투명성 또는 투명성 재료로 만든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외선램프를 구비한 제습기 등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234729호 공보나 일본국 특공평 6-727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살균이나 탈취를 위한 자외선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공기조화기에서는, 자외선램프가 기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는, 자외선램프의 운전 중에 기계내부를 개방하면, 자외선이 방사되어 인체에 위험을 끼치기 때문에, 자외선램프의 운전표시램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전표시램프는, 면발광(面發光)시키는 것이 아니었다. 또, 면발광을 디자인적으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구조, 비용면에서 지장이 많았다. 또, 자외선램프와 표시램프와는 별개의 부품이 되기 때문에, 표시등회로의 고장에 대한 보증회로나 안전회로가 필요로 하였다. 또한, 자외선램프에 의한 발광을 디자인효과에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종래 전혀 검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살균을 행하기 위한 자외선램프의 발광을 이용하고, 자외선램프 자체의 운전표시 및 본체케이스 외관의 디자인 향상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는, 기계본체의 본체케이스의 내면 부근에 배치된 자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 전면측의 본체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전면커버를 갖고, 이 전면커버는,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투명 또는 반투명성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램프는, 전면커버측의 면을 가시광 발광면으로 하며, 기계본체 내측의 면을 자외선 발광면으로 하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로, 상기 자외선 발광면이 기내공기통로에 면하도록, 또한, 상기 가시광 발광면으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이 상기 전면커버에 투사되도록 본체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외선램프를 사용하여 공기통로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살균을 행하고 있는 시간대에 있어서는, 항상, 자외선램프로부터 가시광이 면발광되고, 전면커버가 광범위하게 밝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외선램프의 운전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또, 자외선램프의 운전표시를 위하여 별도 광원(光源)의 운전표시램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 광원의 고장에 대한 보증회로나 안전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전면커버를 구성하는 수지재료에는 광휘성 안료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광이 확산되고 시인성(視認性) 및 디자인효과가 양호해진다. 또, 자외선램프는 한 쪽 면이 가시광 발광면이고 다른 쪽의 면이 자외선 발광면으로 되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이기 때문에, 자외선램프를 넣는 경우의 배치장소나 유지(保持)방법의 선택성이 넓어지고, 설치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면커버는,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에서부터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에 걸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면커버내에 있어서의 가시광의 전파에 의해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이 측방에도 방사된다. 따라서, 자외선램프의 운전표시를 정면뿐만 아니라 측방에서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면커버는,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배합되는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이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함유되는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보다 많은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을 구성하는 부분과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을 별체로서 형성하여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빛의 확산성이 향상되고, 측면부에의 빛의 확산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자외선램프와 상기 전면커버와의 사이에 가시광을 측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렌즈에 의해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된 가시광을 측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고, 측면부로부터의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된다.
또, 상기 렌즈는, 좌우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기계본체내측에 만곡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측방으로 감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렌즈내의 측방부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증가하고, 가시광의 측방에의 확산성이 더욱 개선된다.
또, 상기 렌즈는, 기계본체 내측의 표면이 거친 면(粗面)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계본체 내측의 렌즈의 표면부에 있어서, 렌즈내를 전파하는 가시광이 반사하는 경우 및 자외선램프로부터의 가시광이 렌즈내에 입사(入射)하는 경우에, 가시광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휘감(光輝感)이 향상되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렌즈는, 폴리스티렌을 원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렌즈의 투명성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렌즈내부에서의 표면반사가 양호해지고, 가시광의 측방에의 확산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렌즈는, 좌우방향의 중심부위에 소정의 폭으로 직선적으로 기계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는, 그 돌출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돌출부로부터 기외(機外)로 직접 가시광이 방사되기 때문에, 돌출부분은 돌출부분의 주위에 대하여 밝게 된다. 이 결과, 이 돌출부와 돌출부의 좌우부분과의 사이에 조도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내에 흡입한 공기를 냉각 제습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로 제습한 물을 저장하는 배수탱크를 구비하고, 이 배수탱크는, 그 일부가 기계본체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위가 투시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수탱크의 일부가 기계본체 전부에 있어서, 전면 및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 좌, 우의 3방향에서 배수탱크의 저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기계본체의 전부에 있어서,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는 배수탱크의 일부는, 상기 전면커버에 연속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광휘성 안료가 배합된 수위가 투시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면커버와 배수탱크의 노출부와의 형상의 연속성에 의해, 가시광의 전파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수탱크도 빛나게 할 수 있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배수탱크는, 기계본체의 외부에서부터 투시할 수 있는 수위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배수탱크에 저수되어 있는 양을 쉽게 파악하게 된다.
또, 상기 수위표시부는, 배수탱크에 있어서의 평면형상의 변형부분에 배치된, 수평의 보강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특별한 수위표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부품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강리브는, 높이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저수되어 있는 물의 양을 보다 쉽게 파악하게 된다.
또, 상기 보강리브는, 최상위의 것이 배수탱크의 만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배수탱크의 만수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광휘성 안료는,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를 모재로 하고, 이 모재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코트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코트방법으로서는,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塊狀) 플레이크의 모재상에 금속을 무전해 도금하는 방법,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의 모재상에 루틸형 이산화티탄을 액상법에 의해 균일하게 피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휘성 안료 모재의 표면에서의 가시광의 높은 반사를 얻을 수 있고, 전면커버의 광휘감이 양호하게 된다. 즉, 종래의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수지로서는, 수지재료에 은, 니켈 등의 금속박, 금속분말을 배합한 것이 있지만, 이러한 것과 비교하여, 상기의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코트한 것은, 경량이기 때문에 수지재료 중에 임의로 쉽게 배합되고, 광범위의 광휘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수지는, 수지성형품의 휘어짐, 수축방지효과가 있고, 성형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제습기로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습기는, 도 4의 외관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본체의 본체케이스(1)가 전후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고, 전부 상면에 조작부(1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스(1)내의 상부측에는, 도 1의 상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에 공기조화수단으로서 냉동사이클의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증발기(2), 응축기(3), 송풍기(4)가 기내공기흐름의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송풍기(4)는, 모터(5), 날개차(6), 상하 취출형 팬하우징(7) 등으로 구성되고, 상하로 취출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본체케이스(1)내의 하부 측에는, 도 2의 정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 및 도 3의 좌측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내의 후측(도 3의 하부 좌측)에 증발기(2)나 응축기(3)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8), 어큐뮬레이터(8a)가 설치되고, 본체케이스(1)내의 전측(도 3의 하부 우측)에, 증발기(2)에서 결로하여 떨어지는 제습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9)가 배치되어 있다.
배수탱크(9)는, 기계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서랍식으로 본체케이스(1)내에 탈착이 자유롭게 수납되고, 수납상태에 있어서 전면측 부분이 본체케이스(1)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출부분은, 기계본체의 외측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본체케이스(1) 상부의 전면부분의 내면측에는, 자외선램프유닛(10)이 조립되어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1)에 있어서의 자외선램프유닛(10)의 전면측에는, 전면커버(11)가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면커버(11)는, 기계본체의 외측 윤곽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양측단부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가 공기를 흡입하는 좁은 폭의 흡기구(12, 13)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전면커버(11)의 내면측과 자외선램프유닛(10)과의 사이에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산 모양의 에어필터(12a)가 개재되어 있고, 흡기구(12, 13)로부터 흡입되는공기는, 이 에어필터(12a)를 통하여 기내에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습기의 흡기구는, 상기 흡기구(12, 13) 이외에, 본체케이스(1)의 후면 및 우측면의 후부(後部)에 그릴구조의 흡기구(14, 15)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기계본체의 전부 양측면이나 기계본체의 후부 배면 및 우측면에 흡기구(12, 13, 14, 15)를 설치하는 이유는, 흡기구를 다수의 장소에 설치함으로서, 반침의 측벽과 이불과의 틈새나 가구와 가구와의 틈새 등, 폭이 좁은 스페이스에 설치한 경우에, 일부의 흡기구가 막혀도 다른 흡기구가 개방된 채로 남아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반침의 측벽이나 이불, 가구 등에 의해 우측면의 흡기구(12) 및 (15)가 막혀도, 좌측면의 흡기구(13) 및 후면의 흡기구(14)가 개방된 채로 남아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흡기량의 감소에 의한 제습능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 제습기의 취출구로서, 본체케이스(1)의 상면부에 상부 취출구(17)가 형성되고, 좌측면의 하부에 하부 취출구(18)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상부 취출구(17)에는, 오른쪽 끝을 지축으로 하여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뚜껑(17a)이, 또, 하부 취출구(18)에는 상하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뚜껑(18a)이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4 참조).
또한, 본체케이스(1)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 취출구(17)의 반대측으로 눕혀 수납되는 손잡이(1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차(6)의 도 2에 있어서의 우측부분의 팬하우징(7a) 부분이 상(上) 취출용 하우징에 형성되고, 날개차(6)의 도 2에 있어서의 좌측부분의 팬하우징(7b) 부분이 하(下) 취출용 하우징에 형성되어 기계본체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취출구(17)가 송풍기(4)의 상 취출용 하우징(7a)에 연통되고, 상기 하부 취출구(18)가 송풍기(4)의 하 취출용 하우징(7b)에 연통되어 있다.
기내공기통로는, 흡기구(12, 13, 14, 15)→에어필터(12a, 14a)→증발기(2)→응축기(3)→송풍기(4)→상부 취출구(17) 및 하부 취출구(18)의 경로를 거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흡기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로 가기 전에 자외선램프유닛(10)내의 공기통로(10a)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외선램프유닛(10)내의 공기통로(10a)를 통과한 공기는, 자외선램프유닛(10)의 배면측에 형성된 격자상 흡기구멍(19)으로부터 증발기(2)측으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격자상 흡기구멍(19)은, 전면커버(11)를 해체한 도 5의 사시도에 일부가 보이는 바와 같이, 자외선램프유닛(10)의 배(背) 양측으로 대략 전체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송풍기(4)측은 상하 취출형 팬하우징(7) 등에 의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전부 자외선램프유닛(10)내의 공기통로(10a)를 통하여 전면커버(11)의 반대측의 격자상 흡기구멍(19)으로부터 증발기(2)측에 유통된다.
자외선램프유닛(10)은, 도 6의 기계본체 상면에서 본 상세구성도, 도 7의 기계본체 좌측면측에서 본 상세구성도, 도 8의 기계본체내측에서 본 상세구성도 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지제 케이스(30), 일래스토머제 패킹(40), 수지제 케이스(30)와 협동하여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알루미늄제 케이스(50), 광촉매필터(60), 제어기판(70), 기기커버(71), 비스(72), 광센서(7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외선램프유닛(10)의 전면에는 가시광을 측방으로 분산시키는 렌즈(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평면발광램프로, 본체케이스(1)측(전면측)으로부터는 452nm의 파장의 가시광을 방사할 수 있도록, 또, 기계본체내 측 (광촉매필터(60)측)으로부터는 살균효과가 최대로 되는 253.7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상기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의 기본적 구성과 원리를 나타낸다.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일면측(기계본체내측)이 자외선을 투과하는 UV투과유리(바륨-소다유리)(21)로 형성되고, 타면측이 상기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고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통상의 소다유리(23)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다유리(23)의 내면측에는 형광체(22)가 도포되어 있다.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UV투과유리(21), 통상의 소다유리(23) 등으로 형성된 용기내에, 수은증기와 아르곤가스가 봉입되고, 양측에 방전전극(24a, 24b)이 배치되어 있다. 방전전극(24a, 24b) 사이에 글로방전이 생기면, 방전전극(24a, 24b) 사이를 흐르는 전자(25)가 아르곤원자(26)나 수은원자(27)와 충돌한다. 수은원자(27)와 충돌함으로서 발생한 자외선(28)은, 일면측의 UV투과유리(21)를 투과하고, 타면측(소다유리(23)측)에서는 형광체(22)에 닿아서 가시광(29)을 발생시킨다.
가시광(29)은, 형광체(22)의 발광색으로 되기 때문에, 소망의 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2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형광등 등에 사용되는 백색형광체를 사용하고, 상기 렌즈(80)를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살균 중임을 이미지시키는 청색으로 착색하면, 자외선램프유닛(10) 및 렌즈(80)를 싼 가격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UV투과유리(바륨-소다유리)(21)측이 자외선 발광면(20a)으로 되고, 소다유리(23)측이 가시광 발광면(20b)으로 된다. 또,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가시광 발광면(20b)이 기계본체 전면측(전면커버(11)측)을 향하여, 자외선 발광면(20a)이 기계본체내측, 즉, 수지제 케이스(30)내의 공기통로(1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케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제 케이스(30)와 알루미늄제 케이스(50)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제 케이스(30)는, 수지성형된 중공기재(中空基材)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방부가 얇은 접시모양의 기기설치부(31), 하방부가 평단면형상을 대략 コ자 모양으로 한 램프설치부(32)로서 형성되어 있다.
램프설치부(32)는, 도 6에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계본체내측에 개방한 コ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램프설치부(3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초 평면적인 형상으로 수지성형되고, コ자 모양의 코너부분을 박육부(薄肉部)(32a)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에 박육부(32a)에서 도 12와 같이 접어 구부려져,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설치부(32)의 コ자 모양의 측벽에는, 흡기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이 자외선램프유닛(10)내의 공기통로(10a)에 유통시키기 위한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풍구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28)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흡기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이 자외선램프유닛(10)내의 공기통로(10a)에 유통시키기 위하여, 후방 외측을 향해서(도 9에 있어서의 아래 방향을 향해서) 경사하는 갑옷격자(3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풍 가능하게 구성된 램프설치부(32)의 중앙면부(단면 コ자 모양 부분의 기계본체 전면측에 있는 중앙면부)에는, 가시광 방출구멍(34)이 형성되고, 그 내측이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를 수납하는 수납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이 수납스페이스에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의 가시광 발광면(20b)이 가시광 방출구멍(34)에 면하도록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가시광 방출구멍(34)을 구비한 면에 대하여, 자외선(28)의 누출방지용 밀봉재로서의 일래스토머제 패킹(40)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수지제 케이스(30)의 램프설치부(32)의 내면은, 자외선(28)이 조사되고, 수지제 케이스(30)를 형성하는 수지 그 자체가 열화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진공증착에 의해 알루미늄층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알루미늄층은, 알루미늄테이프를 부착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지만,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하면, 수지제 케이스(30)를 디자인상의 사정 등으로부터 복잡한 형상, 구조로 형성한 경우에도, 표면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의 알루미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층을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는, 상기 통풍구를 갑옷격자(33)에 의해 형성하여도 용이하게 알루미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제 케이스(30)의 램프설치부(32)내에는,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다른 한 쪽의 알루미늄제 케이스(50)가 삽입되어 있다.
알루미늄제 케이스(50)는, 자외선(28)이 자외선램프유닛(10)의 외부에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지제 케이스(30)의 램프설치부(32)의 기계본체내측에 설치되는 반사기이다. 알루미늄제 케이스(50)는, 알루미늄재료에 의해, 일면 개방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コ자 모양의 램프설치부(32)의 개방부와, 알루미늄제 케이스(50)의 상자모양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알루미늄제 케이스(50)가 수지제 케이스(30)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알루미늄제 케이스(50)는, 상자모양의 저면부(底面部)와, 수지제 케이스(30)의 측면부에 겹쳐지는 측면부에, 자외선(28)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공기를 자외선램프유닛(10)내에 유통시키도록 갑옷격자(51, 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측면의 갑옷격자(52)는, 알루미늄제 케이스(50)를 수지제 케이스(30)의 램프설치부(32)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램프설치부(32)와의 협동에 의한 자외선(28)의 누출방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램프설치부(32)내의 내측 방향이면서 기계본체내측(배면측)을 향하여 경사시키고 있다. 또, 알루미늄제 케이스(50)의 저면(기계본체 배면측)의 갑옷격자(51)는, 자외선램프유닛(10)의 외측에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자외선램프유닛(10)을 격자상 흡기구멍(19)에 밀착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제 케이스(50)의 저면부의 내면(후면측)에는, 광촉매필터(6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와 광촉매필터(60)와는 마주하는 위치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촉매필터(60)는, 도 13과 같은 다수의 통풍구멍(61)을 갖는 평판모양의 촉매담지체에, 아나타제형 결정구조를 갖는 이산화티탄(Ti02)을 담지(擔持)시킨 것이다. 또, 통풍구멍(61)은, 도 14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모양의 평면부에 대하여 경사한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촉매필터(60)에 대하여, 밴드캡 약 3.5eV를 초과하는 값, 파장이라면 파장 약 400nm 이하의 자외선(28)을 대면, 주로 일반적인 냄새의 원인인 암모니아 등의 취기성분이 자외선(28)의 광에너지로 여기(勵起)되고, 산화분해되어 탈취된다. 이와 같이, 광촉매필터(60)는, 흡착된 취기성분이 산화분해되어 재생(리프레쉬)되기 때문에,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기설치부(31)에는, 기기커버(71)에 의해 제어기판(70)이 고정되어 있다.
또, 기기설치부의 하방부에 광센서(73)가 설치되고, 기기커버(71)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기커버(71)가 설치됨으로서, 빛이 차폐된 구조물내에 광센서(73)를 설치하는 광센서설치부(7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기커버(71)에 대하여, 기기설치부(31) 및 렌즈(80)를 개재하여 비스(72)를 비스구멍(71a)에 나사 박음으로서, 기기설치부(31)에 기기커버(71)가 고정되고, 자외선램프유닛(10)에 대하여 렌즈(80)가 고정되어 있다.
렌즈(80)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의 가시광 발광면(20b)으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29)을 측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폭방향의 중심부를 전면커버(11)의 외부에 노출시켜 디자인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80)는, 투명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렌즈(80) 내부에서의 표면반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80)는, 세로길이로 정면에서부터 본 형상은 직사각형을 하고 있지만, 상방에서 본 형상은, 기계본체내측에 만곡한 원호상을 하고, 측방으로 감에 따라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렌즈(80)의 폭방향의 중심선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에는, 일정한 폭으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기계본체 전면측에 돌출하는 돌출부(8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케이스(1)의 전면커버(11)에는, 이 돌출부(81)와 마주하는 위치에 세로길이의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다(도 15 참조). 그리고, 돌출부(81)가 개구부(11a)로부터 기계본체 전면측에 돌출하도록, 렌즈 (80)가 자외선램프유닛(10)에 설치되어 있다.
또, 렌즈(80)의 폭방향의 중심선 부분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81)에 마주하도록 평단면 원호상의 요부(凹部)(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82)에 의해 렌즈(80)내에 가시광(29)이 들어가기 쉽도록 하고, 렌즈(80)로부터 기계외부에 투사하는 가시광 양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렌즈(80)는, 상기와 같이 자외선램프유닛(10)에 설치하고 있지만, 특히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커버(11)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배수탱크(9)는, 전면커버(11)와 동일한 반투명 또는 투명 수지재료에 의해 성형된 것이며, 기계본체 전부에 있어서,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도록 기계본체 전부의 하방부에 배치된다. 또, 배수탱크(9)의 전부(91)는, 전면커버(11)의 형상이 연장되는 것 같은 전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배수탱크(9)의 후부(92)는, 본체케이스(1)내에 수납되도록, 전부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도 16∼도 18 참조).
그리고 이 평면 형상의 변형부분에 수평방향의 보강리브(93, 94, 95)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리브(93, 94, 95)는, 높이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도 17 참조), 기계본체 측방으로부터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최상단의 보강리브(93)는, 배수탱크(9)의 만수 위치에 형성되고 있고, 만수 표시를 겸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제습기를 반침의 측벽과 이불 사이 등의 좁은 스페이스에 설치하여 운전하면, 반침내의 습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는 송풍기(4)의 회전에 의해,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구(12, 13, 14, 15)로부터 흡입된다. 흡기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자외선램프유닛(10)으로 살균되고, 적어도 그 일부는 광촉매필터(60)를 통과하여 탈취된다. 또, 흡기구(12, 13, 14, 15)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함으로서 냉각 제습된다. 증발기(2)로 냉각 제습된 공기는, 응축기(3)을 통과함으로서 그 열로 가열되고, 건조 공기가 되어, 송풍기(4)의 작용에 의해 상부 취출구(17) 및 하부 취출구(18)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증발기(2)에 있어서 제습된 공기중의 수분은, 증발기(2)의 아래쪽에 설치된 배수탱크(9)내에 고인다. 이 배수탱크(9)에 고인 물은, 배수탱크(9)를 전방으로 빼내어 꺼냄으로서, 배출할 수 있다.
또, 배수탱크(9) 저수량은, 배수탱크(9)의 전부(91)가 기계본체 전부의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 좌, 우의 3 방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저수량이 만수에 대하여 어느 정도가 되어 있는가는 보급리브(93, 94, 95)가 수위표지가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급리브(93, 94, 95)는, 배수탱크(9)의 수위표시를 겸하기 때문에, 다른 특별한 수위표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배수탱크(9)의 수위가 최상위의 표지 표시인 보강리브(93)의 위치 부근까지 도달했을 때는, 따로 탑재되어 있는 만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제습기의 운전이 정지된다.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제습기 운전중에 있어서 자외선램프스위치(미도시)가 투입되어 필요할 때만 통전된다.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통전에 의해 자외선 발광면(20a)으로부터 자외선(28)을 방사하고, 가시광 발광면(20b)으로부터 가시광(29)를 방사한다.
가시광(29)은, 일부는 돌출부(81)로부터 직접 기외에 방사되고, 다른 일부는 전면커버(11)를 통과하여 기외로 방사된다. 가시광(29)이 전면커버(11)를 투과함으로서 전면커버(11)가 면발광(面發光)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의 운전을 확실하면서도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또, 전면커버(11)는, 기계본체 전면으로부터 기계본체 측면에 걸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커버(11)내의 가시광(29)의 전파에 의해, 기계본체 측방으로부터도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의 운전을 알 수 있다. 또, 전면커버(11)는, 광휘성 안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광(29)이 확산되어 시인성 및 광휘감이 양호하게 되고, 디자인효과도 뛰어난 것이 된다. 또, 이 광휘성 안료는, 유리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를 모재로 하고, 이 모재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코트한 것이기 때문에, 광휘성 안료의 모재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가 커지고, 전면커버(11)의 광휘감이 양호하게 된다. 즉, 종래의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수지로서는, 수지재료에 은, 니켈 등의 금속박, 금속분말을 배합한 것이 있지만, 이러한 것과 비교하여, 상기의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코트한 것은, 경량이기 때문에 수지재료 중에 임의로 쉽게 배합되고, 광범위의 광휘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수지는, 수지 성형품의 휘어짐, 수축방지효과가 있고, 성형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가시광(29)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본체의 전면측에 방사될 즈음에, 일부는 돌출부(81)로부터 직접 방사되고, 또, 타부(他部)는 빛을 측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80)를 통과하여, 전면커버(11)를 통하여 기외로 방출되기 때문에, 돌출부(81)의 부분은 그 주위에 대하여 밝게 되고, 조도에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해지며, 디자인에 다양성을 줄 수 있다. 또한, 렌즈(80)에 의해, 전면커버(11)의 측방부의 조도가 높게 유지된다.
또, 자외선램프(20)로부터 렌즈(80)의 중앙부에 방사되는 가시광(29)은, 렌즈(80)에 입사할 때, 렌즈(80)의 중앙부에 요부(82)가 형성됨으로서, 표면에서의 반사광이 감소하고, 렌즈(80)의 측방부에의 입사광이 증가한다.
또, 렌즈(80)에 입사한 가시광(29)은, 렌즈(80)가 만곡모양을 이루고, 측방이 얇게 형성됨으로서, 렌즈(80)내의 측방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증가하고, 가시광(29)의 측방에의 확산이 양호해지고, 기계본체 측방으로부터의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전면커버(11)에서 확산된 빛의 일부는, 상기 배수탱크(9)의 전부(91)의 형상이 전면커버(11)의 형상과 연속성을 주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탱크(9)의 전부에도 전파되어, 배수탱크(9)를 빛나게 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발광면(20a)으로부터 방사된 자외선(28)은, 자외선램프유닛(10)내의 공기통로(10a)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한다. 이 때, 자외선램프(20)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의 내면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자외선는 난반사되고, 살균효과가 향상된다. 또, 자외선(28)이 광촉매필터(60)에 조사됨으로서, 광촉매가 활성화하고, 이 광촉매필터(60)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냄새성분이 산화분해되고, 기내 순환되는 공기가 탈취된다.
또한,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가 일래스토머제 패킹(40)을 개재하여 수지제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있는 것, 수지제 케이스(30) 측면의 통풍구로서 갑옷격자(33)가 설치되어 있는 것, 나아가서는, 알루미늄제 케이스(50)의 공기유통구에 갑옷격자(51, 52)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자외선 발광 면(20a)으로부터 방사된 자외선(28)이 자외선램프유닛(10)의 외측에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일래스토머제 패킹(40)은, 탄성에 뛰어나고, 자외선(28)에도 침해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자외선 밀봉패킹을 얻을 수 있다.
또, 이상의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경우는, 별도의 광원의 자외선램프 운전표시램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의 자외선램프 운전표시램프의 고장에 대한 보증회로나 안전회로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렌즈(80)는, 폴리스티렌을 원재료로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80)의 투명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렌즈(80)내 표면에서의 반사가 양호해지고, 가시광(29)의 측방에의 확산이 양호해진다.
또,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는, 평판모양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모양 자외선램프(20)의 설치구조, 자외선(28)의 조사구조, 가시광(29) 이용의 구조 등을 간략화하기 쉽다.
또, 자외선램프유닛(10)의 수납케이스는, 수지제 케이스(30)와 알루미늄제 케이스(5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 부분을 수지제 케이스(30)로 함으로서, 공기조화기와의 구성상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자외선램프유닛(10)의 수지제 케이스(30)는, 내표면에 알루미늄 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램프(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쉽게 방출되고, 또, 그 내표면의 알루미늄층에 의해, 자외선(28)에 의한 수지의 열화가 방지된다. 또, 이 알루미늄층은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수지제 케이스(30)가 갑옷격자(33) 등을 구비한 복잡한 형상, 구조라고 하여도, 전표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의 알루미늄층이 형성된다.
또, 자외선램프유닛(10)은, 기내공기유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류측의 증발기(2), 응축기(3) 및 송풍기(4) 등에 잡균이나 취기성분이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고, 위생적이며, 메인터넌스도 용이해진다.
변형예
이하,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를 기재한다.
(1) 전면커버(11)는, 중앙부의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을 측방부의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에 비하여 크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전면커버(11)의 측방에의 가시광(29)의 전파가 양호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전면커버(11)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는, 기계본체 전면측의 부분과 기계본체 측면측의 부분을 별체로 성형하고 성형 후에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2) 자외선램프유닛(10)의 수지제 케이스(30)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면만 알루미늄 증착으로 피복하고 있지만, 외표면도 알루미늄 증착으로 피복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렌즈(80)측에의 빛의 반사량이 증가하고, 전면커버(11)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탈취기능을 주기 위하여 광촉매필터(60)를 구비한 것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살균기능만이라면 광촉매필터(60)를 제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기계 전면측으로부터의 운전표시 및 디자인효과에 영향이 없는 것은 물론, 자외선램프유닛(10)의 살균기능에 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렌즈(80)의 기계본체 내측의 표면을 거친 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계본체 내측의 렌즈(80)의 표면부에 있어서, 렌즈(80)내를 전파하는 가시광(29)이 반사하는 경우 및 자외선램프(20)로부터의 가시광(29)이 렌즈(80)내에 입사한 경우에, 가시광(29)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휘감이 향상하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제습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에어컨 등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램프로부터 면발광되는 가시광에 의해 전면커버가 광범위에서 밝아지기 때문에, 자외선램프의 운전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광원의 운전표시램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 전면커버를 구성하는 수지재료에 광휘성 안료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광이 확산되고 시인성 및 광휘감이 양호하게 된다. 또, 자외선램프는 한 면이 가시광 발광면이고 다른 편의 면이 자외선 발광면이 되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이기 때문에, 자외선 램프를 편입하는 경우의 배치장소나 유지방법의 선택성이 확산되고, 설치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면커버가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에서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에 걸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커버내에 있어서의 가시광의 전파에 의해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이 측방에도 방사된다. 따라서, 자외선램프의 운전표시를 정면뿐만 아니라 측방에서부터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면커버는,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배합되는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이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함유되는 광휘성 안료의 배합보다 많기 때문에,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빛의 확산성이 향상되고, 측면부에의 빛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램프와 상기 전면커버 와의 사이에 가시광을 측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된 가시광이 렌즈에 의해 측방으로 확산할 수 있고, 기계본체 측면부로부터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렌즈가 기계본체 내측에 만곡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측방으로 감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내의 측방부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증가하고, 가시광의 측방에의 확산성이 더욱 개선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렌즈의 기계본체 내측의 표면이 거친 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본체 내측의 렌즈의 표면부에 있어서, 렌즈내를 전파하는 가시광이 반사하는 경우 및 자외선램프로부터의 가시광이 렌즈내에 입사하는 경우에, 가시광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휘감이 향상되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폴리스티렌을 원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의 투명성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렌즈 내부에서의 표면반사가 양호해지고, 가시광의 측방에의 확산성이 향상된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렌즈 중앙부의 돌출부가 렌즈 커버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이 돌출부로부터 기외에 직접 가시광이 방사되고, 돌출부분이 돌출부분의 주위보다 밝아진다. 그 결과, 그 돌출부와 돌출부의 좌우부분 사이에 조도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는, 일부가 기계본체의 전부에 있어서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음과 동시에,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탱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 좌, 우의 3방향에서 배수탱크의 저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기계본체의 전부에 노출되는 배수탱크의 일부분이, 전면커버로부터 연속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커버로부터 배수탱크에의 가시광의 전파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수탱크도 빛나게 할 수 있고, 디자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배수탱크에 기계본체의 외부에서부터 투시할 수 있는 수위표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되어 있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배수탱크에 있어서의 평면형상의 변형부분에 배치된 수평의 보강리브에 의해 수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수위표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부품의 구성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위표시부를 겸하는 보강리브가 높이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저수되어 있는 물의 양을 보다 쉽게 파악하게 된다.
또,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최상위의 보강리브가 배수탱크의 만수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배수탱크의 만수시기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면커버의 수지재료에 배합되는 광휘성 안료가,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를 모재로 하고, 이 모재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코트한 것이기 때문에, 광휘성 안료 모재의 표면에서의 가시광의 높은 반사를 얻을 수 있고, 전면커버의 광휘감이 양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상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정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좌측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커버 및 에어필터를 해체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의 자외선램프유닛을 기계본체 상면 측에서부터 본 상세구성도이다.
도 7은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의 자외선램프유닛을 기계본체 좌측면측에서 본 상세구성도이다.
도 8은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의 자외선램프유닛을 기계본체 내측에서 본 상세구성도이다.
도 9는 상기 자외선램프유닛에 있어서의 기판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자외선램프유닛에 있어서의 평판모양 자외선램프의 발광 원리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자외선램프유닛에 있어서의 램프설치부의 수지성형 직후의 상태도이다.
도 12는 상기 램프설치부가 접어 구부려지는 공정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자외선램프유닛에 있어서의 광촉매필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광촉매필터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자외선램프유닛에 있어서의 전면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의 배수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배수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배수탱크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본체케이스 10 자외선램프유닛
10a (자외선램프유닛내의) 공기통로 11 전면커버
11a 개구부 12 흡기구
12a 에어필터 13 흡기구
14 흡기구 15 흡기구
17 상부 취출구 18 하부 취출구
20 평판모양 자외선램프 20a 자외선 발광면
20b 가시광 발광면 28 자외선
29 가시광 80 렌즈
81 돌출부 82 요부
93 (최상단의) 보강리브 94 보강리브
95 보급리브

Claims (15)

  1. 기계본체의 본체케이스의 내면 부근에 배치된 자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 전면측의 본체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전면커버를 갖고, 이 전면커버는, 광휘성 안료를 배합한 투명 또는 반투명성 수지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램프는, 전면커버측의 면을 가시광 발광면으로 하고, 기계본체 내측의 면을 자외선 발광면으로 하는 평판모양 자외선램프이며, 상기 자외선 발광면이 기내공기통로에 면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시광 발광면으로부터 방사되는 가시광이 상기 전면커버에 투사되도록 본체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에서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에 걸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배합되는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이 본체케이스의 측면측을 구성하는 부분에 함유되는 광휘성 안료의 배합량보다 많은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와 상기 전면커버 사이에 가시광을 측방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를 설치한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좌우 방향의 중심부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기계본체 내측에 만곡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측방으로 감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기계본체 내측의 표면이 거친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폴리스티렌을 원재료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좌우방향의 중심부위에 소정의 폭으로 직선적으로 기계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는, 이 돌출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기내에 흡입한 공기를 냉각 제습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로 제습한 물을 저장하는 배수탱크를 구비하고, 이 배수탱크는, 그 일부가 기계본체의 전부에 있어서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위가 투시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본체의 전부에 있어서, 전면 및 좌우 양측면에 노출되어 있는 배수탱크의 일부는, 상기 전면커버에 연속되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광휘성 안료가 배합된 수위가 투시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탱크는, 기계본체의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는 수위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시부는, 배수탱크에 있어서의 평면형상의 변형부분에 배치된 수평의 보강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높이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최상위의 것이 배수탱크의 만수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휘성 안료는, 유리 플레이크 또는 괴상 플레이크를 모재로 하고, 이 모재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코트한 것인 공기조화기.
KR10-2003-0002732A 2002-01-17 2003-01-15 공기조화기 KR100509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8886 2002-01-17
JP2002008886A JP3719507B2 (ja) 2002-01-17 2002-01-17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45A KR20030063145A (ko) 2003-07-28
KR100509359B1 true KR100509359B1 (ko) 2005-08-22

Family

ID=2764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732A KR100509359B1 (ko) 2002-01-17 2003-01-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19507B2 (ko)
KR (1) KR100509359B1 (ko)
CN (1) CN1220850C (ko)
TW (1) TW546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515B1 (ko) * 2004-05-25 2006-10-23 윤일식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US11246951B2 (en) 2005-01-31 2022-02-15 S. Edward Nei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air and surfaces and protecting a zone from external microbial contamination
CN101238363A (zh) * 2005-01-31 2008-08-06 S·E·内斯特尔 用于对空气及表面灭菌和消毒并保护一定区域免受外部微生物污染的方法和设备
CN105115136B (zh) * 2015-09-11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JP6791284B2 (ja) * 2019-02-22 2020-1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ドレンパン、ドレンパン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EP4319826A1 (en) * 2021-04-06 2024-02-14 Signify Holding B.V. Transparent disinfecting lighting device
DE102021210633A1 (de) 2021-09-23 2023-03-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besserte Wärmepumpen-Anordnung
WO2023218567A1 (ja) * 2022-05-11 2023-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2764A (zh) 2003-07-30
KR20030063145A (ko) 2003-07-28
TW546456B (en) 2003-08-11
JP3719507B2 (ja) 2005-11-24
TW200302334A (en) 2003-08-01
JP2003207165A (ja) 2003-07-25
CN1220850C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621B2 (ja) 照明付換気扇
JP2003042644A (ja) 冷凍冷蔵庫
KR100509359B1 (ko) 공기조화기
US6824290B2 (en) Illumination device
JP4045147B2 (ja) 空気調和機
KR101450563B1 (ko) 공기조화기
KR100467855B1 (ko) 공기조화기
KR101611325B1 (ko) 공기조화기
JP3717852B2 (ja) 空気調和機用紫外線ランプ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3207166A (ja) 空気調和機用紫外線ランプ収納ケース、紫外線ランプ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KR101482132B1 (ko)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KR101666452B1 (ko) 공기조화기
KR100491767B1 (ko) 공기조화기
JP4712466B2 (ja) 空気調節機器
CN211551328U (zh) 照明装置
JP5459614B2 (ja) 空気調和機
JP2003269745A (ja) 空気調和機
JP2008025912A (ja) 加湿装置
CN215723698U (zh) 紫外线杀菌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2271823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CN220712918U (zh) 电子雾化装置、雾化器及电源组件
CN210320352U (zh) 空调室内机
JPH04270831A (ja) 空気調和機
JP2003269744A (ja) 空気調和機
JP2564328Y2 (ja) 浴室の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