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23B1 -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23B1
KR102271823B1 KR1020200162040A KR20200162040A KR102271823B1 KR 102271823 B1 KR102271823 B1 KR 102271823B1 KR 1020200162040 A KR1020200162040 A KR 1020200162040A KR 20200162040 A KR20200162040 A KR 20200162040A KR 102271823 B1 KR102271823 B1 KR 102271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unit
cove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엘
Priority to KR102020016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장치에 실내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여 조명과 공기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A light device that is having a function of air clean}
본 발명은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장치에 실내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여 조명과 공기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으며,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의 하나로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이 있으며, 쾌적한 실내 환경은 청결한 공기와 적정한 조명을 통해 조성할 수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 오피스텔 등의 주거 또는 사무공간에는 실내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이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명등은 주거문화의 다변화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조명광을 조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의 장식성을 높이기 위한 인테리어 소재로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 조명등의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는 형광등, 백열전구에 비하여 수명이 장기간 지속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가 적고 화재 위험성이 적은 장점이 있어 형광등, 백열전구와 같은 종래의 조명장치들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미세먼지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미세먼지가 인체에 계속적으로 축적되면 기관지 및 폐에 악영향을 끼쳐 호흡기 질환, 뇌졸중, 심근경색,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 고혈압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등과 같은 인체에 해로운 성분들을 제거함과 동시에 조명 기능을 수행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8800호 전등기구 일체형 천장부착 공기청정기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8800호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천장직착식 조명등기구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119627호 조명 겸용 공기정화기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장치에 실내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여 조명과 공기 정화 기능을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조명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공기 정화부(200)에 결합되고,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부(100)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정화부(200)와;
상기 조명부(100)와 공기 정화부(2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00)와;
상기 공기 정화부(200)와 전원 제어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천장에 매립되는 함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장치에 실내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여 조명과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기청정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조명장치만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해 오염된 공기로 인한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정화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정화된 공기에 자연 방향 성분을 포함시켜 유출시키기 때문에 심신을 안정시키고 회복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부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LED 함체의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부의 회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 정화부의 세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버의 세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이하 ‘본 발명’)는 실내에 설치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장치에 실내 공기가 유출입 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여 조명과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기청정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조명장치만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해 오염된 공기로 인한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10)은 공기 정화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정화된 공기에 자연 방향 성분을 포함시켜 유출시키기 때문에 심신을 안정시키고 회복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10)은 도 3과 같이, 조명부(100), 공기 정화부(200), 전원 제어부(300), 함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부(200)에 결합되고,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부(100)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정화부(200)와;
상기 조명부(100)와 공기 정화부(2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00)와;
상기 공기 정화부(200)와 전원 제어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천장에 매립되는 함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100)는 조명광을 발생시키면서 공기 정화부(200)에 대해 힌지 회동이 가능하도록 공기 정화부(2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제1 투광판(110), LED 함체(120), LED 모듈기판(130), 상태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제2 투광판(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투광판(110)은 LED(131)들이 실장 설치되어 있는 LED 모듈기판(130)에서 발생된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 확산시키도록 LED 함체(120)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LED 모듈기판(130)에 복수로 실장 설치되는 LED(131)는 형광등, 백열전구에 비해 크기가 작고 수명도 길고 밝기도 더 밝고 전력 소모량도 적게 소모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점 광원적 특징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복수의 LED(131)들을 다수의 점 조명으로 불편하게 느끼게 되고 연색성이 떨어져 눈이 부시는 현상이 발생하여 눈에 피로감이 쉽게 쌓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점광원인 상기 복수의 LED(131)들에서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조명광이 외부로 조사 시, 제1 투광판(110)을 통해 투과 확산되어 연색성이 개선되고 점광원의 단점이 해소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투광판(110)의 일측에는 상태 표시부(140)의 상태 표시등(141)과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구(111)가 도 5와 같이 형성된다.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LED 함체(120)는 공기 정화부(200)를 구성하는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안정적으로 안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함체 안착부(2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저면이 평평한 소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와 같이, LED 함체(120)의 내측 저면에는 LED 모듈기판(13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LED 함체(120)는 도 7과 같이, 공기 정화부(200)의 커버(210)에 힌지 결합되는데, LED 함체(120)는 공기 정화부(200)의 필터 카트리지(220)의 착탈을 위해 힌지 회동하게 된다.
상기 LED 함체(120)에는 복수의 슬릿형 홈(121), 걸림 돌기(122), 힌지 홈(123), 힌지 연결구(124), 전선 통과구(125)가 각각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쿠리 형상으로 형성된 LED 함체(120)의 측면에 슬릿형 홈(121)이 복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복수의 슬릿형 홈(121)을 통해 LED 함체(120)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하여 LED 모듈기판(130)에 설치된 복수의 LED(131) 점등 시 발생하는 열이 방열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LED 함체(120)의 저면 외측에 걸림 돌기(122)가 돌출 형성되는데, 걸림 돌기(122)는 도 9에 도시된 커버(210)의 함체 걸림부(218)에 걸려 LED 함체(120)가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안착 결합 시,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LED 함체(120)의 저면 외측에 힌지 홈(123)이 함몰 형성되는데, 힌지 홈(123)은 도 9에 도시된 힌지부(217)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LED 함체(120)의 저면 외측에 함몰 형성되어, LED 함체(120)가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안착 결합 시, 힌지부(217)가 삽입되어 접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홈이다. 따라서 LED 함체(120)가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안착 결합 시, 상기 힌지 홈(123)에 힌지부(217)가 삽입되어 자연스러운 안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홈(123)의 양측에 힌지 연결구(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 연결구(124)에 도 9에 도시된 힌지부(217)의 힌지 돌기(2171)가 끼움 결합되어 LED 함체(120)가 커버(210)에 대해 힌지 회동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홈(123)의 일측에는 전선 통과구(125)가 형성되는데, 전원 제어부(300)와 LED 모듈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나 케이블이 전선 통과구(125)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기판(130)은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LED(131)들이 실장 되어 있는 기판으로, LED 함체(120)의 내측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LED 모듈기판(130)에는 전선이나 케이블이 연결되고,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을 통해 전원 제어부(300)로부터의 전원공급과 각종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LED 모듈기판(130)에 설치된 복수의 LED(131)들이 점등 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술한 LED 함체(120)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형 홈(121)을 통해 방열된다.
또한, 상기 LED 모듈기판(130) 상에는 후술할 상태 표시부(140)가 설치되도록 하는 상태 표시부 설치홈(132)이 도 5와 같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태 표시부(140)는 LED 모듈기판(130) 상에 형성된 상태 표시부 설치홈(132)에 설치되어 제1 투광판(110)의 노출구(111)를 통해 제1 투광판(110)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상태 표시부(140)는 본 발명(10)인 조명장치의 작동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등(141)과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태 표시등(141)은 조명장치의 작동상태 정보인 모드 정보, 풍량 정보, 동작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하는 다수의 개별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는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선이나 케이블을 통해 전원 제어부(300)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부(100)는 제1 투광판(110)을 투과한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 확산시키고, 노출구(111)를 통해 노출된 상태 표시등(141)의 표시 정보가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투광판(110) 외측에 형성되는 제2 투광판(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태 표시등(141)과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표시부(140)가 노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직접 노출된 상태이면, 상태 표시등(141)에서 출력되는 빛 형태의 조명장치의 작동상태 정보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어 사용자의 눈에 피로감을 주거나 미관상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1 투광판(110) 외측에 제2 투광판(150)을 형성하여 1차적으로 제1 투광판(110)을 투과한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는 제1 투광판(110)의 노출구(111)를 통해 노출된 상태 표시등(141)과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상태 표시등(141)이 출력하는 빛 형태의 조명장치의 작동상태 정보가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눈 피로도 저감과 미관상 미려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정화부(200)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구성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상측에 안착되고, 외부 공기가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에 끼워져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카트리지(220)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가 삽입 설치되고, 공기가 정화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기순환 함체(230)와,
상기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을 유발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팬(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10)는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 공기가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공기순환 함체(230)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몸체(211)와,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안착되도록 커버 몸체(211)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체 안착부(212)와,
공기순환 함체(230)로의 공기 유입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해 커버 몸체(211) 둘레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과,
공기순환 함체(230)에서 유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유출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해 커버 몸체(211) 둘레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과,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에 인접한 위치의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214)와,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에 인접한 위치의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출구(215)와,
공기정화용 필터(220)가 끼워지도록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필터 끼움 홈(216)과,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217)와,
힌지 회동을 통해 커버(210)에 결합된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LED 함체(120)에 형성된 걸림 돌기(122)가 걸리는 함체 걸림부(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몸체(211)는 일정 크기와 두께를 갖는 원형 형상으로서, 커버(21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함체 안착부(212)는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안착되도록 커버 몸체(211)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저면이 평평한 소쿠리 형상인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은 공기순환 함체(230)로의 공기 유입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몸체(211) 둘레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은 커버 몸체(211) 둘레 일측(공기 유입구(214)에 인접한 커버 몸체(211) 둘레 부분)에 형성된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공기 유입구(214)를 통해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은 커버 몸체(211) 둘레 또 다른 일측(공기 유출구(215)에 인접한 커버 몸체(211) 둘레 부분)에 형성된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으로서,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에서 공기 유출구(215)를 통해 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외부로 흘러 나가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214)는 도 9와 같이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에 인접한 위치의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을 타고 흐르는 외부 공기가 공기순환 함체(230)의 제1 공간(23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 통로이다
상기 공기 유출구(215)는 도 9와 같이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에 인접한 위치의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에서 정화된 청정 공기가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 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공기 유출 통로이다.
상기 필터 끼움 홈(21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용 필터(220)가 끼워지도록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필터 끼움 홈(216)을 통해 공기정화용 필터(220)가 삽입되어 조명장치에 필터가 장착된다.
상기 힌지부(217)는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힌지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217) 양측에는 힌지 돌기(2171)가 형성되는데, 힌지 돌기(2171)는 조명부(100)의 힌지 연결구(124)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커버(210)에 대해 힌지 회동 되도록 한다.
상기 함체 걸림부(218)는 힌지 회동을 통해 커버(210)에 결합된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LED 함체(120)에 형성된 걸림 돌기(122)가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8,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커버(210)의 필터 끼움 홈(216)에 끼움 결합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성으로서, 필터 끼움 홈(216)에 끼움 결합된 필터 카트리지(220)는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 공간을 제1공간(231)과 제2공간(232)으로 분리 구획시킨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기본적으로 카트리지 몸체(221)와 공기정화용 필터(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방향제(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몸체(221)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정화용 필터(222)와 방향제(22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카트리지 몸체(221)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손잡이를 이용해 필터 카트리지(220)를 커버(210)의 필터 끼움 홈(216)에 끼우거나 인출하게 된다.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222)는 카트리지 몸체(22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222)는 공기 중의 먼지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에어필터로서, 바람직하게는 H13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공기 정화 이외에 사용자가 편안함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자연 성분의 방향제(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제(223)는 카트리지 몸체(221)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에 자연 향을 첨가하는 구성으로, 여러 종류의 방향제를 적용할 수 있는데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을 이용한 방향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향제로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을 이용하는 경우,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은 방향 기능과 공기 정화 능력이 있어 공기정화용 필터(222)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2차로 추가 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10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순환 함체(230)는 필터 카트리지(220)가 삽입 설치되고, 공기가 정화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공기가 정화되는 내부 공간은 삽입된 필터 카트리지(220)에 의해 제1 공간(231)과 제2 공간(232)으로 분리 구획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231)은 정화 대상인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커버(210)의 공기 유입구(214)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간(232)은 정화된 공기가 유출되도록 커버(210)의 공기 유출구(215)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제2 공간(232)에는 팬(240)이 설치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공기순환 함체(230) 구조에 의해, 팬(240) 동작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214)를 통해 제1 공간(23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제1 공간(23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다시 필터 카트리지(220)를 통과해 제2 공간(2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필터 카트리지(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제2 공간(232)으로 이동된 정화된 공기는 팬(240) 동작에 의한 배출력에 의해 공기 유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 10을 참조하면, 상기 팬(240)은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을 유발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공기순환 함체(230)의 제2 공간(232)에 설치되어 동작한다.
팬(240)이 동작하게 되면, 공기 유입구(214)를 통해 제1 공간(23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력과 제1 공간(23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필터 카트리지(220)를 통과해 제2 공간(232)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력과 제2 공간(232)에 있는 정화된 공기가 공기 유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팬(240)은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 순환 흐름을 강제적으로 유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제어부(300)는 조명부(100)와 공기 정화부(2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어 회로가 설계된 일종의 PCB( Printed Circuit Board) 기판으로서, 공기 정화부(200)의 공기순환 함체(230) 외측에 부착되어 함체부(4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 제어부(300)는 조명부(100)의 LED 모듈기판(130)과 상태 표시부(140)에 전선이나 케이블(310)을 통해 필요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공기 정화부(200)의 팬(240)에도 필요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300)는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가 수신한 리모콘의 제어신호를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부(100)의 LED 모듈기판(130)과 상태 표시부(140)에 필요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공기 정화부(200)의 팬(240)에도 필요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도 4, 10을 참조하면, 상기 함체부(400)는 공기 정화부(200)와 전원 제어부(300)가 설치되는 공간(401)을 제공하고,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매립되는 구성이다.
즉, 공기 정화부(200)의 커버(210)를 제외한 나머지 주요 구성들과 전원 제어부(300)가 함체부(400) 내부 공간(401)에 설치된 상태로 함체부(400)가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매립된다.도 2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가 천장인 예가 도시되어 있고 함체부(400)가 천장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는 천장 이외에도 벽면 등일 수 도 있고, 천장이나 벽면이 아닌 기타 장소가 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100 : 조명부
200 : 공기 정화부
300 : 전원 제어부
400 : 함체부

Claims (9)

  1.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공기 정화부(200)에 결합되고,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부(100)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시키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정화부(200)와;
    상기 조명부(100)와 공기 정화부(20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00)와;
    상기 공기 정화부(200)와 전원 제어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매립되는 함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100)는 내측 저면에 LED 모듈기판(130)이 설치되고, 공기 정화부(200)의 커버(210)에 안착 설치되도록 공기 정화부(200)의 커버(210)에 힌지 결합되는 LED 함체(120)를 포함하되,
    상기 LED 함체(120)는,
    공기 정화부(200)를 구성하는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안정적으로 안착 설치될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소쿠리 형상을 하고,
    LED 모듈(130)의 방열을 위한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측면에 복수의 슬릿형 홈(121)이 형성되고,
    공기 정화부(200)를 구성하는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LED 함체(120)가 안착 결합 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210)의 함체 걸림부(218)에 걸리는 걸림 돌기(122)가 형성되고,
    LED 함체(120)가 커버(210)의 함체 안착부(212)에 안착 결합 시, 커버(210)의 힌지부(217)가 삽입되어 접할 수 있도록 LED 함체(120)의 저면 외측에 커버(210)의 힌지부(217)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 홈(123)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공기 정화부(200)는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상측에 안착되고, 외부 공기가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커버(2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210)는,
    커버 몸체(211)와,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안착되도록 커버 몸체(211)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체 안착부(212)와,
    공기 정화부(200)의 공기순환 함체(230)로의 공기 유입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해 커버 몸체(211) 둘레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과,
    공기 정화부(200)의 공기순환 함체(230)에서 유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유출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해 커버 몸체(211) 둘레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과,
    공기 유입안내 경사면(213)에 인접한 위치의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214)와,
    공기 유출안내 경사면(213-1)에 인접한 위치의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공기 유출구(215)와,
    공기정화용 필터(220)가 끼워지도록 함체 안착부(212) 저면에 형성되는 필터 끼움 홈(216)과,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217)와,
    힌지 회동을 통해 커버(210)에 결합된 조명부(100)의 LED 함체(12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LED 함체(120)에 형성된 걸림 돌기(122)가 걸리는 함체 걸림부(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00)는,
    LED(131)들이 실장 되어 있는 LED 모듈기판(130)에서 발생된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 확산시키도록 LED 함체(120) 상측에 형성되는 제1 투광판(110)과,
    LED 함체(120) 내측 저면에 형성되고,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LED(131)들이 실장 되는 LED 모듈기판(130)과,
    상기 LED 모듈기판(130) 상에 설치되고, 상태 표시등(141)과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상태 표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광판(110)에는 상태 표시부(140)의 상태 표시등(141)과 리모컨 제어신호 수신센서(1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구(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00)는,
    제1 투광판(110)을 투과한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 확산시키고, 노출구(111)를 통해 노출된 상태 표시등(141)의 조명장치 작동상태 정보가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투광판(110) 외측에 형성되는 제2 투광판(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200)는,
    상기 커버(210)에 끼워져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카트리지(220)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가 삽입 설치되고, 공기가 정화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공기순환 함체(230)와,
    상기 공기순환 함체(23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을 유발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팬(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손잡이가 형성된 카트리지 몸체(221)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221)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용 필터(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20)는,
    카트리지 몸체(221)에 설치되는 방향제(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 함체(230)는,
    삽입된 필터 카트리지(220)에 의해 제1 공간(231)과 제2 공간(232)으로 분리 구획 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231)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커버(210)의 공기 유입구(214)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간(232)은 정화된 공기가 유출되도록 커버(210)의 공기 유출구(215)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팬(240)은 제2 공간(23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20200162040A 2020-11-27 2020-11-27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2271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40A KR102271823B1 (ko) 2020-11-27 2020-11-27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40A KR102271823B1 (ko) 2020-11-27 2020-11-27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23B1 true KR102271823B1 (ko) 2021-07-02

Family

ID=7689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40A KR102271823B1 (ko) 2020-11-27 2020-11-27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00Y1 (ko) 2003-03-14 2003-07-04 김영식 전등기구 일체형 천장부착 공기청정기
KR100698800B1 (ko) 2005-08-05 2007-03-23 미미라이팅주식회사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천장직착식 조명등기구
KR20170093386A (ko) * 2016-02-05 2017-08-16 신명산업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288914A (zh) * 2016-03-30 2017-10-24 建准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换气扇
CN207999690U (zh) * 2017-10-21 2018-10-23 许忠宝 一种智能空气净化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00Y1 (ko) 2003-03-14 2003-07-04 김영식 전등기구 일체형 천장부착 공기청정기
KR100698800B1 (ko) 2005-08-05 2007-03-23 미미라이팅주식회사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천장직착식 조명등기구
KR20170093386A (ko) * 2016-02-05 2017-08-16 신명산업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288914A (zh) * 2016-03-30 2017-10-24 建准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换气扇
CN207999690U (zh) * 2017-10-21 2018-10-23 许忠宝 一种智能空气净化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JP4296096B2 (ja) バスタブクロマセラピーシステム
KR100950713B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
JP4684140B2 (ja) 照光装置
KR101941189B1 (ko) 살균 및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조명등
JP2017109158A (ja) 空気清浄機
JP4717469B2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KR102271823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JP3160820U (ja) 照明兼用オゾン発生器
KR20110086403A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JP6803546B2 (ja) 照明器具
KR20140080692A (ko) 조명기능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
JP5359395B2 (ja) 空気清浄機
JP2018133256A (ja) 電気機器
CN212298673U (zh) 空气净化杀菌照明灯
CN210035228U (zh) 具有空气净化结构的照明灯具
KR20140136779A (ko) 조명과 음향이 발생되는 탈취장치
CN111701066A (zh) 一种杀菌消毒灯
KR200315743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조명기구
CN212081439U (zh) 一种壁挂式空调器
KR200359250Y1 (ko) 살균 및 간접 조명이 가능한 조명기구
KR200314432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조명기구
KR20120000178U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US11471547B1 (en) Light fixture with illumination and germicidal light engines
CN211986423U (zh) 一种香薰装置以及音乐香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