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769B1 -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 Google Patents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769B1
KR100507769B1 KR10-2002-0049128A KR20020049128A KR100507769B1 KR 100507769 B1 KR100507769 B1 KR 100507769B1 KR 20020049128 A KR20020049128 A KR 20020049128A KR 100507769 B1 KR100507769 B1 KR 10050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vity
guide tube
present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035A (ko
Inventor
허관도
여홍태
최영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2-004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7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55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overflow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구조로서 고무제품인 신발 밑창 성형용 금형과 같은 밀폐 금형에서 일정한 품질을 얻기 위해 금형 내부에 캐비티의 체적보다 많은 소재가 투입되어 잉여소재에 의한 플래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스프링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압력 이후 금형 상판 중앙부에 장착된 유도관체에 잉여소재가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 구조{DIE STRUCTURE WITH GUIDE-GUTTER SYSTEM FOR EXTRUSION OF EXTRAMATERIAL IN CLOSED-DIE}
본 발명은 고무제품인 신발 밑창 성형용 금형과 같은 밀폐 금형에서 소재가 금형의 캐비티(cavity)를 채우고 남은 잉여소재를 유도관체에 돌출되도록 하여 플래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품질을 얻기 위한 금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신발 밑창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판(1)과 하판(2)이 힌지(3)로 조립되어 절첩되는 금형에 고무 소재(40a)를 넣고, 이를 유압프레스에 의한 가압과 동시에 가열 후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쳐 도 2에서와 같은 신발 밑창(40')을 성형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서 금형 내부의 소재가 용융됨에 따라 금형 내부의 캐비티를 채우고 남은 잉여소재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틈으로 흘러나오게 되면서 완성된 신발 밑창은 도 2에서와 같이 외주 둘레를 따라 플래시(4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플래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트리밍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면서 제조단가가 상승되거나 대량생산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하여 성형된 제품의 일정한 품질을 얻기 위한 금형 구조를 제공하여 기존의 플래시 제거에 비해 제거공정이 쉽고 공기압을 이용할 경우 성형공정에 따른 압력변화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티(12)를 가지는 상/하 금형구조에서 상판에 캐비티와 통하는 공간을 가진 유도관체가 끼워지며 상기 유도관체의 상부는 고정판(22)으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가압핀이 스프링(18)에 의해 탄지되거나 공기압에 의해 압력변화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 구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금형에 의해 완성된 신발 밑창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내부에 캐비티(12)를 구비하고 소재를 충진시키는 상판(10)과 하판(10')은 힌지(3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에는 내부가 캐비티와 통하는 유도관체(14)가 끼워지며 상기 유도관체의 상부는 고정판(22)에 의해 스프링(18)을 지지하며 유도관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유도관체 하부에는 가압핀(20)이 탄지되어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으로 힌지(30)에 이해 결합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상판(10)과 하판(10')에는 완성하고자 하는 제품의 캐비티(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에는 전술한 캐비티(12)와 통하는 수직구멍(도면에 부호생략)을 형성시킨 다음 여기에 유도관체(14)를 삽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유도관체 내부는 전술한 캐비티(12)와 서로 통하고 있으며, 그 유도관체(14)의 상부는 고정판(22)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판은 유도관체와 나사체결되는 고정캡(16)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2)에는 중앙으로 통기공(22a)이 형성되면서 유도관체의 내부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관체 내부에는 가압핀(20)이 끼워지며 이는 상기 유도관체 내부에서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핀의 상부에는 스프링(18)이 끼워져 상기 가압핀을 탄성적으로 밀게 됨에 따라 상기 가압핀은 아래로 밀리게 되고 상기 가압핀이 유도관체(14)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상기 유도관체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도관체 어셈블리는 신발 밑창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이 설치되며 전방과 후방으로 2개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0)을 위로 펼치고 하판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12) 내부로 소재(40a)를 투입시킨다. 이후 성형공정에 따라 프레스장치에 의해서 상판 및 하판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시키게 되면 캐비티 내부에 투입된 소재가 용융되면서 가압되어 캐비티에 균일하게 분포하게되며 캐비티를 채우고 남은 용융상태의 잉여소재는 내부의 압력상승으로 유도관체(14) 내부의 스프링으로 탄지된 가압핀(20)을 밀고 상기 유도관체 내부로 투입된다. 이후 냉각을 시킨 상태에서 상판을 열게 되면 유도관체 내부의 스프링 탄성력은 가압핀을 밀게 되면서 성형된 제품을 밀어 탈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신발 밑창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신발 밑창의 외주 둘레에 잉여소재에 의한 플래시가 형성되지 않고, 유도관체(14) 내부에 돌출된 인출부(42)만을 제거하게 되면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탄성수단의 스프링 대신에 외부의 압축공기를 이용하고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으로 힌지(30)에 이해 결합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상판(11)과 하판(11')에는 완성하고자 하는 제품의 캐비티(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에는 전술한 캐비티(12)와 통하는 수직구멍을 형성시킨 다음 여기에 유도관체(14)를 삽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유도관체 내부는 전술한 캐비티(12)와 서로 통하고 있으며, 그 유도관체(14)의 상부는 고정캡(16a)이 나사로 조립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관체 내부에는 가압핀(20)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고정캡(16a)에는 상기 유도관체와 통하는 통로(17)를 두고 여기에는 외부의 공기 압축장치와 연결되는 에어 이송관(2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관체(14)에는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면서 상기 가압핀을 밀게 되며 성형공정에 따라 압력변화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고정캡(16a)과 가압핀(20) 사이에 스프링(28)을 끼워 탄지시키게 되면 유도관체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 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역시, 상판(11)을 위로 펼치고 하판(11')에 형성되어 있는 캐비티(12) 내부로 소재(40a)를 투입시킨다. 이때, 유도관체(14) 내부에는 외부에서 에어이송관(24)을 통해 주입되는 고압의 공기가 가압핀(20)을 밀게 되면서 상기 가압핀은 유도관체(14)의 하부를 차단하고 있다. 이후 성형공정에 따라 프레스장치에 의해서 상판 및 하판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시키게 되면 캐비티 내부에 투입된 소재가 용융되면서 가압되어 캐비티에 균일하게 분포하게된다. 그리고 캐비티 내부 압력에 의해 가압핀(20)을 밀면서 위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유도관체 내부에 잉여소재가 투입되며 성형공정에 따라 압력변화를 조절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 구조에 의해 성형공정에 따라 압력변화를 조절하므로 신발 밑창과 같은 고무제품 성형에서 플래시 발생없이 일정한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성형이 완료된 후 잉여소재의 제거공정이 간단하고 최소화되므로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공정시간 감소에 의한 제조단가 및 추가적인 설비투자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금형 구조의 중앙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성형된 금형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작동을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의해 성형된 신발 밑창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에 의해 성형된 신발 밑창의 중앙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중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상판 10',11':하판
14: 유도관체 16,16a: 고정캡
18: 스프링 20: 가압핀
28: 스프링 40,40': 신발밑창
40a: 소재 42: 인출부
44: 플래시

Claims (3)

  1. 삭제
  2. 내부에 캐비티(12)를 구비하는 상판(11)과 하판(11')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밀폐형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내부의 캐비티와 통하는 유도관체(14)가 끼워지고 그 상부는 고정캡(16a)과 결합되며 상기 유도관체 내부에는 가압핀(20)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고정캡에는 상기 유도관체와 통하는 통로(17)를 두고 여기에는 외부의 공기 압축장치와 연결되는 에어 이송관(24)이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20)의 상측으로는 스프링(28)이 탄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 금형 구조.
KR10-2002-0049128A 2002-08-20 2002-08-20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KR10050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128A KR100507769B1 (ko) 2002-08-20 2002-08-20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128A KR100507769B1 (ko) 2002-08-20 2002-08-20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035A KR20040017035A (ko) 2004-02-26
KR100507769B1 true KR100507769B1 (ko) 2005-08-09

Family

ID=3732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128A KR100507769B1 (ko) 2002-08-20 2002-08-20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7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8412U (ko) * 1985-03-22 1986-10-01
JPS63109017A (ja) * 1986-10-27 1988-05-13 Toyota Motor Corp 表皮材芯材一体発泡成形方法
JPS6425109U (ko) * 1987-08-04 1989-02-10
JPH01263010A (ja) * 1988-04-15 1989-10-19 Inoue Mtp Co Ltd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発泡成形品製造用型
JPH0262214A (ja) * 1988-08-29 1990-03-02 Toupure Kk スタンパブルシートの成型装置
JPH08216169A (ja) * 1995-02-15 1996-08-27 Tokai Kogyo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用の金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8412U (ko) * 1985-03-22 1986-10-01
JPS63109017A (ja) * 1986-10-27 1988-05-13 Toyota Motor Corp 表皮材芯材一体発泡成形方法
JPS6425109U (ko) * 1987-08-04 1989-02-10
JPH01263010A (ja) * 1988-04-15 1989-10-19 Inoue Mtp Co Ltd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発泡成形品製造用型
JPH0262214A (ja) * 1988-08-29 1990-03-02 Toupure Kk スタンパブルシートの成型装置
JPH08216169A (ja) * 1995-02-15 1996-08-27 Tokai Kogyo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用の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035A (ko)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3441A (en)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lamp receptacles
CN109382965A (zh) 树脂成型品的搬运机构、树脂成型装置以及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KR100507769B1 (ko) 밀폐 금형에서 잉여소재의 방출을 위한 유도관체를 구비한금형 구조
CN105880477B (zh) 冒口嵌件及其用途、以及铸造模具及其制造方法
CN212045827U (zh) 一种分步成型的光学镜片注塑模具
JP2000190347A (ja) 多点薄肉部圧縮成形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多点薄肉部圧縮成形金型
CN109403747B (zh) 一种支架壳体以及生产该壳体的模具
JP3055724B2 (ja) 金型装置
US250186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lding articles
KR102197771B1 (ko) 스프링 코어가 형성된 프레스 금형
CN218227714U (zh) 一种塑料胚体顶杆脱模结构
CN215472910U (zh) 一种汽车logo灯加工用壳体注塑模具
JP3081428B2 (ja) ベントプラグ
KR100416788B1 (ko)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 및 그 성형금형
US11061258B2 (en) Mold for plastic lens,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lens, and plastic lens for eyeglasses
CN219256150U (zh) 一种卡扣式气门嘴多腔硫化模具
CN212072655U (zh) 一种用于成型螺丝塞的模具
CN209176016U (zh) 一种新型金属铸造模具
CN211683315U (zh) 一种一键启动用基座注塑模具
CN211730010U (zh) 一种两段式斜顶模具
JPH11176854A (ja) 電子部品における合成樹脂製パッケージ体の成形装置
KR100521244B1 (ko) 신발 밑창 성형을 위한 플래시 발생 방지형 밀폐 금형
CN217993357U (zh) 一种硅胶手表带的注胶冶具
CN214111241U (zh) 一种方便脱模的壳体注塑模具
KR200335045Y1 (ko) 복합합성수지 소재의 압축ㆍ사출 성형용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