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744B1 -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744B1
KR100506744B1 KR10-2003-0026899A KR20030026899A KR100506744B1 KR 100506744 B1 KR100506744 B1 KR 100506744B1 KR 20030026899 A KR20030026899 A KR 20030026899A KR 100506744 B1 KR100506744 B1 KR 10050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ld
closing
sidewal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881A (ko
Inventor
이차우
Original Assignee
동연내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연내장(주) filed Critical 동연내장(주)
Priority to KR10-2003-002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7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8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1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7Floor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과 동시에 트리밍하고 피어싱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하금형에서 개폐금형을 하금형의 내면에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금형에 내면을 일치시킨 상기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시켜 부가재를 하금형 밖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 제조공정을 기계화하고 품질을 개선하고 원각를 절감하고 제품을 경량화하는 효과를 얻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 {SUPPORTER ADHESION METHOD AND THE IMPLEMENTS AND THE OF THE FLOOR SHEET SIDE WALL IMPORTANT POIN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플로워시트 측벽요소의 보강 재료 부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체 바닥에 흡음장치로서 플로워 시트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자동차용 플로워 시트는 두께 2~15mm인 폴리에스터 부직포, 나일론 카페트 또는 PVC시트 등 열가소성 플로워 시트를 자동차 바닥의 입체 구조에 부합되게 성형하고 트리밍하여 제조한다. 종래의 자동차용 플로워 시트는 규격이 작은(폭 1300mm × 길이 2500mm이하) 승용차용 플로워시트와 이보다 규격이 커진 승합차용 플로워 시트가 다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플로워 시트 원단을 '시트재'로, 시트재를 자동차 바닥의 구체적 구조에 부합되게 성형되고 트리밍되고 피어싱된 제품을 '플로워 시트'로 구분하기로 한다.
종래 자동차용 플로워시트(100)는 도1에 인용된 바와 같이 외륜(110)이 자동차 바닥의 윤곽에 부합되게 트리밍되고, 바닥의 전면에 걸쳐 자동차바닥 형상에 부합시킨 입체 성형부(120)가 배열되고, 입체 성형부의 일부에 측벽구간(13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플로워시트(100)의 제조는 바닥재의 크기를 커버하는 성형금형(필요한 경우 성형과 트리밍 및 피어싱 동시 금형)을 제조하고, 두께 2~15mm인 폴리에스터 부직포, 나일론 카페트 또는 PVC시트 등 열가소성 플로워 시트재 원단을 가공단위로 절단하고, 절단 시트재를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연화된 시트재를 금형에 삽입하여 입체 형상으로 성형하고(필요한 경우 성형과 트리밍 및 피어싱하고), 성형된 시트재 상면에 보호필름을 접착하고, 성형된 시트재 저면에 흡음재 또는 차음재를 부착하고, 더 나아가 도2와 같이 절곡성형된 측벽구간(130)의 이면에 부가재(보강재 또는 흡음재, 이하 같다)(140)를 수작업으로 부착하여 제조한다.
종래 플로워시트의 측벽구간 부가재 부착기술의 문제점은 부가재의 부착위치가 일정하지 못하여 자동차 바닥에 부설시 차체 입체형상과 부합불량이 발생하고, 성형되지 않은 흡음재를 성형 시트재에 부착함에 의해 곡선 측벽구간의 밀착불량(꿀렁임)이 발생하고, 수작업 부착에 따른 일손의 발생이 커지는 점 등 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플로워시트 성형시 금형에서 기계적으로 시트재 측벽부에 부가재를 부착하게 되어 부가재의 부착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차량에 부설시 차체 바닥의 입체 형상과의 부합 정밀도를 높이고, 곡선 측벽 구간의 밀착성을 개선하고, 뒷좌석 하단부의 만성적인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수작업 공정의 대부분을 기계화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진하고, 부가재 부착위치의 정확성 유지에 의해 부가제 부착면적을 줄일 수 있어 재료의 절감하고, 플로워 시트의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로어시트는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되는 성형금형(동시에 트리밍하고 피어싱하는 금형 포함)을 구비하고, 열 가소성 시트재를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사이에 삽입하고, 상하금형으로 시트재를 가압 성형하여(동시에 트리밍하고 피어싱하는 경우 포함) 제조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도3은 흡음재나 부가재를 후공정에서 접착시키기 위한 종래 플로워시트 성형금형의 측벽부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의 상금형(10)과 하금형(20) 사이에 가열하여 연화시킨 열 가소성 시트재(30)가 삽입되어 있고, 상하 금형(10,20)의 측벽조성부(11,21) 사이에서 측벽부(31)가 성형되고 있다. 도3의 실시예 에서 시트재(30)의 다른 부분들은 외륜이 트리밍되고, 설계 위치에 피어싱되어 플로워 시트가 제조되는 것이다. 도3에서 흡음재나 부가재를 시트재(30)의 수평구간에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하금형의 평면부 해당 위치에 피착 재료를 삽입하고, 시트재를 삽입한 다음 상금형을 하강시켜 부착한다. 접착수단으로 가열된 시트재에 코팅된 접착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스터(POLYESTER)가 예열시 섭씨 120~220도의 가열로 녹아있어 상기 상하 금형의 결합시 흡음재나 부가재가 시트재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평균 두께가 2~30㎜인 흡음재나 부가재를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상하금형 크리언스(일반적으로1.5~5㎜)에 흡음재 두께가 더해지므로, 시트재 성형시 피착재가 옆으로 밀리거나 접착 불능 상태가 되고, 흡음재나 부가재인 피착재의 두께가 변형되는 것으로 금형에 의한 부착기능의 문제점이 드러나는 것이었다. 특히 시트재(30)의 측벽부(31)에 부착되는 부가재는 성형후 금형에서 시트재를 분리한 다음 수작업에 의해 부착되고 있어 부착 위치의 오차가 커지므로 차체의 입체형상과의 부합불량이 발생하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플러워시트의 측벽부 확대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4에서 시트재(30)에 측벽부(31)가 성형되어 있으며; 부가재(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로워시트 성형과정에서 금형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므로, 차체 형상과의 부합 정밀도가 높고, 수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5, 도6은 상하 성형금형에 부가된 본발명 금형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5, 도6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21)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22)와; 상기 측벽개방구(22)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23) 상에서 유압기구(40)에 의해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30) 측벽부(31)에 압접시키고, 또는 필요한 경우 부가재 가열을 위해 개폐경로(23)에서 분리될 수 있게 지지되어 측벽개방구(22)를 개폐하는 개폐금형(24)으로 플로워시트 측벽구간 부가재 부착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장치에 의해 플로워시트 성형과정에서 시트재(30)의 측벽부(31)에 부가재(32)를 부착하는 것이다. 개폐금형(24)에 부가재 지지수단으로 안착핀(51)을 설치하였다.
도6내지 도13은 접착수단이 포함된 시트재에 부가재를 부착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공정도이다.
도6은 본 발명 개폐금형(24)의 동작전 상태이다. 하금형(20)의 측벽개방구(22)는 개폐금형(24)으로 보전되어 부가재 안착 대기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개폐금형(26)은 유압기구(40)의 피스톤로드에 지지되어 전진된 상태이며 개폐금형(24)의 내면이 하금형(20)의 내면에 일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금형(24)의 전진 동작 상태는 부가재(32)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는 상태이다.
도7에서 본 발명 개폐금형(24)의 후진동작을 보여준다. 이 동작은 부가재(32)가 개폐금형(24)에 세팅된 경우 세팅된 부가재(32)를 하금형(20) 밖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도8은 도6의 부가재(32) 안착 대기상태에서 부가재(32)를 개폐금형(24)에 안착(seting)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안착 수단으로 개폐금형(24) 내면에 부가재 지지를 위한 안착핀(51)을 설치하였다. 안착수단은 부가재에 점착재를 도포하여 부가재를 안착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부가재(32)의 재질 특성으로 상기 개폐금형(24)의 전진동작시 측벽개방구(22)에 삽입 장애의 요인이 있는 경우, 부가재(32a)의 예와 같이 부가재의 외변 절단면에 두께 5mm이하의 절단부 테두리부재(32b)를 부착함으로써 부가재 부착시 개폐금형(24)의 동작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한다. 상기 테두리부재(32b)는 부가재(32)와 같은 재료를 접착재로 부착하거나 신축성 플라스틱필름 또는 수축성 필름을 사용한다.
도9는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30)를 하금형(20)상부에 삽입하기 위해 부가재(32)가 부착된 개폐금형(24)을 후진시켜 부가재(32)를 하금형(20) 표면 밖으로 대피시킨 상태도 이다. 도9와 같이 부가재(32)를 하금형(20)의 내면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 시트재(30)의 삽입시 부가재(32)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10은 부가재(32)를 대피시킨 상태에서 하금형(20) 상부에 시트재(30)를 삽입하고 상금형(10)으로 하금형(20)상부의 시트재(30)를 가압하여 자동차 플로워 형상으로 시트재(30)를 성형하는 상태도이다. 도10의 과정에서 가열연화시킨 시트재(30)는 냉각금형(10,20)에 가압되어 플로워의 형상으로 성형되고 측벽부(31)가 형성된다. 도10에서 하금형(20)의 측벽개방부(22)는 상하 금형의 압력이 작용되지 않 게 되어있어 시트재(30)의 원형이 보전된다.
도11은 도10의 시트재(30) 성형상태에서 성형 시트재의 측벽부(31)에 부가재(32)를 부착시키는 상태도이다. 부착동작으로 상기 도6, 도7의의 유압기구(40)를 전진시킨다. 상기 전진동작으로 개폐금형(24)는 개폐경로(23)를 전진하여 부가재(32)를 측격개방구(22)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31)에 압접되는 것이고, 상기 시트재(30)는 가열시 표면의 접착성 합성수지가 녹아있어 접착재로서 작용하므로 상기 부가재(32)는 다른 접착수단의 부가 없이 시트재(30)의 측벽부(31)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시트재(30)에 접착수단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경우 상기 부가재(32)의 표면에 접착수단을 부여하고 상기 접착공정을 수행함으로서 부가재(32)를 시트재(30)의 측벽부(31)에 부착하는 것이다.
도12는 상하금형에 의해 플로워 형상으로 성형되고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측벽부(31)에 부가재(32)가 부착된 시트재(30)를 금형(10,20)에서 탈거하기 위해 상금형(10)을 하금형(20)에서 분리시키는 동작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상금형(10)을 하금(20)에서 분리 다음 완성된 플로워시트를 탈거하는 것이다. 도12에서 부가재(32)의 부착부분도 금형의 평면구간과 마찬가지로 금형의 흡수열에 의해서 접착부가 냉각되어 접착상태가 안정화 된다.
도13 실시예에서 상기 과정으로 상금형(10)이 분리된 하금형(20)의 상부에서 플로워 형상으로 성형되고, 트리밍, 피어싱되고, 동시에 성형과정에서 부가재(32)가 측벽부(31)에 부착된 플로워시트(3)를 취출한다. 도13에서 부가재(32)는 고형물과는 다르게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측벽부(31)에 부착상태에서 측벽개방부(22)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므로 취출이 용이하다
도14이하는 접착수단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시트재와 접착성 플라스틱 필름이 부여된 부가재를 부착하는 실시예 공정도이다.
도14 내지 도17에서 개폐금형(24a)은 진퇴 구동하는 유압기구(40a)의 선단에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클립(42a)으로 장착하였다.
도14에서 개폐금형(24a)에 접착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부가재(32a)를 안착시키기 위해 유압기구(40a)를 구동하여 개폐금형(24a)를 후진시키고, 도15에서 개폐금형(24a)을 유압기구(40a)에서 분리시키고, 도16에서 분리된 개폐금형(24a) 상부에 부가재(32a)를 안착시킨다. 안착방법은 개폐금형(24a)의 상면에 안착핀(51a)을 설치하고, 안착핀이 자입되게 개폐금형의 상부에 부가재(32a)를 부착하고, 개폐금형(24a) 상부의 부가재(32a)를 히터(50a)로 가열하여 접착성 플라스틱을 녹이고, 도17에서 부가재(32a) 표면의 접착성 플라스틱 필름이 용해되면 개폐금형(24a)을 유압기구(40a)상부 클립(42a)에 장착한 다음,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도9내지 도13의 공정에 따라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는 단계로 플로워시트를 제조한다.
도18의 제조 공정은 개폐금형(24b)에 부가재(32b)를 안착시키기 위해 유압기구(40b)를 구동하여 개폐금형(24b)를 전진시키고, 전진상태에서 개폐금형(24b)에 접착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부가재(32b)를 안착시키고, 부가재(32b)가 안착된 개폐금형(24b)를 후진시키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전진, 후진 동작을 생략하고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부가재를 부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안착된 부가재(32b)의 상부에 히터(50b)를 근접시켜 부가재(32b) 표면의 접착성 플라스틱을 용해시킨 후 히터(50b)를 분리시키고,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상기 도9내지 도13의 공정에 따라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는 단계로 구성한 하는 플로워시트를 제조한다.
실시예 1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과 동시에 트리밍하고 피어싱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하금형에서 개폐금형을 하금형의 내면에 일치시키고;
상기 하금형에 내면을 일치시킨 상기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시켜 부가재를 하금형 밖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고: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시트재의 측벽부 정밀한 위치에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였다.
실시예 2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과 동시에 트리밍하고 피어싱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시켜 하금형 밖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금형을 진퇴경로상에서 이탈시켜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개폐금형에 안착시킨 부가재를 가열하여 부가재에 포함시킨 접착성 플라스틱을 녹이고;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고: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상금형을 분리하고 성형된 플로워시트를 취출허여 부가재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과 동시에 트리밍하고 피어싱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하금형에 일치시키고,
상기 전진 상태의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 시키고,
상기 개폐금형에 안착시킨 부가재를 가열하여 부가재에 포함시킨 접착성 플라스틱을 녹이고,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고,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고,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플로워시트 제조 공정에서 종래 수작업에 의한 부가재 부착 공정이 생략되었고, 플로워시트의 생산성이 개선되었다. 상기 실시예들의 플로워시트는 차체바닥에 모든 부분이 잘 밀착되어 품질 향상이 이루어 졌으며, 부가재의 부착면적을 7%줄일수 있어 제조 비용과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로워시트 성형시 금형에서 기계적으로 시트재 측벽부에 부가재를 부착하게 되어 부가재의 부착의 위치 정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이로써 차량에 부설시 차체 바닥의 입체 형상과의 부합 정밀도을 높이고, 곡선 측벽 구간의 밀착성을 개선하고, 뒷좌석 하단부의 만성적인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수작업 공정의 대부분을 기계화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진하고, 부가재 부착위치의 정확성 유지에 의해 부가제 부착면적을 줄일 수 있어 재료를 절감하고, 플로워시트의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플로워시트의 일 실시예 평면도
도2는 플로워시트의 일 실시예 측벽구간 단면 확대도
도3은 종래 플로워시트 성형금형의 측벽부 부분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러워시트의 측벽부 확대 단면도
도5는 상하 성형금형에 부가된 본 발명의 장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 개폐금형 안착대기동작 상태도
도7은 본 발명 개폐금형의 후진동작 상태도
도8은 본 발명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킨 상태도
도9는 시트재 삽입을 위해 개폐금형을 후진시킨 상태도
도10은 시트재의 성형동작 상태도
도11은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부착시키는 동작 상태도
도12는 상금형 분리동작 상태도
도13은 성형 완료된 플로워시트 탈거동작 상태도
도14 내지 도17은 다른 실시예 공정도로서 도14는 진퇴경로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의 구성도
도15는 개폐금형을 진퇴경로에서 분리시킨 상태도
도16은 분리된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고 가열하는 상태도
도17은 분리시켰던 개폐금형을 진퇴경로에 복원시킨 상태도
도18은 또 다른 본 발명 실시예 장치 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은 상금형, 20은 하금형, 21은 측벽조성부, 22는 측벽개방부, 24, 24a, 24b는 개폐금형, 30은 시트재, 31은 측벽부, 32는 부가재, 40, 40a, 40b는 유압기구, 50a,50b은 히터

Claims (6)

  1.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하금형에서 개폐금형을 하금형의 내면에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하금형에 내면을 일치시킨 상기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시켜 부가재를 하금형 밖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2.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시켜 하금형 밖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을 진퇴경로상에서 이탈시켜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에 안착시킨 부가재를 가열하여 부가재에 포함시킨 접착성 플라스틱을 녹이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3.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하는 상금형 및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하금형이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진 상태의 개폐금형에 부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을 후진시키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에 안착시킨 부가재를 가열하여 부가재에 포함시킨 접착성 플라스틱을 녹이는 단계;
    상기 개폐금형 후진상태에서 가열 연화시킨 시트재를 상하금형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의 시트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단계에서 개폐금형을 전진시켜 측벽개방부에 노출된 시트재의 측벽부에 부가재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상금형을 분리하고 부가재가 부착된 플로워시트를 상하금형 사이에서 취출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4. 가열 연화시킨 열가소성 시트재를 성형하도록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구성하는것에 있어서, 상기 하금형의 측벽조성부에 부가재 부착라인을 따라 설치하는 측벽개방구와; 상기 측벽개방구 형상에 부합되고, 개방구 개폐경로 상에서 진퇴 구동되어 부가재를 성형중의 시트재에 가압시킬 수 있는 개폐금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플로워시트 측벽구간 부가재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금형은 유압기구에 의해 개폐 경로상에서 진퇴 구동되고, 상기 개폐금형은 후진 상태에서 부가재의 가열을 위해 유압구에서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함이 특징인 플로워시트 측벽구간 부가재 부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금형은 유압기구에 의해 개폐 경로상에서 진퇴 구동되고, 상기 개폐금형의 후진 상태에서 부가재의 가열을 위한 히터를 상기 개폐금형에 포함시켜 구성함이 특징인 플로워시트 측벽구간 부가재 부착장치.
KR10-2003-0026899A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KR10050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99A KR100506744B1 (ko)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99A KR100506744B1 (ko)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81A KR20040095881A (ko) 2004-11-16
KR100506744B1 true KR100506744B1 (ko) 2005-08-22

Family

ID=3737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899A KR100506744B1 (ko)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686B1 (ko) * 2009-03-20 2011-07-15 한민내장주식회사 플로어시트 성형 금형의 흡음재 부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686B1 (ko) * 2009-03-20 2011-07-15 한민내장주식회사 플로어시트 성형 금형의 흡음재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81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967B2 (en) Method of making an interior trim panel
JPH08318570A (ja) 真空成形同時巻込トリミング装置
EP0655304B1 (en) Method for producing a skin-integrated laminate and mold device used thereof
JP2007160604A (ja) 真空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06744B1 (ko)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KR101795582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JP2004276280A (ja) 表皮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3486242B2 (ja) 同時加飾射出成形装置および同時加飾射出成形方法
JP3680437B2 (ja) 表皮で被われた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とその射出成形型装置
JPH0745135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4110770B2 (ja) ボード製品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JP7276100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US20230092542A1 (en) Injection mold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parts
JP3856753B2 (ja) サンシェー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234435B2 (ja) パネル一体押出モール端末処理方法
KR20030047280A (ko)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스티킹장치
JP2019048391A (ja) 車両用内装材の成形装置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JP3745933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
JP3570707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H1086185A (ja) プラスチック成形用金型
JPH07276425A (ja) 樹脂製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装置
JPH07100837A (ja) 自動車内装材の製造方法
KR20160123664A (ko) 표피재의 커팅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JPH045570B2 (ko)
JPH0777761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装飾シートの圧着方法および圧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