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352B1 -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352B1
KR100506352B1 KR10-2002-7014839A KR20027014839A KR100506352B1 KR 100506352 B1 KR100506352 B1 KR 100506352B1 KR 20027014839 A KR20027014839 A KR 20027014839A KR 100506352 B1 KR100506352 B1 KR 10050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fin
copolymer
ethylene
propylene
elasto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3131A (ko
Inventor
고바야시교코
이토유이치
오노기다카유키
우치야마아키라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폴리프로필렌 수지(A) 5∼50중량부와,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50∼95중량부를 가교제의 비존재 하에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이것은, (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 온도가 (A) 단독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낮고, (B)는 하기 (b-1) 및 (b-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b-1) 에틸렌 함량이 51∼60㏖%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b-2) 프로필렌 함량이 60∼90㏖%인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Description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고무 탄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 공업 기계 부품, 전기·전자 부품, 건재(建材) 등에 사용되는 고무 탄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 또는 부위에는 종래부터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에는, 예를 들어, 가황 고무가 있다. 통상, 가황 고무는 고무를 가교제, 가교조제, 첨가제 및 부자재 등과 혼련하여 미가황 고무 배합물을 제조한 후, 가열하여 가황하는 가황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공정이 번잡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황 고무는 열경화형 고무이기 때문에 리사이클이 불가능하다.
한편, 가황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무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 소재로서 염화비닐 수지가 있다. 그러나, 가황 고무에 비하여 고무 탄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그 용도는 한정된다.
또한, 고온에서 가소화되어 플라스틱과 동일하게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 탄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알려져 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의 동적 가교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동적 가교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 1 공정에 의해 간단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고무 탄성이 우수한 동시에 리사이클이 용이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폴리프로필렌 수지(A) 5∼50중량부와,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50∼95중량부[(A) 및 (B)의 합계량은 100중량부임]를 가교제의 비존재 하에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의 상기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점(Tg)이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유리 전이점(Tg)보다도 낮고,
상기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하기 (b-1) 및 (b-2):
(b-1)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 및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합계에 대한 에틸렌 함량이 51∼60㏖%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b-2)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합계에 대한 프로필렌 함량이 60∼90㏖%인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2) 상기 (b-1)의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이 1-부텐 및/또는 1-옥텐인 상기 (1)에 기재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3) 상기 (b-2)의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이 에틸렌 및/또는 1-부텐인 상기 (1)에 기재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4) 폴리프로필렌 수지(A) 5∼50중량부와,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50∼95중량부[(A) 및 (B)의 합계량은 100중량부임]와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물유계 연화제 5∼100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 및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로 이루어진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A)로서는, 공지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다음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이 예시된다.
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 90㏖% 이상의 프로필렌과 10㏖%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3) 70㏖% 이상의 프로필렌과 30㏖% 이하의 다른 α-올레핀과의 블록 공중합체(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상기 다른 α-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탄소수 2∼20, 바람직하게는 2∼8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로서는, 상기 1)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2)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MFR(ASTM D 1238, 230℃, 2.16㎏ 하중)이 0.1∼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 및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4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5∼40중량부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고무 탄성이 양호하고, 표면의 거칠어짐이 생기기 어려워 외관성이 우수하며, 점착성이 적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올레핀계 공중합체(B)는,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 바람직하게는 95∼200, 더 바람직하게는 95∼18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이다.
상기 α-올레핀계 공중합체(B)는, 하기 (b-1) 및 (b-2)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이다.
(b-1)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 및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합계에 대한 에틸렌 함량이 51∼60㏖%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b-2)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합계에 대한 프로필렌 함량이 60∼90㏖%인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상기 α-올레핀계 공중합체 (b-1), (b-2)는 α-올레핀 이외의 단량체가 더 공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α-올레핀 이외의 단량체로서는, 비공역 폴리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α-올레핀계 공중합체(B)는 랜덤 공중합이어도 좋고,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b-1)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3∼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10의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b-2)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10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공역 폴리엔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타디엔, 1,4-헥사디엔, 시클로옥타디엔, 메틸렌노르보르넨 및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등의 비공역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비공역 폴리엔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공역 폴리엔이 공중합하고 있는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폴리엔 공중합체의 요오드가는 통상 0.1∼50, 바람직하게는 5∼30이다.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b-1)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바람직하게는,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51∼60㏖%이다. 여기서, 에틸렌 함량은 전체 α-올레핀(에틸렌도 포함함)에 대한 에틸렌 함량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b-2)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함량은 60∼90㏖%이다. 여기서, 프로필렌 함량은 전체 α-올레핀(프로필렌도 포함함)에 대한 프로필렌 함량을 의미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가 폴리프로필렌이며,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일 경우,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무니 점도 ML1+4(100℃)는 80∼250이어도 좋다.
α-올레핀계 공중합체(B)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α-올레핀계 공중합체(B)는 메타로센 촉매, 바나듐 촉매 등의 공지의 촉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α-올레핀·비공역 폴리엔 공중합체는, 「중합체 제조 프로세스(Kogyo Chosakai Co., Ltd. 발행, p.309∼330)」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α-올레핀 공중합체(B)의 함유량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 및 α-올레핀계 공중합체(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0∼9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9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60∼95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연화제, 내열안정제, 노화방지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충전제, 착색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연화제로서는, 광물유계 연화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광물유계 연화제는 통상 고무에 사용되는 파라핀계, 나프텐계, 방향족계 등의 연화제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광물유계 연화제를 배합할 경우, 그 배합량은 폴리프로필렌 수지(A) 및 α-올레핀계 공중합체(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10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5∼8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고무 탄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 얻어지는 상기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점(Tg)이 폴리프로필렌 수지(A) 단독에서 얻어지는 유리 전이점(Tg)보다도 낮게 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리 전이점(Tg)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의 Tanδ의 온도 의존성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유리 전이점(Tg)은 Tanδ의 피크 위치의 온도이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점(Tg)은, 상기 엘라스토머 조성물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수지(A) 및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이외의 성분을 제거하여 측정한 경우에, 가장 고온 측에 관측되는 유리 전이점을 의미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점(Tg)을 폴리프로필렌 수지(A) 단독에서 얻어지는 유리 전이점(Tg)보다도 낮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에틸렌과 탄소수 3∼1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경우에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함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또는 4∼1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경우에는,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의 프로필렌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일 경우에는, 에틸렌 함량을 51∼60㏖%로 함이 필요하고, 또한,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일 경우에는, 프로필렌 함량을 60∼90㏖%로 함이 필요하다.
공단량체의 종류 선택에 의해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점(Tg)을 폴리프로필렌 수지(A) 단독에서 얻어지는 유리 전이점(Tg)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공단량체는 프로필렌과 상용성(相溶性)이 양호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공단량체로서는 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하기 ① 및 ②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9≤Y-0.43X≤27 …(1)
바람직하게는,
9≤Y-0.43X≤26 …(1')
더 바람직하게는,
10≤Y-0.43X≤26 …(1")
(식 (1), (1') 및 (1") 중, X는 JIS K6301에 준거하여 측정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JIS A 경도(단위는 없음), Y는 JIS K6301에 준거하여, 70℃×22 시간의 조건에서 측정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압축 영구 변형(단위는 %)임)
② JIS K6301에 준거하여 측정한 영구 신장률이 27% 이하, 바람직하게는 0.5∼25%, 더 바람직하게는 0.5∼23%
상기 ① 및 ②의 특성에서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JIS A 경도: JIS K6301, 스프링식 경도 시험기 A형에 의한 순간값
압축 영구 변형: JIS K6301, 두께 12.7㎜, 직경 29.0㎜의 원주형 샘플을 사용하여, 25% 압축, 70℃×22 시간 후의 잔류 변형
영구 신장률: JIS K6301, JIS 3호 덤벨을 100% 신장률하여 10분간 유지하고, 하중 제거 10분 후의 잔류 변형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A) 및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연화제 등의 첨가제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의 비율로 가교제의 비존재 하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동적으로 열처리함」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A),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및 필요에 따라 배합하는 연화제 등의 첨가제를 용융 상태에서 혼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적인 열처리는 믹싱 롤, 인텐시브 믹서(예를 들어, 범버리 믹서, 니더), 1축 압출기 및 2축 압출기 등의 혼련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으나,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적인 열처리는 비개방형 혼련 장치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적으로 열처리할 때의 조건은, 혼련 온도가 통상 150∼280℃, 바람직하게는 170∼240℃, 혼련 시간이 통상 1∼20분간, 바람직하게는 1∼5분간으로 한다. 또한, 혼련 시에 가해지는 전단력은 통상 전단 속도로 10∼104sec-1, 바람직하게는 102∼104sec-1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가교제의 비존재 하에 동적으로 열처리함으로써, 고무 탄성 및 성형 외관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가교제 또는 가교조제를 사용하여 가교(가황)하지 않아도, 고무 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종래의 가황 고무와 같은 열경화형 탄성체가 아니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기 때문에, 리사이클이 용이하다. 또한, 가교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동적으로 열처리하는 1 공정에 의해 간단하게 효율적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저렴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자동차의 내장 부품 및 외장 부품(예를 들어, 웨더스트립 등), 가전 관련 부품, 토목·건재 관련 부품(예를 들어, 개스킷 등), 잡화 및 일용품 등의 분야에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국 특원2001-72788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유리 전이점(Tg)을 구하기 위한 동적 점탄성 측정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레오메트릭사 제조의 다이나믹 애널라이저(RDS-Ⅱ)를 사용하고, 진동 주파수 10㎐, 변형 1%에서 -100℃로부터 100℃까지의 Tanδ를 측정했다. 이 Tanδ의 피크 위치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로 했다. 또한, 측정 샘플은 두께 2㎜의 프레스 시트를 사용하고, 40㎜×lO㎜의 직사각형으로 했다.
(실시예 1)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프로필렌 함량; 96㏖%, 에틸렌 함량; 4㏖%, MFR(ASTM D 1238, 230℃, 2.16㎏ 하중); 0.5g/10분) 30중량부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B-1)(에틸렌 함량; 51㏖%, 1-부텐 함량; 49㏖%, 무니 점도 ML1+4(100℃); 100) 70중량부를 헨셸 믹서에 의해 혼련했다. 다음으로, L/D=30, 스크류 직경 50㎜의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중 220℃에서 동적으로 열처리(혼련 시간: 2분, 2축 압출기 내에서 받는 최고 전단 속도 2800sec-1)하여 압출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했다. 다음으로, 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펠릿으로부터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물성 측정용 샘플로서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고, JIS A 경도, 압축 영구 변형(CS), 영구 신장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 및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의 Tg가 5.5℃였던 것에 대하여,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에 유래하는 Tg는 -6.5℃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 30중량부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2)(프로필렌 함량; 78㏖%, 에틸렌 함량; 22㏖%, 무니 점도 ML1+4(100℃); 95) 70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물성 측정용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고, JIS A 경도, 압축 영구 변형(CS), 영구 신장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에 유래하는 Tg는 -7.5℃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 30중량부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B-3)(프로필렌 함량; 81㏖%, 1-부텐 함량; 19㏖%, 무니 점도 ML1+4(100℃); 100) 70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물성 측정용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고, JIS A 경도, 압축 영구 변형(CS), 영구 신장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에 유래하는 Tg는 -5℃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 3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B-1) 70중량부와, 광물유계 연화제(파라핀계 오일: Idemitsu Kosan Co., Ltd. 제조, PW-380, 상표) 20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물성 측정용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고, JIS A 경도, 압축 영구 변형(CS), 영구 신장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에 유래하는 Tg는 -8℃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 70중량부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B-1) 30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물성 측정용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고, JIS A 경도, 압축 영구 변형(CS), 영구 신장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상기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얻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에 유래하는 Tg는 6℃였다.
(실시예 5, 비교예 2∼5)
폴리프로필렌 수지(A),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B)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어, 물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폴리프로필렌 수지A-1 30 30 30 30 70
α-올레핀 공중합체B-1 70 70 30
B-2 70
B-3 70
파라핀계 오일 20
물성JIS A 경도 71 72 75 66 91
압축 영구 변형(%) 55 55 58 51 87
영구 신장률(%) 18 19 21 15 32
식 (1)의 값*1 24.5 24.0 25.8 22.6 47.9
Tg 저하도*2 12 13 10.5 13.5 -0.5
<표 2>
실시예 5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폴리프로필렌 수지A-1 30 30 30 30 30
α-올레핀 공중합체 B-4 70
B-5 70
B-6 70
B-7 70
B-8 70
물성JIS A 경도 68 70 70 72 72
압축 영구 변형(%) 55 88 85 83 85
영구 신장률(%) 15 24 22 22 23
식 (1)의 값*1 26.8 57.9 54.9 52 54
Tg 저하도*2 12 0.3 -0.1 -0.5 0.2
B-4: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55㏖%, 무니 점도 95
B-5: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85㏖%, 무니 점도 90
B-6: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함량 55㏖%, 무니 점도 85
B-7: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 함량 55㏖%, 무니 점도 95
B-8: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75㏖%, 무니 점도 65
*1 식 (1): Y-0.43X
(식 중, X는 JIS K6301에 준거하여 측정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JIS A 경도(단위는 없음), Y는 JIS K6301에 준거하여, 70℃×22 시간의 조건에서 측정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압축 영구 변형(단위는 %)임)
*2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의 Tg] -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A-1)에 유래하는 Tg]
본 명세서 중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을 그대로 참고로서 본 명세서 중에 들어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 1 공정에 의해 간단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고무 탄성이 우수한 동시에 리사이클이 용이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Claims (4)

  1. 폴리프로필렌 수지(A) 5∼50중량부와,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50∼95중량부[(A) 및 (B)의 합계량은 100중량부임]를 가교제의 비존재 하에 동적으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의 상기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 유래하는 유리 전이점(Tg)이 폴리프로필렌 수지(A)의 유리 전이점(Tg)보다도 낮고,
    상기 α-올레핀계 공중합체(B)가, 하기 (b-1) 및 (b-2):
    (b-1)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 및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합계에 대한 에틸렌 함량이 51∼60㏖%인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b-2)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합계에 대한 프로필렌 함량이 60∼90㏖%인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α-올레핀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1)의 에틸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이 1-부텐 및/또는 1-옥텐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2)의 프로필렌·α-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이 에틸렌 및/또는 1-부텐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A) 5∼50중량부와, 무니 점도 ML1+4(100℃)가 60∼250인 α-올레핀계 공중합체(B) 50∼95중량부[(A) 및 (B)의 합계량은 100중량부임]와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물유계 연화제 5∼100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2002-7014839A 2001-03-14 2002-03-13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0506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2788 2001-03-14
JPJP-P-2001-00072788 2001-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131A KR20020093131A (ko) 2002-12-12
KR100506352B1 true KR100506352B1 (ko) 2005-08-05

Family

ID=1893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839A KR100506352B1 (ko) 2001-03-14 2002-03-13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03418B2 (ko)
EP (1) EP1306405B1 (ko)
JP (1) JP3735096B2 (ko)
KR (1) KR100506352B1 (ko)
CN (1) CN1200967C (ko)
DE (1) DE60207362T2 (ko)
TW (1) TW577908B (ko)
WO (1) WO2002072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6049B1 (en) * 2002-12-24 2006-07-12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producing l-ring drums
DE102005054182A1 (de) * 2004-11-16 2006-05-18 Sumitomo Chem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hermoplastischen Harzzusammensetzung
DE102005030941A1 (de) * 2005-06-30 2007-01-11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spritzgegossenen Fertigteilen
DE102005040390A1 (de) * 2005-08-25 2007-03-01 Basell Polyolefine Gmbh Multimodale Polyethylen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Rohren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EP2058379A1 (de) 2007-11-09 2009-05-13 ACTEGA D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fässverschlusses
CN113980383B (zh) * 2021-10-25 2023-07-11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透光低温韧性的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912A (en) * 1975-10-06 1977-07-19 The B. F. Goodrich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blends of EP or EPDM polymer with crystalline polypropylene
JPS52126450A (en) 1976-04-16 1977-10-24 Sumitomo Chem Co Lt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und
ATA674777A (de) * 1976-09-25 1980-11-15 Stamicarbon Thermoplastisches elastomergemisch
US4247661A (en) * 1979-12-26 1981-01-27 The B. F. Goodrich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blends comprising EP or EPDM polymers and highly crystalline polyallomers
US5247018A (en) * 1988-04-08 1993-09-21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Thermoplastic resin of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paint adhesion and laminate comprising layer of said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olyurethane layer
JPH07102126A (ja) 1993-08-12 1995-04-18 Tosoh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US5763534A (en) * 1994-08-25 1998-06-09 Solvay Engineered Polymers Thermoplastic polypropylene blends with mixtures of ethylene/butene and ethylene/octene copolymer elastomers
US5608008A (en) * 1995-02-03 1997-03-04 Tosoh Corporatio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JP2001011247A (ja) * 1999-06-28 2001-01-16 Mitsui Chemicals Inc 自動車用シール部材
JP2001011246A (ja) * 1999-06-28 2001-01-16 Mitsui Chemicals Inc 自動車内装表皮材
KR100677835B1 (ko) * 1999-11-01 2007-02-0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적층체 및 건축용 개스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7908B (en) 2004-03-01
EP1306405B1 (en) 2005-11-16
US6803418B2 (en) 2004-10-12
WO2002072690A1 (fr) 2002-09-19
US20030109641A1 (en) 2003-06-12
JPWO2002072690A1 (ja) 2004-07-02
EP1306405A4 (en) 2004-04-21
DE60207362T2 (de) 2006-07-20
CN1200967C (zh) 2005-05-11
DE60207362D1 (de) 2005-12-22
KR20020093131A (ko) 2002-12-12
CN1458957A (zh) 2003-11-26
EP1306405A1 (en) 2003-05-02
JP3735096B2 (ja)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6399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KR20050020003A (ko)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7363B1 (ko) 향상된 진동 절연성과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A1335010C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6476129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ith superior oil resistance
KR100699741B1 (ko) 칼렌더 성형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한 시트
EP1534772A2 (en) Thermoplastic elastomers having enhanced foaming and physical properties
KR100630590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그 성형체
KR100506352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0549638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및 그 제조 방법
EP1065240B1 (en) Rubber modifier composition
JP2009235241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体、及び発泡体の製造方法
JP200301287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体
JPH1087902A (ja) 架橋樹脂組成物
JP4828855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6298997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4055342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成形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04315619A (ja) ブロー成形品
EP3988613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elastomer formed body
KR20190074775A (ko)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H0823178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19044111A (ja) 動的架橋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3780663B2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514032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H0770380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