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973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973B1
KR100505973B1 KR10-2003-0019111A KR20030019111A KR100505973B1 KR 100505973 B1 KR100505973 B1 KR 100505973B1 KR 20030019111 A KR20030019111 A KR 20030019111A KR 100505973 B1 KR100505973 B1 KR 10050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top cover
fan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473A (ko
Inventor
도자키다카시
니시무라히로시
고노데츠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4002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8/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탑커버(14)의 후단부에는 전장품 수납부(19)가 설치되어 있고, 전장품 수납부(19)내에는 우측에서 차례로 급수부(32)와 주수케이스(31)와 건조유닛(33)이 수납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3개 중에서 높이 치수가 가장 큰 건조유닛(33)이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건조유닛(33)의 영향에 의한 높이 치수의 증가가 탑커버(14)의 단부에서 제한되고, 탑커버(14)의 단부에서만 솟아오름부(58)를 설치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탑커버(14)가 소형화되어, 탑커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건조 기능 부착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외부상자의 상단부에 탑커버가 장착된 구성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탁기에는 탑커버내의 후단부에 건조기를 수납하고, 건조기로부터 세탁조내로 온풍을 송풍하는 것에 기초하여 세탁조내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건조기의 높이 치수가 크기 때문에 탑커버의 후단부의 좌우 방향의 전역을 윗쪽으로 솟아올리고, 건조기를 솟아오름부의 아래쪽에 배치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1-300192호 공보(도 1, 도 4)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 탑커버의 후단부의 좌우 방향의 전역이 위쪽으로 솟아있어, 탑커버의 윤곽이 크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탑커버의 후단부에 수납된 급수밸브의 접속구를 솟아오름부의 윗쪽으로 돌출시킬 필요성이 생기기 때문에 접속구의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접속구의 윗쪽에 공간적인 여유가 적어지기 때문에 접속구를 대상물에 접속할 수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탑커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 및 2에 따른 발명은 세탁조내에 물을 주입하는 주수부와 주수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세탁조내에 바람을 보내는 송풍부를 탑커버에 급수부, 주수부, 송풍부의 순서로 배열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 배열은 3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좌측에서 급수부, 주수부, 송풍부의 순서로 배열하거나, 우측에서 급수부, 주수부, 송풍부의 순서로 배열하거나, 앞에서 급수부, 주수부, 송풍부의 순서로 배열해도 좋다.
청구항 1 및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급수부와 주수부와 송풍부 중에서 높이 치수가 가장 큰 송풍부가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풍부의 영향에 의한 높이 치수의 증가를 송풍부의 윗쪽만으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탑커버가 소형화된다. 따라서, 급수부의 접속구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이 없어지고, 접속구의 윗쪽에 공간적인 여유가 확보되기 때문에 접속구를 대상물에 접속하기 쉬워진다. 또, 급수부 및 송풍부가 주수부를 끼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부 및 송풍부 사이의 기계적인 이간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급수부에서 물 누수가 생긴 경우에 송풍부의 팬모터에 물이 가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팬모터의 전기적 성능이 물 누수의 영향으로 저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급수 펌프의 일부를 탑커버의 전장품 수납부내에 수납하고, 급수펌프의 나머지를 탑커버의 본체부내에 침입시키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급수펌프의 일부를 전장품 수납부의 바닥판상에 탑재하고, 급수펌프의 잔여 부분을 본체부의 사각공간(dead space)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급수펌프의 탑재 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탑커버가 소형화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팬과 팬모터와 열원을 팬케이싱을 통해 유닛화할 뿐만 아니라 토출구와 팬과 팬모터와 열원을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팬케이싱에 설치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토출구와 팬과 팬모터와 열원이 장방형 또는 정방향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팬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에 여분의 돌기부가 없어져 유닛이 소형화된다. 이 때문에 유닛의 점유 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에 탑커버가 소형화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건조기능 부착의 세탁기(세탁건조기)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도 5에 있어서, 외부상자(1)는 상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외부상자(1)내에는 물받이조(2)가 늘어져 유지되어 있다. 이 물받이조(2)는 상면이 개구되고, 또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물받이조(2)의 하면에는 세탁모터(3)가 고정되어 있다.
물받이조(2)내에는 세탁조(4)가 수납되어 있다. 이 세탁조(4)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조 및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조를 겸용하는 것이며, 상면이 개구되고, 또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세탁조(4)의 둘레판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세탁조(4)내에 주입된 물은 복수의 관통구멍(5)을 통해 외부로 흐르고, 물받이조(2)내에 저장된다.
세탁조(4)는 클러치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세탁모터(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이 클러치기구는 감속기어기구를 내장하는 클러치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이며, 클러치모터가 구동하는 것에 기초하여 세탁조(4)를 세탁모터(3)의 회전축에 직결하는 탈수상태 및 세탁조(4)를 세탁모터(3)의 회전축에서 차단하는 세탁상태로 전환한다.
세탁조(4)내에는 펄세이터(6)가 수납되어 있다. 이 펄세이터(6)는 세탁모터(3)의 회전축에 직결된 것이며, 클러치기구의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즉, 클러치기구가 탈수상태에 있을 때에는 세탁모터(3)의 구동에 기초하여 세탁조(4) 및 펄세이터(6)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클러치기구가 세탁상태에 있을 때에는 세탁모터(3)의 구동에 기초하여 펄세이터(6)가 단독으로 회전한다.
물받이조(2)의 상단부에는 평판형상의 물받이조 커버(7)가 고정되어 있으며, 물받이조 커버(7)의 후단부에는 윗쪽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온풍 호스 접속구(8) 및 주수 호스 접속구(9)가 형성되어 있다. 또, 물받이조 커버(7)에는 온풍 호스 접속구(8) 및 주수 호스 접속구(9)의 앞쪽에 위치하여 관통구멍 형상의 내부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투입구(10)의 둘레 테두리부에는 내부덮개(1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 투입구(10)는 내부 덮개(11)가 회동 조작되는 것에 기초하여 재개된다.
물받이조(2)의 하면에는 배수관(12)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수관(12)은 물받이조(2)내의 물을 세탁기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며, 배수관(12)에는 배수밸브(13)가 개재되어 있다. 이 배수밸브(13)는 클러치기구와 공통인 클러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이며, 클러치 기구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기구가 탈수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배수밸브(13)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초하여 배수관(12)을 개방하고, 클러치기구가 세탁상태에 있을 때에는 배수밸브(13)가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기초하여 배수관(12)을 폐쇄한다.
외부상자(1)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에 위치하여 탑커버(14)가 씌워져 있다. 이 탑커버(14)의 후판(15)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여 관통형상의 부착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탑커버(14)는 뒷쪽에서 각 부착구멍(16)을 통해 외부상자(1)의 나사구멍에 나사(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조립하는 것에 기초하여 외부상자(1)에 고정되어 있다. 이 탑커버(14)는 기판 수납부(17)와 본체부(18)와 전장품 수납부(19)를 갖는 것이며, 기판 수납부(17), 본체부(18), 전장품 수납부(19)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기판 수납부(17)에 대해
탑커버(14)의 전단부에는 기판 수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 수납부(17)는 상하면이 개구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기판 수납부(17)의 상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패널(20)이 고정되어 있다. 이 조작패널(20)은 기판 수납부(17)의 상면을 막는 평판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조작패널(20)에는 주 전원을 넣고 끊기 위한 전원 스위치, 세탁 코스를 지정하기 위한 세탁코스 스위치, 지정된 세탁코스로 세탁 운전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 건조 운전을 실시하기 위한 건조 스위치(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기계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조작패널(20)의 하면에는 기판 케이스(21)가 고정되어 있다. 이 기판 케이스(21)내에는 제어 회로 기판 및 구동 회로 기판(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상하 2단으로 수납되어 있고, 구동 회로 기판에는 전기적인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 기판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으며, 전원스위치, 세탁코스 스위치, 스타트 스위치, 건조 스위치는 제어장치의 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 본체부(18)에 대해
탑커버(14)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수납부(17)의 뒷쪽에 위치하는 본체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18)는 바닥판을 갖고 있지 않은 바닥이 없는 프레임형상을 이루고, 본체부(18)의 천정판(22)에는 관통구멍 형상의 외부 투입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투입구(23)는 세탁조(4)내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에 상당하는 것이며, 외부 투입구(23)의 둘레 테두리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덮개(11)의 윗쪽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세탁물 가이드(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8)에는 외부덮개(2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외부 투입구(23)는 외부덮개(25)가 회동 조작되는 것에 기초하여 개폐된다.
3. 전장품 수납부(19)에 대해
탑커버(14)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투입구(23)의 뒷쪽에 위치하는 간막이판(26)이 형성되어 있고, 간막이판(26)의 뒷쪽에는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된 가로로 긴 전장품 수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수납부(19)는 부품 수납부에 상당하는 것이며, 바닥판(27)이 있는 바닥이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탑커버(14)에는 수평인 돌출판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판부(28)의 좌측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외부 흡입구(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판부(2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상자(1)의 뒷면에서 윗쪽으로 돌출하는 것이며, 돌출판부(28)의 우측 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부착구멍(16)의 좌측에 위치하고, 돌출판부(28)의 좌단부는 탑커버(14)의 좌측면과 대략 동일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돌출판부(28)는 전장품 수납부(19)의 바닥판으로서 기능하며, 전장품 수납부(19)를 외부상자(1)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폭이 넓은 것으로 하고 있다. 또, 도 3의 도면 부호 “30”은 절개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절개부(30)는 전장품 수납부(19)의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오목형상 및 절락(切落)형상의 공간부를 칭하고 있다.
전장품 수납부(19)내에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주수부(31)가 수납되고, 주수부(31)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 위치하여 급수부(32) 및 온풍생성부(33)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주수부(31), 급수부(32) 및 온풍생성부(33)는 전장품수납부(19)내에 좌우방향으로 일렬로 레이아웃된 것이며, 주수부(31), 급수부(32), 온풍생성부(33)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4. 주수부(31)에 대해
주수부(31)는 수밀(水密)상태로 밀폐된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주수 케이스를 칭하는 것이며, 주수부(31)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수호스(34)의 상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주수호스(34)의 하단부는 물받이조 커버(7)의 주수 호스 접속구(9)에 접속되어 있고, 세탁조(4)내에는 주수부(31)내로부터 주수 호스(34)를 통과하여 물이 주입된다.
5. 급수부(32)에 대해
전장품 수납부(19)내에는 급수밸브(35)가 수납되어 있고, 급수밸브(35)의 출구는 주수부(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밸브(35)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수부(31)의 오른쪽에 배치된 것이며, 급수밸브(35)의 접속구(36)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호스(H)를 통해 수도의 수도꼭지(J)가 접속된다. 이 급수밸브(35)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것이며, 급수밸브(35)의 개방시에는 수도꼭지(J)로부터 급수밸브(35)를 통해 주수부(31) 내에 수도물이 공급되고, 주수부(31)로부터 세탁조(4)내로 수도물이 주입된다.
전장품수납부(19)내에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단부에 위치하는 급수펌프(37)가 수납되어 있고, 급수펌프(37)의 출구에는 접속호스(38)를 통해 주수부(31)가 접속되며, 급수펌프(37)의 접속구(39)에는 목욕물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급수펌프(37)는 욕조 등으로 대표되는 수도와는 다른 수원으로부터 물을 끌어 올린 것이며, 급수 펌프(37)가 목욕물 호스를 통해 끌어 올린 목욕물은 접속호스(38)로부터 주수부(31) 내로 공급되고, 주수부(31)로부터 세탁조(4)내로 주입된다. 이 급수펌프(37)는 후반부가 전장품 수납부(19)내에 수납되고, 전반부가 본체부(18)내에 수납된 것이며, 급수펌프(37)의 수납 상태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5-1. 급수펌프(37)의 수납상태에 대해
본체부(18) 및 전장품 수납부(19)사이의 간막이판(26)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단부에 위치하는 관통구멍 형상의 접속구(39)가 형성되어 있으며, 급수펌프(37)는 뒷쪽에서 접속구(39)를 통해 본체부(18)내로 삽입되는 것에 기초하여 본체부(18)의 세탁물 가이드(24)로 부딪치고, 후반부가 바닥판(27)상에 탑재되고, 전반부가 본체부(18)내에 돌출된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본체부(18)의 천정판(22)에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구(39)의 앞쪽에 위치하는 펌프 유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펌프 유지부(40)는 본체부(18)의 천정판(2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급수 펌프(37)는 세탁물 가이드(24)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전장품 수납부(19)의 수평한 바닥판(27)과 돌출형상을 이루는 펌프 유지부(40)사이에 끼워진다.
6. 온풍생성부(33)에 대해
온풍생성부(33)는 외부공기를 온풍화화여 세탁조(4)내에 송풍하는 것에 기초하여 세탁조(4)내의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유닛에 상당하는 것이며, 온풍 생성부(33)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전장품 수납부(19)내에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수부(31)의 왼쪽에 위치하는 팬케이싱(41)이 수납되어 있다. 이 팬케이싱(41)은 온풍 생성부(33)의 유닛케이스를 겸용하는 것이며, 외관으로 봐서 직사각형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팬케이싱(41)의 높이 치수는 전장품 수납부(19)의 깊이 치수에 비해 크게 설정되어 있고, 팬케이싱(41)의 상단부는 수납상태로 본체부(18)의 천정판(22)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된다. 이 팬케이싱(4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케이싱(42) 및 후 케이싱(43)을 기밀 상태로 접합하는 것에 기초하여 구성된 것이며, 후 케이싱(43)의 좌측부에는 원형 구멍형상의 흡입구(44)가 형성되고, 전 케이싱(42)의 우측부에는 하면이 개구된 L자 통로형상의 토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전 케이싱(42)의 전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모터(46)가 고정되어 있다. 이 팬모터(46)는 컨덴서 유도 모터로 이루어진 것이며, 팬모터(46)의 회전축에는 팬케이싱(41)내에 위치하는 팬(47)이 고정되어 있다. 이 팬(47)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인하여 직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시록코형이며, 팬(47)의 회전시에는 외부공기가 돌출판부(28)의 외부 흡입구(29)로부터 흡입구(44)를 통해 팬케이싱(41)내에 흡인되고, 토출구(45)를 통해 아래쪽으로 토출된다.
팬케이싱(41)의 내부에는 열원에 상당하는 전열선 히터(48)가 수납되어 있고, 토출구(45), 팬모터(46), 팬(47) 및 히터(48)는 상면으로 봐서 가상적인 장방형 에리어(49)의 네측 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레이아웃되어 있다. 이 히터(4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 케이싱(43)의 내면에 고정되며, 팬(47)이 직경방향으로 토출된 외부공기를 가열하는 것에 기초하여 온풍화한다.
전 케이싱(42)의 토출구(45)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온풍 호스(5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온풍 호스(50)는 주름형상을 이루며, 온풍 호스(50)의 외부직경 치수 및 내부직경 치수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향할수록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온풍호스(50)의 하단부는 물받이조 커버(7)의 온풍 호스 접속구(8)에 접속되어 있고, 팬케이싱(41)의 토출구(45)로부터 토출된 온풍은 온풍호스(50)를 통해 세탁조(4)내로 주입되어, 세탁조(4)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전장품 수납부(19)내에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밸브(35)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안전레버(51)가 수납되어 있다. 이 안전레버(51)는 통상 상태 및 이상 상태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 것이며, 세탁조(4)의 회전 상태가 직경방향으로 허용값을 초과해 흔들리는 것일 때에는 세탁조(4)가 안전레버(51)에 충돌하는 것에 기초하여 안전 레버(51)를 통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로 회동 조작한다. 이 세탁조(4)의 흔들림은 세탁물의 중량적인 편차에 기인하는 것이며, 안전레버(51)는 세탁조(4)의 허용값을 초과한 흔들림을 기계적으로 검출한다. 이하, 세탁조(4)의 허용값을 초과한 흔들림을 언밸런스 상태라고 한다.
전장품 수납부(19)내에는 안전레버(5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안전 스위치(52)가 수납되어 있다. 이 안전스위치(52)는 안전레버(51)에 의해 온오프 조작되는 기계적인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이며, 안전레버(51)의 회동 상태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 안전스위치(52)는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는 안전 스위치(52)의 전기적 상태에 기초하여 세탁조(4)의 언밸런스를 검출한다.
탑커버(14)의 후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53)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백커버(53)는 전장품 수납부(19)의 상면 및 후면을 막는 것에 기초하여 전장품 수납부(19)를 폐쇄 공간화하고, 주수부(31), 온풍 생성부(33), 급수밸브(35), 급수펌프(37), 안전레버(51) 및 안전스위치(52)를 폐쇄 공간내에 수납하는 것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품 수납부(19)의 상면을 막는 천정판(54) 및 전장품 수납부(19)의 후면을 막는 후판(55)을 구비하고 있다.
백커버(53)의 천정판(54)에는 우반부(右半部)에 위치하는 평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56)는 주수부(31) 및 급수부(32)(구체적으로는 급수밸브(35) 및 급수펌프(37)) 뿐만 아니라 안전레버(51) 및 안전스위치(52)를 윗쪽에서 덮는 수평한 판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평면부(56)에는 2개의 관통구멍(57)이 형성되고, 급수밸브(35)의 접속구(36) 및 급수펌프(37)의 접속구(39)는 관통구멍(57)을 통해 평면부(56)의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백커버(53)의 좌반부에는 솟아오름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솟아오름부(58)는 오른쪽 평면부(56)에 대해 윗쪽으로 볼룩해진 원호 판형상을 이루며, 온풍 생성부(3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솟아오름부(58)의 아래쪽에 간격을 두고 수납되어 있다. 또, 백커버(53)의 후판(55)에는 필터(59)가 장착되어 있다. 이 필터(59)는 백커버(53)를 탑커버(14)에 장착하는 것에 기초하여 팬케이싱(41)의 흡입구(44)의 뒷쪽에 배치되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포착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에는 구동회로를 통해 세탁모터(3), 클러치모터, 급수밸브(35), 급수펌프(37) 및 팬모터(4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는 스타트스위치의 온 동작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세탁모터(3), 클러치모터, 급수밸브(35), 급수펌프(37)를 구동 제어하여 세탁운전을 실행한다. 이 세탁운전은 제어장치가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체 자동으로 실시하는 것이며, 제어장치는 세탁운전의 비실행시에 건조 스위치의 온 조작을 검출하면 팬모터(46) 및 히터(48)를 구동 제어하고, 세탁조(4)내에 온풍을 주입한다. 즉, 건조 운전은 세탁운전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매뉴얼 조작으로 실행되는 것이며, 제어장치는 건조 운전의 실행 상태로 건조 스위치가 재조작되는 것을 검출하면 팬모터(46) 및 히터(48)를 구동 정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건조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부(32)와 주수부(31) 및 온풍 생성부(33)를 탑커버(14)에 해당 순서로 배열했기 때문에, 3개 중 높이 치수가 가장 큰 온풍 생성부(33)가 단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온풍 생성부(33)의 영향에 의한 높이 치수의 증가가 탑커버(14)의 단만으로 제한되고, 탑커버(14)의 단에만 솟아오름부(58)를 설치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탑커버(14)가 소형화된다. 따라서, 급수밸브(35)의 접속구(36) 및 급수펌프(37)의 접속구(39)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이 없어지고, 접속구(36, 39)의 윗쪽에 공간적인 여유가 확보되므로 접속구(36, 39)를 대상물에 접속하기 쉬워진다.
또, 급수부(32) 및 온풍 생성부(33)를 주수부(31)를 끼워 배치했기 때문에 급수부(32) 및 온풍 생성부(33)사이의 기계적인 이간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급수부(32)에서 물 누수가 생긴 경우에 온풍 생성부(33)의 팬모터(46)에 물이 가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팬모터(46)의 전기적 성능이 물 누수의 영향으로 저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급수부(32)는 급수밸브(35) 및 급수펌프(37)를 갖는다.
또, 급수펌프(37)의 일부를 전장품 수납부(19)의 바닥판(27)상에 탑재하고, 급수펌프(37)의 잔여부분을 본체부(18)의 사각공간(외부 투입구(23)의 외주부, 세탁물 가이드(24)의 외주부) 내에 수납했다. 이 때문에, 급수펌프(37)의 탑재 공간이 적어지고, 탑커버(14) 중 급수펌프(37)의 뒷쪽에 절개부(30)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탑커버(14)가 소형화된다.
또, 팬모터(46)와 팬(47) 및 히터(48)를 팬케이싱(41)을 통해 유닛화하고, 또 토출구(45)와 팬모터(46), 팬(47) 및 히터(48)를 장방형 영역(49)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팬케이싱(41)을 설치했기 때문에 온풍 생성부(33)에 여분인 돌기가 없어져, 온풍 생성부(33)가 소형화된다. 이 때문에 온풍 생성부(33)의 점유공간이 적어지므로, 이 점에서도 탑커버(14)가 소형화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측에서부터 온풍 생성부(33), 주수부(31), 급수부(32)의 순서로 배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급수부(32), 주수부(31), 온풍 생성부(33)의 순서로 배치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풍부로서 온풍을 송풍하는 온풍 생성부(33)를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온풍을 송풍하는 송풍부를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풍 생성부(33), 주수부(31), 급수부(32)를 탑커버(14)의 후단부에 수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탑커버(14)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앞에서부터 온풍 생성부(33), 주수부(31), 급수부(32)의 순서로 배열하거나, 뒤에서부터 온풍 생성부(33), 주수부(31), 급수부(32)의 순서로 배열하면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부(32)로서 급수밸브(35) 및 급수펌프(37)를 갖는 것을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급수펌프(37)를 폐지하고, 급수밸브(35)를 갖는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토출구(45), 팬모터(46), 팬(47) 및 히터(48)를 장방형 영역(49)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팬케이싱(41)을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정방형 영역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팬케이싱(41)에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은 급수부와 주수부와 송풍부 중에서 높이 치수가 가장 큰 송풍부를 단부에 배치하여 탑커버를 소형화함으로서 급수부의 접속구 위치가 높아지지 않아 접속구 윗쪽에서 공간의 여유가 확보되기 때문에 접속구를 대상물에 접속하기 쉽고, 또 급수부 및 송풍부가 주수부를 끼워 배치되기 때문에 급수부 및 송풍부 사이의 이간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팬모터의 전기적 성능이 물 누수의 영향으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온풍 생성부, 주수부, 급수밸브, 급수펌프등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X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탑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온풍 생성부를 분해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온풍 생성부를 조립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상자 4 : 세탁조
14 : 탑커버 18 : 본체부
19 : 전장품 수납부 23 : 외부 투입구(투입구)
27 : 바닥판 31 : 주수부
32 : 급수부 33 : 온풍 생성부
37 : 급수펌프 41 : 팬케이싱
44 : 흡입구 45 : 토출구
46 : 팬모터 47 : 팬
48 : 히터(열원) 53 : 백커버(커버)
58 : 솟아오름부

Claims (4)

  1. 세탁조가 수납된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내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갖는 탑커버;
    상기 세탁조내에 물을 주입하는 주수부;
    상기 주수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세탁조내에 바람을 보내는 송풍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부와 상기 주수부와 상기 송풍부는 상기 탑커버에 해당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구된 전장품 수납부와,
    상기 탑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전장품 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며,
    급수부와 주수부와 송풍부는 상기 전장품 수납부 내에 해당 순서로 배열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송풍부의 윗쪽에만 위치하며 윗쪽으로 솟아오른 솟아오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세탁조가 수납된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 내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된 바닥이 없는 모양의 본체부 및 상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형상의 전장품 수납부를 갖는 탑커버; 및
    수도와는 다른 수원으로부터 물을 끌어올리는 급수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펌프는 일부가 상기 전장품 수납부의 바닥판상에 탑재되고 나머지가 상기 본체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세탁조가 수납된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내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갖는 탑커버;
    상기 탑커버내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팬케이싱;
    상기 팬케이싱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팬;
    상기 팬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 및
    상기 팬케이싱내에 설치되고 상기 팬케이싱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토출구와 상기 팬과 상기 팬모터와 상기 히터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네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팬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3-0019111A 2002-09-30 2003-03-27 세탁기 KR100505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6303A JP2004121322A (ja) 2002-09-30 2002-09-30 洗濯機
JPJP-P-2002-00286303 2002-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73A KR20040028473A (ko) 2004-04-03
KR100505973B1 true KR100505973B1 (ko) 2005-08-04

Family

ID=3227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111A KR100505973B1 (ko) 2002-09-30 2003-03-27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121322A (ko)
KR (1) KR100505973B1 (ko)
CN (1) CN2740640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7159B2 (ja) * 2005-08-10 2011-04-06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5889573B2 (ja) * 2011-08-19 2016-03-22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WO2014020636A1 (ja) * 2012-07-30 2014-02-06 テルモ株式会社 輸液ポンプ
JP2019000256A (ja) * 2017-06-14 2019-01-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21322A (ja) 2004-04-22
CN2740640Y (zh) 2005-11-16
KR20040028473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070B2 (ja) 洗濯機
KR100407065B1 (ko) 세탁기
JP3625820B1 (ja) 洗濯機
KR100505973B1 (ko) 세탁기
JP2011136221A (ja) 洗濯機
JP2007054228A (ja) 洗濯機
KR101606663B1 (ko) 의류건조기
JP3920128B2 (ja) 洗濯乾燥機
CN110938965B (zh) 洗涤干燥机
JP6062256B2 (ja) 衣類乾燥機
JP3682051B2 (ja) 洗濯機
KR102320194B1 (ko) 세탁기
JP6239940B2 (ja) 洗濯機
JP200620471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5348863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05058779A (ja) 洗濯機
TW202012732A (zh) 洗衣機
JP7141988B2 (ja) 洗濯乾燥機
JP2005021232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13013659A (ja) 洗濯機
CN111742094A (zh) 洗衣机和加热水生成装置
CN114174580B (zh) 洗衣机
JPH11285594A (ja) 洗濯機
JP6071564B2 (ja) 衣類乾燥機
JP2014018228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