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94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94B1
KR102320194B1 KR1020190032834A KR20190032834A KR102320194B1 KR 102320194 B1 KR102320194 B1 KR 102320194B1 KR 1020190032834 A KR1020190032834 A KR 1020190032834A KR 20190032834 A KR20190032834 A KR 20190032834A KR 102320194 B1 KR102320194 B1 KR 10232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ire
protrusion
arm
wi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175A (ko
Inventor
전광민
김화식
최민제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38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6324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175A/ko
Priority to KR1020210143518A priority patent/KR102514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94B1/ko
Priority to KR1020230036884A priority patent/KR102629009B1/ko
Priority to KR1020240009005A priority patent/KR20240013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와이어 연결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제 1전장품,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도어가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고,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가지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와이어 연결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 형상의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과, 터브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에는 드럼으로 연통되는 개구가 마련되고, 도어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장품들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세탁기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과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세탁기의 미관을 헤치지 않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와이어로 하여금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도록 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전장품,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도어가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고,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가지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장품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바디 및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상기 캐비닛과 마주하는 제 1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회전축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2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1돌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돌기부 및 상기 제 2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과 마주하는 상기 힌지바디의 일 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바디가 결합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바디 및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및 상기 힌지를 통과하는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의 다른 일 단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제 1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힌지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바디 및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암부 및 상기 세탁기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제 1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암부의 일 면 및 상기 제 2암부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암부의 일 면 및 상기 제 2암부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암부 및 상기 세탁기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제 1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제 2암부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과 마주하는 상기 힌지바디의 일 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가지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어에 구비되는 전장품들과 캐비닛에 구비되는 전장품들을 와이어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힌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외부로 크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를 힌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와이어가 힌지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에 와이어 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와이어 가이드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와이어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를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와이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가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되면 와이어 커버를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수용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힌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 7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장품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기/전자부품을 의미한다. 또한, 전장품은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장품은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에는 디스플레이(display)(2)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는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는 세탁기(1)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사용자가 세탁기(1)의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사용자의 편의 도모 측면에서 시간, 온도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그림, 사진, 영상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세탁기(1)에는 디스플레이(2) 및 컨트롤패널(7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2)가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경우, 디스플레이(2)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전장품 중 적어도 일부가 도어(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전장품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에는 발광부(3)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는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발광부(3)는 도어(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의 도어(20)에 발광부(3)를 마련함으로써 다이나믹(dynamic)한 디자인을 가지는 세탁기(1)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발광부(3)가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경우, 발광부(3)를 구현하거나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전장품 중 적어도 일부가 도어(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나 발광부(3)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전장품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1)의 도어(20)에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디자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고, 그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가 적용된 세탁기(1)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1), 세탁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프레임(12), 세탁기(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3), 세탁기(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 프레임(미도시) 및 세탁기(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드럼(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15)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15)의 벽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5a)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15)은 원통형일 수 있다. 드럼(15)의 전면부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는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하나의 회전축(rotating axis)(19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는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하였을 때 도어(20)와 접촉하는 도어 접촉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접촉부(17)는 세탁기(1)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개구(1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접촉부(17)는 도어(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캐비닛(10)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탁기(1)는 급수관(미도시) 및 세제통(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터브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터브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관의 일 측은 급수밸브(미도시)와 연결되고, 급수관의 타 측은 세제통(18)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통(18)은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드럼(15)과 연결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통(18)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드럼(15)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기(1)는 구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는 드럼(15)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15)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배수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닛은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세탁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유닛은 배수펌프(미도시)와, 터브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와 배수펌프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미도시)와,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컨트롤패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70)은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70)은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71)과, 사용자가 세탁기(1)의 작동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힌지(hinge)(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100)는 도어(20)와 캐비닛(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100)는 도어(20)를 회동 가능하게 캐비닛(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세탁기(1)는 제 1전장품(200)(도10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전장품(200)은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전장품(200)은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전장품(200)은 일 예로써, 메인 인쇄회로기판(main PCB), 서브 인쇄회로기판(sub PCB), 급수밸브, 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캐비닛(10)의 후방 측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드럼(1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마이컴(microcomputer), 급수밸브, 구동모터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 2전장품(3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 인쇄회로기판은 컨트롤패널(7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인쇄회로기판은 컨트롤패널(70)에 마련되는 표시창(71), 조작부(72)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서브 인쇄회로기판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제 1전장품(200)의 일 예로써,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세탁기(1)는 제 2전장품(300)(도10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은 캐비닛(10)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이 마련되는 위치의 일 예로써, 제 2전장품(300)은 도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전장품(300)은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예로써, 디스플레이(2)(도1참고)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 발광부(3)(도2참고)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와이어(400)(도10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400)는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힌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 7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가 적용된 세탁기(1)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는 사용자가 드럼(15)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어 글라스(30)와, 도어 글라스(30)가 결합되고, 그 일 측에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 내지 결합되는 수용홈(44)이 형성되는 글라스 홀더(40)와, 글라스 홀더(40)의 전면을 덮는 도어 커버(50)와, 글라스 홀더(40)와 도어 커버(50) 사이에 위치하며, 수용홈(44)을 덮어 수용홈(44)과 함께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를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글라스(30)는 사용자가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30)는 그 전방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글라스 바디(31)와, 글라스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글라스 바디(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32)와, 글라스 바디(31)의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탁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탁수를 드럼(15)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홀더(40)는 그 중심부가 중공된 원판 형상의 홀더바디(41)와, 홀더바디(41)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전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2)와, 손잡이부(42)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홀더바디(41)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전면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43)는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 내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44)과, 커버플레이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4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결합리브(4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44)은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한 상태에서 힌지(100)의 제 2암부(122)를 수용하는 제 1수용홈(44a)과, 힌지(100)의 돌기부(130)를 수용하는 제 2수용홈(4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수용홈(44a)은 홀더바디(41)의 일부분이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되며, 제 2수용홈(44b)은 제 1수용홈(44a)과 교차, 연통될 수 있다. 제 1수용홈(44a)은 대략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제 2수용홈(44b)은 제 1수용홈(44a)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리브(45)는 홀더바디(41)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커버플레이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4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다. 또한, 결합리브(45)가 홀더바디(4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됨으로써, 도어(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어(20)의 하중이 집중되는 힌지결합부(43)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므로, 도어(20)가 쳐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커버(50)는 도어(20)의 외관을 형성하고, 글라스 홀더(4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글라스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30), 글라스 홀더(40) 및 도어 커버(50)는 가벼우면서도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60)는 결합리브(4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드럼(15)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힌지결합부(43)에 결합된다. 커버플레이트(60)는 힌지결합부(43)를 덮을 수 있도록 그 외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절곡부(61)와,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한 상태에서 힌지(100)의 제 2암부(122) 및 돌기부(1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 1수용홈(44a) 및 제 2수용홈(44b)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암부(122) 및 돌기부(13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 3수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수용홈(62)은 제 1수용홈(44a) 및 제 2수용홈(44b)과 함께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수용홈(62)은 커버플레이트(60)가 제 2암부(122)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 1수용홈(44a)과 함께 제 2암부(122)를 수용하고, 도어(20)가 회전축(195)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수용홈(44b)과 함께 돌기부(130)를 수용 내지 지지할 수 있다.
힌지(100)는 도어(20)가 회전축(rotating axis)(19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도어(2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100)는 힌지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바디(110)는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바디(110)는 개구(16)의 외측으로 캐비닛(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바디(110)는 개구(16)의 외측으로 전면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바디(110)는 대략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힌지바디(110)는 캐비닛(10)의 전면, 즉, 전면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힌지바디(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힌지바디(110)로부터 세탁기(1)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암부(121)는 힌지바디(11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세탁기(1)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제 1암부(121)로부터 연장되는 제 2암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1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23)은 캐비닛(10)과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면(123)은 캐비닛(1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2면(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24)은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3면(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면(125)은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4면(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면(126)은 도어(20)와 마주할 수 있다.
제 2면(124) 및 제 3면(125)은 제 1면(123) 및 제 4면(126)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면(124)은 제 1면(123)의 하단부 및 제 4면(126)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3면(125)은 제 1면(123)의 상단부 및 제 4면(126)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으로부터 회전축 방향(rotating axis)(X)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회전축(195)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제 1돌기부(131) 및 제 2돌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돌기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으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돌기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으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돌기부(131)는 제 2암부(122)의 일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 2돌기부(132)는 제 2암부(122)의 일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돌기부(131) 및 제 2돌기부(132)는 각각 제 2암부(122)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 및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힌지(100)는 와이어(400)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힌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와이어(4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힌지(1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와이어(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1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암부(121)의 일 면 및 제 2암부(122)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암부(121)의 일 면 및 제 2암부(122)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면(123)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힌지(100)는 와이어 인입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가이드부(14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 인입구(150)는 제 1돌기부(131) 및 제 2돌기부(13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인입구(150)는 제 2돌기부(132)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100)는 와이어 인출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 가이드부(14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100)는 힌지 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된 와이어(4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10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힌지 커버(170)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400)를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힌지 커버(170)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되면 힌지 커버(170)를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커버바디(17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커버바디(17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결합리브(172a) 및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결합리브(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은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일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 역시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커버바디(17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일 면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힌지 커버(170)를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절곡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절곡부(174)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2면(124)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써,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절곡부(174)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3면(125)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에 의해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함께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절개부(175)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는 절개부(175)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함께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의 다른 단부는 와이어 인출구(16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 커버(170)의 다른 단부는 힌지바디(110)와 함께 와이어 인출구(160)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커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커버(18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감싸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커버(180)는 회전축(195)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되는 고정링(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190)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190)은 와이어 인입구(150)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190)은 밑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고정링(19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고정링(190)은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를 동시에 감쌀 수 있다. 고정링(19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 및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는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1힌지암(128) 및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2힌지암(12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의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힌지암(128)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의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힌지암(128)의 제 1면(123)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세탁기(1)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400)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00)는 힌지(100)를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100)를 통과한 와이어(400)의 일 단부는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힌지(100)를 통과한 와이어(400)의 다른 단부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400)는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제 1와이어(410) 및 제 1와이어(410)에 연결되는 제 2와이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와이어(410)는 힌지(100)를 통과하여 제 2와이어(4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와이어(410)의 일 단부는 도어(20) 내부에 구비되는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되고, 제 1와이어(410)의 다른 단부는 제 2와이어(4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와이어(410) 및 제 2와이어(420)는 제 1와이어(410)의 다른 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411)와 제 2와이어(420)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421)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와이어(410) 및 제 2와이어(420)의 결합은 캐비닛(1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와이어(420)는 메인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4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4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관통홀(10a)(도4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0a)은 힌지바디(110)가 결합되는 캐비닛(10)의 일 면, 즉,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100)를 통과한 와이어(400)는 관통홀(10a)을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된 와이어(400)는 힌지(100)에 도달하고, 힌지(100)에 도달한 와이어(400)는 힌지(100)를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전장품(20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400)의 일 단부는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되고, 와이어(400)의 다른 단부는 힌지(100)를 통과하여 제 1전장품(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은 힌지(100)를 통과하는 와이어(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40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기(1)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20)에 구비된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된 와이어(400)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힌지(100)에 도달한다. 힌지(100)에 도달한 와이어(400)는 와이어 인입구(150)를 통해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된다.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된 와이어(400)는 와이어 인출구(160)와, 와이어 인출구(160)에 대응하도록 캐비닛(10)의 일 면에 마련된 관통홀(10a)을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인출된다. 캐비닛(10) 내부로 인출된 와이어(40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제 1전장품(200)에 연결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500)의 와이어 가이드부(540)는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2힌지암(129)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500)의 와이어 가이드부(540)는 제 2힌지암(129)의 제 1면(123)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힌지(6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와이어(4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hole) 형상으로 힌지(60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대략 회전축(195)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4면(126)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 및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 가이드부(6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와이어 가이드부(640)가 제 1힌지암(128)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제 1힌지암(128) 및 제 2힌지암(129)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힌지(7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와이어(4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hole) 형상으로 힌지(70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힌지바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대략 회전축(195)에 수직한 방향으로 힌지바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도어(20)와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3)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 및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 가이드부(7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와이어 가이드부(740)가 제 1힌지암(128) 하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제 1힌지암(128)과 제 2힌지암(129)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힌지암(129)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와이어(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8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2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절개부(175)를 포함하고,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가 절개부(175)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함께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8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 및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 가이드부(8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800)는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는 힌지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는 회전축(195)을 향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 역시 와이어 가이드부(8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도록 와이어 인입구(150)에 삽입된다. 와이어 인입구(150)에 삽입된 와이어(400)는 대략 회전축 방향(X)에 수직한 방향으로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인입구(150)에 삽입된 와이어(400)는 제 2암부(122)의 일 면을 따라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 후, 와이어(400)는 세탁기(1)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400)는 제 1암부(121)의 일 면을 따라 세탁기(1)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제 1암부(121)의 일 면을 따라 세탁기(1)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 와이어(400)는 와이어 인출구(160) 내지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를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840)에 삽입된 이후에 와이어 가이드부(8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암(128)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제 1힌지암(128)의 제 2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 및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8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900)의 와이어 가이드부(940)는 제 2힌지암(129)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940)는 제 2힌지암(129)의 제 2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2: 디스플레이
3: 발광부 10: 캐비닛
10a: 관통홀 11: 전면 프레임
12: 상면 프레임 13: 측면 프레임
15: 드럼 16: 개구
17: 도어 접촉부 18: 세제통
20: 도어 30: 도어 글라스
31: 글라스 바디 32: 플랜지부
33: 가이드부 40: 글라스 홀더
41: 홀더바디 42: 손잡이부
43: 힌지결합부 44: 수용홈
44a: 제 1수용홈 44b: 제 2수용홈
45: 결합리브 50: 도어 커버
60: 커버플레이트 61: 절곡부
62: 제 3수용홈 70: 컨트롤패널
71: 표시창 72: 조작부
100,500,600,700,800,900: 힌지 110: 힌지바디
111: 고정홀 112: 일 면
120: 힌지암 121: 제 1암부
122: 제 2암부 123: 제 1면
124: 제 2면 125: 제 3면
126: 제 4면 127: 결합홈
128: 제 1힌지암 129: 제 2힌지암
130: 돌기부 131: 제 1돌기부
132: 제 2돌기부 150: 와이어 인입구
160: 와이어 인출구 170: 힌지 커버
171: 커버바디 172: 결합리브
172a: 제 1결합리브 172b: 제 2결합리브
173: 지지리브 174: 절곡부
175: 절개부 180: 돌기부 커버
190: 고정링 200: 제 1전장품
300: 제 2전장품 400: 와이어
410: 제 1와이어 411: 커넥터
420: 제 2와이어 421: 커넥터
113: 일 면 841: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
195: 회전축 15a: 탈수공
140,540,640,740,840,940: 와이어 가이드부

Claims (15)

  1.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연장되는 힌지암;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상기 힌지암으로부터 돌출되고, 절개부를 가지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힌지암을 따라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가이드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수용된 와이어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를 덮는 힌지 커버;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힌지 커버의 일 단부가 상기 절개부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와이어 인입구; 및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힌지 커버의 일 단부를 결합하도록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힌지 커버의 일 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고정링; 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힌지암의 일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암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 커버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커버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힌지 커버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힌지 커버의 일 단부에 상기 고정링이 결합될 수 있는 힌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힌지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전장품과 상기 와이어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마련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디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은,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암부; 및
    상기 제 1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암부; 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암부 및 상기 제 2암부를 따라 연장되는 힌지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디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힌지바디의 일 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인출구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 면 및 상기 힌지암의 일 면이 함몰되거나 절개되어 형성되는 힌지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힌지암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일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1돌기부; 및
    상기 힌지암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타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2돌기부; 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기부 및 상기 제 2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 인입구가 형성되는 힌지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돌기부 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돌기부 및 상기 제 2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고정링이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 커버가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커버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힌지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은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힌지암과 제2힌지암을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제1힌지암에 마련되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힌지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는 상기 제2힌지암에 마련되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힌지 어셈블리.
KR1020190032834A 2018-03-23 2019-03-22 세탁기 KR10232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34A KR102320194B1 (ko) 2018-03-23 2019-03-22 세탁기
KR1020210143518A KR102514106B1 (ko) 2019-03-22 2021-10-26 세탁기
KR1020230036884A KR102629009B1 (ko) 2019-03-22 2023-03-21 세탁기
KR1020240009005A KR20240013267A (ko) 2019-03-22 2024-01-19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18A KR101963249B1 (ko) 2018-03-23 2018-03-23 세탁기
KR1020190032834A KR102320194B1 (ko) 2018-03-23 2019-03-22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818A Division KR101963249B1 (ko) 2018-03-23 2018-03-23 세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18A Division KR102514106B1 (ko) 2019-03-22 2021-10-2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175A KR20190034175A (ko) 2019-04-01
KR102320194B1 true KR102320194B1 (ko) 2021-11-02

Family

ID=6610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834A KR102320194B1 (ko) 2018-03-23 2019-03-22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943A (ko) * 2020-01-22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175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83B1 (ko) 세탁기
KR102537237B1 (ko) 세탁기
KR10146633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EP2471990A1 (en) Washing machine
KR102320194B1 (ko) 세탁기
KR102514106B1 (ko) 세탁기
KR100961780B1 (ko) 세탁기의 로터리 스위치 어셈블리
KR101963249B1 (ko) 세탁기
KR102521489B1 (ko) 세탁기
JP7141988B2 (ja) 洗濯乾燥機
CN117881833A (zh) 衣物处理装置
CN118056043A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127795A (ko) 세탁기 및 의류 처리 장치
KR20060007466A (ko) 세탁기의 급수 장치
KR20050091408A (ko) 세탁기의 버튼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