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4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43A
KR20210094943A KR1020200008823A KR20200008823A KR20210094943A KR 20210094943 A KR20210094943 A KR 20210094943A KR 1020200008823 A KR1020200008823 A KR 1020200008823A KR 20200008823 A KR20200008823 A KR 20200008823A KR 20210094943 A KR20210094943 A KR 2021009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device
main body
le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형근
임현규
경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943A/ko
Priority to PCT/KR2020/019116 priority patent/WO2021149931A1/ko
Publication of KR2021009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의류처리장치는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본체에 장착되어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 도어의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개구를 중심으로 힌지 장치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장치 및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회전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를 잠금 상태로 만드는 잠금장치로서, 도어의 회전방향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개구의 중앙 상부 측에서 본체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개시는 최소한의 부품을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 방향 변경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투입구를 갖는 터브를 포함한다. 본체에는 터브의 투입구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개구를 통해 의류 또는 세탁물 또는 피건조물을 투입한다.
이러한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최근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기 위해, 도어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도어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 제품 전체를 분해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전체를 분해하지 않기 위해 본체 내부에 전기가 필요한 부품을 고정 장착하는 경우 회전 방향이 변경될 경우를 고려하여 복수의 부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제조 단가 상승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품을 간소화하여 본체의 외부에서 도어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 장치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회전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만드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개구의 중앙 상부 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의 중앙 상부에 장착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삽입된 레버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쳐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동작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가 연결되지 않을 때 외부에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링크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부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잠금장치와 함께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전기적 연결 없이도 도어의 닫힌 상태를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고정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캐쳐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회전 방향이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일 측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힌지장치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장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가 안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브라켓과 도어브라켓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전선이 상기 도어로 연결되어 상기 잠금장치가 전력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동작한다.
상기 힌지브라켓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전선커버, 상기 전선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바디 및 전선커버와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힌지브라켓에 상기 전선이 연결되도록 후면에서 상기 전선을 임시로 고정하는 전선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에 장착된 제1레버가 삽입되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 장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고정장치, 상기 도어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제2레버가 삽입되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만들고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개구의 중앙 상부 측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경우 상기 힌지장치가 상기 개구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도어를 분리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제2레버가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레버는 상기 도어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로 다시 장착된다.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레버가 상기 고정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다시 장착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동작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가 연결되지 않을 때 외부에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한다.
완제품 제작에 사용되는 부품의 갯수를 최소화 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제품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제품의 외부에서 도어의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어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부품을 배치하여 불필요한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개략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면판과 도어를 중심으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감지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잠금장치와 링크장치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면판과 도어를 중심으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브라켓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경우 의류처리장치 중 의류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건조기(1)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판(12), 좌측판(미도시), 우측판(미도시), 전면판(13), 후면판(11),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10)를 형성하는 전면판(13), 상부판, 좌측판, 우측판 등은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10), 전면판(13), 상부판, 좌측판, 우측판 등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판(13)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를 드럼(20)으로 투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3a)가 형성된다. 투입구(13a)는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의류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4)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은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도록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드럼(20)의 전면은 투입구(13a)에 대응하여 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1) 역시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드럼(20)의 내부에는 드럼(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터(22)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22)는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시켜 건조 대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드럼(20)의 외주면에는 드럼(2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롤러(23)가 마련될 수 있다.
의류건조기(1)는 드럼(20)을 구동하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30)는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1)는 풀리(33)와 벨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33)는 구동모터(31)와 연결된 회전샤프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샤프트(32)가 회전하면 회전샤프트(32)와 함께 풀리(33)도 회전할 수 있다. 벨트(34)는 풀리(33)와 드럼(20)을 연결하여 풀리(33)의 회전을 드럼(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의류건조기(1)는 드럼(20)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체(10)는 드럼(20) 내부의 습한 공기를 드럼(20)으로부터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를 드럼(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덕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40)는 드럼(20) 내부의 습한 공기를 덕트(40)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덕트(41), 드럼(20)으로 열풍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덕트(43), 유입덕트(41)와 배출덕트(43)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40)의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순환유로(50)가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50)는 유입유로(51), 연결유로(52), 배출유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유로(51)는 드럼(20)의 내부를 통과한 공기를 유입하도록 마련되는 유입덕트(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52)는 배출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로(52)는 유입덕트(41)와 배출덕트(43)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53)는 연결유로(52)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유로(53)는 드럼(20)으로 열풍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덕트(4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덕트(41)는 드럼(20)의 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덕트(43)는 드럼(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덕트(42)는 드럼(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덕트(42)는 베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덕트(43)는 드럼(2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출덕트(43)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에 의해 드럼(20) 내부의 건조대상물이 건조될 수 있다.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드럼(2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유입덕트(41)를 통해 드럼(20)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덕트(41)에는 필터(6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60)는 드럼(20)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필터(60)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연결덕트(42) 및 배출덕트(43)를 통해 드럼(2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럼(2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유입덕트(41) 내 유입유로(51)를 따라 열교환기(71, 72)로 유입된다. 열교환기(71, 72, 도 2 참조)를 통과해 고온 건조해진 공기는 다시 배출덕트(43) 내 배출유로(53)를 따라 드럼(20) 내부로 배출되어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은 유입유로(51) 측에 설치된 송풍팬(44)이 유도할 수 있다.
의류건조기(1)는 송풍팬(44)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44)은 드럼(20) 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순환유로(50)로 유입하고 열교환기(71, 72)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를 드럼(20)으로 배출시키는 순환기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44)은 드럼(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1)에 의해 함께 구동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면판과 도어를 중심으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의 전면판(13) 및 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21)는 본체(10)의 전면판(13)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0)는 개구(21)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는 본체(10)의 전면판(13)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판(13)은 제1레버(140), 제2레버(150)가 삽입되고 감지스위치(160)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고정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전면판(13)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고정장치(120)는 개구(21)를 중심으로 힌지 장치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본체(10)의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고정장치(120)는 개구(21)를 중심으로 힌지 장치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본체(10)의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고정커버(121)를 제외하고는 전면판(13)의 후면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제1레버(140)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전면판(13)의 전면에 장착되는 고정커버(1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커버(121)는 전면판(13)의 제1절개부(1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제1캐쳐(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캐쳐(122)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캐쳐(122)는 제1레버(140)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스프링(12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120)는 제1레버(140)가 제1캐쳐(122)를 가압하는 경우, 즉 도어(100)가 닫히는 경우에 제1레버(140)에 형성된 홈에 제1캐쳐(122)가 걸리게 되므로 도어(100)의 닫힌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장치(120)는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제1레버(140)가 제1캐쳐(122)를 다시 가압하는 경우, 즉 도어(100)가 열리는 경우에 걸림이 해제되고 스프링(1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캐쳐(122)가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는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기 전에 도어(10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제품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장치(120)는 도어(100)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기는 하나 외력에 의해 고정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며 진동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도어(100)가 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의류처리장치는 도어(1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잠금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고정장치(120)는 필수적으로 마련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절개부(13a)는 개구(21)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서 본체(10)의 전면판(13)에 똑같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잠금장치(130) 및 감지스위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장치(130)는 개구(21)의 중앙 상부 측에서 본체(10)의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잠금커버(131)를 제외하고는 전면판(13)의 후면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제2레버(150)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전면판(13)의 전면에 장착되는 잠금커버(131,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커버(131, 도 4 참조)는 전면판(13)의 제2절개부(13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하나로 마련되어 도어(100)가 닫힌 상태일 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장치(130)에 삽입된 제2레버(1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도어(100)의 회전방향이 변경되어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면판(13)의 중앙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의 회전방향 변경과 관련한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감지스위치(160)는 전면판(13)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스위치(160)는 전면판(13)의 후면에 장착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감지스위치(160)의 스위치부(161)는 전면판(13)의 제3절개부(13c)를 통해 전면판(13)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치부(161)는 전면판(13)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도어(100)가 닫힌 상태일 경우 스위치부(161)가 가압되어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스위치(160)는 잠금장치(130)와 함께 전면판(13)에 장착되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스위치(160)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외부프레임(103)과 내부프레임(104)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3)과 내부프레임(104)은 도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3)은 도어(100)의 전면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프레임(104)은 도어(100)의 후면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103)과 내부프레임(104)은 결합되어 도어(10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0)는 글라스프레임(105) 및 글라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프레임(105)은 글라스(106)를 도어(100)의 내부에 지지할 수 있다. 글라스(106)는 글라스프레임(105)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100)에는 제1레버(14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레버(140)는 고정장치(120)에 삽입되도록 도어(1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버(140)는 도어(100)를 중심으로 힌지 장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1레버(140)는 도어(100)를 중심으로 힌지 장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100)에는 제2레버(15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레버(150)는 잠금장치(130)에 삽입되도록 도어(1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레버(150)는 도어(100)의 중앙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100)는 제2레버(150)가 장착되기 위한 복수의 레버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버장착부는 상부레버장착부(101) 및 하부레버장착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레버장착부(101)와 하부레버장착부(102)는 도어(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부레버장착부(101)와 하부레버장착부(102)는 도어(100)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레버(150)는 도어(100)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레버장착부(101)에 장착된 제2레버(150)가 하부레버장착부(102)에 장착될 수 있고, 하부레버장착부(102)에 장착된 제2레버(150)가 상부레버장착부(10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레버(150)는 도어(100)의 회전방향 변경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어(100)의 회전 방향 변경에 따라 상부레버장착부(101)는 도어(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하부레버장착부(102)는 도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에 장착되어 도어(100)에 결합되는 힌지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장치(110)를 통해 도어(10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의 회전방향 변경과 관련한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감지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잠금장치(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36) 및 제2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132)은 제1하우징(13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하우징(132) 내부에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제2레버(150)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전면판(13)의 전면에 장착되는 잠금커버(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버(150)는 잠금커버(131)에 형성된 커버홀(131a)을 통과할 수 있다. 제2하우징(132)은 하우징홀(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홀(131a)을 통과한 제2레버(150)는 하우징홀(132a)을 통과할 수 있다.
잠금장치(130)는 제2캐쳐(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캐쳐(133)는 캐쳐수용부(134)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레버(150)가 커버홀(131a)과 하우징홀(132a)을 통과하여 제2캐쳐(133)를 가압하면, 제2캐쳐(133)가 제2레버(150)에 형성된 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의 닫힌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작동 중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2캐쳐(133)가 제2레버(150)의 홀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열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130)는 구동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5)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동부(135)는 캐쳐수용부(134)의 상부에 장착되어 제2캐쳐(133)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마련 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제2캐쳐(133)의 회전을 구속하여 제2캐쳐(133)가 제2레버(150)의 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잠금장치(130)는 도어(100)가 닫힌 상태일 때 열린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레버(150)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130)는 전원을 인가받아 자동으로 동작하여 도어(100)를 잠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5)가 제2캐쳐(133)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 경우 잠금장치(130)는 전기적인 연결 없이도 물리적으로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고정할 수도 있다. 즉, 고정장치(12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부품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120)의 구성은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잠금장치(130)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잠금장치(130)는 전기적 연결이 있는 경우에만 동작할 수도 있다. 즉,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어(100)가 잠금될 수 있으므로 고정장치(120)의 구성은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고정장치(120)는 도어(100)의 닫힌 상태가 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감지스위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스위치(16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을 수용하는 바디(162) 및 바디(162)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스위치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61)는 전면판(13)의 제3절개부(13c)를 통해 전면판(13)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치부(161)는 전면판(13)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도어(100)가 닫힌 상태일 경우 스위치부(161)가 가압되어 도어(100)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100)가 열린 상태일 경우 스위치부(161)의 가압이 해제되어 도어(100)의 열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스위치(160)는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시 도어(100)가 제대로 닫히지 않은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소리 등으로 알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감지스위치(160) 역시 전원을 인가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잠금장치와 링크장치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잠금장치(130)에 연결되는 링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관절 링크(170)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130)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캐쳐(133)의 회전을 구속하여 제2레버(15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정전 등의 상황과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중에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외부에서 물리적으로 도어(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링크(170)가 마련될 수 있다.
링크(170)는 잠금장치(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전면판(13)은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구부(13d)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3d)는 평소에는 커버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다.
링크(170)는 제1부분(171), 제2부분(172) 및 제3부분(17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170)는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링크(170)의 제3부분(173)은 전면판(13)의 개구부(13d)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링크(170)는 본체(10) 하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링크(170)의 제3부분(173)을 잡고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링크(170)가 회전하여 제1부분(171)이 잠금장치(13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130)에 의해 도어(100)가 잠금상태가 된 것을 해제할 수 있다. 정전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도어(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의류를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10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서술하도록 한다.
본체(10)의 전면판(13)으로부터 전면판(13)의 일 측에 결합된 힌지장치(110)를 분리하여 도어(100)를 전면판(13)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š 힌지장치(110)는 도어(100)에 장착된 상태이다.
이후 힌지장치(110)가 개구(21)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 즉 전면판(13)의 타 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한 도어(100)를 회전시킨다. 도어는 대략 180도로 회전될 수 있다. 글라스프레임(105) 및 글라스(106)도 도어(100)에 대해 동일하게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2레버(150)가 도어(1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2레버(150)를 도어(100)의 하부레버장착부(102)에 다시 장착한다. 즉 제2레버(150)는 도어(100)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로 다시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레버(150)는 회전된 도어(1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는 잠금장치(1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판(13)으로부터 고정장치(120)를 분리한다. 분리한 고정장치(120)를 개구(21)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로 전면판(13)에 다시 장착한다. 이를 통해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제1레버(140)의 위치가 변경되었지만 제1레버(140)는 고정장치(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힌지장치(110)를 다시 본체(10)의 전면판(13)에 결합시키면 도어(100)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의 외부에서 제품의 분해 없이 도어(100)의 회전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면판과 도어를 중심으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커버의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서술하도록 한다. 중복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개구(71)가 형성되는 본체(10)의 전면판(73) 및 개구(71)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200)를 포함한다.
도어(200)는 본체(10)의 외부에서 회전 방향이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에 장착되어 도어(2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힌지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장치(210)는 도어(20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0)는 잠금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230)는 도어(200)의 일 측에 마련되어 도어(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잠금장치(230)의 세부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잠금장치(230)는 힌지장치(210)가 도어(200)에 결합되는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도어(200)에 장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잠금장치(230)는 도어(200)의 중심에 대해 힌지장치(210)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도어(200)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장치(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도어(200)에 마련된 잠금장치(230)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본체(10)는 감지스위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감지스위치(260)는 개구(71)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감지스위치(26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감지스위치(26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감지스위치(160)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레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230)의 내부로 레버(240)가 삽입될 수 있다. 레버(240)는 잠금장치(23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는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50)는 본체(10)의 전면판(73)에 장착되어 레버(240)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250)는 전선고정부(251) 및 커버고정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0)의 잠금장치(230)는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데, 도어(200)에 결합되는 힌지장치(210)를 통해 전선이 도어(2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0)의 회전방향 변경 시 힌지장치(210)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힌지장치(210)에 전선을 쉽게 연결하기 위해 커버(250)에는 전선고정부(251)가 마련될 수 있다. 전선고정부(251)는 전선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선고정부(251)의 구성을 통해, 전선 연결을 위해 본체(10)를 분해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힌지브라켓(211)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어 도어(200)의 회전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커버(250)는 커버고정부(252)를 포함한다. 커버고정부(252)는 커버(25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고정부(252)는 대략 ㄱ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50)를 전면판(73)의 제2절개부(73b, 도 8 참조) 등에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판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브라켓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면판(73)은 제1절개부(73a) 및 제2절개부(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개부(73a)와 제2절개부(73b)는 개구(71)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서 전면판(73)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개부(73a)와 제2절개부(73b)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의 회전방향 변경 시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절개부(73a)는 커버(250)의 전선고정부(25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판(73)의 제1절개부(73a)를 통해 전선고정부(251)에 고정되어 있던 전선에 접근할 수 있다.
제2절개부(73b)에는 전선커넥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선커넥터(미도시)는 제2절개부(73b)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의 회전 방향 변경 시 제1절개부(73a) 측에서 커버(250)에 고정되어 있던 전선을 제2절개부(73b)의 전선커넥터(미도시)를 통해 통과시켜 후술할 힌지 브라켓에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힌지장치(210)는 힌지브라켓(211) 및 도어브라켓(216)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211)은 본체(10)의 전면판(73)에 장착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211)은 바디(212), 전선커버(213) 및 캡(21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2)는 힌지브라켓(21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212)는 본체(10)의 전면판(73)에 장착될 수 있다. 전선커버(213)는 바디(212)의 후면 일부를 커버(250)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212)와 전선커버(213)의 사이에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공간(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개부(73b)를 통과한 전선은 힌지브라켓(211)의 전선수용공간(215)에 수용될 수 있다.
캡(214)은 전선수용공간(215)에 수용된 전선을 통과시켜 전선이 도어(20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214)은 바디(212) 및 전선커버(213)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선이 안전하게 도어(200)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캡(214)을 통과한 전선은 도어(200)의 내부에 장착된 도어브라켓(216)을 지나 잠금장치(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잠금장치(230)가 전력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도어(200)에 마련된 잠금장치(230)도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브라켓(211) 내부에서의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선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200)는 사이드홀(200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홀(200a)은 도어(2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230)에 전력이 차단될 경우 도어(200)의 잠금 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홀(200a)을 통해 긴 막대와 같은 구조물을 삽입하여 잠금장치(23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과 같은 상황에서도 도어(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있는 의류를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0)의 전면판(73)으로부터 전면판(73)의 일 측에 결합된 힌지장치(210)를 분리하여 도어(200)를 전면판(73)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š 힌지장치(210)는 도어(200)에 장착된 상태이다.
동시에 본체(10)의 전면판(73)의 타 측에 장착되어 있는 레버(240) 및 레버(240)가 안착되어 있는 커버(250)를 전면판(7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때 커버(250) 후면에 마련된 전선고정부(251)에 전선이 임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250)와 전선을 분리한다.
분리한 커버(250)를 힌지장치(210)가 원래 장착되어 있던 위치인 전면판(73)의 일 측에 장착시킨다. 또한 분리한 레버(240)를 커버(250)에 안착 및 장착시킨다. 이 때 힌지장치(210)와 연결되어 있던 전선을 커버(250) 후면에 마련된 전선고정부(251)에 고정시킨다.
이후 전면판(73)으로부터 분리된 도어(200)를 회전시킨다. 도어(200)에는 힌지장치(2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도어(200)는 원래 커버(250)가 장착되어 있던 위치인 전면판(73)의 타 측에 힌지장치(2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전면판(73)의 타 측이라 함은 힌지장치(210)가 원래 장착되어 있던 위치인 전면판(73)의 일 측과 반대되는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200)는 대략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200) 전체가 회전됨으로써 도어(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글라스프레임(105)과 글라스(106)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글라스프레임(105)과 글라스(106)는 원래의 형상에 대해 거꾸로 된 형상으로 도어(200)에 마련된다. 만일 이대로 힌지장치(210)를 전면판(73)의 타 측에 결합시킬 경우 도어(200)의 회전방향은 변경될 수 있지만 글라스프레임(105)과 글라스(106)는 도어(200)에 거꾸로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글라스프레임(105) 및 글라스(106)를 도어(200)의 내부프레임(104, 도 3 참조) 및 외부프레임(103, 도 3 참조)에 대해 분리하고 대략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도어(200)에 장착한다. 이를 통해 글라스프레임(105)과 글라스(106)는 원래의 형상대로 도어(20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250)를 전면판(73)으로부터 분리할 때 커버(250)로부터 분리한 전선을 전면판(73)의 제2절개부(73b)에 마련된 전선커넥터로 통과시킨다. 통과된 전선을 힌지장치(210)에 연결하고, 도어(200)를 통해 잠금장치(230)에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힌지장치(210)를 다시 본체(10)의 전면판(73)에 결합시키면 도어(200)의 회전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분해 없이 제품 외부에서 도어(200)의 회전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3, 73; 전면판
21, 71; 개구
100, 200; 도어
110, 210; 힌지장치
120; 고정장치
130, 230; 잠금장치
140; 제1레버
150; 제2레버
250; 레버
160, 260; 감지스위치
170; 링크
250; 커버
251; 전선고정부
252; 커버고정부

Claims (20)

  1.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 장치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고정장치; 및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회전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만드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개구의 중앙 상부 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의 중앙 상부에 장착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삽입된 레버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캐쳐;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동작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가 연결되지 않을 때 외부에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를 감지하도록 상기 잠금장치와 함께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전기적 연결 없이도 도어의 닫힌 상태를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레버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캐쳐;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회전 방향이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일 측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힌지장치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잠금장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가 안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브라켓과 도어브라켓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전선이 상기 도어로 연결되어 상기 잠금장치가 전력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동작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전선커버;
    상기 전선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바디 및 전선커버와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도어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힌지브라켓에 상기 전선이 연결되도록 후면에서 상기 전선을 임시로 고정하는 전선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 장치;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에 장착된 제1레버가 삽입되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 장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고정장치;
    상기 도어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제2레버가 삽입되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만들고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개구의 중앙 상부 측에 장착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경우
    상기 힌지장치가 상기 개구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도어를 분리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제2레버가 상기 잠금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레버는 상기 도어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로 다시 장착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레버가 상기 고정장치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 대해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다시 장착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동작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가 연결되지 않을 때 외부에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08823A 2020-01-22 2020-01-22 의류처리장치 KR20210094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23A KR20210094943A (ko) 2020-01-22 2020-01-22 의류처리장치
PCT/KR2020/019116 WO2021149931A1 (ko) 2020-01-22 2020-12-2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23A KR20210094943A (ko) 2020-01-22 2020-01-2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43A true KR20210094943A (ko) 2021-07-30

Family

ID=7699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23A KR20210094943A (ko) 2020-01-22 2020-01-2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94943A (ko)
WO (1) WO2021149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2294A1 (en) * 2022-09-05 2024-03-06 Arç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washer and/or dryer comprising a lock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9287B1 (en) * 2004-07-13 2007-01-03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Household appliance, namely a machine for washing and/or drying laundry, with a door block/release device that can be actuated electrically
JP6568814B2 (ja) * 2016-02-23 2019-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KR101988321B1 (ko) * 2016-04-01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320194B1 (ko) * 2018-03-23 202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0815609B2 (en) * 2018-07-10 2020-10-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ront load washing machine appliance equipped with door reversing locking and latching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9931A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816B2 (en) Clothes dryer and door thereof
KR100465729B1 (ko) 건조기
US10294712B2 (en) Appliance door assembly
EP2796608A2 (en)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589144A2 (en) Clothes drying machine
KR20130082365A (ko) 필터삽입 감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의류건조기
KR1021655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JP380116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094943A (ko) 의류처리장치
CN106436198B (zh) 洗涤和/或烘干装置
KR100465727B1 (ko) 건조기
KR20160084105A (ko) 의류 건조장치
KR102317995B1 (ko) 의류처리기
KR20190062050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80032361A (ko) 원형 흡기관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243150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610664B1 (ko) 의류건조기
KR100465725B1 (ko) 건조기
KR100452368B1 (ko)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CN220665742U (zh) 衣物处理设备
JP3674103B2 (ja) 衣類乾燥機
KR101246375B1 (ko) 신발 수납형 랙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0465718B1 (ko) 건조기
KR100465702B1 (ko) 건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