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297B1 -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297B1
KR100505297B1 KR10-2003-7009449A KR20037009449A KR100505297B1 KR 100505297 B1 KR100505297 B1 KR 100505297B1 KR 20037009449 A KR20037009449 A KR 20037009449A KR 100505297 B1 KR100505297 B1 KR 100505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d device
information
controlled
contro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590A (ko
Inventor
아마노미키
토요카와스구루
무라이타케시
쿠사카마나부
오하라마사히로
아오야마레이코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엠이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제어장치(1)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장치(3∼6)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와,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된 변환장치(2)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피제어장치(3)는, 피제어장치(3)에 관한 피제어장치 정보를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23)와, 피제어장치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통신부(24)를 가지며, 변환장치(3)는, 피제어장치(3)에서 취득한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를 작성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작성수단과, 피제어장치 정보 및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를 등록 관리하는 정보 관리수단을 갖고, 제어장치(1)는,변환장치(2)로부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를 취득하여 피제어장치(3∼6)를 조작하는 조작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음으로써, 원격 오퍼레이션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다른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기기를 간단하게 원격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예컨대 원격지에 있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기가 고장난 경우의 가장 보급되어 있는 대책은, 서포트 센터에 전화로 증상을 설명하여, 장해의 중증에 따라 유저가 복원하거나, 서비스맨을 파견하여 수리를 하거나 하는, 주로 남의 손에 의지하는 방법이다. 이에 대해, 통신 장치에 대해서는, 원격지로부터 장치의 상태를 보거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하는, 보수, 관리를 행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15393호에 개시되어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시스템에서는, 머신으로부터 통지되는 에러 정보에 맞춰, 콘트롤 센터에서 복원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송신함으로써 장해의 복구, 증상의 경감을 행한다. 또한, 콘트롤 센터에서 수집한 에러 이력에 의해 에러 발생을 예측하고, 대책 프로그램을 사전에 송신함으로써, 장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도19에 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콘트롤 센터(167)와 각지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라고 칭한다.)(164∼166)가, 통신 네트워크(16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피제어장치인 머신 A(161), 머신 B(162), 머신 C(163)는, AP(164)와 접속되어 있다. 콘트롤 센터(167)는, 각 AP(164∼166)를 통해, 피제어장치인 머신(161∼163)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 센터(167)는, 데이터 베이스(DB) (168)에 저장된 머신(161∼163)의 조작 테이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머신(161∼ 163)에 송부함으로써, 보수, 관리를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대책 기관(161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서비스 센터(169)로부터 서비스맨을 파견하여 장해에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
콘트롤 센터와 피제어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에 속해 있기 때문에 직접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예컨대 장치가 프라이빗(private) 네트워크에 속하고, 콘트롤 센터가 글로벌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경우는, 어떠한 중계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현재 주류로서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체계를 예로 설명하면, 어드레스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가정내나 기업내는 로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이후 「LAN」이라고 기재한다.)를 구축한다. 이 때, LAN으로부터 글로벌 네트워크로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 등의 어드레스 변환 기술을 사용한다. NAT는 헤더에 포함되는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글로벌 어드레스로 변환하지만,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라이빗 어드레스의 변환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트롤 센터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액세스를 시험해 보는 경우에는, NAT에 의해서는 중계를 행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는, 콘트롤 센터와 피제어장치 사이에 중계장치를 배치하고, 중계장치가 피제어장치 어드레스와 코맨드 일람을 테이블로 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콘트롤 센터는 중계장치에 대해 코맨드를 송신하고, 중계장치는 수신된 코맨드를 해석하고, 코맨드 일람 테이블을 참조하여, 적절한 피제어장치에 코맨드를 전송한다.
그러나, 이 경우, 중계장치에 있어서 코맨드 일람 테이블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피제어장치가 추가되어 코맨드가 변경이 된 경우에는 그 때마다 테이블을 갱신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하였다.
또한, 일단, 중계장치가 모든 코맨드를 수신하고, 해석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피제어장치나 코맨드가 증가하면 코맨드 일람 테이블의 데이터량이 방대하게 되어, 중계장치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15393호에서는, 콘트롤 센터(167)와 머신(161∼163)은 직접 통신하지 않고, 다른 기기가 중계를 행해도 좋다고 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중계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아, 제어 데이터가 장치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의 과제는 남겨진 채로 있다.
또한, 콘트롤 센터로부터 원격 제어를 행할 수 있는 환경에 있었던 경우에도, 종래는 미리 정해진 장치에 대해 정해진 조작만을 행하는 것밖에 가능하지 않고, 또한 메이커나 장치에 의해 원격 제어의 조작 방법이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상이하여, 원격 제어를 행하는 오퍼레이터에게도 피제어장치에게도 많은 부담을 준다. 이 때문에, 복수의 메이커나 상이한 장치가 혼재하는 네트워크의 통합적인 관리, 제어는 곤란하였다.
또한, 콘트롤 센터에서는, 장치 제어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항상 유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어, 버젼 업이나 제어 대상 장치가 추가될 때마다, 제어 정보를 추가 갱신하는 등, 데이터 베이스 관리에 많은 노력을 소비하고 있었다. 또한, 에러에는 개체 차가 있고, 그 대책 방법도 개체 별로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 경우, 개체마다의 수리 노하우를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하려면, 방대한 유지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15393호에서는, 장치에 발생한 에러에 대한 대책 프로그램을 어느 정도 특정할 수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예컨대 에러의 원인을 콘트롤 센터로부터 조작하여 특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원격지에 있는 오퍼레이션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상이한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장치를 간단히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Lookup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a부터 도4c까지는, Lookup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 IA 오브젝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로부터 피제어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삭제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 IA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냉장고를 예로 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 IA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에어컨을 예로 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자기 진단 기능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피제어장치로부터 제어장치로 자기 진단 요청이 있었던 경우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레임 워크 처리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레임 워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 통신부에서의 프레임 워크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 OpS로부터 피제어장치 IA로의 오브젝트 다운로드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적어도 1이상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된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피제어장치 정보를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와,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통신부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작성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작성 수단과,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등록 관리하는 정보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제어장치로부터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제어에 필요한 정보 관리를 간편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어장치란, 예컨대 원격지의 오퍼레이션 센터에 있는 조작단말이나 고객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 등의 장치군을 나타내고, 이 제어장치를 이후, 제어장치 OpS라고 기술한다. 변환 장치란, 예컨대 상이한 네트워크간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완수하는 것을 나타내고, 이 변환장치를 이후 변환 장치 HGW라고 기술한다. 피제어장치란, 예컨대 원격지로부터의 조작 대상으로 되는 통신 기능을 갖는 각종 기기이며, 제어될 뿐만 아니라 단독으로 기능도 완수하는 기기를 나타내고, 이 피제어기기를 이후 피제어장치 IA라고 기술한다.
제어장치 OpS를 포함하여 제1 네트워크가 구성되고, 1대 이상의 피제어장치 IA를 포함하여 제2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된 변환 장치 HGW가 제공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 OpS(1)와 공중망(7)을 포함하여 제1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피제어장치 IA3,4,5,6를 포함하여 제2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는, 변환 장치 HGW(2)를 중계점으로 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 OpS(1)와 변환장치 HGW(2)는 공중망(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는, 예컨대 글로벌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예컨대 가정내 LAN이다. 예컨대, 제어장치 OpS(1)는, 인터넷과 관련 부착되어 있고, 변환장치 HGW는 가정내 LAN과 인터넷의 양방에 관련 부착되어 있고, 가정내 LAN은, 여러가지 메이커, 기종, 버젼의 피제어장치 IA와 관련 부착되어 있다. 관련 부착되어 있는 것은, 유선·무선 등의 방법에 상관 없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제어장치 OpS는, 예컨대 피제어장치 IA 메이커가 자사의 피제어장치 IA 전용의 제어장치 OpS를 운영하거나, 복수 메이커에 대응한 서비스 회사가 일괄적으로 운영하거나, 제어 데이터 DB를 메이커가 운영하고, 서비스 회사가 메이커가 운영하는 제어 데이터 DB를 활용하는 등, 여러가지 운영 방법이 있다. 또한, 제어장치 OpS는 인터넷상에 복수 존재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제어장치 IA가 갖는 피제어 정보를 피제어장치 정보, 변환장치 HGW가 갖는 피제어 정보 프록시를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라고 기술한다. 피제어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피제어장치 정보)는 제2 네트워크(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조작 명령을 포함하고 있고,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는, 제1 네트워크에서 실행 가능한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2는, 변환장치 HGW(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변환장치 HGW(2)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글로벌 어드레스와 프라이빗 어드레스의 양방을 갖고 있다.
변환장치 HGW(2)에는, 여러가지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정보 관리 기능이 가동하고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 Jini가 제공하는 Lookup 서비스 등의 정보 관리 기능에 대해 문의를 행하면,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정보 관리 기능을, 이후 Lookup 서비스(31)라고 기술한다. Lookup 서비스(31)에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와 피제어장치 정보(36)를 포함하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프록시 기능부(32)는, 피제어장치 정보(36)로부터, 대응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를 생성하고, Lookup 서비스(31)에 등록하는 기능과,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와 피제어장치 정보(36)의 중계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Lookup 서비스의 구조에 대해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Lookup 서비스의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Lookup 서비스의 기본적인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ookup 서비스 시스템(200)은, 서비스 관리자(Lookup 서비스)(201)와, 서비스 제공자(IA)(203)와, 서비스 이용자(OpS) (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비스 관리자(201)는, 서비스 제공자(203)의 서비스를 관리하고, 서비스 이용자(205)에게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203)는, 서비스 관리자(201)에게 제공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고, 서비스 이용자(205)에게 서비스를 행한다. 서비스 이용자(205)는, 서비스 관리자(201)로부터, 서비스 제공자(203)를 검색하고, 서비스 제공자(203)로부터 서비스를 받는다.
도2에 도시된 예에서는, 서비스 관리자(201)가 Lookup 서비스에 상당하고, 서비스 제공자(203)가 피제어장치 IA에 상당하고, 서비스 이용자(205)가 제어장치 OpS에 상당한다.
도4a에서 도4c까지는, Lookup 서비스의 기본적인 이용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새로운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도4a에 L1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203)인 피제어장치 IA는, 그 존재를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 피제어장치 IA내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207)를 서비스 관리자(201)인 Lookup 서비스에 등록한다. 제공 가능한 서비스 (207)가 Lookup 서비스로 독출된다.
서비스 관리자(Lookup 서비스)(201)에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207)를 이용할 때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서비스 이용자(제어장치 OpS)(205)가, 서비스 관리자(201)의 Lookup 서비스에, 서비스(207)의 제공을 요구한다(L12).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자(Lookup 서비스)(201)는, 요구된 서비스(207)의 카피를 클라이언트인 서비스 이용자(제어장치 OpS)(205)에게 전송한다 (L13). 클라이언트인 서비스 이용자(제어장치 OpS)(205)는, 서비스(207)의 카피를 사용하여, 목적의 서비스 제공자(203)인 피제어장치 IA와 통신을 행한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의 화상 데이터를, Lookup 서비스를 통해 프린터에서 인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우선, 프린터가 인쇄 서비스를 Lookup 서비스에 등록하여 놓는다. 이어서, PC로부터 화상을 인쇄하고 싶은 경우, Lookup 서비스에 「인쇄 서비스」를 요구한다. PC에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전송된다. PC에서 「인쇄 서비스」를 실행한다. PC내의 「인쇄 서비스」가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전달하고, 인쇄를 개시한다. 이상에 의해 인쇄 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Lookup 서비스가,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이용된다.
또한, 변환장치 HGW(2)는, 제1 네트워크(OpS)와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기능부(33)와 제2 네트워크(IA)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기능부(34)를 갖는다. Lookup 서비스(31)와 프록시 기능부(32)는, 모두 제1 통신 기능부(33)와 제2 통신 기능부(34)와 접속되어 있고, 변환장치 HGW(2)는 제1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제어장치 OpS(1)와 제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 IA(3∼6)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5는, 피제어장치 IA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편의상 피제어장치 IA를 대표하여 피제어장치 IA3만을 나타내지만, 존재하는 n개의 피제어장치 IA는 기본적으로 도5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하, 「피제어장치 IA3」라고 기재한 경우는, 피제어장치 IA3 ∼ 피제어장치 IA6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피제어장치 IA3는, 통상의 피제어장치 IA 특유의 기능을 갖는 피제어장치(IA) 기능부(21)와, 피제어장치(IA) 기능부(21)를 제어하는 피제어장치 (IA) 펌웨어(22)와,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23)와, 피제어장치(IA) 통신 기능부 (24)를 구비하고 있다.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23)는, 피제어장치 IA3가 유지하고 있는 피제어장치 정보의 관리 기능과, 변환 장치 HGW(2)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정보 관리 기능에 피제어장치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갖는다.
피제어장치 IA가 유지하고 있는 피제어장치 정보란, 피제어장치 IA 자신이 갖는 제2 네트워크 어드레스 정보나 피제어장치 IA를 조작하기 위한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method),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를 이용하기 위한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 정보, 피제어장치 IA의 프로퍼티(property) 정보라고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23)는, 피제어장치 정보내에 있는 피제어장치 IA의 메소드를 피제어장치(IA) 펌웨어(22)에 전달하고, 피제어장치 IA의 제어를 행하는 기능도 갖는다. 피제어장치(IA) 통신 기능부(24)는, 피제어장치 IA3와 변환장치 HGW(2)의 통신이나, 다른 피제어장치 IA4∼6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6은, 제어장치 OpS(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장치 OpS(1)는, 변환장치 HGW(2)를 통해 피제어장치 IA3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 OpS(1)는,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1)와, 제어장치 Ops(1)로부터 발송하는 제어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2)와, 통신을 행하는 제어장치(OpS) 통신부(43)를 구비한다. 표시부(41)는, 제어장치(OpS) 오퍼레이터가 조작을 행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4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 OpS의 오퍼레이터는, GUI(44)를 사용하여 각종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장치(OpS) 통신부(43)에 의해, 통신 기능 외에, GUI(4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변환장치 HGW(2)(도2)의 Lookup 서비스(31)에 대하여 문의를 행하고, Lookup 서비스(31)에 등록되어 있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OpS) 통신부(43)는, GUI(4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가 유지하는 메소드 정보에 기초한 메소드 실행 명령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장치 OpS(1)는 표시부(41)를 구비한 것으로 하였지만, 표시부(41) 이외의 장비, 예컨대 음성 입출력장치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다음, 피제어장치(IA) 정보 등록과, 조작 메소드 중계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피제어장치 정보 등록 흐름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제어장치 정보 등록의 흐름을 점선으로, 조작 메소드 중계의 흐름을 직선으로 나타낸다. 피제어장치 IA3는, 피제어장치 IA3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피제어장치(IA) 정보(37)를 Lookup 서비스(31)에 등록한다(L1). Lookup 서비스(31)에 등록된 피제어장치(IA) 정보(36)는,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 메소드나 제2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IA) 식별 정보, 예컨대 프라이빗 어드레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3를 제어하고자 한 경우에, Lookup 서비스(31)로부터 피제어장치(IA) 정보(36)를 취득했다고 해도, 제어장치 OpS(1)는 제1 네트워크에, 피제어장치 IA3는 제2 네트워크에 속해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 OpS(1)로부터는 피제어장치 IA3의 프라이빗 어드레스당 제어를 위한 통신을 행해도, 제어 명령은 피제어장치 IA3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그래서, 변환장치 HGW(2)의 프록시 기능부(32)가, Lookup 서비스(31)로부터 피제어장치 정보등록 검지신호(L2)를 수취하면, 대응하는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를 생성하고,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를 Lookup 서비스(31)에 등록한다(L3). 피제어장치 정보(IA) 프록시(35)는, 예컨대 피제어장치 정보(36)에 대응하는 피제어장치 IA3의 제2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와, 피제어장치 정보(36)에 포함되는 조작 메소드를 중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변환장치 HGW(2)의 제1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 제어장치 OpS(1)로부터의 조작 메소드 중계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어장치 OpS(1)가, 피제어장치 IA3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우선 변환장치 HGW(2)의 Lookup 서비스(31)로부터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를 취득한다(L4). 제어장치 OpS(1)는, 취득한 피제어장치(IA) 프록시 정보(38)를 이용하고, 변환장치 HGW (2)에 대해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 중계 명령을 발송한다(L5).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 중계 명령을 수신한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는, 프록시 기능부(32)에 전송된다(L6). 프록시 기능부(32)에서는,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피제어장치(IA) 정보 및 실행해야 하는 조작 메소드를 조사한다. 다음, 조사한 피제어장치(IA) 정보(36)의 조작 메소드를 실행하고, 피제어장치 IA3에 조작 메소드를 전송한다 (L7,L8).
이상의 순서에 의해, 변환장치 HGW(2)는,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3로의 조작 메소드의 중계를 행할 수 있다.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 자신이, 대응하는 피제어장치 정보(36)와, 어떤 조작 메소드를 실행해야 하는지의 정보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변환장치 HGW(2)에서는, 피제어장치(1A) 정보(36)와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의 대응을 테이블 등에 의해 관리할 필요가 없고, 제어장치 OpS(1)로부터 어느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가 실행될 때, 어떤 피제어장치(IA) 정보(36)의 조작 메소드를 실행하는지는,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 자신을 조사하는 것만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 IA3나 피제어장치 IA3가 갖는 피제어장치(IA) 정보(36)가 증가하였어도, 바꿔 말하면 Lookup 서비스(31)에 등록되는 피제어장치(IA)(36)가 증가하여도, 피제어장치(IA) 정보(36)와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는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Lookup 서비스(31)에 등록되는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의 수는 증가하지만, 대응 정보는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 자신이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대응을 관리하는 시간이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는 자동적으로 생성되고,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는, 변환장치 HGW(2)의 중계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남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피제어장치 IA3와 제어장치 OpS의 중계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다음, 본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IA) 정보 등록 시퀀스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제어장치 IA3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피제어장치 IA3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피제어장치(IA) 정보를 Lookup 서비스(31)에 등록한다(51). 예컨대, 피제어장치 (IA) 정보의 등록 타이밍을, 네트워크 접속 또는 피제어장치 IA3의 전원 투입시라고 한 소정의 이벤트가 개시되는 타이밍에서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설계해두면, 피제어장치 정보의 Lookup 서비스(31)로의 등록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유저의 수고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피제어장치 정보의 시스템에 등록을 행할 수도 있다.
Lookup 서비스(31)에 있어서는, 피제어장치(IA) 정보 등록 요구(51)를 수신하면, 피제어장치(IA) 정보의 등록 처리를 행하고(52), 프록시 기능부(32)에 피제어장치(IA) 정보등록 검지신호를 발송한다(53). 등록 검지 신호(53)를 수신한 프록시 기능부에서는, 피제어장치 정보(36)에 대응하여, 변환장치 HGW(2)와 관련 부착되는 제1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예컨대, 글로벌 어드레스), 어떤 피제어장치(IA) 정보(36)(예컨대, 프라이빗 어드레스)의 어떠한 조작 메소드를 실행하는지의 중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를 생성한다(55). 또한, 생성된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를 Lookup 서비스(31)에 등록한다 (56).
이상의 시퀀스에 의해, 피제어장치 IA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어장치 OpS(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피제어장치(IA) 정보 등록 시퀀스를 완료한 피제어장치 IA는, 제어장치 OpS(1)로부터 제어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제2 네트워크에 새로운 피제어장치 IA를 접속하면, 새롭게 접속된 피제어장치 IA와 변환장치 HGW(2)는, 상기 처리 순서 51부터 56까지를 반복하여, 피제어장치(IA) 정보 등록 처리를 행한다.
다음, 본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 OpS(1)로부터의 조작 시퀀스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어장치 OpS(1)로부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장치 정보 등록 시퀀스가 종료한 피제어장치 IA에 대해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우선, 제어장치 OpS(1)에서는, 제어장치 OpS(1)의 오퍼레이터가 GUI(44)를 이용하여, 제어장치 OpS 통신부(43)에, 피제어장치 IA3가 속하는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되어 있는 변환장치 HGW(2)로의 접속 요구를 내보낸다(601). 이 때, 제어장치 OpS(1)로부터의 조작 트리거(trigger)는, 예컨대 피제어장치 IA3 유저로부터의 조작 요청 이벤트이어도 좋고, 또는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제어장치 OpS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접속 이벤트이어도 좋다.
제어장치(OpS) 통신부(43)에서는, 변환장치 HGW(2)에 접속되고(602), Lookup 서비스(31)로 등록정보 취득요구를 전송한다(603). 등록정보 취득요구(603)를 수신한 Lookup 서비스(31)는, 자신에게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제어장치 OpS(1)의 요구 조건에 합치하는 집합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는, 제어장치 OpS(1)는, 제1 네트워크에 속해 있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등록 정보, 즉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를 모든 제어장치 OpS(1)로 전송한다(604).
제어장치 OpS 통신부(43)는, 취득한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의 집합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IA의 조작 화면을 구축하고, 표시시킨다(605). 여기까지의 처리를 거쳐, 제어장치 OpS(1)의 화면에는 제2 네트워크에 속하고, Lookup 서비스(31)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피제어장치 IA에 대한 조작 메소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오퍼레이터가 GUI(44)에 표시되어 있는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 중에서, 실행하고 싶은 조작 메소드를 선택한다. 제어장치(OpS) 통신부(43)에 메소드 실행 요구가 발행되고(610), 제어장치(OpS) 통신부(43)로부터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에 대해,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 중계 명령을 발행한다.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35)에는, 변환 장치 HGW(2)의 제1 네트워크에 대한 식별정보(글로벌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 OpS 통신부(43)에서는, 변환장치 HGW(2)의 어드레스를 향해 피제어장치 IA3의 조작 메소드 중계 명령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IA) 조작 메소드 중계 명령에는, 피제어장치 IA3의 프라이빗 어드레스와, 실행해야 하는 조작 메소드를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프록시 기능부(32)는, 피제어장치 IA 조작 메소드 중계 명령에 의해 지정된 피제어장치 IA3와 조작 메소드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IA3의 조작 메소드를 실행한다(611).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23)는 조작 메소드를 실행하고, 필요하면 피제어장치(IA) 펌웨어(22)에 작용하여, 피제어장치 IA3 자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조작 메소드의 실행 결과에 관한 정보를, 피제어장치(IA) 펌웨어(22)로부터 취득하고 (612), 프록시 기능부(32)를 경유하여 제어장치 OpS 통신부(43)로 반송한다(613). 메소드 실행 결과를 수취한 제어장치 OpS 통신부(43)는, 메소드 실행 결과를 GUI (44)에 반영하여, 피제어장치 IA의 제어결과를 제어장치 OpS 오퍼레이터에 알린다 (614).
이상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장치 OpS(1)와 피제어장치 IA3가 상이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도, 오퍼레이터가 Lookup 서비스(31)에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피제어장치 IA의 제어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 자체가, 대응하는 피제어장치 정보(36)와 조작 메소드 정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변환장치 HGW(2)에서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35)와 피제어장치 정보(36)의 대응 관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범용적인 중계 기능을 사용해도 좋기 때문에, 모든 코맨드 해석을 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피제어장치 IA3가 갖는 조작 메소드가 변경이 된 경우에도, 변환장치 HGW(2)에 있어서의 변경을 행하지 않고 새로운 조작 메소드를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피제어장치 IA3가 갖는 피제어장치(IA) 정보를, 모든 Lookup 서비스(31)에 등록하는 예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예컨대 피제어장치 IA3에, 피제어장치(IA) 정보가 갖는 모든 조작 메소드를 수집하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Lookup 서비스(31)는, 전체 조작 메소드 수집 기능용의 피제어장치 정보만을 등록하여, 제어장치 OpS(1)에서는 전체 조작 메소드 수집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피제어장치 IA3가 갖는 전체 피제어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606∼609). 이 경우에는, Lookup 서비스(31)가 피제어장치(IA) 정보(36)를 하나의 피제어장치 (IA)에 관계시켜, 단지 하나의 피제어장치(IA) 정보(36)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좋다. 이에 더하여, 피제어장치 IA3의 기능의 변경마다 피제어장치 정보를 등록 정정할 필요도 없어진다.
다음, 피제어장치 IA가 갖는 제어 정보(피제어장치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제어장치(IA) 정보는, Java 등의 오브젝트 지향형 언어로 기술된 오브젝트이다. 오브젝트란, 어느 기능에 관하여, 그 기능의 상태와 행동에 관한 정보를 정리해서 갖고 있고, 클래스라고 불리는 모델로부터 오브젝트의 실체가 생성된다. 즉, 예컨대 냉장고가 갖는 기능에 대해서는 냉장고 클래스로 정의되고, 냉장고 클래스를 소정의 처리(컴파일 등)를 행함으로써, 냉장고의 기능을 갖는 냉장고 오브젝트를 작성할 수 있다.
도7에, 기본적인 피제어장치 정보 오브젝트 구조와, 각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정보예를 도시한다. 피제어장치 IA3는, 피제어장치 IA3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하나의 피제어장치 IA 설명 오브젝트(71)와, 피제어장치 IA3가 갖는 기능을 오브젝트에 의해 표현한 기능 유닛 오브젝트(74)를 포함한다. 기능 유닛 오브젝트 (74)는, 피제어장치 IAS3가 제공하는 기능 단위로 오브젝트화되어 있고, 예컨대 냉장고이면, 냉장실 오브젝트와 냉동실 오브젝트 등을 갖는다.
피제어장치 IA3는, 하나의 피제어장치 IA 설명 오브젝트(71)와, 하나 이상의 기능 유닛 오브젝트(74)를 구비하고 있다. 피제어장치(IA) 설명 오브젝트(71)에는, 예컨대 피제어장치 IA3의 품종명, 메이커명, 모델번호(型番) 등의 개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장치 OpS(1)가 제어를 행할 때에 피제어장치 IA 설명 오브젝트 (71)를 참조함으로써, 예컨대 형식적인 피제어장치 정보를 알 수 있다.
기능 유닛 오브젝트(74)는, 기능 유닛 설명 오브젝트(74a)와, 기능 유닛 오브젝트(74b,74c)의 집합으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기능 유닛 설명 오브젝트(74)는, 어느 기능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 메소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능 유닛 오브젝트(74)는, 기능 유닛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기능 유닛 설명 오브젝트(74a,74b-1)와, 기능 유닛 오브젝트(74b)에 포함되는 조작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리모트 조작 설명 오브젝트(74b-2)를 갖고 있다.
기능 유닛 오브젝트(74b)는, 복수의 조작 메소드가 포함되어 있고, 조작 메소드의 수만큼의 리모트 조작 설명 오브젝트(74-2)를 갖고 있다.
기능 유닛 설명 오브젝트(74b-1)에는, 메이커명, 기능명 등, 그 유닛이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리모트 조작 설명 오브젝트(74b-2)에는, 조작 메소드를 원격에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수 정보 (argument information)나 반송치 정보(returned value information) 등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setRSetTemp라고 하는 조작 메소드에 관한 리모트 조작 정보 오브젝트(74b-2)에는, 「메소드 인수 정보 : 온도(℃), -1∼-7」, 「메소드 설명 : 냉장실의 설정 온도를 세트한다」, 「메소드명 : setRSetTemp」, 「반송치의 형태 : void」, 「반송치의 일람표 : NULL」이라고 한 정보가 세트되어 있다.
제어장치 OpS(1)는, 이들 설명 오브젝트를 취득하고 참조함으로써, 피제어장치 IA3 또는 기능 유닛, 조작 메소드 등을 알고, 적절하게 피제어장치 IA3를 제어할 수 있다.
도7의 피제어장치 정보 오브젝트 구조를 냉장고와 에어컨에 적용한 예를, 도10 및 도11에 각각 도시한다.
도10을 참조하여, 냉장고에 대한 피제어장치 정보 오브젝트의 구조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장고에 관한 오브젝트로서는, 냉장고 설명 오브젝트(71)와, 냉장고의 기본적인 기능 오브젝트인 전원 오브젝트(73)와, 냉장실 오브젝트(74)와, 냉동실 오브젝트(75)를 갖고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모든 피제어장치 IA가 공통으로 갖는 기능인 공통 오브젝트로서 주 제어 오브젝트(72)를 갖고 있다.
각 오브젝트에는, 원격단말(제어장치 OpS(1), 변환장치 HGW(2))에서 실행할 수 있는 조작 메소드와, 조작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조작 메소드를 사용하기 위한 지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전원 오브젝트(73)는, 전원을 온 오프 하기 위한 조작 메소드 setPowerStatus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원 상태를 취득하는 조작 메소드 getPowerStatus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전원을 온 오프 하기 위한 조작 메소드는 fridge.Power.setPowerStatus()라고 나타내고, [fridge.〕는, Power 오브젝트가 냉장고에 속하는 오브젝트 임을, [Power.〕는, 전원 오브젝트(73)에 관한 조작 메소드 임을, 각가 도시하고 있다.
냉장실 오브젝트(74)는, 또한 냉장실 설명 오브젝트(74a)와, 온도 오브젝트 (74b)와, 도어 오브젝트(74c)를 갖고 있다. 냉장실 설명 오브젝트(74a)는, 냉장실에 관한 설명 정보(메이커명 등)를 갖고 있다. 온도 오브젝트(74b)는, 냉장실의 온도 관리에 관한 조작 메소드를 갖고 있다. 온도 오브젝트(74b)는, 예컨대 현재의 냉장실내 온도를 취득하는 getRCurrentTemp(), 실내 온도를 설정하는 setRsetTemp()를 갖고 있다.
도어 오브젝트(74c)는, 냉장실의 도어에 관한 조작 메소드인, 도어 상태를 취득하는 getRDoorStatus()와, 도어 상태를 설정하는 setRDoorStatus()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장치 OpS(1)에서는, 상기 조작 메소드가 포함되는 오브젝트를 취득하고, 희망하는 조작 메소드를 실행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냉장실의 온도를 -1℃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는, 제어장치 OpS(1)로부터 fridge.Refrig.RTemp.SetRSetTemp(-1)를 실행하면 좋다. 또한, 이 제어를 행한 결과로서 현재의 상태를 취득하고 싶은 경우는, 제어장치 OpS(1)로부터 fridge.Refrige.RTemp.getRCurrentTemp()를 실행하면, 현재의 냉장실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오브젝트로서 에어컨 설명 오브젝트(76)와, 에어컨의 기본적인 기능으로서의 주 제어 오브젝트(77)와, 전원 오브젝트(78)와, 실내기 오브젝트(79)와, 실외기 오브젝트(80)를 갖고 있다. 실내기 오브젝트(79)와 실외기 오브젝트(80)는, 또한 기능 유닛 오브젝트(80b부터 80f까지, 81b부터 81c까지)를 갖고 있다. 기능 유닛마다 기능 유닛 설명 오브젝트와 리모트 조작 설명 오브젝트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도11에 도시된 오브젝트의 구성예는, 실제의 제품인 부품 구성과 일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어느 부품을 실제로 변경한 경우에, 관련되는 기능 오브젝트 및 상기 기능 오브젝트에 속하는 설명 오브젝트, 리모트 조작 정보 오브젝트를 재기입하면, 교환 부품 및 관련 정보의 버젼 업을 완료할 수 있어, 부품이나 기능의 교환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메소드의 사용 방법 등을 별도 관리하는 것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리모트 조작 정보 오브젝트에 조작 메소드의 지원 정보를 저장하여 놓으면, 예컨대 제어장치 OpS(1)로부터 수리를 행하는 경우 등은, 그 지원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어떤 때에 그의 조작 메소드를 이용하면 좋은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수리시에 사용하는 조작 메소드인 경우는, 어떤 현상일 때 어떤 조작 메소드를 사용하면 좋은 것인지 등의 수리 노하우를 지원 정보로서 리모트 조작 정보 오브젝트에 저장하여 놓음으로써, 제어장치 OpS1의 오퍼레이터가, 예컨대 수리 메뉴얼과 같은 다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적당하게, 리모트 조작 정보 오브젝트를 갱신함으로써, 항상 최신의 수리 노하우를 피제어장치 IA가 유지할 수 있다.
임의의 오브젝트를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피제어장치 IA의 구성을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텔레비전이 갖는 오브젝트와 비디오가 갖는 오브젝트를 조합시키면, 텔레비젼과 비디오 양방의 기능을 갖는 텔레비디오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조작 메소드는 종래의 텔레비전 및 비디오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어장치 OpS(1)로부터의 제어 방법도 마찬가지이고, 오퍼레이터는, 피제어장치 IA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가능한 조작 메소드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의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원격 제어의 가부에 상관없이, 피제어장치 IA 자체가 기능 단위의 오브젝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제어장치 IA에 있어서의 다운로드/업로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제어장치 IA3는, 주 제어 오브젝트(72)에 임의의 정보를 다운로드/업로드 하기 위한 조작 메소드를 갖는다.
예컨대, 피제어장치 IA3의 일부 기능이 변경된 경우, 관련되는 오브젝트 등을, 공중망(7)을 통해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3로 전송한다. 그를 위해, 제어장치 OpS(1)는, 주 제어 오브젝트(72)의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한다. 이어서 다운로드 조작 메소드를 실행함으로써,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3에 필요한 오브젝트나 파일을 전송한다.
도18은,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3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브젝트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어장치 OpS(1)에서 실행되는 조작 메소드는, 도18에 도시된 시퀀스에 따라 취득한 피제어장치(IA) 정보 프록시에 포함되게 한다. 처리(151)에 있어서,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MainControl.unload()를 실행하고, 피제어장치 IA3에서 지정된 오브젝트를 언로드 처리한다(T5). 다음,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MainControl.download()를 실행하여(152), 새로운 오브젝트로 송신한다. 피제어장치 IA3에서는, 수신 오브젝트를 전개하고(T6), 제어장치 OpS(1)로부터 피제어장치 ia.MainControl.load()(153)가 실행되는 것을 기다려, 새로운 오브젝트를 로드하여(T7), 오브젝트의 교체가 완료된다.
상기 예에서는, 피제어장치 IA 오브젝트의 교체 순서를 나타내었지만, 마찬가지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펌웨어의 교체, 설정 파일의 갱신이 가능하다. 또한, 피제어장치 IA3로부터 제어장치 OpS(1)로의 업로드를 사용함으로써, 피제어장치 IA3의 파일 백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 IA3로부터 제어장치 OpS(1)로의 업로드도, 마찬가지로, 피제어장치(IA) 정보에 업로드 조작 메소드를 포함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12는, 도2에 도시된 피제어장치 IA3의 정보 관리부(23)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정보 관리부(23)에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 기능에 더하여, 자기 진단 기능부(91)와 스케쥴 기능부(92)가 포함된다. 자기 진단 기능부(91)는, 피제어장치 IA3의 부품이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각 기능의 동작을 체크하는 자기 진단 기능에 관한 기능을 한다. 스케쥴 기능부(92)는, 태스크의 스케쥴 관리, 예컨대 설정 시각에 지정 태스크를 기동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 스케쥴 기능부(92)에는, 자기 진단 기능을 실행하는 시각이 설정되어 있다.
도13에, 도12에 나타낸 피제어장치 IA3의 정보 관리부(23)를 사용하여, 자기 진단을 행하는 플로우를 나타낸다. 자기 진단을 실행하는 시각이 되면, 스케줄 기능부(92)로부터 자기 진단 기능부(91)로 자기 진단을 행하는 취지가 전달되어, 자기 진단이 기능한다(스텝 S101). 자기 진단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02에서, 자기 진단 결과를 제어장치 OpS(1)로 보낸다. 이 기능을 구비하게 되면, 제어장치 OpS(1)가 항상 감시를 행하지 않더라도, 피제어장치 IA3의 장해 발생 또는 상태 변화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회선의 점유율을 감소시키고, 통신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 OpS(1)에 피제어장치 IA3의 상태 변화를 축적함에 의해, 항상 감시를 행하지 않더라도 장해 발생 예측이 가능하고,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진단 실행 결과를 제어장치 OpS(1)에 발신하는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컨대 피제어장치 IA3이 실행 결과 해석 기능부를 갖고, 해석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편집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변환장치 HGW(2)에 자기 진단 실행 결과를 발신하고, 변환장치 HGW(2)에서 필요한 정보를 편집하여 제어장치 OpS(1)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14는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제어장치 OpS(1)로 자기 진단 실행 요청이 있어서, 제어장치 OpS(1)가 자기 진단을 실행하는 경우의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제어장치 OpS(1)에 자기 진단 실행의 요청이 발행된다(111). 이 요청에는, 피제어장치 IA3을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ID, 단말명, MAC어드레스 등)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에, 요청을 받은 제어장치 OpS(1)에서는, 요청을 발신한 피제어장치 IA3이 속하는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변환장치 HGW(2)를 조사한다. 우선 변환장치 HGW(2)로 액세스하여, 제2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112,113).
이하, 도8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피제어장치 IA3을 특정하며(TO), 타겟 피제어장치 IA3의 자기 진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한다(114,115). 그리고, 제어장치 OpS(1)로부터 취득한 피제어장치 (IA) 정보 프록시를 사용하여, 타겟의 피제어장치 IA3의 자기 진단 기능을 실행한다 (116,117,T1). 자기 진단 실행 결과를 타겟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제어장치 OpS(1)로 송신하며(118), 그 결과를 받아서 제어장치 OpS(1)는, 소프트웨어 에러의 경우는 수리를 행한다.
상기 절차에 의해, 항상 제어장치 OpS(1)로부터 감시할 필요가 없고, 예컨대 장해 발생시 등, 특정의 경우에만 제어장치 OpS(1)와 피제어장치 IA3 사이의 통신을 행하면 된다.
또한,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제어장치 OpS(1)로의 자기 진단 요청은, 도1에 나타낸 네트워크를 통해 행할 수 있지만,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피제어장치 IA3이 제어장치 OpS(1) 이외의 예컨대 장해 접수 창구 등에 일단 통지하고, 창구에서 통지를 받은 오퍼레이터가 제어장치 OpS(1)를 이용하여 피제어장치 IA3을 제어하는 메소드를 이용할 수 있다.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제어장치 OpS(1)로의 자기 진단 실행 요청은,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컨대 현재의 상태 정보, 조작 로그, 상태 로그 등을 포함하여 요청을 발행하고, 그것을 받은 제어장치 OpS(1)가 그 정보에 따른 대응을 행함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장해 회복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15 및 도16을 참조하여, 프레임워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워크는, 제어장치 OpS(1)내에서 처리되어, 오브젝트를 목적마다 조합하는, 일련의 작업 순서를 기재한 것이다.
이하, 도10에 나타낸 냉장고의 냉장실이 차가워지지 않는다는 현상을 체크하는 경우를 예로, 그 프레임워크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냉장고가 설정 온도까지 내려갈 때의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냉각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 OpS 통신부(43)는, 어떤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등의 조작 메소드로서, 프레임워크를 실행하면 좋은 지를 해석하는 프레임워크 해석부(121), 및 실제로 조작 메소드의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록시 실행부(122)를 갖는다. 프록시 실행부(122)는, 도6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프레임워크 처리 기능을 갖지 않는 제어장치 OpS(1)의 경우에도 반드시 갖고 있다.
도16에, 냉장실 냉각 체크의 프레임워크의 예를 나타낸다.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워크는, 도15에 나타낸 제어장치(OpS) 통신부(43)의 내부에서 처리된다. 프레임워크는 제어장치 OpS 통신부(43)에서 독출되어, 프레임워크 해석부 (121)와 프록시 실행부(122)에 의해 프레임워크가 처리된다.
도17에, 제어장치 OpS 통신부(43)에서의 프레임워크의 처리 시퀀스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워크는, 프레임워크 해석부(121)에서 해석되어, 프록시 실행부(122)에서 적절한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가 실행된다. 변환장치 HGW(2)로의 액세스로부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의 실행까지의 제어장치 OpS(1)와 변환장치 HGW(2)와 피제어장치 IA3 간의 처리는,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처리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장치 OpS(1)는 냉장실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으면, 냉장실 온도 체크 프레임워크를 실행한다. 즉, 먼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cess TARGET_IA」(F1)을 프레임워크 해석부(121)에서 해석하고, 프록시 실행부(122)에서 타겟 냉장고로 액세스한다. 네트워크 구성을 취득하여, 타겟 냉장고를 특정한다.「START Time_counter」(F2)는 제어장치 OpS(1)내의 처리이기 때문에, 프록시 실행부(122)에서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제어장치 OpS(1)에 의해 시간 계측용 카운터를 스타트시킨다. 다음에, 「Set R. TEMP=-3℃」(F3)을 해석하고, 냉장실의 실내 온도를 -3℃로 설정하는 조작 메소드 fridge.R.Temp.setRsetTemp(-3℃)를 실행한다.
이어서, 변환장치 HGW(2) 상에서, 도8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실제의 타겟 냉장고의 메소드가 실행된다. 실행 후,「Check R_CURRENT TEMP:R_CURRENT_TEMP=ⅩⅩ℃」(F4)에서 현재의 실내 온도를 취득하는 조작 메소드 fridge.R.Temp.getCurrentTemp()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R_CURRENT_TEMP에 삽입한다. F5에서, 현재의 실내 온도 R_CURRENT_TEMP가 F3에서 설정된 -3℃와 비교되어, 현재의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가 일치하는 경우는, 처리 루프를 빠져나와 F6으로 진행한다.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예컨대 3분간 기다려서, 다시 한 번, 현재의 실내 온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fridge.R.Temp. getCurrentTemp()를 실행한다.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가 일치하면,「STOPTime_Counter」(F6)에서 시간 계측용 카운터를 정지시키고, 「ECHO_Time_Counter」(F7)에서 시간 계측용 카운터를 출력하고, 프레임워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를 행함에 의해 냉장고의 냉장실이 설정 온도로 되기까지의 시간을 얻을 수 있고, 이 시간에서 냉각 컴프레서의 동작 상태를 추측할 수 있다. 제어장치 OpS(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는, 프레임워크를 한번 실행하는 것만으로, 일련의 처리 결과가 출력될 때까지 병행하여 다른 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프레임워크 예를 나타내었지만, 복수의 오브젝트 또는 피제어장치 IA가 제휴하는 경우 등에서의 보다 복잡한 처리의 경우에도, 프레임워크를 정의함에 의해 간단하고 정확하게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소정의 포맷으로 기술되어 있고, 예컨대 피제어장치 IA3을 제조한 메이커가 제공하거나, 유저가 정의하거나, 수리 노하우의 축적에 의해 제어장치 OpS(1)를 운영하고 있는 수리 센터 등에서 정의함에 의해, 프레임워크는 각각의 피제어장치 IA에 의존하지 않고, 피제어장치 IA 사이에서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는, 제어장치 OpS(1)내에서 생성해도 되고, 메이커로부터 제공되는 플로피디스크 등의 외부 기억 미디어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는, 공중망(7)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워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 IA3과 제어장치 OpS(1)가 다른 네트워크에 속해 있지 않는 경우에도, 피제어장치 IA3이 동일한 오브젝트 구성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변환장치 HGW(2)의 프록시 기능부(32)가 없어도 제어장치 OpS(1)에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장치 OpS(1)가 거치형 단말이 아니고, 예컨대 서비스 맨이 방문하여 사용하는 휴대 단말인 경우, 휴대 단말을 일시적으로 가정내 LAN에 접속하여, 피제어장치 IA3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데이터 베이스 등의 제어장치 OpS(1)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장 시의 서비스 맨 방문 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제어장치 OpS와 피제어장치 IA가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장치 OpS에서 직접 액세스 불가능한 피제어장치 IA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 OpS는, 피제어장치 IA의 정보를 피제어장치 IA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 취득한 피제어장치 IA의 정보에는 피제어장치 IA의 조작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장치 OpS의 조작 화면은 피제어장치 IA로부터 취득한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축된다. 따라서, 제어장치 OpS는, 피제어장치 IA를 제어하기 위한 방대한 제어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새로운 피제어장치 IA가 등록된 경우에는, 신규 등록된 피제어장치 IA로부터 조작 정보를 취득하기 때문에, 신규 등록된 피제어장치 IA의 제어장치 OpS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제어장치 IA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변환장치 HGW(2)에 등록되어 있는 피제어장치 IA3으로부터 취득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제어장치 OpS에 유지보수 업무를 이어받는 경우에는, 이어받은 제어장치 OpS의 시스템이 다르더라도 메소드의 호출 수속이 보증되어 있으면, 변환장치 HGW(2)에 대한 접속에 필요한 정보(어드레스, 액세스 권한 등)을 인도하는 것만으로, 도8에 나타낸 절차를 그대로 적응하여, 피제어장치 IA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환장치 HGW에서는 자동으로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이나 새로운 피제어장치 IA의 추가 대응 시의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 IA를 오브젝트로 구성하고, 오브젝트를 오브젝트의 기능으로서 분류, 및 정리하면, 피제어장치 IA 전부에 공통인 오브젝트, 기종에 의해 공통인 오브젝트와, 제품 고유의 오브젝트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피제어장치 IA에 공통인 오브젝트를 모든 피제어장치 IA에 실장하면, 제어장치 OpS는, 제어 대상이 어떤 메이커의 어떤 제품이더라도, 항상 정해진 오퍼레이션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동일 기종이면 메이커가 달라도 동일한 오브젝트를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컨대 텔레비젼이라고 하는 동일 기종이면, 메이커가 다르더라도 텔레비젼에 대해서는 동일한 오퍼레이션이 가능하게 되어, 지금까지 제품이나 메이커 마다 다르게 되었던 제어를 공통화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이 공통화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유지보수의 노하우라 했던 정보도 대폭적으로 삭감될 수 있다. 또한, 메이커측도 공통의 오브젝트를 다른 기기에 실장할 수 있게 되어, 지금까지 기기마다 개발하였던 개발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장치에서 직접 액세스 불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제어가 행해지기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변환장치가 자동적으로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이나 새로운 피제어장치 IA의 추가 대응시의 수고를 감소 시키기에 적합하다. 제품이나 메이커간에 전혀 다르게 되었던 제어가 공통화 될 수 있다. 오퍼레이션이 공통화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지보수를 위한 노하우 축적 작업도 대폭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메이커측도 공통인 오브젝트를 다른 기기에 실장할 수 있게 되어, 지금까지 기기 마다 개발되고 있었던 개발 공정수를 감소시키기에 적합하다.

Claims (14)

  1.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적어도 1이상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된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피제어장치 정보를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와,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통신부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작성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작성 수단과,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등록 관리하는 정보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실행 가능한 조작 명령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실행 가능한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정보인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조작 명령과, 상기 조작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상기 조작 명령을 사용하는 지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는,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에 포함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조작 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에 포함되는 조작 명령을 그에 대응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조작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임의의 정보를 다운로드/업로드하는 다운로드/업로드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는, 상기 다운로드/업로드 기능을 실행하는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자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자기 진단 기능과, 상기 자기 진단 기능을 실행하는 시각의 정보를 관리하는 스케쥴 기능과, 상기 자기 진단 기능에 의해 진단된 자기 진단 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대해여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자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자기 진단 기능을 갖고,
    상기 제어장치 또는 상기 변환 장치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해 상기 자기 진단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임의의 조작 순서의 조합을 소정의 룰에 따라 기술한 프레임 워크를 독출하는 기능과,
    상기 프레임 워크를 해석하고, 상기 프레임 워크에 기술된 조작 순서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 시스템.
  8.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적어도 1 이상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된 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와,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가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통신부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작성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수단과,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등록 관리하는 정보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 또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피제어장치 조작 수단과,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정보를 피제어장치 조작 수단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편집하는 편집 수단과,
    조작자의 입력에 따라 적절한 피제어장치 제어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
  9.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적어도 1 이상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관련 부착된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와,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가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통신부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작성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수단과,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등록 관리하는 정보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 또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피제어장치의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가 상기 정보 관리 수단에 등록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 관리 수단에 등록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수단과,
    생성된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상기 정보 관리 수단에 등록하는 수단을 갖는 변환 장치.
  10.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적어도 1 이상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관련 부착하는 변환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와,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관리부가 관리하는 피제어장치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통신부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작성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 수단과,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등록 관리하는 정보 관리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 또는 상기 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프록시를 취득하고 상기 피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명령을 발행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피제어장치에 관한 조작 명령과, 상기 조작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상기 조작 명령을 사용하는 지원 정보의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갖는 피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조작 명령 및 정보는, 기능 단위로 분류되어 있는 피제어장치.
  12. 외부로부터 제어되는 수단을 갖는 피제어장치로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제어 정보로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단위로 분할된 오브젝트를 갖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능에 관한 조작 명령과, 상기 조작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상기 조작 명령을 사용하는 지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피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오브젝트는, 상기 피제어장치에 관한 정보만을 갖는 피제어장치 설명 오브젝트와 기능 오브젝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기능 오브젝트는, 기능을 설명한 기능 설명 오브젝트와 조작 명령의 사용 방법을 기술한 조작 명령 설명 오브젝트를 갖는 피제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명령으로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재기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피제어장치의 필요 개소를 점검하는 자기 진단 기능과 임의의 정보를 다운로드/업로드하는 기능과 로그를 관리하는 로그 관리 기능의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 오브젝트를 갖는 피제어장치.
KR10-2003-7009449A 2001-01-15 2002-01-11 제어 시스템 KR100505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6561 2001-01-15
JPJP-P-2001-00006561 2001-01-15
PCT/JP2002/000157 WO2002056633A1 (fr) 2001-01-15 2002-01-11 Systeme de contr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90A KR20030086590A (ko) 2003-11-10
KR100505297B1 true KR100505297B1 (ko) 2005-08-03

Family

ID=1887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449A KR100505297B1 (ko) 2001-01-15 2002-01-11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12667B2 (ko)
EP (1) EP1367851B1 (ko)
JP (1) JP3762910B2 (ko)
KR (1) KR100505297B1 (ko)
WO (1) WO2002056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040A (ja) * 2002-10-10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6060762A (ja) * 2004-07-21 2006-03-02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診断方法、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の診断に用いる無線端末
DE102005010820C5 (de) * 2005-03-07 2014-06-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pplung von sicheren Feldbussystemen
EP1906286B1 (en) * 2006-09-29 2010-01-27 Abb Research Ltd. Flexible control of field devices in a computer based control system
JP5011075B2 (ja) * 2007-11-22 2012-08-29 日本放送協会 デバイス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放送受信装置
KR101496649B1 (ko) 2009-08-21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네트워크 망을 통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US20110055899A1 (en) * 2009-08-28 2011-03-03 Uplogix, Inc. Secure remote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with local processing and secure shell for remot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US20110055367A1 (en) * 2009-08-28 2011-03-03 Dollar James E Serial port forwarding over secure shell for secure remote management of networked devices
KR101453334B1 (ko) * 2010-08-11 2014-10-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네트워크 정보 처리 시스템, 네트워크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AU2012200300B2 (en) * 2011-01-20 2015-08-20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US10417044B2 (en) * 2017-04-21 2019-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interventions based on expected impacts of system events on scheduled work uni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5263B2 (ja) 1993-07-30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
JPH10161707A (ja) * 1996-11-29 1998-06-19 Sukiyan Technol:Kk Fa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3336216B2 (ja) 1997-02-28 2002-10-21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mmiシステム
JP3705465B2 (ja) 1998-02-13 2005-10-12 オムロン株式会社 Fa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0115393A (ja) 1998-09-29 2000-04-21 Canon Inc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0132473A (ja) 1998-10-23 2000-05-12 Oki Electric Ind Co Ltd ファイアウォール動的制御方式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160193B2 (ja) 1999-01-18 2008-10-01 横河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2000236348A (ja) * 1999-02-16 2000-08-29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を用いた遠隔機器の管理システム
US20010047394A1 (en) * 1999-09-10 2001-11-29 Kloba David 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ecuting scripts on mobile devices
US7343427B2 (en) * 2000-12-13 2008-03-1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JP2003308258A (ja) * 2002-04-16 2003-10-31 Fujitsu Ltd サービス制御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制御方法
JP4046593B2 (ja) * 2002-10-25 2008-02-13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US7356015B2 (en) * 2003-05-02 2008-04-08 Steven Blumenthal Data handoff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2056633A1 (ja) 2004-05-20
EP1367851A4 (en) 2005-04-06
KR20030086590A (ko) 2003-11-10
EP1367851B1 (en) 2013-10-09
EP1367851A1 (en) 2003-12-03
US7512667B2 (en) 2009-03-31
WO2002056633A1 (fr) 2002-07-18
US20040064551A1 (en) 2004-04-01
JP3762910B2 (ja)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2860B2 (en) Protocol convers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11483391B2 (en) Method and server device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service
US11954478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loud management of gateway configurations
RU264517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изделием, имеющим процессор
KR100505297B1 (ko) 제어 시스템
US6647317B2 (en) Air conditioner management system
US20180309818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distributed data collection and gateway services
US20080205419A1 (en) Residential Gateway System for Home Network Service
US201900978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US20060168178A1 (en) Platform-independent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devices and method thereof
US20090134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 neighborhood area network
US20040010327A1 (en) Home gateway for automatically acquiring and updating modules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s devices
JP2004013901A (ja) 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装置を監視し、装置ステータスを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3757669B2 (ja) 分散システムの設定方法
US20040158620A1 (en) Home network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US11762647B2 (en) IoT endpoint metrics
US20080109093A1 (en) Control Device, Device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Device Control Program, and Setting Check Data Creation Method
JP2006050651A (ja) 家電製品保守修理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30077734A (ko)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7012220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4149240B2 (ja) 電気機器の管理方法、管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電気機器の管理システム
US20180349066A1 (en) Operating management server for remotely managing plural image forming apparatuses via network, test environment construction system, and test environment construction method
JP2003122871A (ja) 機器保守支援システム
KR20050071761A (ko)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2013790A (ja) 空調機の遠隔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