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734A -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7734A KR20130077734A KR1020120029825A KR20120029825A KR20130077734A KR 20130077734 A KR20130077734 A KR 20130077734A KR 1020120029825 A KR1020120029825 A KR 1020120029825A KR 20120029825 A KR20120029825 A KR 20120029825A KR 20130077734 A KR20130077734 A KR 201300777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essage
- information providing
- file
- mana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준화된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교환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및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복수의 디바이스들과, 각 디바이스로부터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며,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의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계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제어, 관리 및 자동구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계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 및 관리함으로써, 디바이스 제어, 관리 및 자동구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란 인터넷 기반의 정보화가 생활 속에 자리잡은 현실로 인하여 단순한 가정 내에 네트워크 연결이 아닌 주택(건물)내의 정보기술 요소를 구현하는 토탈 홈 정보제어 시스템 및 서비스/솔루션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미들웨어(Middleware)란 두 개 이상의 시스템 혹은 프로그램 사이에서 둘 사이를 중재하는 프로그래밍 서비스를 말한다. 그런데, 이종의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상에 접속해 있는 홈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이 문제되어 왔다.
한국 특허출원 제2005-207263호는 이러한 이종의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상에 접속해 있는 홈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홈 네트워크 범용 미들웨어 브릿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이종의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상에 접속해 있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가상적으로 마치 동일한 미들웨어 상에 접속해 있는 실제의 물리적인 디바이스들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 접속/해제, 디바이스 제어, 이벤트 등록/발생알림을 해당 미들웨어들의 변형 없이 기존의 해당 미들웨어 메커니즘대로 운용할 수 있게 하는, 이종의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상에 접속해 있는 홈 디바이스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홈 네트워크 범용 미들웨어 브릿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하지만, 한국 특허출원 제2005-207263호는 기존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 혹은 미들웨어의 상호 운용 입장에서의 브릿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 아니다.
아울러, 한국 특허출원 제2002-0010935호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규격이 적용된 제품간의 호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호환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2002-0010935호에 의하면, UPnP가 지원되는 윈도우즈 XP로 동작하는 가전제품군과, 8비트 마이컴과 같이 저수준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일반 가전제품간의 규격을 호환시킬 수 있으므로 이종의 규격이 적용된 제품간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또한 디바이스,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계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즉 디바이스, 서비스 간 호환성 제공에 초점을 맞춘 디바이스 아키텍처 구조의 제시가 요망되어 왔다.
또한, 현재 국내 가전 업체 및 홈 네트워크 업체는 기 공개된 표준에 따라 상용 제품을 만들고 있으나, 컨버전스 환경에 대한 새로운 디바이스 구조를 제시하지 못하여 기술적인 종속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계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 및 관리함으로써, 디바이스 제어, 관리 및 자동구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표준화된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교환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및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각 디바이스로부터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며,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의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기기인증을 수행한 후,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유/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수단은 인체감지센서 또는 유/무선 감지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공간이 식당일 경우,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메뉴 검색 또는 주문 요청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대기자 순번 및 대기 예상시간 정보와 함께 식당 입장허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은, 네트워크 상에서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알려주기 위한 광고 관리부;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구독을 요청한 특정 디바이스에게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관리부; 파일의 송수신 및 그 결과, 특정 파일에 대한 기능 수행 및 그 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부; 및 메시지를 생성 및 분석하기 위한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관리부;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관리부; 및 다양한 디바이스별 기능들을 통해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관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시지 관리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 및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지 파서(Paser)를 포함하고, 메시지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더는 시작신호, 소스 디바이스 ID, 타겟 디바이스 ID, 동작 코드 및 종료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커버리 관리부는, 디바이스 검색 조건, 디바이스 ID 또는 이름, 디바이스 타입 또는 성능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검색 요청 메시지와, 요청된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정보들을 페이로드로 생성한 디바이스 검색 응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고 관리부는, 디바이스 개수, 디바이스 ID 또는 이름, 디바이스 타입 또는 성능, 또는 네트워크 참여 정보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광고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관리부는, 디바이스의 정보의 타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 요청 메시지와,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정보 요구를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정보를 응답해주기 위한 디바이스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바이스 정보 타입 파라미터는,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 디바이스별 기능목록 정보, 디바이스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일반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환경 설정 정보,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또는 디바이스별 고유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바이스 정보 응답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 디바이스별 기능목록 정보, 디바이스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일반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환경 설정 정보,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또는 디바이스별 고유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는 디바이스 ID, 타입, 이름, 복합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여러 고유 기능목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별 기능목록 정보는 디바이스별로 제공하는 기능 리스트 갯수, 디바이스별 정의된 기능 ID, 기능의 카테고리,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디바이스 기준으로 입력되는 메시지 리스트, 또는 디바이스 기준으로 출력되는 메시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관리부는, 디바이스 타입 코드와 기능 목록 구분을 포함하는 기능 ID, 기능 카테고리, 입력 목록, 또는 출력 목록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 메시지와, 디바이스 제어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 관리부는, 기능 ID, 기능 카테고리, 또는 이벤트 목록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통지 메시지와, 기능 ID, 구독 주기, 또는 구독 타입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구독 요청 메시지와, 결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구독 응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관리부는, 파일 타입, 파일 이름, 검색 대상 시작 시간 또는 검색 대상 종료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일 송수신 과정에 필요한 파일 정보 요청 메시지와, 파일 정보 리스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일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정보 리스트에는, 파일이름, 파일타입, 파일크기, 파일생성날짜, 파일 URL 또는 파일 버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관리부는, 타겟 디바이스 위치, 로컬 디바이스 위치 또는 파일 이름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요청 메시지와, 에러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응답 메시지와, 전송오류 또는 전송완료 결과에 대한 파일 전송 결과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관리부는, 특정 파일에 대한 실행, 서비스 업데이트, 복원, 파일 추가 또는 파일 삭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수행 요청 메시지와, 에러 코드를 포함하는 기능 수행 응답 메시지와, 기능 수행 오류 또는 기능 수행 완료 결과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보수 관리부는 펌웨어 업데이트, 구성,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또는 롤백/리부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표준화된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교환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 및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정보제공을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각 디바이스로부터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구비된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의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기기인증을 수행한 후,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유/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특정 공간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수단은 인체감지센서 또는 유/무선 감지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공간이 식당일 경우,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메뉴 검색 또는 주문 요청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대기자 순번 및 대기 예상시간 정보와 함께 식당 입장허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계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 등 여러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적으로 운용 및 관리함으로써, 디바이스 제어, 관리 및 자동구성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고, 디바이스의 제어,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 기능을 활용하는 새로운 서비스들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다양한 업체의 정보가 전기기들 간의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제공하고, 지능형 홈 시장의 확산 및 지능형 홈 유지보수업체와 같은 새로운 직업군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더 나아가서는 제조업체들이 독자적으로 정보가전기기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 아키텍처의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DEVICE_DISCOVERY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DEVICE_DISCOVERY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DEVICE_ADVERTISEMEN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DEVICE_INFO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DEVICE_INFO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BASIC_INFO"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FUNCTION_LI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DEVICE_PROPERTY"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DEVICE_CONTROL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DEVICE_CONTROL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EVENT_NOTIFICATION"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EVENT_SUBSCRIPTION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EVENT_SUBSCRIPTION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GET_FILEINFO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GET_FILEINFO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GET_FILE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GET_FILE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GET_FILE_RESUL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PUT_FILE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PUT_FILE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PUT_FILE_RESUL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APPLY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APPLY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APPLY_RESUL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 아키텍처의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DEVICE_DISCOVERY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DEVICE_DISCOVERY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DEVICE_ADVERTISEMEN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DEVICE_INFO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DEVICE_INFO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BASIC_INFO"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FUNCTION_LI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DEVICE_PROPERTY"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DEVICE_CONTROL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DEVICE_CONTROL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EVENT_NOTIFICATION"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EVENT_SUBSCRIPTION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EVENT_SUBSCRIPTION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GET_FILEINFO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GET_FILEINFO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GET_FILE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GET_FILE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GET_FILE_RESUL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PUT_FILE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PUT_FILE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PUT_FILE_RESUL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APPLY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APPLY_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APPLY_RESULT"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XML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식당을 일 예로 들어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병원, 약국, 회의장 등과 같이 특정의 건물에 대기하여 기다릴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복수의 디바이스들(100)과 정보제공서버(200)로 이루어지는 바,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환경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100)은 디바이스 제어, 관리, 자동구성 및 정보제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디바이스들(100)은 표준화된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 즉, 표준 메시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교환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 및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이 탑재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표준 메시지 프로토콜은 디바이스 아키텍처(Device Architecture, DA)라 칭하며, 도 2에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의 기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는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이 탑재되어 있고, 그 위에는 디바이스 아키텍처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100)에는 예컨대, 센서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 가전 기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빌트인(built-in)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은 정보제공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은 정보제공서버(200)를 통해 기기인증을 수행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유/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정보제공서버(20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보제공서버(200)는 각각의 디바이스들(100)로부터 기기정보(예컨대, 운영체제(OS), 플랫폼(Platform), 버전(Version) 등)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100)의 플랫폼(Platform)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각의 디바이스들(100)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전송하며,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210)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100)의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제공서버(200)는 특정 공간(예컨대, 식당의 입구 등)에 설치된 감지수단(20)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각 디바이스(100)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감지수단(20)은 통상적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또는 유/무선 감지스위치 등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인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다른 한편, 상기 특정 공간이 식당일 경우,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대기자 등록, 메뉴 검색 또는 주문 요청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대기자 등록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정보제공서버는(200) 대기자 순번 및 대기 예상시간 정보와 함께 식당 입장허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제공서버(200)도 복수의 디바이스들(100)과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210)과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즉,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210)로 이루어진다. 다양한 디바이스들(100)과 정보제공서버(200)는 서로 기기의 정보를 주고받고, 특정 제어 서비스들이 활용된다.
이러한 디바이스 아키텍처(DA)는 예컨대, 홈 게이트웨이, 월패드, TV 등과 같은 홈 네트워크 중심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연동 문제를 해결하고, 홈 네트워크 서비스 아키텍처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하다.
즉, 디바이스 아키텍처(DA)는 디바이스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디바이스 자동 구성을 위해 네트워크 초기화, 디바이스 초기화, 토폴로지 디스커버리(Topology Discovery)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원격 유지보수를 위해 예컨대, 펌웨어 업데이트, 구성,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롤백/리부트(rollback/reboot)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디바이스 감시/제어를 위해 원격 제어, 로깅, 리부트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 아키텍처의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은 디바이스 아키텍처가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게 되며,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은 디스커버리 관리부(111), 정보 관리부(112), 광고 관리부(113), 이벤트 관리부(114), 제어 관리부(115), 파일 관리부(116) 및 유지보수 관리부(118)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은 메시지 관리부(117)의 메시지 생성기(117a)와 메시지 파서(117b)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서버(200)와 통신한다. 메시지 생성기(117a)는 개별 관리부의 고유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표준 메시지 스트림(Message stream)을 만들어주며, 메시지 파서(117b)(Message Paser)는 수신된 표준 메시지 스트림을 분석하여 해당 관리부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초기화, 디바이스 초기화 등의 기능을 통해 디바이스 자동 구성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디바이스 아키텍처의 메시지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헤더는 바이너리 스트림(Binary Stream), 페이로드는 XML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시작신호,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 ID,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 ID, 동작(OP) 코드, 종료신호 등으로 구성되며, 특히 동작 코드에는 디바이스 아키텍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은 기본적으로 디바이스 아키텍처 메시지를 받으면 헤더를 분석한 후, 동작 코드에 따라 페이로드를 해당 관리부에 전달한다. 헤더 필드 중 트랜스액션(Transaction) ID는 특정 요청과 응답 메시지가 공유하는 ID로서 요청 메시지 생성시간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시간정보이며, 응답시 이 ID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디바이스 아키텍처 헤더 구조의 내용은 예시적으로 하기의 표 1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디바이스 아키텍처 기능들은 디바이스 아키텍처 메시지 헤더에 포함된 동작 코드(OP Code)를 통해 제공된다. 동작 코드를 통해 제공되는 주요 기능들은 디바이스 및 상태 정보 제공, 제로 구성(Zero Configuration), 원격 진단(Remote Diagnostic), 치료(Healing) 등 디바이스 자동 구성 및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기능들이며, 이들은 해당 관리부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기능들은 개방형 API로 구현하여 홈 네트워크 상호연동 미들웨어 시스템 안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코드의 예가 하기의 표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디바이스 아키텍처 프로토콜에서는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특정 속성값과 함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기의 표 3에는 디바이스 타입과 코드가 예시되어 있다. 디바이스 코드는 총 2 Bytes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앞 1 Byte는 디바이스 카테고리, 뒤 1 Byte는 카테고리 내에서의 디바이스 구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 아키텍처 프로토콜에서는 메시지 전달과정 혹은 특정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에러 코드들이 정의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에러 코드들은 2 Bytes Hex Code로 나타낼 수 있으며, 크게 공통 에러(Common Error), 특정 디바이스 관련 에러(Device Specific Error), 사용자 정의 에러(User Defined Error)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공통 에러는 디바이스 아키텍처 프로토콜 동작 코드와 관련된 다양한 에러들을 나타내는데, 동작 에러, 트랜잭션 에러(Transaction Error), 파일 관련 에러(File-related Err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디바이스 관련 에러는 개별 디바이스 별로 특정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들이다. 사용자 정의 에러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특정한 에러들에 관한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의 각 관리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커버리 관리부(Discovery Manager)(111)는 "DEVICE_DISCOVERY_REQUEST" 메시지와 "DEVICE_DISCOVERY_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기능을 한다.
"DEVICE_DISCOVERY_REQUEST"는 특정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디바이스들의 기본 정보는 무엇인지 알기 위해, 특정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는 요청 메시지이다. "DEVICE_DISCOVERY_REQUEST"와 함께 생성되어야 하는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는 하기의 표 4와 같이 예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파라미터를 살펴보면 "DiscoveryReqType"은 디스커버리를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즉, 모든 디바이스를 검색할 것인지, 디바이스 타입별로 검색할 것인지, 디바이스 이름 혹은 디바이스 성능을 기반으로 검색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16 Bytes 스트링으로 기술될 수 있다.
"StrTypeReq"는 상기 기술한 "DiscoveryReqType"이 "DeviceID" 또는 "DeviceName"일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실제 "DeviceID"와 "DeviceName" 값을 기술하며, "HexTypeReq"는 "DiscoveryReqType"이 "DeviceType" 혹은 "DeviceCapability"일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DeviceType"과 "DeviceCapability" 값을 16진수로 기술한다.
"DiscoveryReqType"이 "All"일 경우 "StrTypeReq"와 "HexTypeReq"는 기술하지 않는다. 상기 기술한 "DEVICE_DISCOVERY_REQUEST"의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의 XML 스키마 구조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VICE_DISCOVERY_RESPONSE"는 "DEVICE_DISCOVERY_REQUEST"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요청된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정보들을 XML기반의 페이로드로 생성하게 된다. 하기의 표 5 및 표 6은 "DEVICE_DISCOVERY_RESPONSE"의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파라미터를 살펴보면, "Result"는 "DEVICE_DISCOVERY_REQUEST"에 대한 응답 처리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성공적으로 잘 처리되었을 때는 "0000" Hex값을 기술하며, 오류 발생 시에는 상기 설명된 에러 코드를 통해 기술할 수 있다.
"DeviceList"는 실제 요청에 응답하는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들을 나타내며, 디바이스의 갯수(NumOfDevice),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타입, 디바이스 이름, 디바이스 지원 기능이 포함된다. 상기 기술한 "DEVICE_DISCOVERY_RESPONSE"의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의 XML 스키마 구조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의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디스커버리 명령이 내려지면, 디스커버리 관리부(111)를 통해 "DEVICE_DISCOVERY_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117)는 메시지 생성기(117a)에서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그러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100)가 소켓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해당 디바이스(100)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메시지 파서(117b)를 통해 헤더 및 페이로드를 분석한다. 헤더의 동작 코드가 "DEVICE_DISCOVERY_REQUEST"일 경우 해당 디바이스(100)의 디스커버리 관리부(111)는 전달받은 정보와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비교한다.
만약, 요청 디바이스(100)에 해당하는 경우,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한 후 메시지 관리부(117)를 통해 페이로드 XML 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디바이스 아키텍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소켓을 통해 디바이스 아키텍처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100)는 메시지 관리부(117)의 메시지 파서(117b)를 통해 헤더 및 페이로드를 분석하고, 헤더의 동작 코드가 "DEVICE_DISCOVERY_RESPONSE"일 경우 디스커버리 관리부(111)는 디바이스 리스트/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광고 관리부(Advertisement manager)(113)는 "DEVICE_ADVERTISEMENT"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접속 또는 온/오프(ON/OFF)와 같은 기본적인 상태 변화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DEVICE_ADVERTISEMENT" 메시지는 디바이스가 처음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전원이 켜질 때나 꺼질 때, 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서비스)에게 자신의 기본 정보를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만약,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디바이스가 여러 디바이스들과 연동되어 있는 게이트웨이(Gateway) 같은 장비일 경우에는, 자신의 노드에 있는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한번에 제공해 줄 수도 있다.
"DEVICE_ADVERTISEMENT" 메시지는 상기 기술한 "DEVICE_DISCOVERY_RESPONSE" 메시지 구조와 비슷하지만, 기본 정보에 AdType을 추가하여 "Start"/"End"를 스트링 형태로 기술함으로써,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디바이스인지 또는 나가는 디바이스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DEVICE_ADVERTISEMEN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7 및 표 8과 도 6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디바이스 광고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거나 전원이 켜질 때 혹은 종료할 때 디바이스의 광고 관리부(113)를 통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소켓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관리부(117)의 메시지 파서(117b)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분석한다. 그리고, 헤더의 동작 코드가 "DEVICE_ ADVERTISEMENT"일 경우 광고 관리부(113)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Device ID와 같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정보 관리부(112)(Information Manager)는 "DEVICE_INFO_REQUEST" 메시지와 "DEVICE_INFO_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DEVICE_INFO_REQUEST"는 특정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DEVICE_INFO_REQUEST"와 함께 생성되어야 하는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는 하기의 표 9와 같이 예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DEVICE_INFO_REQUEST"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요청하는 디바이스의 정보의 타입(DeviceInfoReqType) 하나이며, 디바이스 정보 타입은 크게 "BasicInfo", "FunctionList", "DeviceProperty"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이 세 가지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FullDescription", "DeviceProperty"의 세부 항목인 "CommonProperty", "ConfigProperty", "StatusProperty", "DeviceSpecificProperty"도 디바이스 요청 시 정보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32Bytes 스트링 형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BasicInfo"는 디바이스 ID, 타입, 이름 등의 기본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된다. "FunctionList"는 디바이스 별로 정의된 기능목록들을 요청하는 것이다.
"DeviceProperty"는 디바이스 모델, 버전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CommonProperty", 환경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ConfigProperty",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StatusProperty", 디바이스별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DeviceSpecificProperty"로 구분되어, 서비스별로 필요한 정보들만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DEVICE_INFO_REQUEST"의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의 XML 스키마 구조는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VICE_INFO_RESPONSE"는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정보 요구를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정보를 응답해주기 위한 메시지이다. "DEVICE_INFO_RESPONSE"와 함께 생성되는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는 하기의 표 10과 같으며, 세부 타입별 메시지 구조는 도 8에 나타내었다.
표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정보는 기본적으로 "BasicInfo", "FunctionList", "DeviceProperty"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FullDescription" 요청이 오면 위 세 가지 정보를 모두 함께 보낼 수 있다.
또한, "DeviceProperty" 역시 "CommonProperty", "ConfigProperty", "StatusProperty", "DeviceSpecificProperty" 각각의 세부 항목별로도 정보를 보낼 수 있다.
"BasicInfo"는 디바이스 ID, 타입, 이름 등의 기본 정보를 응답할 때 사용된다. 특히, "BasicInfo"에는 "DeviceCapabilityList"라는 정보가 포함되는데, 이는 기존의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조합한 새로운 디바이스 타입이 시장에 나올 경우, 복합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여러 고유 기능들을 기존 디바이스 타입을 통해 기술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1은 "BasicInfo"의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9는 "BasicInfo" 메시지의 스키마 구조를 나타낸다.
"FunctionList"는 디바이스별로 정의된 기능목록들에 대한 것이다. 하기의 표 12는 "FunctionList"의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NumOfFunction"은 디바이스별로 제공하는 기능 리스트 갯수, "FunctionID"는 디바이스별 정의된 기능 ID, "FunctionCategory"는 기능의 성격이 제어 기능인지 또는 이벤트 기능인지 등과 같이 카테고리를 구별해 준다.
"InputList"는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디바이스 기준으로 입력되는 메시지 리스트이며, "OutputList"는 디바이스 기준으로 출력되는 메시지 리스트를 의미한다. 상기 기술한 "FunctionList" 메시지의 기본 XML 스키마 구조는 도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viceProperty"는 디바이스 모델, 버전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CommonProperty", 환경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ConfigProperty",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StatusProperty", 디바이스별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DeviceSpecificPropert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별로 필요한 정보들만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하기의 표 13은 "DeviceProperty"의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11은 "DeviceProperty"의 스키마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ConfigProperty"는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과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설정을 위한 정보들을 기술하며, 특히 디바이스 설정의 경우에는 "Configuration" 파일 이름 정보를 기술하여 각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DeviceConfig"의 FTPURL은 "Configuration File"과 "Apply Operation" 등을 위한 파일 관리를 하는 FTP 주소이다.
정보 관리부(112)의 디바이스 정보 요청 및 응답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특정 정보를 요청하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메시지는 타켓 디바이스 ID로 전달되고, 해당 디바이스는 소켓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해당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분석하여 헤더의 동작 코드가 "INFORMATION_REQUEST"일 경우 정보 관리부는 자신의 디바이스의 정보를 모아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면, 메시지를 전송받은 디바이스는 메시지 관리부(117)를 통해 헤더 및 페이로드를 분석한다. 만약, 헤더의 동작 코드가 "DEVICE_INFORMATION_RESPONSE"이면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제어 관리부(Control Manager)(115)는 "DEVICE_CONTROL_REQUEST" 메시지와 "DEVICE_CONTROL_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별 기능들을 통해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DEVICE_CONTROL_REQUEST"는 다양한 디바이스별 기능들을 통해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이다. 각 디바이스별 기능 목록들은 해당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기술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4는 "Device Control Request"의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FunctionID"의 경우 총 4Bytes로 구성되는데, 상위 2Bytes는 디바이스 타입 코드(Device Type Code)이며 하위 2Bytes는 기능 목록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FunctionID"만 있어도, 어느 디바이스를 어떻게 제어하고자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FunctionCategory"를 통해 해당 메시지가 제어 정보인지 이벤트 정보인지를 알려줄 수 있으며, 스트링 타입을 통해 "Control" 혹은 "Event"로 기술할 수 있다. 이러한 "DEVICE_CONTROL_REQUEST"의 페이로드 메시지 구조의 XML 스키마 구조는 도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EVICE_CONTROL_RESPONSE"는 다양한 디바이스별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DEVICE_CONTROL_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다. 응답 유형은 요청에 대해 해당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서부터, 서비스 결과에 따른 다양한 정보까지 다양하며, 기본적인 메시지 구조는 "DEVICE_CONTROL_REQUEST"와 같을 수 있다. 하기의 표 15에는 "DEVICE_CONTROL_RESPONSE"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XML 스키마 구조는 도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어 관리부(115)의 디바이스 제어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를 요청하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타켓 DeviceID로 전달되고, 타겟 디바이스는 소켓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관리부(117)에서는 헤더 및 페이로드를 분석한다.
헤더의 동작 코드가 "CONTROL_REQUEST"일 경우 제어 관리부는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디바이스 제어 모듈을 호출하고, 해당 디바이스 제어모듈에서 제어 명령을 내린 후 기능 구조체에 필요한 정보를 모아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를 전송 받은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에서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헤더의 동작 코드가 "DEVICE_CONTROL_RESPONSE"일 경우 제어 관리부는 전달받은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이벤트 관리부(Event Manager)(114)는 예컨대, "EVENT_NOTIFICATION", "EVENT_SUBSCRIPTION_REQUEST", "EVENT_SUBSCRIPTION_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구독을 요청한 특정 디바이스에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EVENT_NOTIFICATION"은 센서와 같은 특정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디바이스를 위한 메시지 구조로서, 구독을 요청한 특정 디바이스에 이벤트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이다. 기본 구조는 "FunctionLIst Type"의 "OutputList Type"을 따를 수 있다. 디바이스별 이벤트 목록은 해당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기술될 수 있다.
"EVENT_NOTIFICATION"의 메시지 구조를 하기의 표 16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고, XML 스키마 구조는 도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114)의 이벤트 통지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구독요청이 온 디바이스에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정보를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타켓 DeviceID로 전달한다. 그러면, 타겟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석하여 헤더의 동작 코드가 "EVENT_NOTIFICATION"일 경우 이벤트 관리부(114)는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응용에 적용한다.
"EVENT_SUBSCRIPTION_REQUEST"는 센서와 같은 특정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이벤트 정보를 구독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이다. 하기의 표 17에 "EVENT_SUBSCRIPTION_REQUEST" 메시지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XML 스키마 구조는 도 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ubscriptionInterval"은 구독하고자 하는 정보의 주기 정보로서 ms단위로 기술하며, "SubscriptionType"은 현재 등록하는 이벤트가 새로 등록하는 것인지, 갱신을 하는 것인지, 또는 취소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Renew", "Registration", "Cancel" 스트링 타입으로 기술할 수 있다.
"EVENT_SUBSCRIPTION_RESPONSE"는 센싱 정보와 같은 특정 이벤트 정보를 구독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다. 메시지에는 하기의 표 18에 기술된 "Result Code"를 통하여 기술될 수 있으며, 스키마 구조는 도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114)의 이벤트 구독 요청 및 응답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이벤트 구독 명령을 내리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타켓 DeviceID로 전달되고, 수신 받은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메시지를 분석한 후 헤더의 동작 코드가 "EVENT_SUBSCRIPTION"일 경우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디바이스의 이벤트 관리부(114)를 업데이트 한다.
이 과정에서 결과 정보를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결과 정보에 대한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전송되고, 메시지를 전달받은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메시지를 분석한 후 헤더의 동작 코드가 "EVENT_SUBSCRIPTION_RESPONSE"일 경우 이벤트 관리부를 통해 결과정보 값을 받고, 이를 통해 이벤트 구독 절차를 종료한다.
파일 관리부(File Manager)(116)는 예컨대, "GET_FILEINFO_REQUEST", "GET_FILEINFO_RESPONSE", "GET_FILE_REQUEST", "GET_FILE_RESPONSE", "GET_FILE_RESULT", "PUT_FILE_REQUEST", "PUT_FILE_RESPONSE", "PUT_FILE_RESULT", "APPLY_REQUEST", "APPLY_RESPONSE", "APPLY_RESULT" 메시지를 이용하여, 파일의 송수신 및 그 결과, 특정 파일에 대한 기능 수행 및 그 결과를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GET_FILEINFO_REQUEST"는 파일 송수신 과정에 필요한 파일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GET_FILEINFO_REQUES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19와 도 17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정보 요청을 위한 파라미터들은 파일 타입, 파일 이름, 검색 대상 시작 날짜 및 시간, 검색 대상 종료 날짜 및 시간이며, 파일 타입에는 로그파일, 실행파일, 펌웨어 파일, 환경 설정 파일 등 다양한 타입을 조건으로 파일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GET_FILEINFO_RESPONSE"는 파일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에는 요청된 파일 조건에 맞는 파일 정보 리스트가 기술되며, 파일 정보에는 파일이름, 파일타입, 파일크기, 파일생성날짜, 파일 URL, 파일 버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GET_FILEINFO_RESPONSE"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0 및 표 21과 도 18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파일 관리부(116)의 파일정보 요청 및 응답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파일 정보를 요청하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메시지를 타켓 DeviceID로 전달하면, 해당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관리부(117)가 메시지를 분석한다. 만약, 헤더의 동작 코드가 "GET_FILEINFO_REQUEST"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응답해야 할 정보를 수집한 후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달받은 타겟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에서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헤더의 동작 코드가 "GET_FILEINFO_RESPONSE"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파일 정보를 받아 해당 디바이스를 관리한다.
"GET_FILE_REQUEST"는 파일 전송 요청을 위한 메시지로서, URL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와 로컬 디바이스의 위치가 기술되며, 추가로 파일이름이 함께 기술될 수 있다. 실제 파일 다운로드는 FTP 프로토콜을 통해 피어투피어(Peer-to-Pe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GET_FILE_REQUES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2와 도 19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GET_FILE_RESPONSE"는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에러 코드를 기술할 수 있다. "GET_FILE_RESPONSE"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3과 도 20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GET_FILE_REQUEST"에 의해 실제 파일 전송이 모두 진행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동작 시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기술한 "Get File Response"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실제 파일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송오류, 전송완료 등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GET_FILE_RESULT"를 통해 이루어진다. "GET_FILE_RESUL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4와 도 21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파일 관리부(116)의 파일 전송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타겟 디바이스로부터의 파일 전송을 요청하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타켓 DeviceID로 전달되고, 해당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메시지를 분석한다.
헤더의 동작 코드가 "GET_FILE_REQUEST"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주소로 F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파일 전송명령을 내린다. 이후 FTP 전송이 시작되거나 또는 실패할 경우 에러 메시지를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생성하고,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를 전달받은 타겟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헤더의 동작 코드가 "GET_FILE_RESPONSE"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결과 정보를 받아 "Get file Transaction"을 관리한다.
만약, 파일 전송을 수행하고 있는 서비스 혹은 디바이스에서 FTP 파일 전송이 완료되거나 중간에 에러가 발행하면 FTP 에러 메시지를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생성하고,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를 전달받은 디바이스의 메시지 관리부(117)에서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헤더의 동작 코드가 "GET_FILE_RESULT"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결과 값을 받아 "Get file Transaction"을 관리한다.
"PUT_FILE_REQUEST"는 특정 URL로 파일 전달 요청을 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URL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와 로컬 디바이스의 위치가 기술되며, 추가로 파일이름이 함께 기술될 수 있다. 실제 파일 다운로드는 FTP 프로토콜을 통해 피어투피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PUT_FILE_REQUES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5와 도 22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PUT_FILE_RESPONSE"는 파일 전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에러 코드를 통해 기술할 수 있다. "PUT_FILE_RESPONSE"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6과 도 23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PUT_FILE_REQUEST"에 의해 실제 파일 전송이 모두 진행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동작 시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기술한 "Put File Response"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실제 파일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송오류, 전송완료 등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PUT_FILE_RESULT"를 통해 이루어진다. "PUT_FILE_RESUL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7과 도 24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파일 관리부(116)의 특정 URL로 파일 전송을 요청하는 것은 "PUT_FILE_REQUEST", "PUT_FILE_RESPONSE", "PUT_FILE_RESULT"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만 다를 뿐, 전반적인 프로세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파일 전송을 진행하는 것과 유사하다.
"APPLY_REQUEST"는 특정 파일에 대한 실행, 서비스 업데이트, 복원, 파일 추가, 파일 삭제와 같은 기능 수행 요청 메시지로서, "ApplyType"을 통해 진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구분한다. "ApplyFileName"은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파일명을 나타내며, "Apply Request"의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8과 도 25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APPLY_RESPONSE"는 "Apply"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에러 코드를 통해 기술할 수 있다. "Apply Response"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29와 도 26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APPLY_REQUEST"에 의해 실제 파일 기능 수행이 모두 진행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파일 기능 수행 요청에 대한 동작 시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기술한 "APPLY_RESPONSE"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실제 파일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기능 수행 완료 등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APPLY_RESULT"를 통해 이루어진다. "Apply Result" 메시지와 스키마 구조를 하기의 표 30과 도 27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파일 관리부(116)의 특정 파일에 대한 기능 수행 요청 프로세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타겟 디바이스로의 어플라이 명령을 요청하면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페이로드 XML과 헤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타켓 DeviceID로 전달되고, 수신된 메시지는 헤더 및 페이로드가 분석된다.
만약, 헤더의 동작 코드가 "APPLY_REQUEST"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작업(파일실행, 업데이트, 롤백, 파일삭제, 파일추가 등) 수행 명령을 내린 후,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 메시지를 메시지 관리부(117)와 연동하여 생성한다. 다시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를 전달받은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는 메시지 관리부(117)를 통해 메시지를 분석한다.
그렇지 않고, 헤더의 동작 코드가 "APPLY_RESPONSE"일 경우 파일 관리부(116)는 해당 정보를 받아 어플라이 동작을 관리한다. 만약, 어플라이 해당 작업이 완료되거나 중간에 에러가 발행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요청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에게 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유지보수 관리부(118)는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원격 유지보수를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Fimware update), 구성(configuration), 파일 업로드/다운로드(file up/download), 롤백/리부트(rollback/reboot)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지보수 기능들은 추가적인 소프트웨어의 설치과정 없이 원격에서 자유롭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 제조업자가 프로토콜에 기반한 관리 기능을 응용레벨 / OS레벨에서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치에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 없이, 자체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서 유지보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보수 관리부(118)는 각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 및 정보제공서버(200)의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210)에 구비되어, 정보제공서버(200)의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210)이 개별 디바이스(100)에 대해 유지보수 관리하거나, 또는 특정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이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유지보수 관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아키텍처(DA)를 활용하면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아키텍처(DA)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원격 제어를 가능케 한다.
특히, 식당에서도 이 정보제공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식당에 들어갔을 때,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사용자는 디바이스 아키텍처(DA)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을 인증한 후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다.
이 때, 자동적으로 단말간의 기기정보(예컨대, OS, Platform, Version 등) 가 교환되고, 이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는 자동적으로 식당에서 제공하는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스마트 단말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면서 대기자 등록 즉, 대기열을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당의 메뉴를 검색하고, 주문까지도 할 수 있으며, 자기 차례가 오면 알림을 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정보제공 서비스 과정에서, 디바이스 아키텍처(Device Architecture, DA) 각 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식당을 방문하여 최초 스마트 단말을 인증한 후, 액세스 포인트(AP)(10)에 접속하면, 스마트 단말의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의 광고 관리부(113)에서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기본 정보를 수집한 후 메시지 관리부(117)로 그 정보를 넘겨준다.
이후에, 메시지 생성기(117a)는 도 6에 나타낸 메시지 구조의 형태로 메시지를 생성하고, 연결된 네트워크에 자신의 기본 정보를 알려준다. 이 후 식당 관리 응용서비스는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의 정보 관리부(112)를 호출하여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특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데, 특성 정보 요청은 도 7의 형태로 메시지 생성기(117a)를 통해 생성되고, 전달된다.
그리고, 사용자 스마트 단말은 식당 관리 응용서비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후, 메시지 파서(117b)를 통해 특성 정보 요청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정보 관리부(112)를 호출하여 단말 정보(예컨대, OS, Platform, Version 등)와 같은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한다.
이후, 수집한 정보를 메시지 생성기(117a)로 전달하여, 도 8과 같은 구조의 메시지를 생성한 후 식당 관리 응용서비스로 전송한다. 식당 관리 응용서비스는 메시지 파서(117b)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달된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 스마트 단말에 적합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파일 관리부(116)의 파일 전송 기능을 통해 전달하고, 파일이 전송 완료되면 다시 파일 관리부(116)의 적용 기능을 통해 설치하고 실행한다.
이 과정은 모두 메시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파일 전송을 위해 메시지 생성기(117a)가 생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도 22, 파일 설치 및 실행을 위해 메시지 생성기(117a)가 생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도 25와 같다.
만약, 사용자 스마트 단말에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이 설치되면, 사용자는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식당의 메뉴를 검색하고, 주문까지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식당이외에도 회의장에서도 이 정보제공 서비스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기본적으로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W)가 설치되어 회의 진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화면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파일공유, 빔프로젝터를 통한 화면공유,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동 등 회의에서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정보제공 서비스 과정에서, 디바이스 아키텍처(Device Architecture, DA) 각 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의 참석자가 회의장에 들어가면, 액세스 포인트(AP)(10) 역할도 수행하는 회의장 관리 응용서비스(Meeting Interface Framework, MIF)에 예컨대, 노트북, 테블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인증한 후 접속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의 디바이스 아키텍처(DA) 모듈(110)의 광고 관리부(113)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기본 정보를 수집한 후 메시지 관리부(117)로 그 정보를 넘겨준다.
이후에, 메시지 생성기(117a)는 도 6에 나타낸 메시지 구조의 형태로 메시지를 생성하고, 연결된 네트워크에 자신의 기본 정보를 알려준다. 이 후 회의장 관리 응용서비스(MIF)는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110)의 정보 관리부(112)를 호출하여 사용자 단말의 특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데, 특성 정보 요청은 도 7의 형태로 메시지 생성기(117a)를 통해 생성되고, 전달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회의장 관리 응용서비스(MIF)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후, 메시지 파서(117b)를 통해 특성 정보 요청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정보 관리부(112)를 호출하여 단말 정보(예컨대, OS, Platform, Version 등)와 같은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한다.
이후, 수집한 정보를 메시지 생성기(117a)로 전달하여, 도 8과 같은 구조의 메시지를 생성한 후 회의장 관리 응용서비스(MIF)로 전송한다. 회의장 관리 응용서비스(MIF)는 메시지 파서(117b)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적합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파일 관리부(116)의 파일 전송 기능을 통해 전달하고, 파일이 전송 완료되면 다시 파일 관리부(116)의 적용 기능을 통해 설치하고 실행한다.
이 과정은 모두 메시지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파일 전송을 위해 메시지 생성기(117a)가 생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도 22, 파일 설치 및 실행을 위해 메시지 생성기(117a)가 생성하는 메시지 형식은 도 25와 같다.
만약, 사용자 단말에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이 설치되면, 사용자는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파일공유, 채팅,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 빔프로젝터를 통한 화면 공유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8을 참조하면, 먼저,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은 정보제공서버(100)를 통해 기기인증을 수행한 후(S100),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유/무선 액세스 포인트(AP)(10)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정보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S110).
그런 다음, 정보제공서버(200)를 통해 각각의 디바이스들(100)로부터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100)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 디바이스(100)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전송한다(S120).
이후에, 정보제공서버(200)에 구비된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220)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전송한다(S130).
마지막으로,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정보제공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준다(S140).
한편, 정보제공서버(200)를 통해 특정 공간(예컨대, 식당)내의 기설정된 위치(예컨대, 식당의 입구)에 설치된 감지수단(20)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각 디바이스(100)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특정 공간이 식당일 경우,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대기자 등록, 메뉴 검색 또는 주문 요청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디바이스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대기자 등록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정보제공서버(200)에서는 대기자 순번 및 대기 예상시간 정보와 함께 식당 입장허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복수의 디바이스들, 110 :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
111 : 디스커버리 관리부, 112 : 정보 관리부,
113 : 광고 관리부, 114 : 이벤트 관리부,
115 : 제어 관리부, 116 : 파일 관리부,
117 : 메시지 관리부, 118 : 유지보수 관리부,
120 :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200 : 정보제공서버,
210 :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 220 :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
111 : 디스커버리 관리부, 112 : 정보 관리부,
113 : 광고 관리부, 114 : 이벤트 관리부,
115 : 제어 관리부, 116 : 파일 관리부,
117 : 메시지 관리부, 118 : 유지보수 관리부,
120 :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200 : 정보제공서버,
210 :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 220 :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
Claims (31)
- 표준화된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교환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및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각 디바이스로부터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며,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의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기기인증을 수행한 후,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유/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인체감지센서 또는 유/무선 감지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이 식당일 경우,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메뉴 검색 또는 주문 요청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5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대기자 순번 및 대기 예상시간 정보와 함께 식당 입장허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은,
네트워크 상에서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알려주기 위한 광고 관리부;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구독을 요청한 특정 디바이스에게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관리부;
파일의 송수신 및 그 결과, 특정 파일에 대한 기능 수행 및 그 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부; 및
메시지를 생성 및 분석하기 위한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관리부;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관리부; 및
다양한 디바이스별 기능들을 통해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관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관리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 및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지 파서(Paser)를 포함하고, 메시지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시작신호, 소스 디바이스 ID, 타겟 디바이스 ID, 동작 코드 및 종료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관리부는, 디바이스 검색 조건, 디바이스 ID 또는 이름, 디바이스 타입 또는 성능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검색 요청 메시지와,
요청된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정보들을 페이로드로 생성한 디바이스 검색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관리부는, 디바이스 개수, 디바이스 ID 또는 이름, 디바이스 타입 또는 성능, 또는 네트워크 참여 정보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디바이스의 정보의 타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 요청 메시지와,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정보 요구를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정보를 응답해주기 위한 디바이스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 타입 파라미터는,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 디바이스별 기능목록 정보, 디바이스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일반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환경 설정 정보,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또는 디바이스별 고유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 응답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 디바이스별 기능목록 정보, 디바이스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일반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환경 설정 정보,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또는 디바이스별 고유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는 디바이스 ID, 타입, 이름, 복합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여러 고유 기능목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별 기능목록 정보는 디바이스별로 제공하는 기능 리스트 갯수, 디바이스별 정의된 기능 ID, 기능의 카테고리,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해 디바이스 기준으로 입력되는 메시지 리스트, 또는 디바이스 기준으로 출력되는 메시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관리부는, 디바이스 타입 코드와 기능 목록 구분을 포함하는 기능 ID, 기능 카테고리, 입력 목록, 또는 출력 목록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 메시지와,
디바이스 제어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부는, 기능 ID, 기능 카테고리, 또는 이벤트 목록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통지 메시지와,
기능 ID, 구독 주기, 또는 구독 타입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 구독 요청 메시지와,
결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구독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파일 타입, 파일 이름, 검색 대상 시작 시간 또는 검색 대상 종료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일 송수신 과정에 필요한 파일 정보 요청 메시지와,
파일 정보 리스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일 정보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 리스트에는, 파일이름, 파일타입, 파일크기, 파일생성날짜, 파일 URL 또는 파일 버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타겟 디바이스 위치, 로컬 디바이스 위치 또는 파일 이름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요청 메시지와,
에러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 전송 응답 메시지와,
전송오류 또는 전송완료 결과에 대한 파일 전송 결과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부는, 특정 파일에 대한 실행, 서비스 업데이트, 복원, 파일 추가 또는 파일 삭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 수행 요청 메시지와,
에러 코드를 포함하는 기능 수행 응답 메시지와,
기능 수행 오류 또는 기능 수행 완료 결과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8 항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관리부는 펌웨어 업데이트, 구성,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또는 롤백/리부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 표준화된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 정보교환 및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아키텍처 모듈 및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및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으로 정보제공을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각 디바이스로부터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각 디바이스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되도록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제공서버에 구비된 정보제공 응용서비스 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각 디바이스의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기기인증을 수행한 후,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유/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할 경우, 자동으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정보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서버를 통해 특정 공간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각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인체감지센서 또는 유/무선 감지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이 식당일 경우,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메뉴 검색 또는 주문 요청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제29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자 등록 서비스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정보제공서버는 대기자 순번 및 대기 예상시간 정보와 함께 식당 입장허용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탑재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563 | 2011-12-29 | ||
KR20110145563 | 2011-12-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734A true KR20130077734A (ko) | 2013-07-09 |
Family
ID=4899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9825A KR20130077734A (ko) | 2011-12-29 | 2012-03-23 |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7734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93902A1 (ko) * | 2013-12-20 | 2015-06-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
CN105049439A (zh) * | 2015-08-06 | 2015-11-11 |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协议配置的机车显示设备数据通信方法 |
WO2016190557A1 (ko) * | 2015-05-27 | 2016-12-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KR20200125082A (ko) * | 2019-04-26 | 2020-11-0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장치 |
CN115996196A (zh) * | 2022-12-27 | 2023-04-21 | 中汽研(天津)汽车工程研究院有限公司 | 基于some/ip协议的车载时间敏感网络通信方法 |
-
2012
- 2012-03-23 KR KR1020120029825A patent/KR2013007773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30502B (zh) * | 2013-12-20 | 2019-12-03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智能家庭系统中用于搜索和控制受控者的方法和设备 |
CN110855534B (zh) * | 2013-12-20 | 2022-07-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智能家庭系统中用于搜索和控制受控者的方法和设备 |
CN105830502A (zh) * | 2013-12-20 | 2016-08-03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智能家庭系统中用于搜索和控制受控者的方法和设备 |
WO2015093902A1 (ko) * | 2013-12-20 | 2015-06-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
US10862698B2 (en) | 2013-12-20 | 2020-12-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nd controlling controllees in smart home system |
CN110855534A (zh) * | 2013-12-20 | 2020-02-28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智能家庭系统中用于搜索和控制受控者的方法和设备 |
WO2016190557A1 (ko) * | 2015-05-27 | 2016-12-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US10594797B2 (en) | 2015-05-27 | 2020-03-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
CN107736045A (zh) * | 2015-05-27 | 2018-02-23 | 三星电子株式会社 | 控制外围设备的方法和装置 |
CN107736045B (zh) * | 2015-05-27 | 2021-01-19 | 三星电子株式会社 | 控制外围设备的方法和装置 |
CN105049439B (zh) * | 2015-08-06 | 2018-04-13 |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协议配置的机车显示设备数据通信方法 |
CN105049439A (zh) * | 2015-08-06 | 2015-11-11 |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协议配置的机车显示设备数据通信方法 |
KR20200125082A (ko) * | 2019-04-26 | 2020-11-0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장치 |
CN115996196A (zh) * | 2022-12-27 | 2023-04-21 | 中汽研(天津)汽车工程研究院有限公司 | 基于some/ip协议的车载时间敏感网络通信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99501B2 (en) | Residential gateway system for home network service | |
US1093931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
CN108702389B (zh) | 用于遥控iot(物联网)设备的架构 | |
US10082309B2 (en) | Server integration with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JP4455171B2 (ja) | 家電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 | |
CN101461194B (zh) | 用于远程访问网络中的装置的方法和系统 | |
JP4564249B2 (ja) | 家電遠隔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サーバ、ホームサーバ、家電機器、サービス提供サーバの家電遠隔制御支援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サーバの家電サービス提供支援方法 | |
WO2014002184A1 (ja) | 設備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10659322B2 (en) | Monitoring system, facility management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 |
RU2419845C2 (ru) |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 |
KR100786424B1 (ko) | 가전 원격 제어 조작 시스템, 서비스 제공 서버, 홈 서버,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가전 원격 제어 조작 지원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가전 서비스 제공 지원 방법 | |
WO2013038902A1 (ja) |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 |
US20120324366A1 (en) |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ly using electrical devices | |
KR20130077734A (ko) |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US10405256B2 (en) | Technique for access by a master device to a value taken by a characteristic managed by a peripheral device | |
JP2004304520A (ja) | 制御装置、制御用通信装置、中継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実現させ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2008501202A (ja) |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化システム用の装置アブストラクションレイヤ | |
US20130173696A1 (en) |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device information exchange protocol | |
US10440551B2 (en) |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peripheral device in a service area of a local network | |
KR20050079480A (ko) |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 |
KR20130077733A (ko) |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100983137B1 (ko) | 오에스지아이 기반 주거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 |
EP2040418B1 (en) | Program control method for network devices and network system | |
JP2005242877A (ja) | ネットワーク家電システム | |
KR20140017427A (ko) | 장치의 초기 구성 방법 및 초기 구성 기능을 구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