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796B1 -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796B1
KR100503796B1 KR10-2003-0036329A KR20030036329A KR100503796B1 KR 100503796 B1 KR100503796 B1 KR 100503796B1 KR 20030036329 A KR20030036329 A KR 20030036329A KR 100503796 B1 KR100503796 B1 KR 10050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input
signal
output device
w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588A (ko
Inventor
박수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796B1/ko
Priority to US10/860,642 priority patent/US7343525B2/en
Publication of KR2004010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45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n input/output transactions management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 G06F13/422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with asynchronous protoc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Abstract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의해,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하는 단계 및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거나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수행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액세스 대기신호가 액세스를 지연시키는 신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오류 신호로서 전송되더라도, 소정 시간이 흐른 뒤에는 전자기기가 자동적으로 액세스 지연 상태를 벗어나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detecting an error of an access wait signal}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와 연결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검출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컴퓨터, 프린터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내부에 입출력 컨트롤러를 구비한 기타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는 전자기기에 연결된 것으로서, 일 예로서 피시 카드(PC card), 네트워크 카드 등이 있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들 중 하나가 액세스 대기신호이다. 액세스 대기신호는 입출력 장치가 다른 작업 처리로 인해 비지(busy) 상태일 때에, 전자기기로부터의 액세스를 지연시키는 신호이다.
전자기기 내 프로세서에 포함된 입출력 컨트롤러는 입출력 장치와 전자기기의 연결을 제어한다.
도 1은 종래의 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의 전송에 따른 타이밍도이다. 입출력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특정 입출력 장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 신호(CS) 및 입출력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읽기/쓰기 신호(RD/WR)를 출력한다. 또한, 입출력 컨트롤러의 내부동작은 대기(IDLE), 준비(SETUP), 액세스(ACCESS), 액세스 지연(ACCESS DELAY), 홀드(HOLD) 및 대기(IDLE) 과정을 수행한다. 대기(IDLE) 상태는 입출력 컨트롤러가 초기화된 상태를 나타내고, 준비(SETUP) 상태는 입출력 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내부 동작의 시작을 준비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액세스(ACCESS) 상태는 입출력 제어명령에 따라 액세스가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액세스 지연(ACCESS DELAY) 상태는 액세스 대기신호에 의해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가 지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홀드(HOLD) 상태는 액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후에 대기(IDLE) 상태로 진행하기 위한 중간 과정이다.
도 1에 도시된 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WAIT)는 하이(High) 상태일 때,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로우(Low) 상태일 때,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지연시켜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IDLE) 상태에서 준비(SETUP) 상태로 내부 동작이 바뀌게 되면 선택 신호가 로우로 바뀌게 되고, 준비(SETUP) 상태에서 엑세스(ACCESS) 상태로 내부 동작이 바뀌게 되면, 읽기/쓰기 신호가 로우로 바뀌게 된다. 그 후, 액세스 대기신호(WAIT)가 로우로 바뀌게 되면, 액세스 대기신호(WAIT)가 하이로 바뀔 때까지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가 지연된다. 그 후, 액세스 대기신호(WAIT)가 하이로 바뀌게 되면, 미리 정해진 액세스 시간 중 액세스 지연으로 인해 액세스하지 못한 시간만큼 액세스를 수행한다. 그 후, 홀드(HOLD) 상태를 거쳐서 대기(IDLE)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비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의 전송에 따른 타이밍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상의 불안정적 요소나 잡음, 기타 예상치 못한 전기적 상황 등의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서 액세스 대기 신호(WAIT)가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변화되지 않으면, 대기(IDLE), 준비(SETUP) 상태를 거쳐서 액세스(ACCESS) 상태로 진입한 입출력 컨트롤러의 상태가 계속 액세스 지연(ACCESS DELAY) 상태에 머물게 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컨트롤러의 선택 신호(CS), 읽기/쓰기 신호(RD/WD) 등의 인터페이스 신호도 도 2에서와 같이 정상 동작으로 복귀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로 인해 전자기기가 더 이상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된 경우, 이러한 비정상적인 동작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하드웨어적으로 전자기기를 리셋(reset)시키는 방법뿐이므로 메모리에 저장된 중요한 데이터나 현재 전자기기에서 수행하고 있던 기능적인 동작들이 모두 무효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검출하여 전자기기를 액세스 지연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은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의해,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하는 단계 및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거나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수행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생성된 오류 정보에 의해 입출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액세스 대기신호를 무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는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거나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수행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를 지시하는 입출력 제어부,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한계 시간에 해당하는 대기 제한시간을 저장하는 제한시간 저장부 및 생성된 오류 정보를 저장하는 오류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고, 생성된 오류 정보에 의해 입출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액세스 대기신호를 무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로서,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오류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수행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제10 및 제12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의해,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한다(제10 단계). 입출력 제어명령이 내려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 준비 상태를 거쳐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한다.
제10 단계 후에,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거나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제12 단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12A)의 플로차트로서,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인가에 따라,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하거나 오류 신호를 생성하고,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제30 ~ 제3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인가를 판단한다(제30 단계).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라 함은 예를 들어,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액세스 대기신호가 하이 상태일 때에는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액세스 대기신호의 로우 상태 또는 하이 상태에 따라 액세스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패턴은 서로 바꾸어 설정할 수도 있다.
만일,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제36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36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라고 판단되면,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지연시킨다(제32 단계). 예를 들어,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라고 판단되면,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지연시킨다.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 시간은 일반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세스 시간 내에서 액세스가 수행되다가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로 변화하게 되면,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가 지연된다.
제32 단계 후에,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는가를 판단한다(제34 단계). 대기 제한시간이란,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한계 시간을 말한다.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는 것은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에서 전술한 대기 제한시간 내에 하이 상태로 변화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 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제36 단계).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기기가 입출력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계속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화된 것이므로, 입출력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액세스 시간 중 액세스 대기신호에 의해 액세스가 지연되고 남은 액세스 시간만큼 액세스를 수행한다. 이후, 홀드 상태를 거쳐서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대기 상태로 복귀된 전자기기는 새로운 입출력 제어명령에 의해,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그러나,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제38 단계).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았다는 것은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자기기로 전송될 때, 발생된 오류로 인해 계속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전자기기는 입출력 장치가 계속 비지(busy)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액세스를 지연시키는 상태를 지속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기 제한시간이 초과해도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액세스 대기신호가 오류 신호임을 나타내는 오류신호를 생성한다. 이 후, 액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한 후의 홀드 상태를 거쳐서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방식과 달리, 대기 제한시간이 초과되면, 자동적으로 액세스를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5는 비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의 전송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타이밍도이다.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을 초과하여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액세스 지연 상태가 중지되고, 대기 상태로 복귀됨을 알 수 있다.
전자기기가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대기 제한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적으로 대기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전자기기를 리셋(reset) 시킬 필요 없이, 입출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액세스 대기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류 신호 발생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입출력 제어부(100), 제한시간 저장부(120) 및 오류 정보 저장부(140)로 구성된다.
입출력 제어부(100)는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지시하거나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한다. 입출력 제어부(10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부(100)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제한시간 저장부(120)로부터 대기 제한시간을 제공받아서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류 정보를 오류 정보 저장부(140)로 출력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출력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대기신호 감지부(200), 액세스 제어부(220) 및 오류정보 생성부(240)로 구성된다.
대기신호 감지부(200)는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인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대기신호 감지부(20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인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액세스 제어부(220) 및 오류 정보 생성부(240)로 출력한다.
액세스 제어부(220)는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지시하거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지연시키거나, 오류 정보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를 지시한다. 액세스 제어부(22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된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부(220)는 대기신호 감지부(20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의 지연을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부(220)는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입출력 장치의 엑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입출력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액세스 시간 중 액세스 대기신호에 의해 액세스가 지연되고 남은 액세스 시간만큼 액세스를 지시하고, 홀드 상태를 거쳐서 대기 상태로의 복귀를 지시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부(220)는 오류 정보 생성부(240)로부터 입력된 오류 정보에 응답하여, 대기 상태로의 복귀를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오류정보 생성부(240)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오류 정보를 생성한다. 오류정보 생성부(240)는 대기 신호 감지부(20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제한 시간 저장부(120)로 대기 제한시간을 요청하고, 요청된 대기 제한시간을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받아서,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류 정보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오류정보 생성부(240)는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라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서, 대기 제한시간 내에 로우 상태가 하이 상태로 변화되는지를 감지하고, 대기 제한시간 내에 액세스 대기신호가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면, 액세스 대기신호가 오류임을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한다.
제한시간 저장부(120)는 액세스 대기신호가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한계 시간에 해당하는 대기 제한시간을 저장한다. 대기 제한시간은 정상적인 액세스 시간 보다 충분히 큰 시간으로 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오류 정보 저장부(140)는 입출력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오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오류 정보는 입출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액세스 대기신호를 무시하도록 하는 정보로서 이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는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액세스 대기신호가 액세스를 지연시키는 신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오류 신호로서 전송되더라도, 소정 시간이 흐른 뒤에는 전자기기가 자동적으로 액세스 지연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여, 전자기기 전체를 리셋시키지 않아도 전자기기 작동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의 전송에 따른 타이밍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비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의 전송에 따른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비정상적인 액세스 대기신호의 전송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출력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입출력 제어부 120: 제한시간 저장부
140: 오류 정보 저장부 200: 대기신호 감지부
220: 액세스 제어부 240: 오류정보 생성부

Claims (6)

  1. 전자기기와 연결된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대기신호에 대해 상기 전자기기에서 수행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하는 단계; 및
    (b)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한 후,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생성된 오류 정보에 의해 상기 입출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상기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를 무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지연시키는 단계;
    (b3)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대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4)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대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 한 후,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 및
    (b5)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대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e)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4) 단계는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대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액세스 시간 중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에 의해 액세스가 지연되고 남은 상기 액세스 시간만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4. 전자기기와 연결된 입출력 장치로부터 액세스 대기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입출력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액세스 대기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지시하거나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의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입출력 제어부;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의 한계 시간에 해당하는 대기 제한시간을 저장하는 제한시간 저장부; 및
    상기 생성된 오류 정보를 저장하는 오류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성된 오류 정보에 의해 상기 입출력 장치를 초기화하거나 상기 전자기기로 입력되는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를 무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입출력 장치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인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대기신호 감지부;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오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액세스를 지시하거나,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한 액세스의 지연을 지시하거나, 상기 오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상태로의 복귀를 지시하는 액세스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가 상기 대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시간 지연을 결정하는 신호 상태에서 해제되었다는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액세스 시간 중 상기 액세스 대기신호에 의해 액세스가 지연되고 남은 상기 액세스 시간만큼 액세스를 지시하고,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장치.
KR10-2003-0036329A 2003-06-05 2003-06-05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50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329A KR100503796B1 (ko) 2003-06-05 2003-06-05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US10/860,642 US7343525B2 (en) 2003-06-05 2004-06-04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error of access wait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329A KR100503796B1 (ko) 2003-06-05 2003-06-05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588A KR20040107588A (ko) 2004-12-23
KR100503796B1 true KR100503796B1 (ko) 2005-07-26

Family

ID=3430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329A KR100503796B1 (ko) 2003-06-05 2003-06-05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43525B2 (ko)
KR (1) KR100503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34B1 (ko) * 2004-08-05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50610B1 (ko) * 2006-05-22 2008-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941081B1 (ko) * 2008-06-18 2010-02-10 한국과학기술원 딜레이 액세스 지원 장치, 딜레이 액세스 지원 방법 및딜레이 액세스를 지원하는 소리 합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0027A (ja) * 1984-12-25 1986-07-08 Nec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のタイマ−回路診断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9112A (en) * 1995-09-08 1998-10-06 Microsoft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O port by queuing requests and in response to a predefined condition, enabling the I/O port to receive the interrupt requests
US6023776A (en) * 1996-03-22 2000-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 register which store values to vary wait cycles
US6032271A (en) * 1996-06-05 2000-02-2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faulty devices in a computer system
US6553476B1 (en) * 1997-02-10 2003-04-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orage management based on predicted I/O execution times
KR19990012409A (ko) 1997-07-29 1999-02-25 윤종용 레지스터 제어 방법
US6145030A (en) * 1998-03-27 2000-11-07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input/output address accesses at a bridge/memory controller
US6223231B1 (en) * 1998-11-12 2001-04-24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ly-available processing of I/O requests while application processing continues
US6260099B1 (en) * 1998-12-22 2001-07-10 Unisys Corporation Multi-level prio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currently pending data transfer requests
JP3615409B2 (ja) * 1999-01-29 2005-02-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装置
US6594787B1 (en) * 1999-09-17 2003-07-15 Silicon Graphics, Inc. Input/output device managed timer process
US6839857B2 (en) 2000-01-13 2005-01-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nterrupt controller in an interface device 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2091905A (ja) * 2000-09-20 2002-03-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アクセスウェイト数変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089457B2 (en) * 2002-04-16 2006-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I/O retry over QDIO
US7278062B2 (en) * 2003-01-09 2007-10-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ccess error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0027A (ja) * 1984-12-25 1986-07-08 Nec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のタイマ−回路診断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3525B2 (en) 2008-03-11
KR20040107588A (ko) 2004-12-23
US20050066238A1 (en)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726B1 (ko) 제어된 메모리 저장 장치의 타이밍 파라미터를 토대로 하여 실행 능력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능 지연 카운터를 갖는 메모리 컨트롤러
JP4198644B2 (ja) 半導体集積回路
EP3037975B1 (en) Mechanism for detecting a no-processor swap condition and modification of high speed bus calibration during boot
TW2004228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ata processing system during debug
US6904506B2 (en) Method and motherboar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memory type
JP2006114034A (ja) プロセッサ動作電圧の自動動的制御
JP3134819B2 (ja) データ処理装置
US20070038795A1 (en) Asynchronous bus interfa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0501984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 loop buffer allocation
KR100503796B1 (ko) 액세스 대기신호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WO2016201983A1 (zh) 管理光模块的使能状态的方法和装置
US7590767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apparatus
KR20010106200A (ko) 시스템 리셋을 통해 동기식 디램의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및 장치
US20040186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interfacing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disk drive power consumption
US7984234B2 (en) Memory control apparatus and memory control method
JPH109156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いてチップ選択可能な装置を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379841B2 (ja) 情報処理装置、試験方法および試験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07514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3031130A1 (ja) 情報処理装置、その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JP2003345852A (ja) ハード検証方法、およびハード検証装置
JP2008077389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11328084A (ja) ディスク装置のホスト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6099643A (ja) ページプリンタ
KR19990038629A (ko) 주전산기ⅲ의 프린터 인터페이스 검증장치
JPS63198110A (ja) 電子機器の動作速度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