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382B1 -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382B1
KR100501382B1 KR10-2003-0023630A KR20030023630A KR100501382B1 KR 100501382 B1 KR100501382 B1 KR 100501382B1 KR 20030023630 A KR20030023630 A KR 20030023630A KR 100501382 B1 KR100501382 B1 KR 100501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ide
upper member
panel
rear upp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817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3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사이드멤버(51)와, 이 프론트사이드멤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아웃터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53)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인너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는 사이드보강멤버(55a)가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사이드보강멤버(55a)를 통해 인너측으로 돌출된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대시로어멤버(55)와, 상기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53)에서부터 대시로어멤버(55)에 이르기까지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대시패널(56) 및 센터플로어패널(57)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에 설치되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의 공간을 이중박스의 공간(C1,C2)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로 이루어져,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연비의 향상이 이룩되면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다리가 최대한 보호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under body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대시로어멤버의 변형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부분적인 강성증대를 이룩함으로써 운전자의 다리부상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승용차에 있어 운전석 하부의 차체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사이드멤버(1)와, 차체의 후방측을 향하는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단부내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와, 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3)와,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아웃터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되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4)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인너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되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와, 이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의 저면에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리어로어멤버보강패널(6)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의 윗면에 일부분이 중첩을 이루면서 인너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대시로어멤버(7)와, 이 대시로어멤버(7)의 윗면에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대시로어멤버보강패널(8)과, 이들을 커버하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대시패널(9) 및 센터플로어패널(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차체구조의 부품들(멤버 및 패널들)은 모두 용접결합을 통해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안쪽면과 서로 면접촉을 이루면서 용접을 통해 면결합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3)도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의 안쪽면과 서로 면접촉을 이루면서 용접을 통해 면결합 방식으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차체의 후방측을 향하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일단과 차체의 전방측을 향하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의 일단은 서로 많은 부분이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데, 이는 차체의 강성증대를 위해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일단을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형성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체하부구조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대시로어멤버(7)가 실내측으로 많은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다리가 심하게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를 가진 승용차가 전방충돌을 하게 되면 이때 발생된 충격력의 일부는 프론트사이드멤버(1)와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를 통해 흡수되지만, 나머지 대부분은 충격력은 주변 부품들에 비해 비교적 강성이 취약한 대시로어멤버(7)쪽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대시로어멤버(7)는 운전자의 다리가 위치되는 부분(A)에서 많은 변형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다리부상이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차체하부구조는, 프론트사이드멤버(1)의 일단을 차체의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형성시켜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2)와 많은 부분이 중첩을 이루도록 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1)와 대시로어멤버(7)를 연결시키는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의 저면에 리어로어멤버보강패널(6)을 설치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조는 대시로어멤버(7)의 강성증대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차량의 중량증대라는 악영향만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를 이용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와 대시패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중박스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의 강성증대를 이룩하고, 아울러 대시로어멤버의 측부에 사이드보강멤버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이 사이드보강멤버를 통해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와 연결되도록 하여 대시로어멤버의 강성증대를 이룩함으로써,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대시로어멤버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라 운전자의 다리부상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의 감소를 통해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연비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체하부구조는,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이 프론트사이드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와, 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의 아웃터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의 인너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는 사이드보강멤버가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사이드보강멤버를 통해 인너측으로 돌출된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대시로어멤버와, 상기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에서부터 대시로어멤버에 이르기까지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대시패널 및 센터플로어패널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와 대시패널사이에 설치되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와 대시패널사이의 공간을 이중박스의 공간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하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4의 Ⅲ-Ⅲ선 및 Ⅳ-Ⅳ선 부분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승용차의 운전석 하부를 이루는 차체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사이드멤버(51)와, 이 프론트사이드멤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아웃터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53)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인너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는 사이드보강멤버(55a)가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사이드보강멤버(55a)를 통해 인너측으로 돌출된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대시로어멤버(55)와, 상기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53)에서부터 대시로어멤버(55)에 이르기까지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대시패널(56) 및 센터플로어패널(57)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에 설치되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의 공간을 이중박스의 공간(C1,C2)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체구조의 부품들(멤버 및 패널들)은 모두 용접결합을 통해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는 차체의 전방측을 향하는 단부가 차체의 후방측을 향하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51)의 단부와 일정구간이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51)와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중첩구간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중첩구간보다 도면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의 공간이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에 의해 이중박스의 공간(C1,C2)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강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강성증대를 통해 상기의 중첩구간이 종래에 비해 줄어들게 되더라도 강성약화라는 악영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사이드멤버(51)의 전체길이를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중량감소를 통해 연비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보강멤버(55a)는 차체의 하부쪽으로 돌출되는 디귿(ㄷ)자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보강멤버(55a)와 상기 대시패널(56)사이에는 박스구조를 갖는 공간(D)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박스구조의 공간(D)은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대시로어멤버(55)의 연결부위 강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상기 대시로어멤버(55)의 전체적인 강성도 종래구조에 비해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보강멤버(55a)를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의 연결부위 및 대시로어멤버(55)의 강성이 증대되면, 종래의 차체구조에서 강성증대를 위해 사용되던 리어로어멤버보강패널(6)을 사용하지 않아도 강성증대효과를 이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조는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원가절감과 중량감소의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의 공간에서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에 의해 상하측으로 구획되는 이중박스의 공간(C1,C2)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체하부구조는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에 형성되는 이중박스구조의 공간(C1,C2)과, 상기 대시패널(56)과 사이드보강멤버(55a)사이에 형성되는 박스구조의 공간(D)에 의해 전체적인 강성증대가 이룩되게 되고, 이와 같은 강성증대를 통해 전방충돌사고시 대시로어멤버(55)의 실내측방향 변형량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다리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는 강성증대를 이룩하기 위한 부품의 개수 및 크기를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감소시키거나 또는 줄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연비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다리가 위치되는 차체하부구조의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다리가 최대한 보호되게 되고, 아울러 원가절감과 중량감소 및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체하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및 Ⅱ-Ⅱ선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하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Ⅲ-Ⅲ선 및 Ⅳ-Ⅳ선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프론트사이드멤버 52 -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
53 -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 54 -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
55 - 대시로어멤버 55a - 사이드보강멤버
56 - 대시패널 57 - 센터플로어패널
58 -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

Claims (3)

  1. 프론트사이드멤버(51)와, 이 프론트사이드멤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아웃터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53)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의 인너측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는 사이드보강멤버(55a)가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사이드보강멤버(55a)를 통해 인너측으로 돌출된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로어멤버(54)와 중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대시로어멤버(55)와, 상기 프론트사이드아웃터리어익스텐션패널(53)에서부터 대시로어멤버(55)에 이르기까지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대시패널(56) 및 센터플로어패널(57)과,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에 설치되어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의 공간을 이중박스의 공간(C1,C2)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로 이루어지는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보강멤버(55a)는 차체의 하부쪽으로 돌출되는 디귿(ㄷ)자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보강멤버(55a)와 상기 대시패널(56)사이에는 박스구조를 갖는 공간(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는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의 공간에서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사이드리어어퍼멤버(52)와 대시패널(56)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리어어퍼멤버레인포스(58)에 의해 상하측으로 구획되는 이중박스의 공간(C1,C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KR10-2003-0023630A 2003-04-15 2003-04-15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KR10050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630A KR100501382B1 (ko) 2003-04-15 2003-04-15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630A KR100501382B1 (ko) 2003-04-15 2003-04-15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817A KR20040089817A (ko) 2004-10-22
KR100501382B1 true KR100501382B1 (ko) 2005-07-18

Family

ID=3737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630A KR100501382B1 (ko) 2003-04-15 2003-04-15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081B2 (en) 2012-06-04 2014-08-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to passenger' feet during offset cra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380B1 (ko) * 2017-12-28 2022-09-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프론트 사이드 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081B2 (en) 2012-06-04 2014-08-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to passenger' feet during offset cr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817A (ko) 200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340B1 (ko)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
JP2019156063A (ja) 車両後部構造
CN103625554A (zh) 用于车身的增强单元
CN109927791A (zh) 前车身加强结构
US10343721B2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KR102371239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9156064A (ja) 車両後部構造
KR100501382B1 (ko) 승용차의 차체하부구조
KR101220005B1 (ko) 엔진룸 보강 구조
KR100339221B1 (ko)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US20200122779A1 (en) Fender apron for vehicle
KR101755495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10032081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부 보강구조
KR100513684B1 (ko)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범퍼 구조
KR20030028634A (ko) 충격흡수성능이 향상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 구조
KR0124057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100325751B1 (ko) 자동차용 범퍼
KR100271868B1 (ko) 자동차용 에이필라의 보강구조
KR100392222B1 (ko) 자동차의 상부전면에 위치하는 연결패널의 보강구조
KR100405547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KR20010005168A (ko) 차량의 측면 보강구조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19990034198A (ko) 차량용 도어의 구조
KR19990034200A (ko) 차량의 리어엔드부 구조
KR20020095966A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