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547B1 -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547B1
KR100405547B1 KR10-2001-0035684A KR20010035684A KR100405547B1 KR 100405547 B1 KR100405547 B1 KR 100405547B1 KR 20010035684 A KR20010035684 A KR 20010035684A KR 100405547 B1 KR100405547 B1 KR 10040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enter floor
joined
floor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065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5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에 관한 것으로,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이 내측사이드실(21)의 일면에 접합되어 결합되고, 이 내측사이드실(21)에는 외측사이드실(22)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며,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내측사이드실(21)에는 보강패널(50)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내측사이드실(21)과 외측사이드실(22)의 접합부 및 보강패널(50)에는 사이드스텝(30)의 일단이 다수개의 조립부재(40)에 의해 나사결합되어져,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사이드스텝(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F)의 대부분이 상기 사이드스텝(30)과 사이드실(20) 및 보강패널(50)에 의해 충분히 감쇠되어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이 실내쪽으로 과도하게 밀려들어오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안전이 최대한 보호되게 되며,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되고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며 연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side body structure of frame body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터플로어패널과 사이드실사이에 보강패널을 설치하여 측면바디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크게 모노코크바디와 프레임바디로 구분되는바, 상기 모노코크바디는 차체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박스형태를 띠는 것으로 주로 세단(sedan)형식의 승용자동차에서 채택되고 있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1)이 플로어패널의 주골격을 이루면서 그 위에 차체(2)가 구성되는 것으로 주로 SUV(Sports Utility Vehicle)차량이나 상용차 또는 대형차량에서 채택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종래 측면바디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에는 사이드실(20)이 용접으로 접합되어 결합되고, 이 사이드실(20)에는 사이드스텝(30)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조립부재(40)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사이드실(20)은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면접합되는 내측사이드실(21)과, 이 내측사이드실(21)에 접합되는 외측사이드실(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측사이드실(21)과 외측사이드실(22)의 내부공간은 일정 용적의 폐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이 폐공간에는 상기 내측사이드실(21)의 안쪽면에 면접합되는 내측레인포스먼트(23) 및 상기 외측사이드실(22)의 안쪽면에 면접합되는 외측레인포스먼트(24)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스텝(30)은 종단면이 대략 ㄴ자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좌측부가 상기 내측사이드실(21)의 일면에 조립부재(40)를 매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사이드실(20)에 설치되게 되며 이로 인해 그 우측부는 차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승하차시 발판으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면바디구조에 의하면, 측면충돌사고 발생시상기 사이드스텝(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F)은 사이드실(20)을 통해 센터플로어패널(10)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이 내측사이드실(21)에 단순접합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충격력(F)을 충분히 견디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이 실내쪽으로 과도하게 밀려들어오면서 탑승자의 안전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면충돌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F)에 의해 상기 사이드스텝(30)은 도시된 화살표 M과 같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사이드스텝(30)도 전술한 센터플로어패널(10)과 같이 내측사이드실(21)에 조립부재(40)를 매개로 단순 결합됨은 물론 상기 조립부재(40)의 조립방향도 충격력(F)이 전달되는 방향과 동일한 횡축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스텝(30)이 충격력(F)을 충분히 견디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사이드실(20)의 결합부위 보강에 기여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상기 사이드스텝(30)은 탑승자의 승하차시 발판의 기능만 수행할 뿐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사이드실(20)의 결합부위 보강에 기여를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는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의 밀림량이 더욱 과도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터플로어패널과 사이드실사이에 보강패널을 접합시켜 상기 센터플로워패널의 결합부위를 보강시키면서, 상기 사이드스텝이 이중지지구조를 갖도록 사이드실 및 보강패널에 동시에 결합시킴으로써,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센터플로어패널의 측단이 실내쪽으로 과도하게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함은 물론, 아울러 상기 사이드스텝도 센터플로어패널의 결합부위 보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 측면바디구조의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실의 강성보강에 사용되던 다수개의 레인포스먼트 대신에 한 개의 보강판넬이 사용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며 아울러 연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바디구조는, 센터플로어패널의 측단이 내측사이드실의 일면에 접합되어 결합되고, 이 내측사이드실에는 외측사이드실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며, 상기 센터플로어패널과 내측사이드실에는 보강패널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내측사이드실과 외측사이드실의 접합부 및 보강패널에는 사이드스텝의 일단이 다수개의 조립부재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측면바디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디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터플로어패널 20 - 사이드실
21 - 내측사이드실 22 - 외측사이드실
30 - 사이드스텝 40 - 조립부재
50 - 보강패널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디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에는 사이드실(20)이 용접으로 접합되어 결합되고,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사이드실(20)에는 보강패널(50)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실(20)과 보강패널(50)에는 사이드스텝(30)의 일단이 다수개의 조립부재(50)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사이드실(20)은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면접합되는 내측사이드실(21)과, 이 내측사이드실(21)에 접합되는 외측사이드실(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측사이드실(21)과 외측사이드실(22)의 내부공간은 일정 용적의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스텝(30)은 종단면이 대략 계단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조립부재(40)를 매개로 상기 보강패널(50) 및 상기 내측사이드실(20)과 외측사이드실(22)의 접합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실(20)에 설치되게 되며 이로 인해 그 타단부는 차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승하차시 발판으로 사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부재(40)의 조립방향은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사이드스텝(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F)과 직교되는 방향을 갖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부재(40)가 충격력(F)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을 갖도록 조립되면 충격력(F)에 대한 사이드스텝(30)의 지지력이 향상되면서 전체적인 사이드스텝(30)의 결합강성도 증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부재(40)에 의해 결합되는 사이드스텝(30)의 결합부위가 상기 내측사이드실(21)과 보강패널(50)에 의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사이드스텝(30)의 결합부위가 박스폐단면의 구조로 형성되면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사이드스텝(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F)의 일부분을 감쇠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가는 센터플로어패널(10)의 밀림양도 최소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이 내측사이드실(21)과 보강패널(50)에 의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이중의 접합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스텝(30)이 사이드실(20)과 보강패널(50)에 의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조립부재(40)를 매개로 상기 사이드실(20)과 보강패널(50)에 나사결합되게 되면,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의 결합부위 및 상기 사이드스텝(30)의 결합부위 강성이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측면바디구조보다 한층 더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디구조가 종래의 구조보다 향상되게 되면,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사이드스텝(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F)의 대부분이 상기 사이드스텝(30)과 사이드실(20) 및 보강패널(50)에 의해 충분히 감쇠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이 실내쪽으로 과도하게 밀려들어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디구조에서는 센터플로어패널(10)과 사이드실(20) 및 사이드스텝(30)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한 개의 보강패널(50)만을 사용하는 반면에, 종래의 측면바디구조에서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바와 같이 내측레인포스먼트(23) 및 외측레인포스먼트(24)에 의해 사이드실(20)의 강성만이 보강됨으로써, 전체적인 측면바디의 강성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패널(50)에 의해 한층 더 향상되게 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종래에 사용하던 내측레인포스먼트(23) 및 외측레인포스먼트(24)를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며 연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플로어패널이 내측사이드실과 보강패널에 의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이중의 접합구조로 결합되면서, 사이드스텝이 사이드실과 보강패널에 의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조립부재를 매개로 나사결합되어져,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사이드스텝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의 대부분이 상기 사이드스텝과 사이드실 및 보강패널에 의해 충분히 감쇠되어 상기 센터플로어패널의 측단이 실내쪽으로 과도하게 밀려들어오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안전이 최대한 보호되게 되며, 아울러 제조원가의 절감되고 차량의 중량이 감소되며 연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센터플로어패널(10)의 측단이 내측사이드실(21)의 일면에 접합되어 결합되고, 이 내측사이드실(21)에는 외측사이드실(22)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며, 상기 센터플로어패널(10)과 내측사이드실(21)에는 보강패널(50)이 박스폐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접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내측사이드실(21)과 외측사이드실(22)의 접합부 및 보강패널(50)에는 사이드스텝(30)의 일단이 다수개의 조립부재(40)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스텝(30)의 종단면이 계단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40)의 조립방향이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사이드스텝(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F)과 직교되는 방향을 갖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40)에 의해 결합되는 사이드스텝(30)의 결합부위가 상기 내측사이드실(21)과 보강패널(50)에 의해 박스폐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KR10-2001-0035684A 2001-06-22 2001-06-22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KR10040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84A KR100405547B1 (ko) 2001-06-22 2001-06-22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84A KR100405547B1 (ko) 2001-06-22 2001-06-22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065A KR20030000065A (ko) 2003-01-06
KR100405547B1 true KR100405547B1 (ko) 2003-11-14

Family

ID=2771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684A KR100405547B1 (ko) 2001-06-22 2001-06-22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5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065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564A (en) Vehicle body side sill reinforcing bulkhead
CN106347466B (zh) 车身组装结构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KR20200120164A (ko) 차량의 차체
KR100405547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KR100339221B1 (ko)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100445876B1 (ko) 자동차 카울부의 보강구조
KR100320822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CN219838625U (zh) 车辆
KR200146498Y1 (ko) 자동차 차체 전착 도장용 홀의 구조
KR20020090411A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패널구조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0039165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KR20010087446A (ko) 자동차의 에이프런패널부 보강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00534428B1 (ko) 엔진 룸의 격벽 구조
KR0135440B1 (ko)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20230139223A (ko) 차체구조
KR200260745Y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CN115783054A (zh) 刚度加强的车辆侧梁组件
KR19980051320U (ko) 자동차의 후부 패널 구조
KR20020036491A (ko) 자동차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20020088746A (ko) 자동차의 루프판넬과 사이드아웃판넬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