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223A -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차체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9223A KR20230139223A KR1020220037594A KR20220037594A KR20230139223A KR 20230139223 A KR20230139223 A KR 20230139223A KR 1020220037594 A KR1020220037594 A KR 1020220037594A KR 20220037594 A KR20220037594 A KR 20220037594A KR 20230139223 A KR20230139223 A KR 202301392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f side
- reinforcement
- pillar
- side rail
- upper fro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0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체구조는, 루프사이드레일;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전방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프론트필러를 따라 연장된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캐비티, 상기 프론트필러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강도(roof strength)를 개선할 수 있는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승객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루프구조를 포함하고, 루프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과,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루프 크로스멤버와,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 및 복수의 루프 크로스멤버에 의해 지지되는 루프패널을 포함한다.
정면충돌 발생시에, 충돌하중이 탑승객에게 전달되기 이전에 차량의 프론트 구조가 변형됨에 따라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흡수할 수 있지만 차량의 전복사고 발생시에는 충돌에너지가 루프패널를 밀고 승객실 내로 직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탑승객에게 치명적인 부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전복사고 등으로부터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천정강도(roof strength)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의 차체구조는 리어필러가 폐단면을 가진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리어필러의 전방측 상단이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에 접착제를 통해 연결되거나 리어필러의 전방 상단 및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의 전방측 상단 사이의 조인트부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시에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의 전방측 상단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루프사이드레일 및 리어필러 사이의 연결성이 부족함으로써 차체구조의 강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센터필러("B"필러)가 제거된 센터필러리스 차량은 루프사이드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의 전방측 상단 사이의 조인트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루프사이드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의 전방측 상단 사이의 조인트부가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천정강도(roof strength)를 개선하고, 루프사이드레일 및 리어필러 사이의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차체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루프사이드레일;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전방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프론트필러를 따라 연장된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캐비티, 상기 프론트필러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사이드 보강재가 루프사이드레일의 캐비티및 프론트필러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 보강재는 루프사이드레일 및 프론트필러 사이의 연결강성을 강화할 수 있고, 차량의 루프구조에 인가된 하중을 프론트필러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천정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 및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내측함몰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내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외측함몰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필러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전방부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어퍼와, 상기 프론트필러 어퍼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필러 어퍼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프론트필러 외측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필러 내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내측함몰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내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필러 외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외측함몰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에 연결된 어퍼 프론트부를 가진 리어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가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가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를 따라 연장된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사이드 보강재가 루프사이드레일 및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까지 연장됨에 따라 루프사이드의 강성 및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 및/또는 상기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1체결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포인트는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 상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의 후방부, 및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가 중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어퍼 프론트부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 및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2체결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어퍼 프론트부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 및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의 리어 연장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3체결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어퍼 프론트부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프론트부에 부착된 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레인포스먼트의 상부는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에 중첩되고,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 상기 프론트 레인포스먼트, 및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의 리어 연장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4체결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을 향해 연장된 프론트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리어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량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로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가 서로 다른 3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에 인가되는 하중은 프론트연결부, 리어연결부, 및 로어연결부를 통해 서로 다른 3방향으로 분배 및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차체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루프사이드레일로부터 프론트필러 및 리어필러까지 연장된 보강재를 통해 루프에 가해진 하중을 차체의 프론트필러 및 리어필러로 분배 및 전달함으로써 천정강도(roof strength)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루프사이드레일 및 리어필러 사이의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차체의 전체적인 강성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고, 특히 루프사이드레일 및 리어필러 사이의 조인트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함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사고 발생 시에 차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센터필러가 제거된 센터필러리스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하중이 루프사이드레일, 프론트필러, 및 리어필러로 적절히 분배 및 전달될 수 있으므로 천정강도 및 충돌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우측 프론트필러, 우측 루프사이드레일, 및 우측 리어필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루프사이드 보강재, 루프사이드레일, 및 프론트필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우측 프론트필러, 우측 루프사이드레일, 우측 사이드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우측 루프사이드레일, 및 우측 리어필러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우측 리어필러의 상부 및 우측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가 연결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I-I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J-J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우측 프론트필러, 우측 루프사이드레일, 및 우측 리어필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루프사이드 보강재, 루프사이드레일, 및 프론트필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우측 프론트필러, 우측 루프사이드레일, 우측 사이드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의 우측 루프사이드레일, 및 우측 리어필러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우측 리어필러의 상부 및 우측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가 연결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I-I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J-J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루프사이드레일(11)과, 루프사이드레일(11)의 전방에 연결된 프론트필러(12)와,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에 연결된 리어필러(13)와, 프론트필러(12)의 하부 및 그에 상응한 리어필러(13)의 하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실(14)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사이드레일(11), 프론트필러(12), 리어필러(13), 및 사이드실(14)은 도어개구(15)를 한정할 수 있고, 프론트사이드도어, 리어사이드도어 등이 도어개구(15)를 커버 내지 언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11)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복수의 루프 크로스멤버(11c)가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1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11) 및 복수의 루프 크로스멤버(11c)는 루프패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루프사이드레일(11)은 프론트필러(12)의 프론트필러 어퍼(12a)에 연결되는 전방부와, 리어필러(13)에 연결되는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프론트필러(12)는 한 쌍의 루프사이드레일(11)에 대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프론트필러(12)는 그에 상응한 루프사이드레일(11)의 전방부에 연결되는 프론트필러 어퍼(12a)와, 그에 상응한 사이드실(14)의 전방부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로어(12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로어(12b)의 상단이 프론트필러 어퍼(12a)의 하단에 고정됨으로써 프론트필러 로어(12b)는 프론트필러 어퍼(12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펜더에어프론멤버(8)가 한 쌍의 프론트필러(12)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펜더에어프론멤버(8)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각 펜더에어프론멤버(8)는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12)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리어필러(13)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잇고, 한 쌍의 리어필러(13)는 그에 상응한 루프사이드레일(11)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리어필러(13)는 그에 상응한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어퍼 프론트부(upper front portion)와, 그에 상응한 사이드실(14)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로어 프론트(lower front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그에 상응한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고, 각 리어필러(13)의 로어 프론트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그에 상응한 사이드실(14)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사이드실(14)이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각 사이드실(14)은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12)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10)는 한 쌍의 프론트필러(12) 사이에 배치된 대쉬패널(5) 및 카울멤버(6)를 포함할 수 있다. 대쉬패널(5)은 차량의 승객실과 프론트컴파트먼트를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쉬패널(5)의 앞쪽에 프론트컴파트먼트가 위치할 수 있으며, 파워트레인, 변속기 등이 프론트컴파트먼트에 배치될 수 있다. 대쉬패널(5)의 뒤쪽에 승객실이 위치할 수 있으며, 차량 시트, 다양한 편의장치 등이 승객실에 배치될 수 있다. 카울멤버(6)는 대쉬패널(5)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카울멤버(6)는 대쉬패널(5)의 상단 가장자리 및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카울멤버(6)는 프론트 윈드쉴드 및 후드 사이의 갭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울멤버(6)의 각 단부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1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카울멤버(6)는 한 쌍의 프론트필러(12)를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구조는 각 루프사이드레일(11)로부터 그에 상응한 프론트필러 어퍼(12a) 및 리어필러(13)를 향해 연장된 루프사이드 보강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벽(16a, inboard wall)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벽(16b, outboard wall)과, 차량의 상부를 향하는 상부벽(16c, top wall)과, 차량의 하부를 향하는 바닥벽(16d, bottom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실내벽(16a), 실외벽(16b), 상부벽(16c), 및 바닥벽(16d)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16f)를 포함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150K 급의 초고장력강(150K class ultra high tensile steel)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3D롤밍(3D roll forming)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실내벽(16a) 및 실외벽(16b)은 평탄한 벽일 수 있고, 상부벽(16c) 및 바닥벽(16d)은 커브질 수 있다. 특히, 상부벽(16c)의 곡률반경이 바닥벽(16d)의 곡률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에, 상부벽(16c)의 면적이 바닥벽(16d)의 면적 보다 커지므로 보강재(16)의 상측 강도가 커질 수 있고, 차량의 전복사고 시에 보강재(16)는 충돌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레일(11)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내측벽(21a)과, 내측벽(21a)의 상단에 제공된 상측플랜지(21b)와, 내측벽(21a)의 하단에 제공된 하측플랜지(21c)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외측벽(22a)과, 외측벽(22a)의 상단에 제공된 상측플랜지(22b)와, 외측벽(22a)의 하단에 제공된 하측플랜지(22c)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상측플랜지(21b)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상측플랜지(22b)에 고정될 수 있다.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하측플랜지(21c)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하측플랜지(22c)에고정될 수 있다. 루프사이드레일(11)은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과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23)를 가질 수 있고,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캐비티(23)에 수용될 수 있다.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레일(11)의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에 고정될 수 있고,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은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내측벽(21a)로부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내측함몰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함몰부(61)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내측함몰부(61)는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내측함몰벽(61a)을 가질 수 있고, 내측함몰벽(61a)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부합하도록 평탄한 벽일 수 있다.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내측함몰벽(61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내측함몰벽(61a)은 볼트(24a) 및 너트(24b)를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다. 너트(24b)는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캐비티(16f)에 수용되고, 너트(24b)는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되며, 볼트(24a)가 너트(24b)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은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외측벽(22a)으로부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외측함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함몰부(62)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외측함몰부(62)는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외측함몰벽(62a)을 가질 수 있고, 외측함몰벽(62a)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에 부합하도록 평탄할 수 있다.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외측함몰벽(62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외측함몰벽(62a)은 레이저용접(25)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측함몰부(61) 및 복수의 외측함몰부(62)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내측함몰부(61)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인접한 2개의 외측함몰부(62)들 사이의 외측벽(22a)에 정렬될 수 있고, 각 외측함몰부(62)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인접한 2개의 내측함몰부(61)들 사이의 내측벽(21a)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 및 실외벽(16b)이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내측함몰부(61)들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외측함몰부(62)들에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루프사이드레일(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어퍼(12a)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내측벽(31a)과, 내측벽(31a)의 상단에 제공된 상측플랜지(31b)와, 내측벽(21a)의 하단에 제공된 하측플랜지(31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외측벽(32a)과, 외측벽(32a)의 상단에 제공된 상측플랜지(32b)와, 외측벽(32a)의 하단에 제공된 하측플랜지(32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상측플랜지(31b)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상측플랜지(32b)에 고정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하측플랜지(31c)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하측플랜지(32c)에고정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 어퍼(12a)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과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에 의해 한정된 캐비티(33)를 가질 수 있고,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프론트필러 어퍼(12a)의 캐비티(33)에 수용될 수 있다.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프론트필러 어퍼(12a)의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 및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에 고정될 수 있고,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은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내측벽(31a)으로부터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내측함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내측함몰부(63)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길이방향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각 내측함몰부(63)는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내측함몰벽(63a)을 가질 수 있고, 내측함몰벽(63a)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부합하도록 평탄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내측함몰벽(63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내측함몰벽(63a)은 볼트(26a) 및 너트(26b)를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다. 너트(26b)는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캐비티(16f)에 수용되고, 너트(26b)는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되며, 볼트(26a)는 너트(26b)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은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외측벽(32a)으로부터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을 향해 함몰된 복수의 외측함몰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함몰부(64)는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길이방향에서 이격될 수 있다. 각 외측함몰부(64)는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외측함몰벽(64a)을 가질 수 있고, 외측함몰벽(64a)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에 부합하도록 평탄할 수 있다.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외측함몰벽(64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외측함몰벽(64a)은 레이저용접(27)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외벽(16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측함몰부(63) 및 복수의 외측함몰부(64)는 프론트필러 어퍼(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내측함몰부(63)는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인접한 2개의 외측함몰부(64)들 사이의 외측벽(32a)에 정렬될 수 있고, 각 외측함몰부(64)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인접한 2개의 내측함몰부(63)들 사이의 내측벽(31a)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 및 실외벽(16b)이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내측함몰부(63)들 및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외측함몰부(64)들에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프론트필러 어퍼(12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길이가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길이가 프론트필러 외측패널(32)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수 있다. 이에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전방부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후방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고, 이에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일부분은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외측함몰부(62) 및 프론트필러 내측패널(31)의 내측함몰부(61)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캐비티(23) 및 프론트필러 어퍼(12a)의 캐비티(33)에 수용되고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루프사이드레일(11) 및 프론트필러(12) 사이의 연결강성을 강화할 수 있고, 차량의 루프구조에 인가된 하중을 프론트필러(12)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천정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전방부는 브라켓(12c)을 통해 프론트필러 로어(12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프론트필러 어퍼(12a) 및 프론트필러 로어(12b) 사이의 연결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는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에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사이의 연결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필러(13)는 차량의 실내을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4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필러 인너(41)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면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실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필러 인너(41)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어퍼 프론트부(42)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프론트부(43)와, 어퍼 프론트부(42)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어퍼 리어부(44)와, 프론트부(43) 및 어퍼 리어부(44) 사이에 배치된 미들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부(43)는 도어개구(15)의 후방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로어 프론트부(47)가 프론트부(43)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로어 프론트부(47)는 사이드실(14)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휠하우스(50)가 리어필러(13)의 아래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필러 인너(41)는 리어윈도우(rear window)가 장착되는 리어윈도우개구(41a)와, 컴포넌트 장착브라켓(70)의 수용부(71)가 정렬되는 개구(4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리어필러(13)는 리어필러 인너(41)에 장착된 복수의 레인포스먼트(51, 52, 53, 54, 55)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필러 아웃터 또는 사이드 아웃터패널이 리어필러 인너(41) 및 복수의 레인포스먼트(52, 53, 54, 55)를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인포스먼트(51, 52, 53, 54, 55)는 리어필러 인너(41)의 어퍼 프론트부(42)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와, 리어필러 인너(41)의 프론트부(43)에 부착된 프론트 레인포스먼트(52)와, 리어필러 인너(41)의 어퍼 리어부(44)에 부착된 어퍼리어 레인포스먼트(53)와, 리어필러 인너(41)의 미들부(45)에 부착된 미들 레인포스먼트(54)와, 미들 레인포스먼트(54)로부터 리어 휠하우스(50)까지 연장된 로어 레인포스먼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리어필러 인너(41)의 어퍼 프론트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가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리어필러 인너(41)의 어퍼 프론트부(42)는 베이스(42a)와, 베이스(42a)로부터 루프사이드레일(11)을 향해 연장된된 프론트연결부(42b, front connection)와, 베이스(42a)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리어연결부(42c, rear connection)와, 베이스(42a)로부터 차량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로어연결부(42d, lower conn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연결부(42b)는 루프사이드레일(11)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제1로드패스(L1)를 한정할 수 있고, 리어연결부(42c)는 어퍼 리어부(44)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제2로드패스(L2)를 한정할 수 있으며, 로어연결부(42d)는 프론트부(43)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하부를 향하는 제3로드패스(L3)를 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퍼 프론트부(42)는 베이스(42a)로부터 루프사이드레일(11)을 향해 연장된 프론트연결부(42b)와, 베이스(42a)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리어연결부(42c)와, 베이스(42a)로부터 차량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로어연결부(42d)를 가짐으로써 어퍼 프론트부(42)는 서로 다른 3방향으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다. 차량의 전복사고 발생 시에, 충돌하중이 어퍼 프론트부(42)에 인가됨에 따라 충돌하중은 로드패스(L1, L2, L3)를 따라 분배 및 전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은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단(21f)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리어 연장부(28)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의 후방단(28f)은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단(21f) 보다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루프사이드레일(11)의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부는 어퍼 프론트부(42)의 프론트연결부(42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루프사이드레일(11)의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는 어퍼 프론트부(42)의 프론트연결부(42b), 베이스(42a), 및 리어연결부(42c)의 일부에 중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리어필러 인너(41)의 어퍼 프론트부(42)는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프론트부(42)의 프론트연결부(42b)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부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어퍼 프론트부(42)는 체결구에 의해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1체결포인트(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포인트(101)는 어퍼 프론트부(42)의 프론트연결부(42b),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부,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가 중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체결포인트(101) 상에서 어퍼 프론트부(42)의 프론트연결부(42b)가 볼트(111) 및 너트(112)에 의해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부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다. 너트(112)는 헤드(112a)와, 헤드(112a)로부터 이격된 확장부(112b, bulged portion)를 가진 블라인드 너트일 수 있고, 너트(112)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캐비티(16f)에 수용되고, 너트(112)의 헤드(112a)가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111)의 수나사부가 너트(112)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112)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112a)가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되고, 확장부(112b)를 가짐으로써 너트(112)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프론트부(42)의 프론트연결부(42b)가 제1체결포인트(101) 상에서 루프사이드레일(11)의 루프사이드 내측패널(21)의 후방부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에 고정됨으로써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및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을 참조하면, 어퍼 프론트부(42)는 체결구에 의해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2체결포인트(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체결포인트(102)는 어퍼 프론트부(42)의 베이스(42a),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가 중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체결포인트(102)는 제1체결포인트(101) 보다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는 어프 프론트부(42)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2체결포인트(102) 상에서 어퍼 프론트부(42)의 베이스(42a)가 볼트(121) 및 너트(122)에 의해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다. 너트(122)는 헤드(122a)와, 헤드(122a)로부터 이격된 확장부(122b, bulged portion)를 가진 블라인드 너트일 수 있고, 너트(122)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캐비티(16f)에 수용되고, 너트(122)의 헤드(122a)가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121)의 수나사부가 너트(122)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122)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헤드(122a)가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되고, 확장부(122b)를 가짐으로써 너트(122)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너트(122)가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캐비티(16f)에 수용되고, 너트(112)가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실내벽(16a)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121)가 너트(1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프론트부(42)의 베이스(42a)가 제2체결포인트(102) 상에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에 고정됨으로써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및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 프론트부(42)는 체결구에 의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 및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3체결포인트(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체결포인트(103)는 어퍼 프론트부(42)의 리어연결부(42c),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가 중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체결포인트(103)는 제2체결포인트(102) 보다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어퍼 프론트부(42)의 리어연결부(42c)는 캐비티(51a)를 한정할 수 있다. 제3체결포인트(103) 상에서 어퍼 프론트부(42)의 리어연결부(42c)가 볼트(131), 파이프너트(132), 및 너트(133)에 의해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에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너트(132)가 캐비티(51a)에 수용되고, 파이프너트(132)는 어퍼 프론트부(42)의 리어연결부(42c) 및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너트(133)는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에 고정될 수 있고, 너트(133)는 파이프너트(132)에 정렬될 수 있으며, 볼트(131)가 파이프너트(132) 및 너트(13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프론트부(42)의 리어연결부(42c)가 제3체결포인트(103) 상에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에 고정됨으로써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및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6을 참조하면, 어퍼 프론트부(42)는 체결구에 의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프론트 레인포스먼트(53)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제4체결포인트(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체결포인트(104)는 어퍼 프론트부(42)의 로어연결부(42d),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프론트 레인포스먼트(53),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가 중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체결포인트(104)는 제1체결포인트(101), 제2체결포인트(102), 및 제3체결포인트(103)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및 어퍼 프론트부(42)의 리어연결부(42c)는 캐비티(51a)를 한정할 수 있고, 프론트 레인포스먼트(53)의 상부가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에 중첩될 수 있다. 제4체결포인트(104) 상에서 어퍼 프론트부(42)의 로어연결부(42d)가 볼트(141), 파이프너트(142), 및 너트(143)에 의해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프론트 레인포스먼트(53),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에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너트(142)가 캐비티(51a)에 수용되고, 파이프너트(142)는 어퍼 프론트부(42)의 로어연결부(42d) 및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너트(143)는 용접을 통해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에 고정될 수 있고, 너트(143)는 파이프너트(142)에 정렬될 수 있으며, 볼트(131)가 파이프너트(142) 및 너트(14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퍼 프론트부(42)의 로어연결부(42d)가 제4체결포인트(104) 상에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51), 프론트 레인포스먼트(53), 및 루프사이드 외측패널(22)의 리어 연장부(28)에 고정됨으로써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및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사이의 연결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가 제1체결포인트(101), 제2체결포인트(102), 제3체결포인트(103), 및 제4체결포인트(104)를 통해 루프사이드레일(11), 루프사이드 보강재(16), 레인포스먼트(51, 53) 등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리어필러(13)의 폐단면이 루프사이드레일(11)의 폐단면에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에 의해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및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가 파손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가 제1체결포인트(101), 제2체결포인트(102), 제3체결포인트(103), 및 제4체결포인트(104)를 통해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루프사이드 보강재(16)의 후방부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루프사이드레일(11)의 후방부 및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 사이의 연결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의 강성 및 NVH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가 서로 다른 3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리어필러(13)의 어퍼 프론트부(42)에 인가되는 하중은 프론트연결부(42b), 리어연결부(42c), 및 로어연결부(42d)를 통해 서로 다른 3방향으로 분배 및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 발생시에 차체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대쉬패널
6: 카울멤버
7: 프론트 사이드멤버 11: 루프사이드레일
12: 프론트필러 12a: 프론트필러 어퍼
12b: 프론트필러 로어 13: 리어필러
14: 사이드실 15: 도어개구
16: 루프사이드 보강재 16a: 실내벽
16b: 실외벽 16c: 상부벽
16d: 바닥벽 21: 루프사이드 내측패널
22: 루프사이드 외측패널 23: 캐비티
31: 프론트필러 내측패널 32: 프론트필러 외측패널
33: 캐비티 41: 리어필러 인너
42: 어퍼 프론트부 43: 프론트부
44: 어퍼 리어부 45: 미들부
47: 로어 프론트부 51: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
52: 프론트 레인포스먼트 53: 어퍼리어 레인포스먼트
54: 미들 레인포스먼트 55: 리어 레인포스먼트
61: 내측함몰부 61a: 내측함몰벽
62: 외측함몰부 62a: 외측함몰벽
63: 내측함몰부 63a: 내측함몰벽
64: 외측함몰부 64a: 외측함몰벽
7: 프론트 사이드멤버 11: 루프사이드레일
12: 프론트필러 12a: 프론트필러 어퍼
12b: 프론트필러 로어 13: 리어필러
14: 사이드실 15: 도어개구
16: 루프사이드 보강재 16a: 실내벽
16b: 실외벽 16c: 상부벽
16d: 바닥벽 21: 루프사이드 내측패널
22: 루프사이드 외측패널 23: 캐비티
31: 프론트필러 내측패널 32: 프론트필러 외측패널
33: 캐비티 41: 리어필러 인너
42: 어퍼 프론트부 43: 프론트부
44: 어퍼 리어부 45: 미들부
47: 로어 프론트부 51: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
52: 프론트 레인포스먼트 53: 어퍼리어 레인포스먼트
54: 미들 레인포스먼트 55: 리어 레인포스먼트
61: 내측함몰부 61a: 내측함몰벽
62: 외측함몰부 62a: 외측함몰벽
63: 내측함몰부 63a: 내측함몰벽
64: 외측함몰부 64a: 외측함몰벽
Claims (17)
- 루프사이드레일;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전방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프론트필러를 따라 연장된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캐비티, 상기 프론트필러의 캐비티에 수용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된 차체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는 상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 및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차체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내측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되는 차체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외측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되는 차체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필러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전방부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어퍼와, 상기 프론트필러 어퍼에 연결된 프론트필러 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필러 어퍼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프론트필러 내측패널과,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프론트필러 외측패널을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필러 내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내측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되는 차체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필러 외측패널은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향해 함몰된 외측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외측함몰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에 고정되는 차체구조.
-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에 연결된 어퍼 프론트부를 가진 리어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가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되는 차체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를 따라 연장된 루프사이드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의 후방부 및/또는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고정되는 차체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상기 루프사이드레일 및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포인트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내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포인트는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 상기 루프사이드 내측패널의 후방부, 및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가 중첩된 부분에 위치한 차체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어퍼 프론트부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상기 루프사이드 보강재의 후방부 및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포인트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필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어퍼 프론트부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 및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의 리어 연장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포인트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은 차량의 실외를 향하는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필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리어필러 인너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어퍼 프론트부에 부착된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와, 상기 리어필러 인너의 프론트부에 부착된 프론트 레인포스먼트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인포스먼트의 상부는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에 중첩되고,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어퍼프론트 레인포스먼트, 상기 프론트 레인포스먼트, 및 상기 루프사이드 외측패널의 리어 연장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포인트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어필러의 어퍼 프론트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루프사이드레일을 향해 연장된 프론트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리어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차량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로어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체구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7594A KR20230139223A (ko) | 2022-03-25 | 2022-03-25 | 차체구조 |
US17/939,244 US20230303175A1 (en) | 2022-03-25 | 2022-09-07 | Vehicle Body Structure |
CN202211197786.1A CN116834843A (zh) | 2022-03-25 | 2022-09-29 | 车体结构 |
DE102022125122.5A DE102022125122A1 (de) | 2022-03-25 | 2022-09-29 | Fahrzeugkörperstruktu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7594A KR20230139223A (ko) | 2022-03-25 | 2022-03-25 | 차체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9223A true KR20230139223A (ko) | 2023-10-05 |
Family
ID=8793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7594A KR20230139223A (ko) | 2022-03-25 | 2022-03-25 | 차체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03175A1 (ko) |
KR (1) | KR20230139223A (ko) |
CN (1) | CN116834843A (ko) |
DE (1) | DE10202212512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2861A (ja) * | 2002-08-27 | 2004-03-18 | Mazda Motor Corp | 車両の側部車体構造 |
JP5046783B2 (ja) * | 2007-08-06 | 2012-10-1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上部構造 |
JP6269613B2 (ja) * | 2015-08-05 | 2018-01-3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体骨格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
JP7036059B2 (ja) * | 2019-02-21 | 2022-03-15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
2022
- 2022-03-25 KR KR1020220037594A patent/KR20230139223A/ko unknown
- 2022-09-07 US US17/939,244 patent/US20230303175A1/en active Pending
- 2022-09-29 CN CN202211197786.1A patent/CN116834843A/zh active Pending
- 2022-09-29 DE DE102022125122.5A patent/DE102022125122A1/de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303175A1 (en) | 2023-09-28 |
CN116834843A (zh) | 2023-10-03 |
DE102022125122A1 (de) | 2023-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23964B2 (en) | Bottom structure of vehicle body | |
JP5029135B2 (ja) |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 |
US8602483B2 (en) | Vehicle door reinforcement structure | |
US11292526B2 (en) |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 |
US20070284914A1 (en) | Transverse structural member for a seat area of a vehicle | |
US10737731B2 (en) | Vehicle front pillar structure and vehicle side structure | |
US6354654B2 (en) | Vehicle frame reinforcement | |
US6663166B2 (en) | Body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of making same | |
US6340203B2 (en) | Front pillar for a vehicle | |
KR101123514B1 (ko) | 차량의 프런트 도어와 로어 프런트 필러 보강구조 | |
KR20200120164A (ko) | 차량의 차체 | |
KR20230139223A (ko) | 차체구조 | |
KR100320822B1 (ko) |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 |
JP2008094324A (ja) | 車両のボデー構造 | |
US20230303183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KR102598951B1 (ko) | 필러 보강구조 | |
US20230303181A1 (en) | Vehicle Front Pillar Reinforcement System | |
CN111376984B (zh) | 车辆的车身以及车辆 | |
CN111605621B (zh) | 车身结构和车辆 | |
US11433948B2 (en) | Vehicle pillar structure | |
JPH0134939Y2 (ko) | ||
JP4236741B2 (ja) | 自動車のリヤピラー構造 | |
KR0128313Y1 (ko) |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 |
KR200146885Y1 (ko) |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 |
KR100405547B1 (ko) |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측면바디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