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699B1 -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699B1
KR100500699B1 KR10-2003-0005622A KR20030005622A KR100500699B1 KR 100500699 B1 KR100500699 B1 KR 100500699B1 KR 20030005622 A KR20030005622 A KR 20030005622A KR 100500699 B1 KR100500699 B1 KR 10050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cathod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156A (ko
Inventor
김호기
박규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3-000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6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극 분말의 열처리과정은 양극 분말을 탄소와 함께 마이크로파에 노출시켜 탄소의 가열을 유도하여 환원성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고상반응법, 졸겔법 등에서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면서 환원분위기를 조절하는 방법과는 달리 간단하게 환원성 분위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Synthesis Method of Cathode Powde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by Microwave Heating}
본 발명은 휴대전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을 함유하는 양극 분말의 제조과정 중에 원료 물질을 탄소와 함께 마이크로파에 노출시킴으로써 환원성 분위기 하에서 열을 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양극 물질로는 LiCoO2, LiNiO2, LiMn2O4 등이 주로 연구되어 왔으며 상용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LiCoO2의 경우 그 원료가격이 높으며 환경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LiCoO2의 대체재료로서 연구되는 LiNiO2의 경우 그 제조가 어렵고 열적 안정성이 떨어지며, LiMn2O 4는 고온에서 전극 퇴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전기 전도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전지재료인 LiFePO4는 환경친화적이고 매장량도 풍부하며 원료가격도 매우 저렴하다. 또한 방전전압이 3.4V vs. Li/Li+로서 기존 재료보다 쉽게 저전력, 저전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론 용량이 170mAh/g으로서 전지용량 또한 우수하다. 하지만 이 물질의 문제점은 Fe의 산화수가 2+로서, 이는 Fe의 안정한 산화수가 3+임에 비추어 볼 때 환원성 분위기가 필요하고, 전도도가 낮아 순수한 상태에서는 전지특성이 좋지 않다는 데에 있다.
LiFePO4 분말제조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고상반응법, 졸겔(Sol-Gel)법 등이 보고되고 있다. 기존 방법 모두에서는 출발물질을 다양하게 준비한 후 합성단계에서의 최종 열처리는 고순도의 N2, Ar, N2/H2 등의 기체를 수시간 동안 다량 흘려주면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단상의 물질을 합성할 수는 있으나 제조 단가가 상승하므로 Fe 전이금속의 가격이 싸고 매장량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상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처리 단계에서 고순도의 불활성/환원성 기체를 흘려줌이 없이도 매우 간단하게 환원성 분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철을 함유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분말의 제조방법으로서,
양극 분말의 열처리과정은 양극 분말을 탄소와 함께 마이크로파에 노출시켜 탄소의 가열을 유도하여 환원성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의 제조에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양극 분말 중에서 특히 조성내에 철(Fe)이 함유되며, 철의 산화수가 2가로 존재하는 양극 활물질을 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조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은 바람직하게는 LiFe1-xMxPO4(0≤x <1)을 기본조성으로 하며, 여기서 M은 전이금속원소로서 Mn, Co, Ni 등이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x=0인 LiFePO4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은 상기 조성의 분말 표면의 전도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탄소나 은(Ag) 등의 전도성 개선제로 표면코팅 처리한 상태의 분말도 포함한다.
최종 열처리 단계 이전의 양극 활물질의 제조과정은 공지의 어떠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는 고상반응법, 졸겔법 등의 액상법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양극 분말의 제조는 공침법(Co-Precipitation Method)에 의한 것을 포함한다. 공침법은 액상법으로서 출발물질의 혼합을 분자단위에서 매우 균일하게 제어하여 저온 상형성을 쉽게 유도하고, 입자크기를 작게 조절하여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양극 분말이 LiFePO4 인 조성의 경우를 예를 들어 위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침전형성 과정에서 우선 2가의 철염과 인산을 수용액 상태로 만든 후 이를 교반 중인 LiOH 수용액에 적하한다. 이때 혼합이 진행되면서 녹색의 침전이 형성된다. 수용액 내에는 용존 산소에 의한 철의 산화를 방지하고 공침시에 탄소를 공급하기 위해 환원제인 L-아스코브르산을 침전이 형성된 수용액에 첨가한다. 환원제의 첨가 이후 최종 pH를 조절하고, 세척과정을 거친 후 진공오븐에 넣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건조된 분말은 분쇄와 펠렛 성형을 거쳐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열처리 과정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는 가열원으로서 탄소를 급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것인 한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즉, 마이크로파는 탄소를 가열하여 산소를 급속히 제거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에 의한 환원성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예를 들면 LiFePO4의 합성온도까지 순간적으로 도달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가지는 것인 한 어느 것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시간 내의 환원성 열처리는 철의 산화방지는 물론이거니와, 휘발에 의한 리튬과 인의 결손마저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예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실시예에 적용된 마이크로파 가열장치는 마이크로파 오븐을 이용하였고, 마이크로파 가열이 어려운 재료인 석영용기 등에 활성탄소와 펠렛을 함께 넣어 출력 650W에서 동작되는 것이 이용되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과정으로 제조되는 양극 분말은 도 2의 X선 회절패턴에서 볼 수 있듯이 pH 변화에 따라서도 안정적으로 단일상의 LiFePO4 분말이 합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파 가열법은 환원성 분위기로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2가의 산화수를 가지는 철화합물인 LiFePO4 분말을 제조함에 매우 유용하며, 공정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먼저 공침법을 이용하여 침전물을 준비하였다. (NH4)2Fe(SO4)2 ·6H2O와 H3PO4 혼합수용액을 상온에서 자석막대를 이용하여 교반 중인 LiOH·H2O 수용액에 부었다. 이때 출발물질의 비율은 3(Li):1(Fe):1(PO4)로 맞추어 리튬결손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용존산소에 의한 철의 산화를 방지하고 공침시에 탄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환원제인 L-아스코브르산을 침전이 형성된 수용액에 첨가하였다. 이후 최종 pH는 NH4OH를 첨가하여 조절하였다. 첨가량에 따라 pH를 5에서 8까지 조절하였으며, pH 조절 후 10분간 더 교반시켰다. 얻어진 침전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용액과 분리 및 세척하였다. 그리고 침전물은 진공오븐에서 90℃, 20시간 동안 건조시켰으며 이후 유발에서 분쇄하고 일축가압성형을 통해 펠렛으로 제조되었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은 도 1과 같은 장치(650W의 마이크로파 오븐)를 이용하였으며, 마이크로파 가열을 위한 탄소물질로는 활성탄이 이용되었다. 마이크로파 가열이 어려운 석영 용기 내에 활성탄을 적당히 담고 그 위에 펠렛을 두었다. 이후 활성탄을 다시 부어 펠렛을 완전히 덮었다. 마이크로파 오븐 내에 준비한 석영 용기를 넣고 오븐을 작동시켰다. 가열시간은 4분으로 설정하였다. 마이크로파 노출시간을 4분으로 고정한 이유는 본 실험에서 이용한 마이크로파 오븐의 출력 650W에서 대략 2분 정도 노출이 되면 활성탄이 가열되어 빨갛게 타기 시작하고, 그 후 2분 정도 더 가열시켜 상형성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보조실험으로서 마이크로파 노출시간을 3분 정도로 한 경우 상형성 정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장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노출시간다면 상이 불균일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열이 끝난 후 오븐 내에서 충분히 냉각시키고 나서 용기를 꺼내 펠렛을 분리한 후 유발에서 분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분말은 X-선 회절을 통해 상분석을 하였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철이 2가의 산화수를 가지는 LiFePO4가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고상반응법, 졸겔법 등의 열처리 단계에서 고순도의 불활성/환원성 기체를 흘려주면서 환원분위기를 조절하는 방법과는 달리 기체의 도움없이 매우 간단하게 환원성 분위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조시간이 매우 짧아 양극을 제조할 때 시간적,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며, 리튬과 인의 휘발량을 줄일 수 있어 전지특성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가열수단의 구현예.
도 2는 공침법으로 합성된 분말의 X-선 회절패턴으로서, (a) pH=5, (b) pH=6, (c) pH=7, (d) pH=8에서 준비된 원료분말을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내에서 4분 열처리한 최종분말의 결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철을 함유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극 분말의 열처리과정은 양극 분말을 탄소와 함께 마이크로파에 노출시켜 탄소의 가열을 유도하여 환원성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양극 분말의 조성은 LiFe1-xMxPO4(0≤x <1)을 기본조성으로 하며, 여기서 M은 전이금속원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양극 분말은 전도성 향상제가 표면코팅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양극 분말의 조성은 LiFePO4 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분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양극 분말로 제조되는 리튬이차전지.
KR10-2003-0005622A 2003-01-28 2003-01-28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KR10050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622A KR100500699B1 (ko) 2003-01-28 2003-01-28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622A KR100500699B1 (ko) 2003-01-28 2003-01-28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56A KR20040069156A (ko) 2004-08-04
KR100500699B1 true KR100500699B1 (ko) 2005-07-12

Family

ID=3735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622A KR100500699B1 (ko) 2003-01-28 2003-01-28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91B1 (ko) * 2006-03-06 2007-12-13 한국과학기술원 리튬이차전지 양극재료용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CN100371239C (zh) * 2006-03-20 2008-02-27 清华大学 微波加热制备高密度磷酸铁锂的方法
US20090117020A1 (en) * 2007-11-05 2009-05-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Rapid microwave-solvothermal synthesis and surface modification of nanostructured phospho-olivine cath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249974B1 (ko) * 2010-04-01 2013-04-0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원성 분위기에서 처리된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2381692A (zh) * 2010-08-31 2012-03-21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微波法制备的高性能磷酸铁锂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40003B1 (ko) * 2012-11-23 2014-09-12 한국화학연구원 리튬인산철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되는 리튬인산철 양극 활물질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2차 전지
CN104022284B (zh) * 2014-06-20 2016-04-06 郑州德朗能微波技术有限公司 具有离子、电子混合导电网络结构的锂离子电池正极材料磷酸铁锂的制备方法
KR101993443B1 (ko) * 2017-07-11 2019-06-27 한국화학연구원 단순한 공정을 이용한 비표면적이 큰 전도성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형성 방법
KR102282277B1 (ko) 2018-09-03 2021-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파 소성로 및 이를 이용한 양극 활물질의 소성 방법
KR20210151542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튜브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튜브 조립체
EP4137771A4 (en) 2020-06-05 2023-11-08 LG Energy Solution, Ltd. TUBE MODULE AND TUBE ASSEMBLY INCLUDING SAME
KR20220041424A (ko)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튜브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튜브 조립체
KR20220060341A (ko)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터리 킬른
KR20220105963A (ko)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터리 킬른
KR20220105961A (ko)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터리 킬른
KR20220105962A (ko)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로터리 킬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5358A (ja) * 1984-04-20 1985-11-09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EP0816292A1 (en) * 1996-06-27 1998-01-07 The Honjo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manganese oxide with spinel structure
US5770018A (en) * 1996-04-10 1998-06-23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for preparing lithium manganese oxide compounds
KR20010042062A (ko) * 1998-04-07 2001-05-25 리델-데 하엔 게엠베하 리튬 금속 산화물의 제조방법
KR20020027267A (ko) * 2000-10-06 2002-04-13 이데이 노부유끼 양극 활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비수전해질 전지의 제조방법
KR20030073817A (ko) * 2002-03-13 2003-09-19 한국과학기술원 분위기 제어를 통한 리튬이차전지용 LiFePO4 정극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5358A (ja) * 1984-04-20 1985-11-09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US5770018A (en) * 1996-04-10 1998-06-23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for preparing lithium manganese oxide compounds
EP0816292A1 (en) * 1996-06-27 1998-01-07 The Honjo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lithium manganese oxide with spinel structure
KR20010042062A (ko) * 1998-04-07 2001-05-25 리델-데 하엔 게엠베하 리튬 금속 산화물의 제조방법
KR20020027267A (ko) * 2000-10-06 2002-04-13 이데이 노부유끼 양극 활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비수전해질 전지의 제조방법
KR20030073817A (ko) * 2002-03-13 2003-09-19 한국과학기술원 분위기 제어를 통한 리튬이차전지용 LiFePO4 정극분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56A (ko)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699B1 (ko)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분말의제조방법
Franger et al.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LiFePO4 synthesis routes and their influence on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R10030976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과 그 제조 방법
JP5473894B2 (ja) Liベースの電池に使用するための室温単相Li挿入/抽出材料
KR101198489B1 (ko) 리튬철 인산염 제조용 철 소스의 제조방법 및 리튬철 인산염의 제조방법
KR10044907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323280B1 (ko) 스피넬구조의리튬망간산화물을제조하는방법
KR20060116669A (ko) 리튬이 혼합된 금속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2004095385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H0714206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
KR20130000849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30033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66226B1 (ko) 리튬이차전지용 정극재료의 제조방법
CN108511724A (zh) 一种溶胶凝胶辅助超临界co2干燥制备磷酸锰铁锂方法
JPH11149926A (ja) リチウムマンガン酸化物微細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活物質とする陽極を採用し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522682B2 (ja) 電極材料粉体の製造方法と電極材料粉体及び電極並びにリチウム電池
CN112875766B (zh) 一种添加碳源的微波加热溶液法制备三元正极材料的方法
JPH10106566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法
JP2931961B2 (ja) ソルボサーマルイオン交換法による層状岩塩型リチウムフェライトの製造方法
JP4345934B2 (ja) 湿式製法を使用する、コバルト、ニッケルおよびマンガンを含む水酸化物の低温リチウム化
KR100426958B1 (ko) 분위기 제어를 통한 리튬이차전지용 LiFePO4 정극분말의 제조방법
CN103326021A (zh) 磷酸亚铁锂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07634211B (zh) 一种钠离子电池用多孔蜂窝状Cu3(PO4)2/Cu2P2O7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056474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JP2004186145A (ja) リチウム2次電池用層状構造のリチウム−クロム−マンガン系酸化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