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511B1 -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511B1
KR100500511B1 KR10-2002-0057245A KR20020057245A KR100500511B1 KR 100500511 B1 KR100500511 B1 KR 100500511B1 KR 20020057245 A KR20020057245 A KR 20020057245A KR 100500511 B1 KR100500511 B1 KR 10050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pattern
wiring pattern
straight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322A (ko
Inventor
후지이노부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5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5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9Circuit design at the physical level
    • G06F30/394Rou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73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배치 데이터에 의거하는 배선패턴을 작성함에 있어서, 복수의 직선패턴 등에 대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동일한 수정을 일괄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작성하기 전의 형태인 중심선이나 배선패턴을 작성한 후에 있어서, 그들 중심선 등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 먼저 입력장치(30)에 의하여 복수의 중심선 등을 일괄하여 선택함과 동시에, 수정변경의 기준이 되는 점이나 선을 지정한다. 그리고 연산처리장치(10)는 이 지정에 따라 중심선 등을 구성하는 구성부분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복수의 중심선 등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한다.

Description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LINE PATTERN MAKING SYSTEM,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A TO READ COMPUTER PROGRAM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회로 기판상에 전사되는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가볍고, 얇고, 짧고, 작은(輕薄短小) 및 저소비 전력을 실현하는 반도체장치의 요구에 따라 그 반도체장치의 주역을 담당하는 반도체집적회로, 즉 IC 칩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IC 칩의 소형화 및 다기능·고성능화는 리소그래피기술에 의한 미세패턴의 고집적화에 의하여 실현되고 있다.
리소그래피기술은 실리콘산화막이나 실리콘질화막이 피복된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 회로 등의 패턴을 태워 넣는 기술이나, 먼저 그 패턴이 형성된 포토마스크가 필요하게 된다. 포토마스크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치수, 장치구조, 프로세스공정, 제조장치 및 제조라인 등의 설계기준 및 제조조건에 의거하여 목적으로 하는 회로를 CAD(Computer Aided Design)장치에 의하여 마스크패턴으로서 설계한다. 포토마스크는 이 마스크패턴을 마스크블랭크에 전자빔 노광기에 의하여 태워 넣음으로써 제작된다.
따라서 CAD 장치상에서의 마스크패턴의 작성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되고, 그 정밀도가 최종적인 제품의 품질이나 수율을 결정짓는다. 여기서 마스크패턴에는 그패턴에 의하여 작성되는 제품에 의하여 2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IC 칩 등의 고집적회로를 형성하는 마스크패턴(이하, 집적회로용 마스크패턴이라 함)이고, 둘째는 그 IC 칩이나 그 밖의 전자부품을 결선하여 회로 기판상에 설치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형성용 마스크패턴(이하, 배선패턴이라 함)이다.
전자의 집적회로용 마스크패턴은 반도체소자 그 자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집적회로의 설계와 마스크패턴의 설계는 상보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다. 한편, 후자의 배선패턴은 부품의 회로 기판상에서의 배치위치와 부품 사이의 결선정보에 의거하여 그 부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회로 기판상에서 실현하는 시스템의 설계와 배선패턴의 설계를 분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많은 경우, 프린터기판 제조회사가 CAD 장치를 사용하여 시스템설계자로부터 제공된 부품배치 데이터(부품 핀이나 패드 등의 좌표값)에 의거하여 자사의 프린트기판에 적합한 배선패턴을 작성하고 있다.
그러나 배선패턴을 작성하기 위한 종래의 CAD 장치에서는 한번 작성한 복수의 아이템(결선라인이나 배선패턴블록 등)에 대하여 수정을 가할 때에 그 지정을 아이템별로 행하거나 복수 조작의 조합으로 행할 필요가 있어, 반드시 사용자에 친숙한 조작환경을 실현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는 보다 높은 집적도의 전자부품설치를 실현하기 위한 미세화된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한 문제가 된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LCD의 대화면화에 수반하여 그들 화면을 구성하는 셀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수도 증대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그들 표시장치의 드라이버로서 TCP(Tape Carrier Package)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그 TCP의 기판이 되는 TAB 테이프용 배선패턴의 작성이 수요의 증대와 함께 높은 정밀도의 것으로서 요구되고 있다는 배경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및 배경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배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배선패턴에 대하여 복수의 직선패턴 등에 대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동일한 수정을 일괄로 실시할 수 있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은 회로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직선패턴 중 어느 하나의 직선패턴(이하,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의 위치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 점을 이동점으로 하여 배치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이동점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직선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과의 교점을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으로 교체되는 끝점으로서,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변경된 연결선의 기울기와 같은 기울기가 되도록 상기 특정 직선패턴 이외의 다른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작성하기 전의 처리인 중심선의 작성에 있어서, 그 중심선을 일단 작성한 후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수의 중심선을 일괄하여 선택하여, 하나의 끝점의 이동지정만으로, 제 1 리드선과 연결선과 제 2 리드선으로 구성되는 각 중심선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복수의 중심선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은 회로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을 소망의 위치에 배치하는 입력장치와, 수정대상이 되는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이 상기 제 1 기준선상에 배치되고, 또한 해당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이 상기 제 2 기준선상에 배치되도록 각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 및 제 2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작성하기 전의 처리인 중심선의 작성에 있어서, 그 중심선을 일단 작성한 후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수의 중심선을 일괄하여 선택하고,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의 지정만으로 제 1 리드선과 연결선과 제 2 리드선으로 구성되는 각 중심선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일정한 조건에 맞도록 복수의 중심선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은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리드선부와, 제 2 리드선부와, 상기 제 1 리드선부와 상기 제 2 리드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배선패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배선패턴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배선패턴 중의 하나의 배선패턴(이하, 특정 배선패턴)을 지정하여, 수정대상이 되는 복수의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간격 증감방향과 증감 간격값을 지정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특정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를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제 1 리드선부와의 간격이 상기 증감 간격값이 되도록 상기 특정 배선패턴 이외의 다른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위치와 연결부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일단 작성한 후에 그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수의 배선패턴을 일괄하여 선택하고, 기준이 되는 배선패턴, 간격 증감방향 및 간격 증감값을 지정함으로써 제 1 리드선부와 연결부와 제 2 리드선부로 구성되는 각 배선패턴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일정한 조건에 맞도록 복수의 배선패턴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할 수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방법은,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있어서,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하여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직선패턴 중 어느 하나의 직선패턴(이하,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의 위치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 점을 이동점으로 하여 배치하는 지정단계와, 상기 이동점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직선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과의 교점을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으로 교체하는 끝점으로 하여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변경된 연결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가 되도록 상기 특정 직선패턴 이외의 다른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정단계과, 상기 수정단계에 의하여 변경된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작성하기 전의 처리인 중심선의 작성에 있어서, 그 중심선을 일단 작성한 후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수의 중심선을 일괄하여 선택하고, 하나의 끝점의 이동지정만으로 제 1 리드선과 연결선과 제 2 리드선으로 구성되는 각 중심선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복수의 중심선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방법은,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있어서,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을 소망의 위치에 배치하는 지정단계와, 수정대상이 되는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이 상기 제 1 기준선상에 배치되고, 또한 해당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이 상기 제 2 기준선상에 배치되도록 각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 및 제 2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정단계와, 상기 수정단계에 의하여 변경된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작성하기 전의 처리인 중심선의 작성에 있어서, 그 중심선을 일단 작성한 후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수의 중심선을 일괄하여 선택하고,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의 지정만으로 제 1 리드선과 연결선과 제 2 리드선으로 구성되는 각 중심선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일정한 조건에 맞도록 복수의 중심선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방법은,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있어서, 제 1 리드선부와, 제 2 리드선부와, 상기 제 1 리드선부와 상기 제 2 리드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배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배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배선패턴 중의 하나의 배선패턴(이하, 특정 배선패턴)을 지정하여 수정대상이 되는 복수의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간격 증감방향과 증감 간격값을 지정하는 지정단계와, 상기 특정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를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제 1 리드선부와의 간격이 상기 증감 간격값이 되도록, 상기 특정 배선패턴 이외의 다른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위치와 연결부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정단계와, 상기 수정단계에 의하여 변경된 배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일단 작성한 후에 그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복수의 배선패턴을 일괄하여 선택하고, 기준이 되는 배선패턴, 간격 증감방향 및 간격 증감값을 지정함으로써 제 1 리드선부와 연결부와 제 2 리드선부로 구성되는 각 배선패턴의 그 구성관계를 유지한 채로, 일정한 조건에 맞도록 복수의 배선패턴의 배치 및 형상을 한 번에 변경할 수있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에 기재된 배선패턴작성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및 배선패턴작성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TAB 테이프용의 배선패턴의 작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100)은 뒤에서 설명하는 각종 배선패턴작성처리를 실행하는 연산처리장치(10)와, 부품배치 데이터 등의 포인트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억장치(20)와, 여러가지의 설정값이나 문자를 입력함과 동시에 배선패턴의 묘획도구로서 기능하는 입력장치(30)와, 연산처리장치(10)에 의한 지시내용이나 입력장치(30)에 의한 입력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연산처리장치(10)는 뒤에서 설명하는 포인트작성처리, 결선처리, 두께부여처리 및 수정처리에 대하여 각각 지시 및 실행하는 포인트작성부(11), 결선처리부 (12), 두께부여처리부(13) 및 수정처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기억장치(20)는, FD, CD-R, 메모리카드 등의 가반성 기록매체의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브나 자기디스크장치 등이다. 또 입력장치 (30)는, 마우스나 디지타이저 등의 포인팅디바이스나 키보드 등이고, 표시장치(40)는 CRT 디스플레이나 LCD 등이다.
따라서 이 배선패턴작성시스템(100)은 종래의 CAD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대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상기한 연산처리장치(10)는 컴퓨터의 CPU에 상당하여, 상기한 포인트작성부(11), 결선처리부(12), 두께부여처리부(13) 및 수정처리부(14)의 각 동작은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하에, 이 배선패턴작성시스템(100)을 사용한 배선패턴작성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배선패턴작성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패턴은 포인트작성(단계 S101), 결선(단계 S102), 중심선 수정(단계 S103), 두께부여(단계 S104), 배선패턴수정처리(단계 S105)를 순차로 행함으로써 작성된다. 이하 이들 처리를 표시장치(40)상에 표시하는 화면과 그 화면에 대한 입력조작과 함께 순차로 설명한다.
(포인트작성)
먼저, 오퍼레이터는 고객인 시스템설계자 등으로부터 배선패턴의 부품배치 데이터나 배선패턴을 대략 스케치한 레이아웃도 등의 배선패턴자료를 수취하고, 이 자료에 따라 포인트작성을 행한다. 포인트작성이란, TAB 테이프상의 부품배치위치나 패드위치를 표시화면상의 포인트로서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이다. 그리고 다음의 결선처리에 있어서 이 포인트 사이를 결선함으로써 최종적인 배선패턴을 작성한다.
시스템설계자 등으로부터 레이아웃도밖에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는 결국 오퍼레이터가 그 레이아웃도에 기재된 치수에 적합하도록 화면상에 포인트를 붙여 그들의 좌표값을 결정한다. 한편, 오퍼레이터는 부품배치 데이터를 전자 데이터로서 수취한 경우에는 부품배치 데이터를 그 전자 데이터의 포인트 표현형식에 따른 형식으로 기억장치(20)를 거쳐 연산처리장치(10)에서 판독시킨다.
배선패턴작성시스템(100)에서는 「포인트작성」 코맨드를 준비하고 있고, 표시장치(40)에 표시된 「포인트작성」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이 코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TAB 테이프에서는 통상 디바이스홀 내부로 돌출한 내부 리드선상에 부품을 탑재하기 위하여 시스템관리자로부터 주어지는 부품배치 데이터 중, 부품측의 핀 배치의 데이터, 즉 내부 리드선상의 포인트의 데이터만이 전자 데이터인 경우도 많고, 이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화면조작 등에 의하여 외부 리드선상의 포인트를 결정함과 동시에, 내부 리드선상의 포인트에 대해서는 상기한 파일로부터 판독한다.
도 3은 포인트작성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a)는 상기한 부품배치 데이터를 판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화면(110)이고, 중앙부에 디바이스홀 (120)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부품배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점(121)의 마크와, 각 포인트(122 및 123)가 표시된다. 여기서 122는 외부 리드선의 포인트를 표시하고, 123은 내부 리드선의 포인트를 표시하고 있다.
(결선)
포인트작성이 끝나면 오퍼레이터는 포인트의 위치에 의거하여 배선하는 결선처리를 행한다. 이 결선처리에는 2개의 케이스가 있고, 하나는 상기한 포인트작성에 의하여 표시한 복수의 포인트 사이를 몇개의 결선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배선패턴의 중심선을 작성하는 「자동결선」을 행하는 케이스이고, 또 하나는 상기한 포인트 등이나 다른 배선패턴 자료를 기초로 오퍼레이터가 작성한 배선패턴의 중심선의 끝점끼리를 결선하는 「끝점접속」을 행하는 케이스이다.
도 4는 결선처리조작을 끝낸 상태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처리란, 소정의 조건에 따라 포인트끼리를 직선으로 연결한 상태에 지나지 않고, 최종적인 두께가 있는 배선패턴을 얻기 위한 전단의 처리이다. 환언하면 이 결선처리에 의하여 작성된 직선은 각 배선패턴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중심선 수정)
결선처리, 즉 중심선 작성처리가 끝나면,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 「피치수정」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이 중심선 수정을 위한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선 수정이란, 작성한 복수의 중심선의 간격(피치)을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중심선 수정처리에는 「기준점 지정」과 「기준선 지정」의 2개의 피치의 지정방법이 있다. 이하, 순차로 이들 지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준점 지정」에 의한 중심선 수정이란, 수정대상으로 되어 있는 중심선의 하나를 지정하고, 지정한 중심선의 한쪽의 끝점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새로운 직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직선과 동일한 기울기가 되도록 중심선의 기울기 및 길이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다.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 「피치수정」버튼의 선택 등에 계속해서 「기준점 지정」버튼의 선택 등을 행함으로써 이「기준점 지정」에 의한 중심선 수정의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도 5는 「기준점 지정」방법에 의한「중심선 수정」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수정대상으로 하는 중심선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조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5(a)에 있어서, 이미 작성된 6개의 병렬한 중심선을 정리하여 지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먼저 마우스커서 등의 포인터를 나타내는 지점(P1)위로부터 지점(P2)으로 드래그 및 드롭함으로써 6개의 중심선상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생성하고, 수정대상을 확정한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도 5(a)에 있어서 지정한 6개의 중심선 중, 상기한 기준점을 지정하기 위한 중심선을 결정하고, 그 중심선의 끝점의 한쪽을 지점(P1)으로 하고, 끝점의 다른쪽과는 떨어진 소망의 위치를 지점(P2)으로 하여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선을 생성한다. 이때 지점(P2)는 변경후의 끝점(기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지점(P1과 P2)에 의하여 생성된 직선과, 기타 다른 직선과의 교점(C1)이, 변경후의 끝점의 위치가 된다. 여기서 기타 다른 직선이란, 기준점 지정을 위하여 결정한 중심선과 하나로 이어져 결선된 직선을 가리킨다. 즉, 오퍼레이터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점(C1)의 위치가 기준점이 되도록 지점(P2)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표시장치(40)에 표시된 「실행」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수정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개의 중심선이 도 5(b)의 지점(P1과 P2)으로 구성되는 직선과 동일한 기울기이고, 또 수정전에 있어서 하나로 이어져 연결되어 있던 기타 다른 직선과의 결선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편이한다. 즉 이 수정에서는 상기한 기타 다른 직선의 끝점의 위치도, 수정대상으로 되어 있는 6개의 중심선의 변경과 함께 변경한다. 이 편이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6개의 중심선은 수정전의 피치와는 달리, 피치변경이 달성되게 된다.
한편, 「기준선 지정」에 의한 중심선 수정이란, 기준선을 배치하여 수정대상으로 되어 있는 모든 중심선의 끝점을 상기한 기준선에 투사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중심선의 기울기 및 길이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다.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 「피치수정」버튼의 선택 등에 이어서「기준선 지정」버튼의 선택 등을 행함으로써 이「기준선 지정」에 의한 중심선 수정의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도 6은 「기준선 지정」방법에 의한「중심선 수정」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수정대상으로 하는 중심선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조작을 행한다. 이 지정조작은 상기한 「기준점 지정」방법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중심선의 지정조작이 끝나면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P1 및 P2)에 의하여 지정한 6개의 중심선에 대하여 그들 중심선의 한쪽의 끝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기준선(L1)(이하, 제 1 기준선이라 함)을 소망의 위치에 배치한다.
여기서 제 1 기준선은 수정대상이 되는 중심선을 지정할 때에 생성한 직선, 즉 도 6(a)에 있어서 지점(P1)으로부터 지점(P2)에 드래그 및 드롭함으로써 생성한 직선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 및 배치하여도 좋고, 직선형태의 포인터를 표시시켜 그것을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a)에서는 제 1 기준선(L1)을 배치하고, 이후의「실행」조작에 의하여 수정대상이 되는 6개의 중심선의 한쪽의 끝점[도 6(a) 지면상측의 끝점]이 제 1 기준선(L1)상에 수직으로 투사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특히 이 끝점의 이동에 의하여 수정대상으로 되어 있는 중심선과의 접속점으로 되어 있던 기타 다른 중심선도 끝점도 이동한다. 즉 수정대상으로 되어 있는 중심선의 한쪽의 굴곡점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도 6(a)상의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위쪽의 굴곡점은 지점(C1)으로 이동한다.
수정대상이 되는 6개의 중심선의 다른쪽의 끝점[도 6(a) 지면상측의 끝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준선(L2)을 배치한다. 예를 들면 도 6(b)에서는 이후의「실행」조작에 의하여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아래쪽의 굴곡점은 지점(C2)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의 배치가 끝나면 오퍼레이터가 표시장치(40)에 표시된 「실행」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수정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a)의 제 1 기준선(L1)위와 제 2 기준선(L2)위에 6개의 중심선의 각 양쪽 끝점이 위치하도록 그들 6개의 직선의 기울기 및 길이가 변경된다. 다시 이 변경에 수반하여 수정전에 있어서 하나로 이어져 있던 기타 다른 직선의 끝점도 또, 종전의 결선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편이한다. 이 편이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6개의 중심선의 피치는 수정전의 피치와는 달리 피치변경이 달성된다.
(두께부여)
이상과 같은 수정처리를 포함한 결선처리, 즉 중심선의 작성처리가 끝나면 오퍼레이터는 작성된 중심선에 대하여 실제의 배선패턴과 같은 두께를 부여하기 위한 두께부여처리를 행한다. 도 7은 「두께부여」의 조작 및 처리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5개의 중심선(여기서는 하나로 이어진 3개의 직선으로 하나의 중심선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에 대하여 두께부여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먼저 상기한 「중심선 수정」에서 설명한 지정조작과 동일한 조작에 의하여 두께부여의 대상을 지정한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가 표시장치(40)에 표시된 「실행」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두께부여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중심선은 미리 설정하여 둔 조건(폭이나 오버행길이 등)에 따라 두께부여되어 표시된다.
즉, 이상으로 설명한 포인트작성, 결선, 중심선 수정 및 두께부여의 조작 및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TAB 테이프상에 형성하는 배선패턴을 작성할 수 있다.
(배선패턴수정)
두께부여처리, 즉 배선패턴작성처리가 끝나면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 「리드선간 변경」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이 배선패턴수정을 위한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패턴수정이란, 병렬하여 작성한 배선패턴(리드선)의 간격을 수정하는 것이다.
도 8은 「배선패턴수정」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오퍼레이터는 표시장치(40)에 표시된 「리드선간 변경」버튼의 선택 등을 행함으로써, 이「배선패턴수정」의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그때 도 8(a)와 같은 다이얼로그가 표시되어, 수정대상이 되는 복수의 배선패턴(리드선)에 대한 피치, 리드선폭 및 갭의 입력과, 변경후의 리드선간의 폭(옵셋량)의 입력과, 리드선을 기준으로 하여 리드선 사이의 폭을 변경할 것인지, 갭을 기준으로 하여 리드선 사이의 폭을 변경할 것인지의 선택을 행한다.
여기서 피치란, 도 8(b)에 있어서 14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한 리드선(배선패턴)의 기준선(리드선의 좌측면 선이나 중심선)의 간격을 의미하고, 리드선 폭이란, 도 8(b)에서 14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리드선의 선을 의미하고, 갭이란, 도 8(b)에서 14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리드선에 있어서 대향하는 리드선 끝의 간격을 의미한다.
도 8(a)에 나타낸 설정이 끝나면,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그 설정내용을 적용시키는 배선패턴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조작을 행한다. 도 9는 「배선패턴수정」에 있어서의 지정조작 및 처리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수정대상으로 하는 배선패턴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조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9(a)에 있어서 이미 작성된 5개의 병렬한 배선패턴의 리드선부분에 대하여 수정을 실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먼저 마우스커서 등의 포인터를 나타내는 지점(P1)위로부터 지점(P2)으로 드래그 및 드롭함으로써 5개의 리드선부분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생성하여 수정대상을 확정한다.
계속해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선 간격을 변경할 때의 기준이 되는 기준선(L1)과, 상기한 기준선(L1)에 대한 리드선 간격의 변경방향을 나타내는 지점(P3)의 배치를 행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표시장치(40)에 표시된 「실행」 버튼의 선택 등에 의하여 수정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의 리드선이 설정한 옵셋량에 따른 리드선 간격이 되도록 배치가 변경된다. 또한 도 9(c)에서는 리드선을 기준으로 한 옵셋(150)에 따른 수정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특히 수정대상이 된 리드선부분의 배치가 변경되어도 변경전에 하나로 이어져 있던 다른쪽의 리드선부분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하나의 배선패턴을 구성하는 2개의 리드선의 연결부분의 기울기나 길이가 양 리드선 사이의 연결상태를 유지한 채로 변경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및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중심선끼리나 배선패턴끼리에 있어서 관련되는 설정내용을 수정함에 있어서, 복수의 중심선이나 배선패턴을 일괄하여 선택하여 수정처리를 한 번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들 중심선 등에 대하여 하나하나 변경이나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마스크패턴의 작성시간을 더 한층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포인트작성부(11), 결선처리부(12), 두께부여처리부(13) 및 수정처리부(14)의 각 동작, 즉 상기한 포인트작성처리, 결선처리, 두께부여처리 및 수정처리(중심선 수정처리와 배선패턴수정처리)를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실현하는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여러가지의 형태에 의하여 그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 1로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CD-ROM이나 메모리카드 등의 기록매체를 입수하여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이 되는 컴퓨터시스템이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한 후, 그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거나 또는 인스톨을 거쳐 실행한다.
제 2로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이 되는 컴퓨터시스템이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거쳐, WWW(World Wide Web)서버나 FTP(File Transfer Protoco1)서버 등의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그 후 인스톨을 거쳐 실행한다.
제 3으로 퍼스널컴퓨터 등의 단말장치에 의하여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서버에 엑세스하여 그 ASP 서버상에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배선패턴작성방법과 동일한 서비스를 받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TAB 테이프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T-BGA(Tape Ball Grid Array)테이프, CSP(Chip Size Packag)의 테이프,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테이프, COF(Chip on Film) 등의 다른 전자부품설치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 기타 유연한 배선판용의 마스크패턴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물론 전자부품 설치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 이외의다른 패키지형태에 사용되는 리드선 프레임의 패턴이나 그 밖의 프린트기판상의 배선패턴 등을 제조하기 위한 배선패턴작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및 배선패턴작성방법(청구항 1 내지 6)에 의하면, 복수의 직선패턴끼리나 배선패턴끼리에 있어서 관련되는 설정내용을 수정함에 있어서 복수의 직선패턴이나 배선패턴을 일괄하여 선택하여 수정처리를 한 번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들 직선패턴 등에 대하여 하나하나 변경이나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최종적인 배선패턴의 작성시간을 더 한층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청구항 7)에 의하면, 상기한 배선패턴작성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나 통신회선을 거친 다운로드에 의하여 공급하여 공급지가 되는 컴퓨터상에서 상기 배선패턴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패턴작성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배선패턴작성의 플로우차트,
도 3은 포인트작성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결선처리조작을 끝낸 상태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기준점 지정」방법에 의한「중심선 수정」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기준선 지정」방법에 의한「중심선 수정」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두께부여」의 조작 및 처리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배선패턴수정」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배선패턴수정」에 있어서의 지정조작 및 처리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산처리장치 11 : 포인트작성부
12 : 결선처리부 13 : 두께부여처리부
14 : 수정처리부 20 : 기억장치
30 : 입력장치 40 : 표시장치
100 : 배선패턴작성시스템 110 : 화면
120 : 디바이스홀 121 : 원점
122, 123 : 포인트 141 : 리드선폭
142 : 피치 143 : 갭
150 : 옵셋

Claims (7)

  1. 회로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직선패턴 중 어느 하나의 직선패턴(이하,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의 위치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 점을 이동점으로 하여 배치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이동점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직선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과의 교점을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으로 교체되는 끝점으로서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변경된 연결선의 기울기와 같은 기울기가 되도록 상기 특정 직선패턴 이외의 다른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
  2.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을 소망의 위치에 배치하는 입력장치와;
    수정대상이 되는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이 상기 제 1 기준선상에 배치되고, 또한 해당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이 상기 제 2 기준선상에 배치되도록 각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 및 제 2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
  3.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리드선부와, 제 2 리드선부와, 상기 제 1 리드선부와 상기 제 2 리드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배선패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배선패턴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배선패턴 중의 하나의 배선패턴(이하, 특정 배선패턴)을 지정하여, 수정대상이 되는 복수의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간격 증감방향과 증감 간격값을 지정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특정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를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제 1 리드선부와의 간격이 상기 증감 간격값이 되도록 상기 특정 배선패턴 이외의 다른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위치와 연결부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연산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패턴작성시스템.
  4.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있어서,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직선패턴 중 어느 하나의 직선패턴(이하,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의 위치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 점을 이동점으로서 배치하는 지정단계와;
    상기 이동점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직선과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과의 교점을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으로 교체되는 끝점으로서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상기 특정 직선패턴의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함과 동시에, 변경된 연결선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가 되도록 상기 특정 직선패턴 이외의 다른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정단계과;
    상기 수정단계에 의하여 변경된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
  5.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있어서,
    제 1 리드선과, 제 2 리드선과, 상기 제 1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1 끝점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리드선의 끝점의 한쪽에 제 2 끝점을 접속하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직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제 1 기준선과 제 2 기준선을 소망의 위치에 배치하는 지정단계와;
    수정대상이 되는 직선패턴의 제 1 끝점이 상기 제 1 기준선상에 배치되고, 또한 해당 직선패턴의 제 2 끝점이 상기 제 2 기준선상에 배치되도록 각 직선패턴의 제 1 리드선 및 제 2 리드선의 길이와 연결선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정단계와;
    상기 수정단계에 의하여 변경된 직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
  6. 회로 기판상의 배선패턴을 작성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에 있어서,
    제 1 리드선부와, 제 2 리드선부와, 상기 제 1 리드선부와 상기 제 2 리드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배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단계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배선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대상으로서 지정함과 동시에, 지정된 배선패턴 중의 하나의 배선패턴(이하, 특정 배선패턴)을 지정하여 수정대상이 되는 복수의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간격 증감방향과 증감 간격값을 지정하는 지정단계와;
    상기 특정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를 기준으로 하여 인접한 제 1 리드선부와의 간격이 상기 증감 간격값이 되도록, 상기 특정 배선패턴 이외의 다른 배선패턴의 제 1 리드선부의 위치와 연결부의 길이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수정단계와;
    상기 수정단계에 의하여 변경된 배선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패턴작성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7245A 2002-09-19 2002-09-19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50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245A KR100500511B1 (ko) 2002-09-19 2002-09-19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245A KR100500511B1 (ko) 2002-09-19 2002-09-19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322A KR20040025322A (ko) 2004-03-24
KR100500511B1 true KR100500511B1 (ko) 2005-07-12

Family

ID=3732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245A KR100500511B1 (ko) 2002-09-19 2002-09-19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5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61A (ja) * 1993-07-14 1995-01-31 Hitachi Ltd プリント基板配線の自動設計装置
JPH08202753A (ja) * 1995-01-27 1996-08-09 Nec Corp 回路図の配線自動修正方法
JPH1040277A (ja) * 1996-07-26 1998-02-13 Oki Electric Ind Co Ltd Cad装置
JPH1166142A (ja) * 1997-08-15 1999-03-09 Nec Corp グループ等長配線システム
JP2002164435A (ja) * 2000-11-27 2002-06-07 Nec Microsystems Ltd レイアウト設計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61A (ja) * 1993-07-14 1995-01-31 Hitachi Ltd プリント基板配線の自動設計装置
JPH08202753A (ja) * 1995-01-27 1996-08-09 Nec Corp 回路図の配線自動修正方法
JPH1040277A (ja) * 1996-07-26 1998-02-13 Oki Electric Ind Co Ltd Cad装置
JPH1166142A (ja) * 1997-08-15 1999-03-09 Nec Corp グループ等長配線システム
JP2002164435A (ja) * 2000-11-27 2002-06-07 Nec Microsystems Ltd レイアウト設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322A (ko)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3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electronic design data
CN100468193C (zh) 曝光掩模的图案修正方法和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US7454736B2 (en) Automatic trac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JP2008084208A (ja) 配線モデル作成装置、配線モデル作成方法、配線モデル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の製造方法
JP4149715B2 (ja) パターン作成方法及びフォトマスク
US7530038B2 (en) Method and placement tool for designing the layout of an electronic circuit
KR100500511B1 (ko)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4317576B2 (ja) 自動生成されたダミー形状にもかかわらず整合する回路素子機能
US72636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efficient vias between metal layers in semiconductor designs and layouts
KR100500512B1 (ko) 배선패턴작성시스템, 배선패턴작성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8875063B2 (en) Mask layout formation
JP2002279009A (ja) 配線パターン作成システム、配線パターン作成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4252743A (ja) 多層配線基板の設計装置、その設計方法及び記録媒体
JPH058417B2 (ko)
JP3995454B2 (ja) 配線情報作成装置、配線情報作成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2279008A (ja) 配線パターン作成システム、配線パターン作成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6526540B1 (en) Flip chip trace library generator
JP2927319B2 (ja) 配線情報加工方式
JP2006317529A (ja) パターンレイアウト方法、その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411743B2 (ja) 設計データ変換装置、パターン設計支援装置、設計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配線基板のパターン設計方法。
WO2022107116A1 (en) Multi pattern maskless lithography method and system
JP2007042990A (ja) 半導体装置の設計方法、その設計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設計装置
JPH06162137A (ja) 画面表示設計装置
JP2992081B2 (ja) パターン作成装置
JP2001133958A (ja) 描画パター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