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084B1 - 전자식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식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084B1
KR100498084B1 KR10-2003-0002737A KR20030002737A KR100498084B1 KR 100498084 B1 KR100498084 B1 KR 100498084B1 KR 20030002737 A KR20030002737 A KR 20030002737A KR 100498084 B1 KR100498084 B1 KR 100498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valve seat
inlet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339A (ko
Inventor
오카다사다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6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밸브가 닫혀있을 때에 다이아프램(diaphragm)식의 밸브체의 진동이 생겨 밸브를 닫을때 까지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한 전자식 급수밸브를 제공한다.
전자식 급수밸브에는 유입실(5)과 유출실(7) 사이에 형성된 밸브입구(8)에 설치된 원통형의 밸브시트(9)와, 밸브공(8)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식의 밸브체(13)와 유입실(5)과 파일롯실(14)을 연통하는 연락공(16)과 파일롯실(14)과 유출실(7)을 연통하는 파일롯공(15)과 파일롯공(15)을 개폐하는 플런저(plunger)(18)가 구비되어 있다. 파일롯공(15)이 닫혀 밸브입구(8)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밸브체(13)가 밸브시트(9)에 안착하기 전에 밸브시트(9)의 외주면(31)과 소정거리(f)에 걸쳐 일정한 간격(d)을 두고 대향하고, 이 간격(d)에 의해 유입실(5)에서 유출실(7)로 통수유량이 수량제한공(6)에 의해 제한되는 통수유량보다 적은 일정한 유량으로 제한하는 제1가이드부재(30)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전자식 급수밸브{Electrical type water-supply vale}
본 발명은 전자식 파일롯밸브의 개폐에 따라 다이아프램(diaphragm)식 밸브체를 이동시켜 밸브입구를 개폐하는 전자식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체(100)에 물의 유입구(101)와 연통한 유입실(102)과 물의 유출구(103)와 연통한 유출실(104)를 형성하고, 유입실(102)과 유출실(104) 사이에 형성된 밸브입구(105)에 원통형상의 밸브시트(106)를 장착하고, 밸브입구(105)를 개폐하기 위해 고무로 형성된 다이아프램(107)과 다이아프램판(108)으로 구성된 밸브체(109)를 밸브시트(106)에 안착과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된 급수밸브가 알려져 있다.
상기 급수밸브에 있어서, 밸브체(109)의 도면의 하측에 설치된 파일롯실(110)과 유출실(104)을 연통하는 파일롯공(111)과, 유입실(102)과 파일롯실(110)을 연통하는 연락공(112)이 다이아프램판(108)에 천설(穿設)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코일(115)에 통전되면, 스프링(116)에 의해 도면의 상방향으로 밀려올라가 있는 플런저(plunger)(117)를 도면의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파일롯공(111)을 열린상태로 하고, 전자코일(115)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플런저(117)를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파일롯공(111)을 닫힌상태로 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파일롯공(111)이 닫힌상태일 때 연락공(112)에 의해 유입실(102)과 파일롯실(110)이 연통하고 있으므로, 파일롯실(110)내의 압력은 입수압과 동일하게 되고, 이 입수압에 의해 밸브체(109)가 도면의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밸브시트(106)에 접하고, 밸브입구(105)가 닫힌상태로 되어 유입실(102)에서 유출실(104)로의 통수가 차단된다.
한편, 파일롯공(111)이 닫힌상태에서 열람상태로 전환되면, 파일롯실(110)내의 물이 파일롯공(111)을 통해 유출실(04)로 흘러, 밸브체(109)의 도면의 상면에는 입수압이 가해져 밸브체(109)가 하방향으로 밀려 내려간다. 그 결과, 밸브체(109)가 밸브시트(106)로부터 떨어져 유입실(102)과 유출실(104)이 연통하고, 유입구(101)에서 유출구(103)로의 통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101)에서 유출구(103)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전자코일(115)에 통전되어 플런저(117)에 의해 파일롯공(111)이 닫히면, 유입실(102)로부터 연락공(112)을 통해 파일롯(110)실로 유입하는 물에 의해 파일롯실(110)내의 압력이 급속히 높아져, 밸브체(109)가 도면의 상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다이아프램(107)이 밸브시트(106)에 접한다.
그리고 밸브시트(106)에 접할 때에 다이아프램(107)부근의 물의 체적이 압축되어 수압이 급격히 상승하고, 이 수압상승에 의해 발생한 압력파가 다이아프램(107)과 유입실(102)의 단부 사이에 반사를 반복할 수 있는 워터해머(water hammer)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워터해머현상에 의해 고무재질인 다이아프램(107)의 진동이 생겼을 때, 다이아프램(107)과 밸브시트(106) 사이의 개폐가 반복되고, 이 때 생기는 수량의 변화에 의해 수압변동이 계속되게 되어, 다이아프램(107)과 밸브시트(106) 사이의 지수(止水)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밸브입구를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할 때, 다이아프램식의 밸브체와 밸브시트 사이의 지수불량이 생기는 것을 억제한 전자식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의 유입구에 연통한 유입실과 물의 유출구와 수량제한부를 통해 연통한 유출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유입실과 상기 유출실 사이에 형성된 밸브입구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밸브시트와, 이 밸브시트에 대향하여 설치된 이 밸브입구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식의 밸브체와, 이 밸브체의 상기 밸브시트와 대향한 측의 반대측에 설치된 파일롯실과, 상기 유입실과 이 파일롯실을 연통하는 연락공과, 상기 밸브체에 설치된 상기 파일롯실과 상기 유출실을 연통하는 파일롯공과, 이 파일롯공을 개폐하는 파일롯 전자밸브를 구비한 전자식 급수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일롯 전자밸브에 의해 상기 파일롯공이 닫혀진 상기 밸브입구가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에 안착하기전에 상기 밸브시트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그 간격에의해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구로의 통수유량이 상기 수량제한부에 의해 제한되는 통수유량보다 적게되도록 제한하는 제1가이드부재를 상기 밸브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입구가 열린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실로의 통수유량은 상기 수량제어부에 의해 제한된 유량(이하, 제1제한유량이라 함)이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롯 전자밸브에 의해 상기 파일롯공이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파일롯실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파일롯실내의 수압이 입수압까지 상승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로 향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대향하기 시작하면,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실로의 통수유량이 상기 밸브시트와 상기 제1가이드 사이의 간격에 의해, 상기 제1제한유량보다 적은 유량(이하 제2제한 유량이라 함)으로 제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밸브입구가 열린상태로부터 닫힌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실로의 통수유량을 상기 제1제한 유량으로부터 제2제한 유량으로 감소시킨 후 상기 밸브입구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에 접할 때 생기는 압력파가 적어져 상기 밸브체의 진동이 작아지게되기 때문에, 접할 때에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시트 사이에 지수불량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할 때에 상기 밸브체의 진동이 생겨도 상기 간격에 의해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구로의 통수유량이 상기 제2제한 유량 이하로 제한되어 상기 밸브체의 진동폭이 작게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체의 진동을 신속히 수속(收束)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상기 간격이 소정거리에 걸쳐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시트가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소정거리 사이의 간격으로 대향할 때는,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실로의 통수유량이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1제한 유량보다 적은 일정유량으로 제한된다. 이 경우,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에 접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의 진동이 생겨도, 상기 일정한 간격에 의해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실로의 통수유량은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밸브체의 진동에 동기하여 통수유량이 변동하는것이 억제되어 수압변동은 계속되지 않고, 상기 밸브체의 진동을 신속히 수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로 접근할 때 상기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입구가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이행할 때,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로 접근하여 상기 밸브시트가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선단과 대향하기 시작하면, 상기 밸브시트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된다. 이 때문에, 상기 유입실로부터 상기 유출실로의 통수유량이 상기 제1제한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제한유량으로 완만하게 이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입실의 수압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가이드부재로 상기 밸브체의 이행방향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밸브입구를 닫힌상태로 할 때에 상기 밸브시트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확실히 대향시킬 수 있다.
《실시예》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자식 급수밸브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자식 급수밸브의 밸브구조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자식 급수밸브의 밸브구조의 상세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잠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전자식 급수밸브(1)는 본체(2)에 형성된 유입구(3)와 유출구(4) 사이의 통수(通水)를 제어하는 것이고, 유입구(3)에 연통한 유출실(5)과, 유출구(4)와 수량제한공(6)(본건발명의 수량제한부에 해당함)을 통해 연통한 유출실(7)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유입실(5)과 유출실(7) 사이에는 밸브입구(8)가 형성되고, 밸브입구(8)에는 밸브시트(9)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와 같은 유연재료로 형성된 다이아프램(10)의 중앙에 형성된 중심공(11)에 다이아프램판(12)이 감입(嵌入)되고, 다이아프램(10)과 다이아프램판(12)으로 다이아프램식의 밸브체(1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13)의 도면의 하측에는 파일롯실(14)이 설치되고, 다이아프램판(12)에는 유출실(7)과 파일롯실(14)을 연통하는 파일롯공(15)과 유입실(5)과 파일롯실(14)을 연통하는 연락공(16)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롯실(15)의 선단에 형성된 파일롯 밸브시트(17)에 근접하여 파일롯공(15)을 개폐하는 플런저(18)가 파일롯공(15)의 중심선상에 그 중심을 맞추어 배설되어 있다.
플런저(18)는 스프링(19)에 의해 도면의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고, 전자코일(20)에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19)의 부세력에 의해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파일롯 밸브시트(17)에 접하고, 파일롯공이 닫힌상태로 된다(도면에 도시한 상태). 한편, 전자코일(20)에 통전된 상태에서는 전자코일(20)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회로의 누전자속에 의해 플런저(18)가 스프링(1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플런저(18)가 파일롯 밸브시트(17)로부터 떨어져 파일롯공(15)이 닫힌상태가 된다. 한편, 파일롯 밸브시트(17), 플런저(18), 스프링(19) 및 전자코일(20)에 의해 본 발명의 파일롯 전자밸브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전자식 급수밸브(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코일(20)로의 통전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18)가 파일롯 밸브시트(17)에 접하여 파일롯공(15)이 닫힌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유입실(5)로부터 연락공(16)을 통해 파일롯실(14)내로 물이 흘러들어가 파일롯실(14)내의 수압이 입수압까지 상승하고, 파일롯실(14)내의 압력이 유출실(7)내의 압력보다 높게된다. 그 결과, 밸브체(13)가 도면의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 밸브체(13)의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하여 밸브시트(9)가 닫힌상태로되고, 유입실(5)에서 유출실(7)로의 통수가 차단된다.
한편, 전자코일(20)에 통전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플런저(18)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파일롯 밸브시트(17)로부터 떨어져, 파일롯공(15)이 열린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유입실(5)에서 연락공(16)을 통해 파일롯실(14)내로 흘러들어간 물이 파일롯공(15)을 통해 유출실(7)로 유출한다. 이 때문에, 유입실(5)로부터의 입수압력에 의해 밸브체(13)가 도면의 하방으로 밀려내려가, 밸브체(13)가 밸브시트(9)로부터 떨어져 밸브입구(8)가 닫힌상태로 되고,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식 급수밸브(1)에 있어서, 전자코일(20)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밸브체(13)의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할 때에, 유입실(5)내의 급격한 압력변화에 의해 압력파가 생겨 다이아프램(10)이 진동하고, 이 진동에 의해 다이아프램(10)과 밸브시트(9) 사이의 지수불량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다이아프램(10)에 제1가이드부(30)(본 발명의 제1가이드부재에 해당함)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가이드부(30)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전자코일(20)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파일롯공(15)이 닫힌상태로 되고, 밸브체(13)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가이드부(30)는 밸브체(13)의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근했을 때에, 밸브시트(9)의 외주면(31)을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시트(9)의 외주면(31)과 제1가이드부(30)가 대향하게 되면, 지금까지 수량제한공(6)에 의해 제한되어 있던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이하 제1제한유량이라 함)이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30) 사이의 소정거리(f)에 걸쳐 일정한 간격(d)에 의해 이 제1제한유량보다 적은 유량(이하, 제2제한유량 이라함)으로 제한되도록 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13)가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할 때에,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을 상기 제1제한 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제한유량으로 감소시킨 후 다이아프램(10)을 밸브시트(9)에 접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밸브체(13)의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했을 때 생기는 유입실(5)내의 수압변동을 적게하여 다이아프램(10)의 진동을 억제하고, 다이아프램(10)과 밸브시트(9) 사이의 지수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10)가 대향한 상태에서는, 다이아프램(10)의 진동으로 밸브시트(9)가 개폐하여도,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은 상기 제2제한유량 이하로 제한된 일정한 유량이 된다. 이 때문에 다이아프램(10)의 진동에 연동하여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이 변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의해 다이아프램(10)의 진동이 생길 경우라도 수압변동은 계속되지 않고, 진동을 신속히 수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부(30)의 선단부(32)는 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R형상은, 밸브체(13)가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30)가 대향하기 시작하여, 밸브체(13)가 밸브시트(9)에 접근하여 간격이 (d)가 될 때 까지,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30)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30)가 대향하기 시작하였을 때에, 유입실(5)로부터 유입실(7)로의 통수유량을 이 R형상에 따라 상기 제1제한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제한유량으로 완만히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유입실(5)내의 수압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했을 때에 생기는 압력파를 작게하고, 다이아프램(1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우기, 이 R형상에 의해 밸브시트(9)를 제1가이드부(3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판(12)의 밸브시트(9)의 내측에 삽입된 개소(個所)에는, 밸브체의 이동을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규제하는 핀(fin)형상의 제2가이드부(33)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밸브체(13)의 다이아프램(10)이 밸브시트(9)에 접할 때에,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30)가 확실히 대향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전자식 급수밸브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전자식 급수밸브(1)에 대해 밸브체의 구성만이 상이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밸브체(4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밸브체(13)와 동일하고, 고무와 같은 유연재료로 형성된 다이아프램(41)의 중앙에 형성된 중심공(42)에 다이아프램판(43)을 감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아프램(41)에는 밸브체(40)의 다이아프램(41)이 밸브시트(9)에 접근하였을 때에, 밸브시트(9)의 내주면(51)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가이드부(50)(본건 발명의 제1가이드부재에 해당함)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하게 전자코일(20)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밸브체(4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밸브체(4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시트(9)의 내주면(51)과 제1가이드부(50)가 대향하게 되면, 지금까지 수량제한공(6)에 의해 제한되어있던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제1제한유량)이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50) 사이의 소정거리(g)에 걸쳐 일정한 간격(e)에 의해 이 제1제한유량 보다 적은 유량(이하, 제3제한유량이라 함)으로 제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밸브체(40)가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이아프램(41)이 밸브시트(9)에 접할때에,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을 상기 제1제한 유량으로부터 상기 제3제한 유량으로 감소시킨 후 다이아프램(41)을 밸브시트(9)에 접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밸브체(40)이 밸브시트(9)에 접할 때 생기는 유입실(5)의 수압변동을 작게하여 다이아프램(41)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50)가 대향한 상태에서는, 다이아프램(41)의 진동에 의해 밸브입구(8)가 개폐하여도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은 상기 제3제한유량 이하로 제한되어 일정한 유량이 된다. 이 때문에, 다이아프램(41)의 진동에 연동하여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이 변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의해, 다이아프램(41)의 진동이 생긴경우라도 수압변동이 계속되지 않고, 이 진동을 신속히 수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부(50)의 선단부(5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부재(30)와 동일한 R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50)가 대향하기 시작하였을 때에 유입실(5)내의 수압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부(30,50)의 선단부를 R형상으로 하였으나, 밸브시트(9)에 밸브체(13,40)가 근접한 간격이 (d,e)가 될때까지, 밸브시트(9)와 제1가이드부(30, 5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는 형상{예를 들어 갈고리(勾配)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이 형상이 아닌 경우에도, 닫힘밸브시에 다이아프램(10, 41)의 진동을 신속히 수속시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2가이드부재(33)를 설치한 밸브체(13, 40)의 이동을 밸브시트(9)와 대향하는 방향만으로 규제하였으나, 제2가이드부재(33)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부(30, 50)를 다이아프램(10, 41)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다이아프램판(12, 43)의 핀형상의 제2가이드부(33)의 하단부분(70)(도 2 참조)을 원통형상으로 이 하단부분(70)의 외주면과 밸브시트(9)의 내주면이 간격을 두고 대항하도록 하고, 이 간격으로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하단부분(70)이 본 발명의 제1가이드부재로서 기능을 하고, 다이아프램(10, 41)에 제1가이드부(30, 50)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수량제한부로서 수량제한공(6)을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거버너등에 의해 밸브열림시의 유입실(5)로부터 유출실(7)로의 통수유량을 제한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자식 급수밸브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자식 급수밸브의 밸브구조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자식 급수밸브의 밸브구조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자식 급수밸브의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식 급수밸브 2 : 본체
3 : 유입구 4 : 유출구
5 : 유입실 6 : 수량제한공
7 : 유출실 8 : 밸브입구
9 : 밸브시트 10, 41 : 다이아프램
12, 43 : 다이아프램판 13, 40 : 밸브체
14 : 파일롯실 15 : 파일롯공
16 : 연락공 17 : 밸브시트
18 : 플런저(plunger) 30 : 제1가이드부
33 : 제2가이드부

Claims (4)

  1. 물의 유입구와 연통된 유입실과 물의 유출구와 수량제한부를 통해 연통된 유출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유입실과 유출실 사이에 형성된 밸브입구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밸브시트와, 밸브시트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밸브입구를 개폐시키는 다이아프램식의 밸브체와, 밸브체의 밸브시트와 대향된 측의 반대측에 설치된 파일롯실과, 상기 유입실과 이 파일롯실을 연통하는 연락공과, 상기 밸브체에 설치된 파일롯실과 유출실을 연통시키는 파일롯공과 이 파일롯공을 개폐시키는 파일롯 전자밸브를 구비한 전자식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전자밸브에 의해 상기 파일롯공이 닫혀 상기 밸브입구가 열린상태에서 닫힌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밀착되기 전에 상기 밸브시트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이 간격에 의해 상기 유입실에서 상기 유출구로 흐르는 통수유량이 상기 수량제한부에 의해 제한되는 통수유량보다 적게되도록 제한하는 제1가이드부재를 상기 밸브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급수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간격이 소정거리에 걸쳐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급수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접근할 때, 상기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급수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대향하는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급수밸브.
KR10-2003-0002737A 2002-02-04 2003-01-15 전자식 급수밸브 KR100498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26270A JP2003227578A (ja) 2002-02-04 2002-02-04 電磁式給水弁
JPJP-P-2002-00026270 2002-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339A KR20030066339A (ko) 2003-08-09
KR100498084B1 true KR100498084B1 (ko) 2005-07-01

Family

ID=2765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737A KR100498084B1 (ko) 2002-02-04 2003-01-15 전자식 급수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227578A (ko)
KR (1) KR100498084B1 (ko)
CN (1) CN1320298C (ko)
TW (1) TW584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9065B2 (en) 2008-09-23 2012-10-16 Transphorm Inc. Inductive load power switching circuits
KR101270518B1 (ko) * 2011-10-05 2013-07-04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석 급수밸브
CN105042109B (zh) * 2015-09-09 2017-06-27 泉州市纵能电磁阀有限公司 一种水路控制阀结构
CN113700911A (zh) * 2021-08-27 2021-11-26 厦门帝恒诺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虹吸倒流的双水路冲水阀
CN115467980A (zh) * 2022-10-20 2022-12-13 佛山市芯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磁阀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149U (ja) * 1983-05-18 1984-12-01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ガス瞬間湯沸器の水栓
JPS60176339U (ja) * 1984-04-28 1985-11-22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湯沸器の出湯温度調節装置
JPH0318787Y2 (ko) * 1984-09-27 1991-04-19
JPH0249479Y2 (ko) * 1985-07-16 1990-12-26
JPH01156379U (ko) * 1988-04-20 1989-10-27
JPH02266180A (ja) * 1989-04-05 1990-10-30 Hitachi Ltd 電磁給水弁
JPH0740774Y2 (ja) * 1989-08-21 1995-09-20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パッキン
JP2537808Y2 (ja) * 1989-10-18 1997-06-04 株式会社ガスター パイロット弁
JPH03104581U (ko) * 1990-02-13 1991-10-30
JP2652259B2 (ja) * 1990-05-14 1997-09-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流量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H04121585U (ja) * 1991-04-18 1992-10-30 月島機械株式会社 流量調整バルブ
JPH05215269A (ja) * 1992-02-10 1993-08-24 Kane Kogyo Kk 制御弁
JP2740636B2 (ja) * 1994-11-15 1998-04-1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パイロット式ダイヤフラム弁
JPH0942523A (ja) * 1995-07-31 1997-02-14 Rinnai Corp 湯沸器用止水弁
US5918852A (en) * 1996-06-17 1999-07-06 Automatic Switch Company Wide flow range proportional flow valve
JP3627475B2 (ja) * 1996-11-08 2005-03-09 松下電工株式会社 流量調整弁及び流量調整弁におけるワイヤーの端子板への固定構造
JPH11132358A (ja) * 1997-10-28 1999-05-21 Techno Excel Co Ltd 電磁給水弁装置
JPH11236981A (ja) * 1998-02-23 1999-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リンダバルブ
CN2348216Y (zh) * 1998-09-11 1999-11-10 温州华威电器公司 限流稳压组合电磁阀
TW424857U (en) * 1998-10-30 2001-03-01 Smc Corp Electromagnetic valve
US6149124A (en) * 1999-05-03 2000-11-21 Husco International, Inc. Pilot solenoid control valve with pressure responsive diaphragm
CN2384046Y (zh) * 1999-07-16 2000-06-21 李汉宝 一种可控制流量的活塞先导式电磁阀
JP2001235051A (ja) * 2000-02-23 2001-08-31 Techno Excel Co Ltd 電磁式給水弁
JP2001289350A (ja) * 2000-04-06 2001-10-19 Rinnai Corp 電磁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4704B (en) 2004-04-21
JP2003227578A (ja) 2003-08-15
KR20030066339A (ko) 2003-08-09
CN1436942A (zh) 2003-08-20
TW200302909A (en) 2003-08-16
CN1320298C (zh)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9493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機構
KR880002078B1 (ko) 유체 제어밸브 장치
US5769386A (e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US20210033212A1 (en) Proportional valve for controlling a gaseous medium
US4690373A (en) Magnetic valve for fluid control
KR100498084B1 (ko) 전자식 급수밸브
KR20040014329A (ko) 솔레노이드 작동식 압력 조정 밸브 및 배출형 압력 조정밸브의 감쇠 방법
JPH0742644A (ja) 電磁弁
JP6753794B2 (ja) 流体制御弁及び流体弁制御装置
US6367766B1 (en) Proportional flow valve
EP0434092B1 (en) Flow control valve
JPH10184948A (ja) パイロット式ダイアフラム弁
KR100736772B1 (ko) 압전식 비례제어 밸브
US20080257419A1 (en) Fluid pressure regulating device
JP2006010046A (ja) 電磁弁
JP2002071048A (ja) 自動圧力調整弁
JP2002106745A (ja) 流量調整弁
JP2006057819A (ja) 電磁比例弁
CN110799784A (zh) 用于控制气态介质的比例阀
JPH041425Y2 (ko)
JP4745115B2 (ja) 流体圧力制限装置
CN107923547B (zh) 气体用电磁阀
KR100625620B1 (ko) 유량 조절기능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밸브
JP4110894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2106748A (ja) パイロット式ダイヤフラム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