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352B1 -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352B1
KR100497352B1 KR10-2002-0012154A KR20020012154A KR100497352B1 KR 100497352 B1 KR100497352 B1 KR 100497352B1 KR 20020012154 A KR20020012154 A KR 20020012154A KR 100497352 B1 KR100497352 B1 KR 10049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generating
composition
charge
generating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879A (ko
Inventor
이남정
이환구
요코다사부로
연경열
주혜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352B1/ko
Priority to US10/351,375 priority patent/US20030170555A1/en
Priority to JP2003035161A priority patent/JP2003270809A/ja
Publication of KR2003007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352B1/ko
Priority to US11/220,569 priority patent/US20060003243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32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42Polyvinylalcohol, polyallylalcoh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vinylesters, polyvinylethers, polyvinylam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03G5/047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 transport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03Inert supp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5Coating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96Phthalocyanin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지지체상에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이 전하 발생 물질, 결합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용매가 1:9 내지 5:5 혼합 중량비의 알콜계 용매와 아세테이트계 유기 용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하발생층을 채용하고 있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이층 구조를 갖는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드럼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며, 전하수송층 및 전하발생층의 막 두께 조절이 가능해져 대전전위 및 노광전위 등의 유기 감광체의 전기적 성질을 조절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 사이에 적절한 계면이 형성되어 전하 주입이 용이하게 되며 광 조사 부분의 표면전위(노광전위)를 목적하는 바대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감광체는 표면 전하량이 증가되어 토너의 현상량 크게 할 수 있어, 특히 습식 현상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발생층을 채용한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Composition for charge generating layer of electrophotographic positively charged organic photoconductor and electrophotographic positively charged organic photoconductor employing the charge generating layer formed therefrom}
본 발명은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용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발생층을 채용한 유기 감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에 있어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내에서의 유기용매 성분을 조절하여 이 유기용매 성분으로 인하여 그 하부의 전하수송층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발생층을 구비하는 이층 구조 유기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적 화상 형성 시 이용하는 이층구조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 상부에 전하수송층(Charge Transport Layer)과 전하발생층(Charge Generating Layer)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전하발생층은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얇은 편이라서 토너 또는 클리닝 블레이드와의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된다. 따라서 전하발생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상부에 오버코트층(Overcoat Layer)을 형성시키기도 한다.
상술한 기본적 구조를 갖는 유기 감광체 표면을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대전시키고, 이를 노광 및 토너로 전자사진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원리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 감광체의 표면에 양(+)전하를 대전시키고, 레이저빔을 조사하면 전하발생층에서 양전하 및 음전하가 발생한다. 이 때 양전하는 전기장 인가에 의해 전하수송층으로 주입된 후, 전도성 지지체로 이동한다.
한편, 전하발생층 상부에 형성된 음전하(전자)는 오버코트층 표면으로 이동하여 표면 전하를 중화시키게 되면, 노광된 부분의 표면전위가 달라져 잠상이 형성된다. 이 잠상 영역에 토너가 현상되면 유기 감광체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화상은 종이 또는 전사체와 같은 수용체 표면으로 전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층 구조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는 한 개의 층에서 일련의 전기적 성질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일층형 유기 감광체에 비해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 각각의 층 역할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대전전위 및 노광전위 각각의 전기적 성질을 충족하도록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얇게 코팅된 상태로 전기장을 안정하게 인가할 수 있어서 동일한 전기장 세기에서도 많은 전하량을 보유하게 되어 다량의 토너를 현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층구조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전하수송층에 코팅할 때, 유기용매가 그 하부의 전하수송층을 일부 용해시키기 때문에, 전하수송층의 두께가 변화되거나 전하수송층 형성 물질의 용출로 인한 전하 수송 능력의 감소 및 반복적인 코팅으로 인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유기용매로서 전하수송층 형성물질을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 사이의 계면이 확연히 구분되어 레이저빔에 의하여 전하발생층에서 전하가 발생하더라도 전하수송층에 주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노광된 부분의 표면전위가 충분히 낮지 않고, 반복 사용시 노광전위가 계속하여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그 하부에 형성된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 사이에 적절한 계면을 형성하여 전하 주입을 용이하게 하고, 노광전위 특성이 개선된 전자사진 정대전형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하발생층을 채용함으로써 광 조사 부분의 표면전위 즉 노광전위를 충분히 낮춤으로써 토너, 특히 습식 토너의 현상 성능이 개선된 전자 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지지체상에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이 전하 발생 물질, 결합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용매가 1:9 내지 5:5 혼합 중량비의 알콜계 용매와 아세테이트계 유기 용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콜계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메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디아세톤알콜, 이소부틸알콜 및 t-부틸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아세테이트계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및 sec-부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90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하 발생 물질은 티타닐옥시 프탈로시아닌, 금속 프리 프탈로시아닌,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또는 하이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이고, 그 함량이 유기용매를 제외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즉,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55 내지 8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부티랄 또는 폴리비닐알콜이고, 그 함량은 유기용매를 제외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즉,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전도성 지지체;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부에 형성된 전하수송층;
상기 전하수송층 상부에 상술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된 전하발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 감광체는 건식 또는 습식 토너를 이용한 전자사진적인 화상 형성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a) 전도성 지지체 상부에 전하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결합제를 알콜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이용하여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전하 발생 물질을 부가하여 밀링하고, 상기 밀링된 결과물에 알콜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또는 이들 혼합물을 부가 및 혼합하여 전하발생층 형성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로부터 형성된 전하수송층 상부에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하발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c) 단계의 코팅은 링 코팅, 딥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 방식에 의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적인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상부에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전하발생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전하 발생 물질, 결합제 및 유기용매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기용매가 알콜계 용매와 아세테이트계 유기 용매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알콜계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메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디아세톤알콜, 이소부틸알콜, t-부틸알콜 또는 그 혼합물이 있고, 아세테이트계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서,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sec-부틸아세테이트 또는 그 혼합물이 있고, 유기 용매의 함량은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90 내지 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계 용매와 아세테이트계 용매의 혼합중량비는 1:9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유기용매의 총 함량이 9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하발생층이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암감쇠가 커지는 등 감광체의 전자사진적 성질이 나빠지며, 9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하발생층이 너무 얇게 코팅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받았을 때 발생되는 전하량의 절대치가 작아서 조사된 부분의 노광전위값이 높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아세테이트계 유기용매에 대한 알콜계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전하수송층위에 코팅시 전하수송층의 구성성분이 용해되어 코팅이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 사이의 적절한 상태의 계면이 형성되지 않아 전하주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노광전위값이 높아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전하 발생 물질은 염료, 안료와 같이 광을 흡수하여 전하 캐리어를 생성하는 물질로서, 금속 프리 프탈로시아닌(예: Progen 1x-폼 메탈 프리 프탈로시아닌, Zeneca Inc.),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티타닐옥시 프탈로시아닌, 하이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금속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티타닐옥시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제는 전하 발생 물질을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스티렌-Co-부타디엔, 개질 아크릴 폴리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알키드 수지, 소야-알킬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폴리머, 알키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및 이들 조합물이 있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부티랄 또는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다.
상술한 조성물에 있어서, 전하 발생 물질의 함량은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55 내지 85 중량%이고, 결합제의 함량은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45 중량%이다. 만약 전하 발생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하 발생 능력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결합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하수송층에 대한 전하발생층의 결착력이 저하되고, 4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하발생층에서 전하 발생 물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전하 발생 능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기 감광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도성 지지체 상에 전하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하수송층을 형성한다. 이 때 전하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하 수송물질, 결합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지며, 전하 수송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히드라존계 화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하 수송 물질의 함량은 전하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35 내지 65 중량%이고, 결합제의 함량은 전하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35 내지 65 중량%이다.
상기 결합제는 전하 수송 물질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주로 폴리카보네이트 계열의 고분자가 사용된다. 그리고 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하수송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7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별도로, 상술한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결합제를 알콜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이용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전하 발생 물질을 부가하여 혼합시킨 후 밀링하고, 상기 밀링된 결과물에 알콜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또는 이들 혼합물을 부가 및 혼합하여 전하 발생층 형성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전하 수송층 상부에 상기 과정에 따라 제조된 전하 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하 발생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대전형 이층 구조 유기 감광체가 완성된다. 이 때 전하 발생층의 코팅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전도성 지지체가 드럼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링 코팅(ring coating)법, 딥 코팅(dip coating)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감광체에서 전하발생층의 두께는 0.2 내지 1.0 ㎛이고, 전하수송층의 두께는 5 내지 20 ㎛이고, 전도성 지지체 드럼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2mm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유기 감광체는 부가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층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전하저지층, 오버코트층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하저지층은 전도성 지지체와 전하수송층 사이에 형성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전도성 지지체에서 전자가 주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오버코트층은 전하발생층 상부에 형성되어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이층 구조를 갖는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는 건식 또는 습식 토너를 이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습식 토너를 이용하는 경우 화상 고정(fixing)에 저에너지가 요구되면서도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비닐부티랄(BX-1, 일본 Sekisui사) 0.84g을 에탄올 17.2 g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티타닐옥시 프탈로시아닌(H.W. Sands사) 1.96g을 넣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밀링장치에 넣고 이를 1시간 동안 밀링하였다. 이렇게 밀링된 분산액 4.29g에 부틸아세테이트 10.1g과 에탄올 0.63g을 넣고 희석하여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히드라존계 전하 수송 물질인 HCTM1(미국 Imation사) 2g과 폴리카보네이트(PCZ200, 일본 미쯔비시 케미컬사) 2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16g에 용해시킨 다음, 이를 여과(필터의 구멍크기 1 ㎛)하였다. 이어서, 이 여과액을 알루미늄 드럼상에 링코팅장치를 이용하여 300 mm/분의 속도로 코팅하여 전하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어진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여과(필터의 구멍크기 5 ㎛)한 후, 이를 상기 전하수송층 상부에 링코팅장치를 이용하여 200 mm/분의 속도로 코팅하여 전하발생층(두께: 약 0.3 ㎛)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감광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밀링된 분산액 4.29g에 부틸 아세테이트 7.2g, 에탄올 3.51g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감광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3>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밀링용 용매로 이소프로필알코올/부탄올(9/1) 공용매 17.2g을 사용하고, 밀링된 분산액 4.29 g에 부틸아세테이트 7.2 g과 이소프로필알코올/부탄올(9/1) 공용매 3.51g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감광체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밀링된 분산액 4.29 g에 에탄올 10.71 g을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밀링용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 17.2g을 사용하고, 밀링된 분산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10.7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감광체를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유기 감광체에 있어서, 전하수송층을 포함한 막 코팅 상태 및 전기적 특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1) 막 코팅 상태
전하수송층 막 코팅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2) 대전전위
PDT2000(QEA)으로 8 kV 인가시의 대전전위를 구한다.
3) 노광전위
1 μJ/cm2의 에너지로 노광시 노광전위를 구한다.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막코팅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전하수송층이 파괴되어 균일하지 않음
대전전위 500 V 500 V 500 V 510 V -
노광전위 42V 84 V 52 V 134 V -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2, 및 3에 따라 제조된 유기 감광체는 비교예 2의 경우와는 달리 전하수송층을 포함한 전체적인 막 코팅상태가 양호하며, 얇은 두께로도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대전전위와 낮은 노광전위의 특성을 나타내었고, 그 결과, 유기 감광체의 표면 전하량이 커짐에 따라 토너의 현상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습식 토너의 전자 사진 현상법에 적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이층 구조를 갖는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드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전하수송층 및 전하발생층의 막 두께 조절이 가능해져 대전전위 및 노광전위 등의 유기 감광체의 전기적 성질을 조절하기가 용이해진다.
셋째,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 사이에 적절한 계면이 형성되어 전하 주입이 용이하게 되며 광 조사 부분의 표면전위(노광전위)를 목적하는 바대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감광체의 표면 전하량이 증가되어 토너의 현상량이 크게 할 수 있어, 특히 습식 현상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전도성 지지체상에 전하수송층과 전하발생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이 전하 발생 물질, 결합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용매가 1:9 내지 5:5 혼합 중량비의 알콜계 용매와 아세테이트계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콜계 용매가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메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디아세톤알콜, 이소부틸알콜 및 t-부틸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아세테이트계 용매가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및 sec-부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기용매의 총함량이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90 내지 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발생 물질이 티타닐옥시 프탈로시아닌, 금속 프리 프탈로시아닌,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또는 하이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이고, 그 함량이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55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폴리비닐부티랄 또는 폴리비닐알콜이고, 그 함량이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4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
  5. 전도성 지지체;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부에 형성된 전하수송층;
    상기 전하수송층 상부에 제1항, 제3항 및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된 전하발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6. 제5항에 있어서, 건식 또는 습식 토너를 이용한 전자사진적인 화상 형성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7. (a) 전도성 지지체 상부에 전하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b) 결합제를 알콜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이용하여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전하 발생 물질을 부가하여 밀링하고, 상기 밀링된 결과물에 알콜계 용매, 아세테이트계 용매 또는 이들 혼합물을 부가 및 혼합하여 전하발생층 형성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로부터 형성된 전하수송층 상부에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전하발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용매가 1:9 내지 5:5 혼합 중량비의 알콜계 용매와 아세테이트계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콜계 용매가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메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디아세톤알콜, 이소부틸알콜 및 t-부틸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아세테이트계 용매가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및 sec-부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기용매의 총함량이 전하발생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90 내지 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코팅시 링 코팅, 딥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 방식에 의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제조방법.
KR10-2002-0012154A 2002-03-07 2002-03-07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KR100497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154A KR100497352B1 (ko) 2002-03-07 2002-03-07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US10/351,375 US20030170555A1 (en) 2002-03-07 2003-01-27 Positively-charged electrophotographic organophotoreceptor, and cartridge, dr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me
JP2003035161A JP2003270809A (ja) 2002-03-07 2003-02-13 電子写真正帯電型有機感光体
US11/220,569 US20060003243A1 (en) 2002-03-07 2005-09-08 Positively-charged electrophotographic organophotorecep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154A KR100497352B1 (ko) 2002-03-07 2002-03-07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879A KR20030072879A (ko) 2003-09-19
KR100497352B1 true KR100497352B1 (ko) 2005-06-23

Family

ID=2778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154A KR100497352B1 (ko) 2002-03-07 2002-03-07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030170555A1 (ko)
JP (1) JP2003270809A (ko)
KR (1) KR100497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022B2 (ja) * 2007-08-23 2013-08-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100097225A (ko) 2008-02-22 2010-09-02 후지 덴키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사진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 그것을 사용한 전자 사진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815A (en) * 1989-06-30 1992-05-19 Konic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having a light-sensitive layer formed from titanyl phthalocyanine pigment dispersed in a branched ester or alcohol solvent
JPH05281769A (ja) * 1992-04-02 1993-10-29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43671A (ja) * 1992-07-24 1994-02-18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JPH08160643A (ja) * 1994-12-09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荷発生層用塗料、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及び電子写真用感光体の製造方法
US5891594A (en) * 1997-01-13 1999-04-06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electrophotographic imaging member with perylene-containing charge-generating material and n-butylacetate
KR19990083354A (ko) * 1998-04-21 1999-11-25 가네꼬 히사시 전자사진감광체및그의제조방법
KR20000055396A (ko) * 1999-02-05 2000-09-05 유현식 전하발생층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전자사진방식의 감광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447A (en) * 1982-07-14 1985-10-1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s for electrophotography containing phthalocyanine
JPS61123850A (ja) * 1984-10-31 1986-06-1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法
US5013623A (en) * 1989-01-10 1991-05-07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with stilbene compound
US5496672A (en) * 1993-06-11 1996-03-05 Hitachi Chemical Co., Ltd. Coating solution for charge generation laye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using same
US5418107A (en) * 1993-08-13 1995-05-23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fabricating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members
US5721082A (en) * 1994-10-31 1998-02-24 Hodogaya Chemic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ontaining amine compound
JP3157784B2 (ja) * 1998-08-19 2001-04-16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72397B1 (en) * 1999-01-06 2002-04-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815A (en) * 1989-06-30 1992-05-19 Konic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having a light-sensitive layer formed from titanyl phthalocyanine pigment dispersed in a branched ester or alcohol solvent
JPH05281769A (ja) * 1992-04-02 1993-10-29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43671A (ja) * 1992-07-24 1994-02-18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JPH08160643A (ja) * 1994-12-09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荷発生層用塗料、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及び電子写真用感光体の製造方法
US5891594A (en) * 1997-01-13 1999-04-06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electrophotographic imaging member with perylene-containing charge-generating material and n-butylacetate
KR19990083354A (ko) * 1998-04-21 1999-11-25 가네꼬 히사시 전자사진감광체및그의제조방법
KR20000055396A (ko) * 1999-02-05 2000-09-05 유현식 전하발생층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전자사진방식의 감광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70555A1 (en) 2003-09-11
US20060003243A1 (en) 2006-01-05
JP2003270809A (ja) 2003-09-25
KR20030072879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8725T2 (de) Elektrophotographisches, lichtempfindliches Element, Verfahrenskassette und elektrophotographischer Appara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lichtempfindlichen Elementes
CA1157309A (en) Infrared sensitive photoconductive composition including a trimethine thiopyrilium dye
JPS592023B2 (ja) 電子写真板
EP0759579B1 (en) Electrophotographic elements having charge transport layers containing high mobility polyester binders
JPH0252360A (ja) 電子写真感光体
KR100497352B1 (ko) 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의 전하 발생층 형성용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전자사진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JP3718674B2 (ja) 正帯電型有機感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229728B2 (en) Positively-charged electrophotographic organic photoreceptor
CA2080075C (en) Photoconductor for electrophotography
KR100503068B1 (ko) 유기 감광체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오버코트층을 포함하는 유기 감광체 및 전자사진적 화상 형성 방법
JPH0331847A (ja) 電子写真記録材料
DE60214113T2 (de)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lement
DE2108984A1 (de) Elektrophotographische Platte sowie deren Verwendung
JPH07128872A (ja) 電子写真感光体とその製造法
KR100462622B1 (ko) 이층구조 정대전형 유기감광체
KR20040000228A (ko) 폴리아미노에테르를 이용한 유기 감광체의 오버코트층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오버코트층을 채용한유기 감광체
JPS6028663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233137B2 (ko)
KR100497359B1 (ko) 이층구조 정대전형 유기감광체
DE3823272A1 (de) Elektrostatisches aufzeichnungselement
JPH04114166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625724B2 (ja) 画像形成方法
JPS63300265A (ja) 電子写真プロセス
JPS60198548A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4746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