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045B1 -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 Google Patents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045B1
KR100497045B1 KR10-2003-0009400A KR20030009400A KR100497045B1 KR 100497045 B1 KR100497045 B1 KR 100497045B1 KR 20030009400 A KR20030009400 A KR 20030009400A KR 100497045 B1 KR100497045 B1 KR 10049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acuum
vacuum packaging
lower panel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723A (ko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10-2003-000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0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7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the nozzles co-operating with a check valve in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or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열봉합가능한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진공되고 열봉합되는 진공포장지에 있어서, 하부패널과; 피포장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패널에 중첩되며 양측 끝부분이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된 상부패널과;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가지며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여,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포장지도 간편하게 진공포장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Vacuum bag provided with a nozzle}
본 발명은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열봉합가능한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와 상기 진공포장지에 사용되는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노즐은 진공포장지가 진공된 후에 진공포장지의 개봉부와 함께 열봉합되는 진공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포장지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된 후 진공포장기를 사용하여 진공포장지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형성되어, 음식물 등이 진공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진공포장지에는 특허공개번호제92-0700998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플라스틱 백을 진공봉합하는 장치"에 기재된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가 있으며,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포장지(21)는 내부표면에 엠보싱(25)이 형성되어, 진공포장시에 엠보싱(25)에 의하여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었고, 도2에 도시된 진공포장기(20)에 의하여 진공되고 열봉합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진공포장기(20)는 베이스(32), 후드(33), 이들 사이에 형성된 진공챔버(34), 상기 진공챔버(34)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도시 안됨) 및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를 열봉합하는 열봉합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의하여 진공포장지(21)가 진공포장되는 경우에는, 식료품 등의 피포장물이 진공포장지(21) 내부인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가 진공챔버(34)의 내부에 위치된 후에 상기 후드(33)가 베이스(32) 위로 하강되어, 진공포장지와 진공챔버는 밀폐된다. 그런 후에 소정의 스위치가 작동되면 진공펌프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에 따라 진공챔버(34)가 진공되고, 이에 따라, 진공포장지(21)의 내부도 진공이 되고, 열봉합수단(50)에 의하여 진공포장지(21)의 개봉부가 열봉합되었다. 이때 진공포장지(21)의 내부 일측면에 도1에 도시되듯이 엠보싱(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25)에 의해 진공포장지(2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에 의한 진공포장에는 고가의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포장지는 제조공정에서 가열된 한쌍의 롤러에 의해 엠보싱이 파열되어 불량품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진공포장지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 진공포장지도 있었다. 이러한 진공포장지는 대개 노즐식 진공포장기에 의해 진공되고 열봉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진공시에 노즐이 진공포장지의 내부에 삽입되고, 진공후 열봉합시에 노즐이 진공포장지에서 분리되어야 하여, 이러한 진공과 열봉합시 노즐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복잡한 장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노즐이 진공포장기에 삽입된 위치에서 노즐의 앞부분에 위치되는 진공포장지의 부분이 열봉합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노즐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에 위치하여 에어트랩이 발생되어 진공포장이 어렵고, 노즐의 삽입 깊이에 해당하는 만큼 진공포장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포장지에 별도로 엠보싱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저렴하며 효과적으로 진공되는 진공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포장지가 진공된 후에 진공포장지의 개봉부와 함께 열봉합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부적인 에어트랩이 발생되지 않으며 신속히 진공되는 진공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가 진공되고 열봉합되는 진공포장지에 있어서, 하부패널과; 피포장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패널에 중첩되며 양측 끝부분이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된 상부패널과;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가지며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포장지의 내부를 진공시키는데 사용되는 노즐에 있어서,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포장지와 함께 열봉합되도록,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진공포장의 진공단계에서 노즐이 삽입된 진공포장지의 개방부가 패킹 등에 의하여 눌려져 밀폐되는 경우에, 노즐도 함께 눌려지지만 엠보싱에 의하여 공기배출통로가 유지되어 진공포장지의 내부가 진공되게 된다. 이후 진공포장의 열봉합단계에서 노즐이 열봉합소재로 되어 있어, 노즐은 진공포장지의 내부에 삽입된 위치로 진공포장지의 개봉부에 함께 열봉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이 진공포장지의 좌측 끝부분, 우측 끝부분 또는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노즐에서 엠보싱은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측면에 관통홀이 부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실시예1, 2, 3)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 내지 도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진공포장지 및 노즐이 도시되어 있다. 진공포장지(10)는 크게 상부패널(20), 하부패널(30) 및 노즐(40)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노즐(40)은 호스와 같은 관로이며 측면에 형성된 엠보싱(41)을 포함하며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패널(30)은 바람직하게는 열봉합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이며 상기 상부패널(20)도 바람직하게는 열봉합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이며, 상기 상부패널(20)은 도4에 도시되듯이 상기 하부패널(20) 위로 중첩되며 좌우 양측 끝부분(21, 22)은 열봉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패널(20)과 하부패널(30)은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좌측 끝부분(21)만 열봉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20)과 하부패널(30)의 하부 끝부분은 미리 열봉합된 백(bag) 형태로 제작되거나, 상기 하부 끝부분은 진공포장시에 열봉합되는 롤(roll)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지(10)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음식물등 피포장물이 수납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되듯이, 노즐수납부(31)가 진공포장지(10)의 좌측에 형성되고 노즐(40)이 상기 노즐수납부(31)에 수납되어, 노즐(40)이 정해진 위치에 있게 되고 피포장물의 수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노즐수납부(31)는 진공포장지의 상기 좌측 끝부분(21)에서 이격되어 상부패널(20)과 하부패널(30)이 서로 결합된 결합부(2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3)는 바람직하게는 파선형태로 형성되어, 진공포장지(10)의 내부 공기가 원활히 노즐(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공기배출통로(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외, 상기 결합부(23)는 실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결합부(23)는 상기 진공포장지의 하부 끝부분에서 약간 이격된 곳까지만 형성된다.
도6 내지 도9에 도시되듯이, 상기 노즐(40)은 내부(44) 또는 외부(43)에 엠보싱(41)이 형성되어 있어, 노즐(40)이 진공포장기의 패킹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하여 압축되더라도 적어도 엠보싱(41)에 의하여 공기배출통로(42)가 유지되게 된다.
상기 엠보싱(41)은 도7에 도시되듯이 내부(44)에 형성되고 노즐(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노즐(40)이 압축된 경우에 엠보싱(41) 사이의 공간이 공기배출통로(42)로 된다.
한편, 상기 엠보싱(41)은 도9에 도시되듯이 외부(43)에 형성되고 노즐(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노즐(40)이 압축된 경우에 엠보싱(41) 사이의 공간이 공기배출통로(42)로 된다.
그외, 상기 엠보싱(41)은 다른 방법으로 노즐(40)의 측면에 불연속적으로 돌출된 돌출물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내부, 외부에 동시에 엠보싱(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40)은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45)이 형성되어, 관통홀(45)을 통해서도 진공포장지(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속도가 향상되고, 국부적인 에어트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노즐(40)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과 같은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노즐(40)의 두께(엠보싱 크기 제외)는 바람직하게는 수십 ㎛로 진공포장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 노즐(40)이 진공포장지(10)의 내부에 수납된 채로 진공포장지(10)와 함께 열봉합된다. 이에 의하여, 도2에 도시된 챔버식 진공포장기뿐만 아니라 노즐식 진공포장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때, 노즐식 진공포장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노즐(40)이 진공포장기에 장착된 노즐에 장착되는 방법으로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진공포장지(10)의 내부가 진공되고 봉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0에 발명의 실시예2가 도시되듯이, 상기 실시예2는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동일, 유사하게 상부패널(20), 하부패널(30) 및 노즐(40)로 이루어진다. 다만, 노즐수납부(31)가 진공포장지(10)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노즐(40)이 좌우 양측의 노즐수납부(31)에 수납되어 있다. 그외, 이와 같은 노즐수납부(31)의 위치와 노즐(40)의 수는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1 및 도12에 발명의 실시예3이 도시되듯이, 상기 실시예3은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동일, 유사하게 상부패널(20), 하부패널(30) 및 노즐(40)로 이루어진다. 다만, 삽입패널(50)의 양측 끝부분(51)이 하부패널(20)의 내부표면 중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노즐수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패널(50)은 바람직하게는 열봉합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이고, 다수의 관통홀(52)이 형성되어, 공기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노즐(40)은 상기 삽입패널(50)에 의해 형성된 노즐수납공간(31)에 삽입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패널(50)은 상부패널(20)의 내부표면에 결합될 수 있거나, 삽입패널(50)및 노즐수납공간(31)이 없이, 노즐(40)이 진공포장지(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접착제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에 별도로 엠보싱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효과적으로 진공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가 진공된 후에 진공포장지의 개봉부와 함께 열봉합되는 노즐에 의하여, 챔버식 진공포장기뿐만 아니라 노즐식 진공포장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이 노즐수납공간에 수납되어, 노즐의 위치가 고정되고, 노즐이 진공포장지의 내부 깊숙이 위치되어, 진공이 용이하게 되며, 특히 노즐의 측면에 부과되는 관통홀 또는 파선 형태의 결합부에 의하여, 진공속도가 향상되고 국부적인 에어트랩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에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에 엠보싱이 형성된 진공포장지에 의해 진공포장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서 확대된 C-C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에서 확대된 D-D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노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7은 도6에서 B-B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9는 도8에서 A-A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에서 E-E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진공포장지,
20...상부패널, 21...좌측 끝부분, 22...우측 끝부분, 23...결합부
30...하부패널, 31...노즐수납부,
40...노즐, 41...엠보싱, 42...공기배출통로, 43...외부, 44...내부, 45...관통홀,
50...삽입패널, 51...끝부분, 52...관통홀.

Claims (10)

  1. 내부가 진공되고 열봉합되는 진공포장지에 있어서,
    하부패널과;
    피포장물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패널에 중첩되며 양측 끝부분이 상기 하부패널에 결합된 상부패널과;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가지며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수납부가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측면 끝부분에 이격되며 상기 측면 끝부분에 따라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결합된 결합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사이 공간이며;
    상기 노즐이 상기 노즐수납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파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수납부가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이 좌우에 형성된 상기 노즐수납부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6. 제1항에 있어서,
    삽입패널이 표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노즐수납부가 형성되도록 양측 끝부분이 상기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의 내부표면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이 상기 노즐수납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7. 진공포장지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포장지의 내부를 진공시키는데 사용되는 노즐에 있어서,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엠보싱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포장지와 함께 열봉합되도록, 열봉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노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노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노즐.
  10. 제7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노즐.
KR10-2003-0009400A 2003-02-14 2003-02-14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KR10049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400A KR100497045B1 (ko) 2003-02-14 2003-02-14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400A KR100497045B1 (ko) 2003-02-14 2003-02-14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723A KR20040073723A (ko) 2004-08-21
KR100497045B1 true KR100497045B1 (ko) 2005-06-23

Family

ID=3736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400A KR100497045B1 (ko) 2003-02-14 2003-02-14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0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723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9716B2 (ja) 真空包装袋
EP1786677B1 (en) Vacuum packaging films patterned with protruding cavernous structures
US6085906A (en) Vacuum sealing system
KR100965350B1 (ko)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US6991109B1 (en) Vacuum sealable bag apparatus and method
JPH07309308A (ja) 真空包装体ならびに粒状物を詰めたかかる真空包装体をつく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1315863A (ja) 加熱調理用包装体および加熱調理用包装体による加熱調理方法
KR100497045B1 (ko)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
KR200315704Y1 (ko) 진공포장용 노즐
KR200315705Y1 (ko) 진공포장용 노즐 다발
KR200210269Y1 (ko) 진공 포장지
KR200319700Y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0510984B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200323806Y1 (ko) 진공포장용 스틱
JPH09240683A (ja) フレキシブル容器
KR100510985B1 (ko) 진공포장용 노즐
KR200300065Y1 (ko) 진공 포장지
KR200352924Y1 (ko) 진공포장용 플레이트
JP2665581B2 (ja) 真空包装方法
JP2003137306A (ja) 自動包装用袋と、その自動包装用袋による被包装物の包装方法
JP7477163B2 (ja) 梱包材
JP4326904B2 (ja) 包装容器、包装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包装方法
KR200240530Y1 (ko) 진공 포장백
JPH11278538A (ja) トレー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S62263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