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104B1 -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104B1
KR100496104B1 KR10-2002-7006017A KR20027006017A KR100496104B1 KR 100496104 B1 KR100496104 B1 KR 100496104B1 KR 20027006017 A KR20027006017 A KR 20027006017A KR 100496104 B1 KR100496104 B1 KR 10049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nveyor
sorting
waste
wast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430A (ko
Inventor
미야모토히데유키
다카스노부오
아키우게이시
아오키아키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351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04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837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705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6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80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509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279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061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18364A/ja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07C5/365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using a single sepa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79Optical identification, e.g. cameras or spectroscop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원쓰레기인 폐기플라스틱 속의 플라스틱보틀 및 이것에 형상이 가까운 완구 등의 하드플라스틱을 재질별 및 색별 등으로 분별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 폐기플라스틱의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 1 정렬수단,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배제하는 제 2 정렬수단,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WASTE PLASTIC SEPARATOR}
본 발명은 자원쓰레기인 폐기플라스틱 속의 플라스틱보틀 및 이것에 형상이 가까운 완구 등의 하드플라스틱을 재질별 및 색별 등으로 분별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플라스틱의 근적외광흡수스펙트럼은 그 재질에 따라 특유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환경선진국인 유럽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근적외광흡수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재질을 특정하는 계측수단을 이용한 폐기플라스틱보틀의 자동선별장치의 개발이 일찍부터 실시되어서 상품화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1997-220532호 공보). 또 우리 나라에 있어서도 여기 수년 이와 같은 기술에 관련하는 기술개발이 성행하게 되어 몇 개인가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1996-110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1997-8976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1997-220532호 공보).
이와 같은 근적외광흡수스펙트럼에 의한 플라스틱의 재질의 측정속도는 근적외분광소자와 근적외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1차원고체촬상소자와의 조합에 의한 분광시스템에 의해 1점당 0. 01초 미만의 것도 개발되고 있다. 또 플라스틱의 색의 측정측도도 극히 짧은 시간으로 실시되도록 되어 왔다. 따라서 폐기플라스틱보틀 등의 자동선별시스템의 처리능력은 잡다하게 투입된 플라스틱보틀 등을 일렬로 정렬시키는 속도에 의하여 결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 폐기플라스틱보틀 등은 압축되어 편평하게 무너지는 경우가 많고, 게다가 경량이기 때문에 정렬이 극히 곤란했다. 이 때문에 폐기플라스틱보틀의 자동선별장치에 있어서는 플라스틱보틀의 정렬이 곤란한 것으로부터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고, 또 장치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최량의 형태 1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최량의 형태 1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의 투입수단의 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최량의 형태 1에 관련되는 회전평활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
도 4는 최량의 형태 1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의 제 1 정렬수단 및 제 2 정렬수단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7은 최량의 형태 1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8은 도 7의 D-D'선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9는 최량의 형태 1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10은 도 4의 C-C'선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11a는 최량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트랜싯슈트(transit chute)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
도 11b는 최량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트랜싯슈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12는 최량의 형태 2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구성도.
도 13은 최량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재질식별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최량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에어배출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최량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와이어벨트를 밀착회전시킨 형상에 있어서의 재질식별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최량의 형태 2의 다른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설명하는 평면구성도.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
도 18은 최량의 형태 2의 다른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의 재질식별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최량의 형태 2에 있어서 반송면을 기울여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재질식별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최량의 형태 3에 있어서 검사장치에서 측정한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1은 도 20의 파형을 스스로 정규화한 그래프.
도 22는 어느 재질의 플라스틱재로부터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도 20의 파형으로 정규화한 그래프.
도 23은 최량의 형태 3에 있어서 선별처리를 실시하여 반사판에 오염이 부착한 조건에서 측정한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4는 도 23의 파형을 도 20의 파형으로 정규화한 그래프.
도 25는 도 22와 동일 플라스틱재로부터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도 20의 파형으로 정규화한 그래프.
도 26은 최량의 형태 3에 있어서의 플라스틱재선별장치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최량의 형태 4에 있어서의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8은 도 27에 있어서의 반사판의 단면도.
도 29는 최량의 형태 4에 있어서의 반사판의 오손상태를 나타내는 전(前)면도.
도 30은 최량의 형태 4에 있어서의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은 최량의 형태 5에 관련되는 고속분류장치를 폐플라스틱선별에 응용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2는 최량의 형태 5에 관련되는 고속분류장치에 있어서의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설치상태 및 폐플라스틱의 배출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호퍼 2: 투입컨베이어
3: 회전평활기 4: 인출컨베이어
5: 이송컨베이어 6: 클리트
7: 폐기플라스틱 8: 회전축
9: 날개판 10: 주행가이드
11: 커버 12: 에어노즐
13: 반송컨베이어 14: 되돌림반송수단
15: 비정렬센서 16: 배제수단
17: 배제제어수단 18: 타이밍센서
19: 색실별센서 20: 재질식별센서
21: 분류제어수단 22: 분류수단
23: 분류 30: 로프상 물건
31: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 32: 제 2 정렬수단측단부
33: 로프상 물건고정부 34; Y자 로프상 물건
35: 연결부 40: 트랜싯슈트
41: 곡부 42: 이송컨베이어측단부
101, 101a, 101b, 101c, 101d: 분류컨베이어
102: 통과센서 102A: 센서본체
102B: 반사판 103: 재질식별장치
103A: 장치본체 103B: 반사판
104: 에어노즐 105, 105a: 엔코더
106: 제어장치 107: 폐플라스틱
108: 재질식별범위 109: 세로클리트
180: 투영면적 201: 반송장치
202: 에어노즐 203: 센서
204: 검사장치 205: 근적외선반사판
206: 분류슈트 207: 반송장치
208: 플라스틱재 209: 엔코더
210: 에어노즐 211: 제어장치
301: 벨트컨베이어 303: 식별장치
304: 보틀센서 305: 반사형 근적외선분광기
306: 반사판 307: 요철
311: 오손부분 312: 식별영역
321, 322…: 플라스틱보틀 350: 근적외선
371: 볼록부 372: 오목부
501: 폐플라스틱 502: 분류벨트컨베이어
502a: 분류벨트컨베이어의 반송면
503X, 503Y, 503Z: 압축공기분사노즐
503A, 503B, 503C: 상(上)노즐 503a, 503b, 503c: 하(下)노즐
504A: 전자밸브 505A∼505D: 회수슈트
506: 제어장치 507: 통과센서
508: 폐플라스틱성상 검사센서 509: 고속분류장치
510: 폐플라스틱정렬장치 511: 공급장치
512: 압축공기공급관 513: 엔코더
514: 반송가이드 515: 분기관
본 발명은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의 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번째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폐기플라스틱을 폐기플라스틱의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 1 정렬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시킨 폐기플라스틱 중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배제하는 제 2 정렬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
해당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의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
두번째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폐플라스틱을 반송하는 분류컨베이어와,
해당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는 재질식별장치와,
해당 재질식별장치의 재질식별범위에 들어가는 폐플라스틱의 투영면적을 증대시키는 투영면적증대수단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을 소정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제거수단.
세번째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재질식별방법을 제공한다:
플라스틱재의 반송장치의 도중에 검사장치를 설치하는 공정;
해당 검사장치의 상류측에서 플라스틱재배제수단에 의해 반송도중의 임의의 플라스틱재를 배제하고, 해당 반송장치상에 플라스틱재가 존재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공정;
플라스틱재가 존재하지 않는 스페이스에 있어서 해당 검사장치에 의해 상기 기준값을 취득하는 공정;
플라스틱재가 존재하는 스페이스에 있어서 해당 검사장치에 의해 플라스틱재있음의 실측값을 취득하는 공정;
해당 실측값과 해당 기준값을 비교하여 플라스틱재의 재질을 식별하는 공정.
네번째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제공한다:
플라스틱재의 반송장치;
해당 반송장치의 도중에 설치된 플라스틱재의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검사장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검사장치의 상류측에 설치된 반송도중의 임의의 플라스틱재를 상기 반송장치상으로부터 배제하기 위한 플라스틱재배제수단, 해당 검사장치의 상류측에서 플라스틱재배제수단에 의해 반송도중의 임의의 플라스틱재가 배제되고, 해당 반송장치상에 플라스틱재가 존재하지 않는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다섯번째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제공한다:
근적외선을 포함하는 빛을 방사하는 광원;
해당 광원의 광축과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고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폐플라스틱을 끼워서 대향하여 설치된, 반사면에 요철을 갖는 반사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폐플라스틱 또는 반사판에서 반사된 근적외선을 분광측정하는 분광기;
해당 분광기의 분광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결정하는 연산장치.
여섯번째로,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지는 분류장치를 제공한다: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
분사에 의해 날려 버려진 물품을 회수하는 수단.
최량의 형태 1
실시형태 1은 (1) 제 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2) 상기 투입수단에 의해 투입된 폐기플라스틱을 폐기플라스틱의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 1 정렬수단과, (3) 상기 제 1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시킨 폐기플라스틱 중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배제하는 제 2 정렬수단과, (4) 상기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5) 상기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6)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의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을 갖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는 제 1 정렬수단과 제 2 정렬수단을 가지므로, 효율 좋게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후의 분류작업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 1에 기재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정렬수단이 폭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된 이송컨베이어와, 이 폭방향으로 경사진 이송컨베이어의 하측의 변을 따라서 설치된 주행가이드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상에서 반송되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시키는 배열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를 폭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함으로써, 투입수단에 의해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은 이 경사에 의해 하측에 설치된 주행가이드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진다. 여기에서 주행가이드와 이송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변화시켜두면 주행가이드에 접촉한 폐기플라스틱은 긴쪽방향으로 정렬되게 된다. 또한 이 이송컨베이어상에는 반송되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시키는 배열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2에 기재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배열수단을 적어도 이송컨베이어의 하류측에서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의 이송컨베이어면을 남기고 이송컨베이어표면을 덮는 커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이송컨베이어의 하류측에서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의 이송컨베이어면을 남기고 이송컨베이어표면을 덮는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투입수단에 의해 이송컨베이어상류측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은 하측의 주행가이드측의 일렬을 제외하고 이송컨베이어하류로 감에 따라서 이 커버에 올라앉게 되어 그 이상 앞으로 진행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을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3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이 제 1 정렬수단이 또한 폭방향으로 경사지는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의 주행가이드측을 향하여 에어를 분출할 수 있는 노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의 폭방향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의 주행가이드의 쪽으로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편평 또한 경량이기 때문에 주행가이드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운 폐기플라스틱을 주행가이드측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기 쉬워진다. 특히 커버에 올라앉은 폐기플라스틱을 주행가이드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유효하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 2에 기재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열수단이, 상기 투입수단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이 투입되는 이송컨베이어의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로부터 이송컨베이어의 제 2 정렬수단측단부에 걸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상에 팽팽하게 설치된 로프상 물건이고, 이 로프상 물건과 주행가이드의 틈은 상기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로부터 상기 제 2 정렬수단측단부에 걸쳐서 확대되도록 배치된 로프상 물건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로프상 물건과 주행가이드의 틈은 상기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로부터 상기 제 2 정렬수단측단부에 걸쳐서 확대되도록 로프상 물건을 배치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작용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시킨다. 즉 폐기플라스틱은 이송컨베이어의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에서 투입되었을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와 주행가이드의 작용에 의해 긴쪽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때 예를 들면 2개의 폐기플라스틱이 한번에 이송컨베이어에 투입된 경우 폐기플라스틱은 2개가 긴쪽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열수단인 로프상 물건을 폐기플라스틱의 폭과 대략 동등한 폭으로 주행가이드와의 틈을 갖도록 배치함으로써, 평행하게 정렬된 2개의 폐기플라스틱의 사이에 로프상 물건이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로 반송하면 로프상 물건과 주행가이드의 틈은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에 걸쳐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외측의 폐기플라스틱은 서서히 주행가이드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2개의 폐기플라스틱이 떨어져간다. 이것에 의해 주행가이드측의 폐기플라스틱은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5에 기재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로프상 물건의 상기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와 상기 제 2 정렬수단측단부의 중간부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측의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제 2 정렬수단측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Y자 로프상 물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배열수단으로서 로프상 물건을 배치한 경우 폐기플라스틱이 이 로프상 물건을 걸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상을 반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다음의 제 2 정렬수단에 트랜싯할 때에 폐기플라스틱이 불안정한 거동을 나타내서 폐기플라스틱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상기 Y자 로프상 물건을 설치함으로써, 로프상 물건을 걸쳐서 반송되고 있었던 폐기플라스틱은 연직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Y자 로프상 물건에 올라앉음으로써, 로프상 물건의 내측, 즉 주행가이드측, 또는 외측에 넘어뜨리게 되어 주행가이드와 평행한 상태로 되는 것으로부터 폐기플라스틱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에서 6까지의 어느 쪽인가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정렬수단이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을 갖는 반송컨베이어와, 이 반송컨베이어로 반송되지 않았던 폐기플라스틱을 상기 투입수단으로 되돌리는 되돌림반송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정렬수단에 의해서도 일렬로 정렬되지 않았던 폐기플라스틱은 제 2 정렬수단이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밖에 없는 반송컨베이어이므로 이 반송컨베이어상에는 올릴 수 없어서 강제적으로 선별배제되고, 되돌림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투입수단으로 되돌려진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기플라스틱을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7에 기재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정렬수단이 반송컨베이어상에 있어서의 폐기플라스틱의 길이 및 폐기플라스틱간의 간격을 검지하는 비정렬센서와, 반송컨베이어상으로부터 폐기플라스틱을 배제하는 배제수단과, 비정렬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배제수단에 의한 폐기플라스틱의 배제를 제어하는 배제제어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폐기플라스틱이 편평한 경우 통상은 일렬밖에 올리지 않는 폭의 반송컨베이어이어도 상하 2단 서로 겹쳐서 반송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는 이 비정렬센서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의 길이를 측정하고, 1개분보다 길이가 긴 경우는 서로 겹친 것이라고 하여 검출하고 배제수단에 의해 배제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 1에서 8까지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검지수단이 폐기플라스틱의 색, 재질, 또는 색 및 재질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폐기플라스틱의 재질 및/또는 색을 검지하고, 이것에 의해 분류ㆍ선별을 실시함으로써, 분류ㆍ선별된 폐기플라스틱의 재이용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 9까지의 어느 쪽인가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투입수단은 반송속도를 외부신호로 제어할 수 있는 클리트부착경사컨베이어인 투입컨베이어와, 이 투입컨베이어상에 적어도 1개 설치된 컨베이어면과 평행한 축을 갖는 회전식의 회전평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클리트부착경사컨베이어와 회전식의 평활기의 조합에 의해 컨베이어의 클리트로 형성되는 구획(이하 승(升)이라고 한다.)에 들어가는 폐기플라스틱의 양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정렬수단에 보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서 정렬수단의 능력을 최대한 발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가 갖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 1에서 10까지의 어느 쪽인가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수단과 상기 제 1 정렬수단의 사이에 상기 제 1 정렬수단의 소정의 위치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할 수 있는 트랜싯슈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트랜싯슈트를 설치함으로써 투입수단으로부터 제 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했을 때에 폐기플라스틱이 제 1 정렬수단의 소정의 위치에 투입되므로, 제 1 정렬수단에 있어서 폐기플라스틱을 일렬로 정렬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 폐기플라스틱은 호퍼(1)에 투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폐기플라스틱이란 폐기플라스틱보틀 및 이것에 형상이 가까운 완구 등의 하드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이고, 특히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폐기플라스틱이 본 발명의 선별장치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근래 다량으로 소비되게 되어 온 폐기플라스틱보틀에 적용되는 것이 본 발명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호퍼(1)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은 투입컨베이어(2)에 의해 호퍼(1)로부터 인출되고, 반송도중에 있어서 회전평활기(3)에서 균일하게 골라진다고르게 된다. 균일하게 골라진 폐기플라스틱은 투입컨베이어(2)로부터 인출컨베이어(4)를 거쳐서 제 1 정렬수단(A)에 투입된다. 이하 우선 투입수단인 투입컨베이어(2) 및 회전평활기(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투입컨베이어(2) 및 회전평활기(3)의 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컨베이어(2)는 호퍼(1)로부터 비스듬한 위쪽으로 경사져서 설치된 것이고, 소정의 간격으로 클리트(6)가 설치되어 있다. 호퍼(1)내의 폐기플라스틱(7)은 이 클리트(6)내에 수용되면서 투입컨베이어(2)에 의해 비스듬한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투입컨베이어(2)의 도중에는 적어도 1개의 회전평활기(3)가 설치되어 있으며, 클리트(6)로 구획지어진 승내의 폐기플라스틱의 양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종래로부터 이 투입컨베이어(2)와 같은 클리트부착의 경사컨베이어의 상면에 발이나 긁어떨어뜨림판을 설치하고, 승내에 수용된 반송물을 고르게 하여 반송량을 정량화하는 방법은 잘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반송물이 분체(粉體)나 입상체(粒狀體)와 같이 크기가 작고 크기가 모두 고른 경우에는 문제가 적어서 효과적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폐기플라스틱과 같이 개별의 크기가 크고,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문제를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즉 폐기플라스틱을 반송하는 경우 발이나 긁어떨어뜨림판을 설치해도 일승(一升)당의 개수가 반드시 일정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컨베이어상면의 긁어떨어뜨림판과 컨베이어의 클리트의 사이에 폐기플라스틱이 끼워져서 컨베이어가 오버로드로 되어 정지해 버린다는 트러블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었다. 상기 회전평활기(3)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즉 투입컨베이어와 평행한 축을 갖는 회전식의 평활기를 적어도 1개 투입컨베이어상에 설치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승내의 폐기플라스틱의 양을 대략 균등하게 하고, 또한 폐기플라스틱이 끼워져서 투입용 컨베이어가 정지하는 등의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평활기(3)의 한 예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회전평활기(3)는 회전축(8)에 직사각형상의 날개판(9)이 부착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날개판(9)은 수지 등의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FRP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회전평활기(3)의 회전축(8)은 투입컨베이어(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날개판(9)의 선단이 클리트(6)의 선단과 대략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1)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7)은 투입컨베이어(2)의 클리트(6)에 의해 끌어 올려져서 위쪽으로 반송된다. 이 때 폐기플라스틱(7)은 클리트(6)의 사이에 수북이 담은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것을 투입컨베이어(2)상에 설치된 상기 회전평활기(3)를 폐기플라스틱(7)이 아래쪽으로 긁어떨어뜨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북이 담은 상태의 폐기플라스틱(7)을 클리트(6)의 상단을 잇는 평면에 고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클리트(6)의 사이의 승내의 공간에 대략 균일하게 폐기플라스틱(7)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정렬수단의 능력에 알맞은 폐기플라스틱을 항상 과부족없이 공급하기 위해 투입컨베이어(2)는 외부신호로 그 속도를 컨트롤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 2 정렬수단에 설치된 비정렬센서에 의한 단위시간당의 반송개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수단의상황에 대응한 외부신호에 의해 투입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정렬수단에 공급되는 폐기플라스틱의 양은 항상 적정하게 되어 폐기플라스틱을 ㅜ드럽게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의 처리속도가 대폭으로 향상할 뿐만 아니라, 폐기플라스틱 상호의 겹침도 격감하여 최종적인 분류의 정밀도도 향상한다.
이와 같이 투입컨베이어(2)에 의해 반송된 폐기플라스틱(7)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컨베이어(4)를 거쳐서 제 1 정렬수단(A)인 이송컨베이어 및 주행가이드에 투입된다. 다음으로 이 제 1 정렬수단(A)에 대하여 도 4,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인출컨베이어(4)에 의해 반송된 폐기플라스틱(7)은 이송컨베이어(5)에 투입된다. 이 이송컨베이어(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 폭방향으로 경사진 이송컨베이어(5)의 하측의 변에는 이 변을 따라서 이송컨베이어(5)와 대략 직각으로 설치된 주행가이드(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의 제 1 정렬수단(A)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이송컨베이어(5) 및 주행가이드(10)와, 또한 이송컨베이어(5)상에서 반송되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시키는 배열수단이 설치되어 제 1 정렬수단으로 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이 배열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이송컨베이어(5)의 하류측에서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의 이송컨베이어(5)의 면을 남기고 이송컨베이어(5)의 표면을 덮는 커버(11)를 갖는 것이다. 이 배열수단인 커버(11)는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류측, 즉 인출컨베이어(4)측에서는 이송컨베이어(5)의 상측의 일부를 덮는 것이며, 하류로 감에 따라서 커버(11)가 덮는 면적이 커져서 최종적으로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플라스틱(7)이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의 이송컨베이어(5)의 면을 남기고 상측 모든 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컨베이어(5)의 상측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5)의 표면에 평행으로 주행가이드(10)측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노즐(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에어노즐(12)은 이송컨베이어(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에어소비량의 관계로 스폿적으로 이송컨베이어(5)를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제 1 정렬수단에 의한 폐기플라스틱의 정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출컨베이어(4)로부터 이송컨베이어(5)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7)은 이송컨베이어(5)가 폭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하측, 즉 주행가이드(10)측으로 떨어져 간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5)의 하측에 설치된 주행가이드(10)와 접촉한다. 이 주행가이드(10)는 이송컨베이어(5)와 같거나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주행가이드(10)에 접촉한 폐기플라스틱(7)은 주행가이드(10)와 같은 방향, 즉 폐기플라스틱(7)의 긴쪽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때 복수의 폐기플라스틱(7)이 투입된 경우는 폐기플라스틱(7)이 복수열로 늘어서서 반송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송컨베이어(5)는 그 하류측에 있어서, 폐기플라스틱(7)이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의 이송컨베이어(5)의 면을 남기고 상측 모든 면을 덮도록 커버(1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가이드(10)를 따른 1열을 제외하고 상측의 다른 열은 이 커버(11)에 접하거나 올라앉음으로써 브레이크가 걸려 반송력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주행가이드(10)에 접하는 1렬만이 먼저 진행하고 다른 폐기플라스틱(7)은 주행가이드(10)에 접하는 열이 비었을 때에 빠져들어가서 반송되게 된다.
또 폐기플라스틱(7)이 편평상인 경우는 이송컨베이어(5)상을 잘 미끄러져서 떨어지지 않거나, 커버(11)상에 남거나,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서 평행으로 될 수 없어서 비스듬한 자세인 채로 반송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이송컨베이어(5)의 상측에 설치된 에어노즐(12)로부터 에어를 이송컨베이어(5)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분사함으로써 폐기플라스틱을 주행가이드(10)측으로 미끄러지게 하거나, 폐기플라스틱(7)의 자세를 주행가이드(10)와 평행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정렬수단(A)을 구성하는 배열수단의 다른 예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배열수단으로서 로프상 물건(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프상 물건(3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5)상의 인출컨베이어(4)에 의해 폐기플라스틱(7)이 투입되는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로부터 이송컨베이어(5)의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배치되어 있다.
이 로프상 물건(30)의 재질은 표면마찰저항이 낮은 로프상의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면 로프, 와이어, 체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로프상 물건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가요성을 갖는 로프 등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봉상 물건 등의 가요성이 없는 것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에 있어서의 주행가이드(10)와 로프상 물건(30)의 틈은 인출컨베이어(4)로부터 폐기플라스틱이 투입되었을 때에 이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에서 폐기플라스틱(7)이 긴쪽방향으로 일렬형성할 수 있는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폭으로 함으로써,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사이에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에 있어서,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틈을 폐기플라스틱(7)이 일렬형성할 수 있는 폭으로 함으로써, 인출컨베이어(4)로부터 복수개의 폐기플라스틱(7)이 동시에 투입된 경우이어도 그 중의 1개만이 이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사이에 삽입되게 되고, 다른 폐기플라스틱은 로프상 물건(30)의 외측, 즉 로프상 물건(30)의 주행가이드(10)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이 로프상 물건(3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주행가이드(10)와의 틈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프상 물건(30)의 외측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7)은 이송컨베이어(5)로 반송됨에 따라서 서서히 주행가이드(1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한편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사이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7)은 주행가이드(10)를 따라서 이송컨베이어(5)을 반송되게 된다. 그리고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사이에 위치하는 긴쪽방향 일렬로 배열된 폐기플라스틱만 제 2 정렬수단,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반송컨베이어(13)상에 트랜싯하게 하고, 다른 외측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7)을 예를 들면 후술하는 되돌림반송수단(14) 등을 이용하여 호퍼(1)에 되돌리는 등 함으로써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폐기플라스틱(7)만을 제 2 정렬수단에 수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에 있어서의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틈의 폭인데, 상기한 바와 같이 폐기플라스틱(7)의 최대폭과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선별하는 폐기플라스틱(7)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이다. 예를 들면 폐기플라스틱(7)이 플라스틱보틀인 경우는 구체적으로는 60∼90㎜의 범위내이다. 한편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에 있어서의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틈의 폭은 주행가이드(10)를 따라서 반송되고 있는 일렬로 배열된 폐기플라스틱(7)과 로프상 물건(30)의 외측을 반송되고 있는 폐기플라스틱(7)을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분별할 수 있는 거리가 되는 폭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 2 정렬수단이 후술하는 폐기플라스틱(7)을 일렬만 반송할 수 있는 반송컨베이어(13)이면 이 반송컨베이어(13)의 폭에 20㎜∼50㎜ 가한 폭으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기플라스틱(7)이 플라스틱보틀인 경우는 반송컨베이어(13)의 폭이 약 90 ㎜ 정도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구체적인 폭으로서는 110㎜에서 140㎜ 범위내로 할 수 있다.
또한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는 통상은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란 그 폭의 어느 쪽인가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에 대하여 상기한 로프상 물건(30)과 주행가이드(10)의 틈의 폭과 같이,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수치범위가 나타내어져 있는 경우는 이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의 어느 쪽인가의 위치에 있어서 나타내어진 수치범위내의 수치로 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또 이 로프상 물건(30)과 이송컨베이어(5)의 틈에 대하여 도 7의 D-D'단면을 나타내는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로프상 물건(30)의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에 상당하는 부위에서는 로프상 물건(30)과 이송컨베이어(5)의 틈은 이송컨베이어(5)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갖고, 또한 폐기플라스틱(7)이 로프상 물건(30)을 넘어서 주행가이드(10)측과 외측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높이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내이다. 한편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에 있어서는 폐기플라스틱(7)이 로프상 물건(30)을 넘어서, 혹은 로프상 물건(30)과 이송컨베이어(5)의 틈으로부터 로프상 물건(30)의 주행가이드(10)측과 로프상 물건(30)의 외측의 사이를 이동할 수 없는 높이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폐기플라스틱이 플라스틱보틀인 경우 작은 플라스틱보틀로서 일반적인 350㎖의 플라스틱보틀의 직경 80㎜보다 작은 40㎜∼6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프상 물건(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이송컨베이어(5)의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까지의 사이에 배치되면 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는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 및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 로프상 물건고정부(3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배열수단으로서 로프상 물건을 이용한 경우는 또한 Y자 로프상 물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Y자 로프상 물건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Y자 로프상 물건(34)은 로프상 물건(30)의 중간부, 즉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31)와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의 중간부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근처의 부위를 연결부(35)로 하고, 그곳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측에 걸쳐서 배치된 것이다. 이 Y자 로프상 물건(34)은 상기 연결부(35)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에 걸쳐서 이송컨베이어(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연직방향으로 떨어지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Y자 로프상 물건(34)을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편평한 플라스틱보틀 등의 폐기플라스틱(7)의 경우, 주행가이드(10)에 평행하게 되지 않고 로프상 물건(30)을 걸쳐서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대로의 상태로 반송되어 제 2 정렬수단측에 트랜싯한 경우 이와 같은 폐기플라스틱(7)이 불안정한 거동을 나타내고, 다른 폐기플라스틱(7)의 흐름을 불안정화시키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Y자 로프상 물건(34)을 배치하면 로프상 물건(30)에 걸쳐서 반송되어 온 폐기플라스틱(7)이 연결부(35)를 넘어서 반송된 경우 반송이 진행함에 따라서 Y자 로프상 물건(34)에 올라앉게 되어 이송컨베이어(5)와의 거리가 커진다. 그리고 어느 쪽 로프상 물건(30)의 내측, 즉 주행가이드(10)측이나 로프상 물건(30)의 외측으로 넘어지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폐기플라스틱(7)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일이 없이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이 Y자 로프상 물건(34)은 상기 로프상 물건(30)과 똑같이 마찰계수가 작은 로프상의 물건이면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로프, 와이어, 체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결부(35)의 위치는 상기 로프상 물건(30)의 중간부로부터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측의 위치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일반적으로는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로부터 이송컨베이어(5)의 길이의 3분의 1에서 2분의 1의 범위내의 거리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로부터 800∼1200㎜의 범위내이다. 또 이 Y자 로프상 물건(34)의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에 있어서의 이송컨베이어(5)와의 거리인데, 반송되고 있는 폐기플라스틱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폐기플라스틱(7)이 플라스틱보틀인 경우는 200∼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Y자 로프상 물건(34)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연결부(35)와 로프상 물건(30)의 제 2 정렬수단측단부(32)측의 로프상 물건 고정부(33)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정렬수단(A)에 의해 일렬로 정렬한 폐기플라스틱(7)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에 다시 제 2 정렬수단(B)에 의해 정렬된다. 이 제 2 정렬수단(B)에 대하여 도 4, 도 7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정렬수단(B)은 반송컨베이어(13)와 되돌림반송수단(14) 및 비정렬센서(15), 배제수단(16) 및 배제제어수단(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컨베이어(13)는 폐기플라스틱(7)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이고, 배열수단이 커버(11)인 경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정렬수단의 이송컨베이어(5)의 커버(11)로 덮여져 있지 않은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 합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선별하는 폐기플라스틱(7)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정도로 되어 있다. 되돌림반송수단(14)은 이 반송컨베이어(13)로 반송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7)을 호퍼(1)에 되돌리는 것으로, 도 10에서는 호퍼(1)를 향하여 경사지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반송컨베이어(13)의 도중에는 비정렬센서(15)가 배치되어 있고, 이 비정렬센서(15)로 얻은 정보는 배제제어수단(17)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 배제제어수단(17)에 의해 배제수단(16)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제 2 정렬수단(B)에 의한 폐기플라스틱의 정렬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정렬수단(A)의 배열수단에 의해 주행가이드(10)측에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7)은 그대로 상기 반송컨베이어(13)로 반송된다. 그러나 편평상의 폐기플라스틱(7)은 서로 얽혀서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열로 그대로 이송컨베이어(5)상을 반송되어 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이송컨베이어(5)로부터 반송컨베이어(13)에 바꿔탈 때에 반송컨베이어(13)의 폭이 폐기플라스틱(7)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밖에 없는 것으로부터, 주행가이드(10)측의 일렬 이외의 폐기플라스틱(7)은 반송컨베이어(13)에 탈 수 없어서 낙하하여 되돌림반송수단(14)에 의해 호퍼(1)에 되돌리게 된다.
또 일렬로 반송되고 있는 폐기플라스틱(7)도 편평한 형상이므로, 때로는 상하로 겹쳐서 반송컨베이어(13)상을 반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2개의 폐기플라스틱이 겹쳐 있으므로, 통상 외관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비정렬센서(15)는 이와 같이 외관상의 길이가 이상하게 긴 물건 및 폐기플라스틱(7)간의 간격이 좁고, 후술하는 분류에 있어서 불충분한 경우를 검지하여 정보를 배제제어수단(17)으로 보낸다. 배제제어수단(17)은 이 정보에 의거하여 에어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제수단(16)을 조작하고, 상기한 상하로 겹친 폐기플라스틱(7)이나 간격이 좁은 폐기플라스틱(7)을 반송컨베이어상으로부터 배제하여 되돌림반송수단(14)에 의해 호퍼(1)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제 2 정렬수단(B)에 의해 상하로 겹친 것이나, 간격이 좁은 것이 없도록 폐기플라스틱을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정렬수단(A) 및 제 2 정렬수단(B)에 의해 폐기플라스틱(7)을 그 형상에 의하지 않고 1개씩 또한 고속으로 후단의 분류수단에 반송할 수 있다.
제 1 정렬수단(A) 및 제 2 정렬수단(B)에 의해 정렬한 폐기플라스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밍센서(18)에 의해 그 통과를 검출하고, 타이밍센서(18)로부터 기존의 거리에 있는 색식별센서(19) 및 재질식별센서(20)에서 색과 재질이 검지된다. 이 정보는 분류제어수단(21)에 보내지고, 예를 들면 에어제트 등의 분류수단(22)에 의해 색 및 재잴별로 분류(23)에 분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센서(18), 색식별센서(19) 및 재질식별센서(20)는 종래로부터 공지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1993-126761호 공보, 특허공개 1994-308022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수단과 상기 제 1 정렬수단의 사이, 즉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인출컨베이어(4)와 제 1 정렬수단(A)의 사이에 트랜싯슈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트랜싯슈트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트랜싯슈트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컨베이어(4)상을 반송되어 온 폐기플라스틱(7)을 제 1 정렬수단(A)의 이송컨베이어(5)상에 투입하는데 있어서, 인출컨베이어(4)로부터 트랜싯슈트(40)에 폐기플라스틱(7)을 투입하고, 이 트랜싯슈트(40)상에서 폐기플라스틱(7)의 이송컨베이어(5)상으로의 투입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5)상의 소정의 위치에 폐기플라스틱(7)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트랜싯슈트(40)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로서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트랜싯슈트(40)의 중앙부에 이송컨베이어(5)측을 향하여 내리막의 경사를 갖는 곡부(41)를 설치하고, 이 곡부(41)의 이송컨베이어측단부(42)가 이송컨베이어(5)의 주행가이드(10)측의 위치로 되도록 배치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내리막의 경사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트랜싯슈트(40)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컨베이어(4)보다는 낮고, 이송컨베이어(5)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랜싯슈트(40)가 설치된 경우 인출컨베이어(4)상을 반송되어 온 폐기플라스틱(7)은 우선 트랜싯슈트(4)상에 투입된다. 트랜싯슈트(40)상에 투입된 폐기플라스틱(7)은 그 곡부(41)를 따라서 미끄러져 떨어지고, 곡부(41)의 이송컨베이어측단부(42)로부터 이송컨베이어(5)의 주행가이드(10)측의 위치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트랜싯슈트(40)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5)상에 폐기플라스틱(7)을 투입함으로써 복수개의 폐기플라스틱(7)이 동시에 이송컨베이어(5)상에 투입되는 가능성을 저감시키고, 또한 주행가이드(10)측의 위치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폐기플라스틱을 이송컨베이어(5)상의 주행가이드(10)측의 위치에서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똑같은 작용효과를 갖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검지수단을 색식별센서 및 재질식별센서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색식별센서만이어도 좋고, 또 재질식별센서만이어도 좋다. 또한 폐기플라스틱 속에 스틸통이나 알루미늄통이 혼재해 있으며, 이것을 분류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또한 금속센서를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분류수단을 에어제트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레버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트랜싯슈트(40)의 설명에 이용한 도 11에 있어서는 배열수단이 로프상 물건(30)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배열수단이 다른 수단, 예를 들면 커버(11)이어도 좋다.
최량의 형태 2
최량의 형태 2는 이하로 이루어지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폐플라스틱을 반송하는 분류컨베이어와,
해당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는 재질식별장치와,
해당 재질식별장치의 재질식별범위에 들어가는 폐플라스틱의 투영면적을 증대시키는 투영면적증대수단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을 소정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제거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설명하는 평면구성도이다. 도면 중에서 부호는 분류컨베이어(101), 통과센서(102)(센서본체(102A), 반사판(102B)), 재질식별장치(103)(장치본체(103A), 반사판(103B)), 에어노즐(104), 엔코더(105), 제어장치(106), 폐플라스틱(107), 세로클리트(109)를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상류부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정렬장치에 의하여 1개씩 분리되어 분류컨베이어(101)에 트랜싯한 폐플라스틱(107)은 통과센서(102)에 의하여 검출된다. 통과센서(10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제어장치(106)에 입력되고, 제어장치(106)는 엔코더(105)로부터의 출력을 감시함으로써 폐플라스틱(107)이 재질식별장치(103)의 식별범위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 재질식별장치(103)에 트리거신호를 출력한다. 재질식별장치(103)는 트리거신호의 타이밍에 따라서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고, 그 결과를 제어장치(106)에 출력한다. 제어장치(106)는 식별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배출위치에 해당 폐플라스틱을 배출하기 위해, 엔코더(105)의 출력을 감시하면서 소정 에어노즐(104)의 전자밸브를 작동시켜서 압축공기를 분사시키고 해당 폐플라스틱을 배출한다. 도 13은 분류컨베이어(101)에 세로클리트(109)가 붙은 형상이고, 폐플라스틱(107)의 재질을 식별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두께(h0)로 평평하게 변형한 폐플라스틱(107)이어도 세로클리트(109)에 의하여 한쪽이 들어올려져 있기 때문에, 재질식별장치(103)로부터 본 폐플라스틱(107)의 투영면적이 커진다. 그 결과 종래 평평하게 변형하여 투영면적이 작기 때문에 정확히 식별할 수 없었던 폐플라스틱(107)이어도 높은 정밀도로 재질식별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도 14는 동일 분류컨베이어상에서의 에어노즐(4)에 의한 폐플라스틱배출상황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종래 평평하게 변형한 폐플라스틱(107)에서는 압축공기가 그 상공을 통과하는 것만으로 에어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도 14와 같이 세로클리트(109)에 의해 에어노즐측을 들어올려진 폐플라스틱(107)은 압축공기로부터의 배출력을 받는 면적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로클리트(109)에 있어서 방향을 바꾼 공기의 상향의 흐름으로 들어올려지는 효과에 의해 보다 큰 배출력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에 의해 배출미스가 현격히 적아졌다.
도 15는 분류컨베이어(101)의 반송면상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접하면서 동시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와이어벨트(110)를 이용한 형상이고, 폐플라스틱(107)의 재질을 식별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먼저 설명한 세로클리트(109)의 경우와 동일 효과(식별정밀도 향상, 배출미스 저감)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설명하는 평면구성도이다. 도면 중에서 부호는 분류컨베이어(101aㆍ101bㆍ101cㆍ101d(4단으로 구성한 에)), 통과센서(102)(센서본체(102A), 반사판(102B)), 재질식별장치(103)(장치본체(103A),반사판(103B)), 에어노즐(104), 엔코더(105), 제어장치(106), 폐플라스틱(107)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첨자(a, b, c, d)는 해당 콘베이어위치에 설치된 장치 또는 센서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분류컨베이어(101a와 101b, 101b와 101c, 101c와 101d)의 트랜싯부에는 단차를 설치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정렬장치로부터 공급되어 온 폐플라스틱(107)은 우선 분류컨베이어(101a)에 트랜싯한다. 그 후 통과센서(102)에 의해 폐플라스틱(107)이 컨베이어(101a)상을 반송되어 온 것이 검출되고 제어장치(106)에 통지된다. 통과센서(102)는 광센서 등 센서전방의 물체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는 기존의 센서이다. 제어장치(106)는 통과센서(102)의 신호출력시각 및 엔코더(105a)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폐플라스틱(107)이 재질식별장치(103)의 전방을 통과하는 시각을 계산하고, 그 시각에 재질식별장치(103)에 대하여 재질식별을 실행시키기 위한 트리거를 출력한다. 재질식별장치(103)는 컨베이어(101a)와 컨베이어(101b)의 트랜싯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8과 같이 컨베이어(101a)와 컨베이어(101b)의 반송면에는 단차가 있어서 동일 평면에 없기 때문에, 재질식별장치의 재질식별범위(108)를 컨베이어(101a)의 반송면으로부터 아래쪽에까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재질식별장치의 재질식별범위(108)의 주변부밖에 통과시킬 수 없었던 평평하게 변형된 폐플라스틱이어도 측정영역의 중앙부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투영면적(180)(도면 중 사선부)이 증대하여 재질식별의 정밀도가 높아졌다.
또 에어배출부에 있어서도 분류컨베이어(101b와 101c)가 도 18과 똑같이 단차를 갖는 트랜싯으로 되어 있고 이 부분에 에어노즐을 설정함으로써 평평하게 변형한 폐플라스틱이어도 확실하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미스가 현격히 적어졌다.
컨베이어(101a와 101b)를 도 19와 같이 반송면을 각도(θ) 기울여서 설정하면 심하게 변형되어 극도로 평평해져 버린 폐플라스틱이어도 재질식별장치의 측정축이 컨베이어(101b)의 반송면과 평행하게 설정되고, 또한 컨베이어(101a)의 반송면이 재질식별장치의 측정축에 대하여 기울어 있기 때문에 투영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먼저 설명한 단차를 설치한 경우와 똑같이 폐플라스틱(107)의 재질을 고정밀도로 식별할 수 있어서 배출미스를 저감할 수 있었다.
최량의 형태 3
최량의 형태 3은 플라스틱재의 반송장치의 도중에 설치되는 검사장치에 의해 플라스틱재있음의 실측값과 플라스틱재없음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플라스틱재의 재질을 식별하는 플라스틱재선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의 상류측에서 플라스틱재배제수단에 의해 반송도중의 임의의 플라스틱재를 배제함으로써 상기 반송장치상에 플라스틱재가 존재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상기 기준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6은 플라스틱재선별방법 및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통상의 플라스틱재선별처리를 설명한다.
플라스틱재(208)를 1개씩 재질에 따라서 선별하기 위해서는 1개씩 분리한 상태로 하여 반송할 필요가 있고, 플라스틱재선별장치의 상류공정에는 정렬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선별처리되어야 할 플라스틱재는 이 정렬장치로부터 반송장치(201)로 바꿔타고, 에어노즐(202)전방을 가로지른 후 플라스틱재통과를 검지하는 센서(203)를 거쳐서 근적외선반사판(205)과 검사장치(204)에서 재질을 식별한다. 이 식별결과에 따라서 분류슈트(206)의 소정의 위치에서 에어노즐(210)에 선별회수된다. 엔코더(209)는 반송장치(201)의 반송속도의 계측을, 또한 제어장치(211)는 에어노즐(202), 센서(203), 검사장치(204), 엔코더(209), 에어노즐(210) 등과 이어져 있으며, 데이터수집ㆍ연산 또는 각 기기로의 지시를 실시한다.
도 20에서 도 25는 검사장치(204)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플라스틱재선별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초기기준파형)을 도 20에 나타낸다. 횡축ㆍ종축은 각각 파장ㆍ반사광도를 나타낸다. 이 파형을 스스로 정규화한 파형(초기기준정규화파형)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파장에 걸쳐서 1이다. 이 때 어떤 플라스틱재를 측정하여 얻은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도 20의 파형으로 정규화한 파형(초기기준정규화측정파형)을 도 22에 나타낸다. 이 초기상태로부터 플라스틱재선별처리를 개시해도 플라스틱재와의 접촉에 의해 반사판표면의 오염이 진행하고 또한 내용물잔사에 의해 광범위가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의 파형(경과시 기준파형)은 도 23과 같이 파선(초기기준파형)으로부터 실선(경과시 기준파형)과 같이 변화한다. 이 때문에 처리개시시에 기록한 도 20의 파형으로 정규화하면 도 24와 같이 파선(초기기준정규화파형)으로부터 실선(초기기준경과시 정규화파형)과 같이 정규화가 잘 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22의 결과를 얻은 동일 플라스틱재에 대하여 반사근적외선을 측정하고, 도 20의 파형으로 정규화해도 도 25와 같은 실선의 파형밖에 얻을 수 없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파형(도 22의 초기기준정규화측정파형)을 얻어야 할 장소 반사판표면의 오염에 의해 실선의 파형이 얻어질 뿐이다. 양 파형을 비교한 경우 크게는 동일 파형이라고 볼 수 있지만 상세부에 관해서는 동일 파형이라고 할 수 없으며 그 때문에 식별결과의 정밀도가 저하한다.
그래서 플라스틱재가 없는 경우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다시 취득하는 처리를 재질식별정밀도에 의거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재와의 접촉이 원인이 되는 반사판의 반사율저하도는 처리시간에 의존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 처리를 실행한 후 플라스틱재가 없는 경우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다시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2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반적인 설명을 실시한다.
제어장치(211)에서 처리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감시한다. 다만 시간감시는 검사장치(204)에서 실시해도 좋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조건이 성립하면 제어장치(211)는 우선 에어노즐(202)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이 때문에 반송장치(201)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플라스틱재는 반송장치(201)상으로부터 완전히 배제되고, 에어노즐(202)로부터 하류로는 하나의 플라스틱재도 반송되지 않게 된다. 플라스틱재배제수단으로서, 여기에서는 에어노즐을 나타내고 있는데, 레버나 해머 등 일반적인 기계적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에어분사개시시간으로부터 에어노즐(202)과 검사장치(204)간으로부터 완전히 플라스틱재가 없어지기까지의 시간은 반송장치(201)의 반송속도(엔코더(209)에서 계측)와 에어노즐(202)과 검사장치(204)의 간격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다시 취득하는 작업은 이 시간만큼을 기다린다. 이 시간 경과후 센서(203)출력에 의해 플라스틱재가 반송되고 있지 않은 것을 다시 확인하고, 제어장치(211)로부터 검사장치(204)로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재취득명령을 출력한다. 검사장치(204)와 근적외선반사판(205)의 사이에는 에어분사에 의해 플라스틱재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다시 취득할 수 있다. 이 작업이 종료하는 대로 검사장치(204)는 제어장치(211)로 그 취지를 전달한다. 제어장치(211)는 검사장치(204)로부터의 작업종료지령을 받아서 에어연속분출을 정지하고 통상의 선별처리를 재개한다.
항상 에어연속분사에 의해 반송장치(201)상으로부터 배제된 플라스틱재는 통상의 반송방법 등의 환류용 반송장치(207)에 의해 반송장치(201)상류로 환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수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플라스틱재가 없는 상태에서의 반사근적외선파형을 재취득할 수 있다.
최량의 형태 4
최량의 형태 4는 근적외선을 포함하는 빛을 방사하는 광원과, 광원의 광축과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어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폐플라스틱을 끼워서 대향한 반사판과,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폐플라스틱 또는 반사판에서 반사된 근적외선을 분광측정하는 분광기와, 분광기의 분광결과에 의거하여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결정하는 연산장치를 구비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에 있어서 반사판의 반사면에 요철을 설치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이 확산반사체인 경우에 있어서 반사면의 요철의 단면형상을 삼각파상으로 형성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이 확산반사체인 경우에 있어서 반사면의 요철의 단면형상을 오목형의 원호파상으로 형성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이 경면반사체인 경우에 있어서 반사면의 요철의 단면형상을 직사각형파상으로 형성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의 볼록부분의 면적을 전 표면적의 50% 미만으로 설정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실시형태 1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8은 도 27에 있어서의 반사판의 단면도, 실시형태 1의 반사판의 오손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폐기물내로부터 선별된 플라스틱보틀의 재질을 연속적으로 식별하는 장치에 적용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27에서 도 29에 있어서, 301은 벨트컨베이어, 321, 322…는 다수의 플라스틱보틀이다. 303은 컨베이어라인의 식별부내에 설치된 식별장치이고,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플라스틱보틀(321, 322…)은 벨트컨베이어(301)에 의해 흰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된다.
304는 식별장치(303)내의 입구의 부근에 설치되고 플라스틱보틀(321, 322…)의 유무를 검지하는 보틀센서, 305는 반사형 근적외선분광기, 306은 벨트컨베이어(301)를 끼워서 반사형 분광기(305)에 대향한 반사판이다. 또 307은 반사판(306)의 반사면에 세로줄무늬모양으로 형성된 요철, 371과 372는 요철(307)(총칭)의 볼록부와 오목부이다. 반사형 분광기(305)에는 근적외선(350)을 포함하는 광원이 내장되고, 그 투사광을 벨트컨베이어(301)의 상면의 플라스틱보틀(321, 322…)의 반송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의 광축을 통하여 반사판(306)에 투사한다. 또 반사판(306)의 반사면은 상기한 완전반사하는 경면반사체이고, 그 단면이 도 28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306)에 형성된 요철(307)은 입사광을 직각방향으로 완전반사시키기 위해 반사면이 광축과 직각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단면형상이 경사면이 없는 정방형이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371)의 면적비가 전 반사면에 대하여 두드러지게 작아지도록, 좁은 폭의 볼록부(371)와 넓은 폭의 오목부(372)를 연속시킨 직사각형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형 분광기(305)로부터 투사된 근적외선(350)은 반사판(306)에 반사되고, 그 반사광이 투사광축을 따라서 반대방향의 광로를 가서 분광기(305)에 입사하도록 되어 있다.
벨트컨베이어(301)의 라인을 따라서 식별장치(303)를 설치한 식별부의 상류측은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플라스틱보틀(321, 322…)을 벨트컨베이어(301)상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부로 되어 있다. 또 식별부로부터 하류측으로는 식별한 플라스틱보틀(321, 322…)을 재질별로 분별하는 분별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벨트컨베이어(301)의 구동기구에는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가 설치되고, 반사형 분광기(305)의 분광결과로부터 재질을 연산하거나 측정동작 등을 제어하는 연산기능을 갖는 제어장치 등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 1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다수의 플라스틱보틀(321, 322…)은 라인상에서 선행하는 정렬부에 있어서 정렬되고, 벨트컨베이어(301)에 의해 차례로 식별부에 반송된다. 식별부에 반송된 각 플라스틱보틀(321, 322…)은 우선 입구에 설치된 보틀센서(304)에 의해 그 유무가 검지된다. 보틀센서(304)가 각 플라스틱보틀(321, 322…)을 검지하면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상기의 엔코더의 카운트동작이 스타트된다. 그리고 엔코더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장치로부터 동작신호가 출력되고 반송 중의 각 플라스틱보틀(321, 322…)의 도달시각마다 반사형 분광기(305)의 측정동작이 실시된다.
제어장치에 의하여 예를 들면 해당하는 플라스틱보틀(321)이 산출된 도달시각이 되면 이 시각에 맞추어서 반사형 분광기(305)에 의한 플라스틱보틀(321)의 재질의 식별동작이 개시된다. 식별동작의 개시로 반사형 분광기(305)로부터 근적외선(350)이 반사판(306)에 투사되고, 그 반사광이 반사형 분광기(305)에 입사한다. 이 때 종래 장치와 똑같이 근적외선(350)의 투사광과 반사광이 벨트컨베이어(301)상에서 반사판(306)에 접촉하면서 반송되는 플라스틱보틀(321)을 투과한다. 그리고 반사형 분광기(305)의 분광출력이 계측과정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백그랜드파형과 비교되어 플라스틱보틀(321)의 재질이 식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상기와 같이 반사판(6)의 반사면에 좁은 폭의 볼록부(371)를 설치한 직사각형파상의 요철(30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판(306)의 반사면에서 차례차례 반송되는 플라스틱보틀(321, 322…)과 접촉하여 오손되는 부분은 직사각형파상의 요철(307) 중의 약간의 면적을 갖는 볼록부(371)에 한정되게 된다. 즉 반사형 분광기(305)로부터 투사된 근적외선(350)의 대부분은 전 반사면에 대하여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어서 오손되어 있지 않은 요철(307)의 오목부(372)에 의하여 반사된다. 따라서 편평한 반사면의 반사판을 이용한 종래 장치에 비교하여 오손부분이 불연속으로 되고, 이 때의 반사판(306)의 반사면의 오손상태가 도 29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29의 311과 312는 오손부분과 식별영역이다. 도 2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오손부분(311)의 식별영역(312)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극히 작아지고, 반사율을 저하하는 일 없이 재질의 식별에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볼록부(371)와 오목부(372)의 면적비를 1 : 9로 한 경우에는 당초의 반사율을 기준으로 하여 오손에 의해 볼록부(371)의 반사율을 만일 0%로 되었다고 해도 반사판(306)의 전체로서는 90%의 저하에 머무를 수 있다. 이렇게 한 식별영역(312)을 대상으로 한 반사형 분광기(305)의 분광결과를 이용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연산장치에 의해 플라스틱보틀(321, 322…)의 재질이 식별된다. 식별된 플라스틱보틀(321, 322…)은 식별결과에 따라서 차례로 하류측의 분별부에 계속 투입하여 재질별로 분별되게 된다.
실시형태 2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이 실시형태 2의 반사판(306)에는 반사광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하여 산란하는 확산반사체가 이용되고 있다. 도 30a에서는 반사면의 요철(307)의 단면형상이 삼각파상이고, 도 30b에는 오목형의 반원상 또는 원호상의 요철(307)이 반사판(306)의 반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0c 및 도 30d에는 사각추와 원주형의 요철(7)이 설치되어 있다. 확산반사의 경우는 대향하는 광원측과 반사판(306)의 각도관계는 경면반사체와 같이 심하게 없기 때문에 요철(307)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경면반사체와 확산반사체의 어느 쪽의 경우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면의 오손부분(311)이 볼록부(371)만 한정되게 되어 반사판(306)의 반사율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는 반사판에 경면반사체를 이용했을 때에 단면이 직사각형파상의 세로줄무늬형의 요철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는데, 비스듬한 줄무늬나 가로줄무뉘 등의 요철을 형성해도 좋다. 또 반사판에 확산반사체를 이용했을 때에 삼각파상과 반원파상 등의 요철을 도면에 나타냈는데, 그 밖에 원추형이나 단면이 사다리꼴 등의 다각추, 혹은 이들의 조합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에서 폐플라스틱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식별하는 경우를 예시했는데, 배치측정이어도 좋고, 보틀센서를 반사판 등에 설치하여 엔코더를 생략하는 등 반드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근적외선을 포함하는 빛을 방사하는 광원과, 광원의 광축과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고 재질을 식별하기 위한 폐플라스틱을 끼워서 대향한 반사판과,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폐플라스틱 또는 반사판에서 반사된 근적외선을 분광측정하는 분광기와, 분광기의 분광결과에 의거하여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결정하는 연산장치를 구비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에 있어서, 반사판의 반사면에 요철을 설치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했다.
또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이 확산반사체인 경우에 있어서 반사면의 요철의 단면형상을 삼각파상으로 형성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했다.
또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이 확산반사체인 경우에 있어서 반사면의 요철의 단면형상을 오목형의 원호파상으로 형성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했다.
또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이 경면반사체인 경우에 있어서 반사면의 요철의 단면형상을 직사각형파상으로 형성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반사면의 볼록부분의 면적을 전 표면적의 50% 미만으로 설정한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폐플라스틱에 부착한 오염에 의해 반사판이 오염되고,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오손부분을 한정시키는 폐플라스틱의 재질식별장치를 구성했다.
이 결과 반사형 근적외선분광기의 반사율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서 재질식별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최량의 형태 5
최량의 형태 5-1은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회수수단에 보내주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로부터의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압축공기층이 상기 컨베이어반송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층의 상기 컨베이어반송면에 가까운 하층에서는 상층보다도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최량의 형태 5-2는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회수수단에 보내주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이 복수의 분사구를 갖고,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에 가까운 저위치에 배치된 분사구로부터는 상대적으로 약한 압축공기가 분사되며, 상기 저위치의 분사구보다도 위쪽의 고위치에 배치된 분사구로부터는 상대적으로 강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최량의 형태 5-3은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회수수단에 보내주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이 복수의 분사구를 갖고,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에 가까운 저위치에 배치된 분사구 및 상기 저위치의 분사구보다도 위쪽의 고위치에 배치된 분사로부터 대략 동등한 강도의 압축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저위치의 분사구는 상기 반송장치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위치의 분사구는 상기 반송장치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최량의 형태 5-4는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압축공기분사시간이 물품반송방향의 하류측이 됨에 따라서 장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최량의 형태 5-4는 상기 분류장치가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회수수단에 보내주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과, 상기 반송장치상에 물품이 투입된 것을 검출하는 물품검출센서와, 상기 반송장치상에서 물품의 위치를 계속 특정하는 위치센서와, 물품의 색, 재질 및 형상 중 어느 쪽인가 1개의 성상 또는 복수의 성상을 검사하는 물품성상검사센서와, 상기 물품검출센서의 출력 및 상기 위치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물품성상검사센서의 작동시기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의 분사시기를 결정하여 상기 물품을 회수수단에 보내주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장치인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고속분류장치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도면이다. 도 31은 경량 또한 평평한 형상의 것이 많이 포함되는 폐플라스틱을 성상별의 4종류로 선별하여 회수슈트(505A∼505D)에 분류하는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2는 압축공기분사노즐의 각 분사구로부터의 분류의 차에 의해 평평한 폐플라스틱이 배출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분류벨트컨베이어(502)의 한쪽측의 측면에는 복수의 회수슈트(505A∼505C)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쪽측의 측면에는 회수슈트(505A∼505C)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503X, 503Y, 503Z)이 설치되어 있다. 압축공기분사노즐(503X)은 상측분사구를 형성하는 상노즐(503A) 및 하측분사구를 형성하는 하노즐(503a)을 갖고, 컨베이어반송면(502)상의 폐플라스틱(501)에 대하여 컨베이어(502)의 반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회수슈트(505A)에 보내주도록 되어 있다. 압축공기분사노즐(503Y, 503Z)도 각각 상노즐(503B), 상노즐(503C) 및 하노즐(503b), 하노즐(503c)(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압축공기분사노즐(503X)과 똑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컨베이어(502)의 하류단의 하류측에는 회수슈트(505D)가 설치되어 있다.
폐플라스틱의 공급장치(511)로부터 잘라내어진 폐플라스틱(501)은 폐플라스틱정렬장치(510)에서 정렬된다. 이들 전처리공정에 의해 고속분류장치(509)에는 폐플라스틱(501)이 1개씩 알맞은 간격을 두고 서로 겹치는 일 없이 공급된다. 전처리공정으로부터 공급된 폐플라스틱(501)은 분류컨베이어(502)에 트랜싯한 후 통과센서(507)에 의해 컨베이어(502)상의 소정 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이 검출타이밍은 제어장치(506)에 입력된다. 제어장치(506)는 컨베이어(502)의 운전속도를 엔코더(513) 등에 의해 감시하고 있으므로, 폐플라스틱(501)이 폐플라스틱성상 검사센서(508)에 도달하는 시각을 연산하고 그 결과의 타이밍에 의해 폐플라스틱의 색, 재질 및 형상 중 어느 쪽인가 하나의 성상 또는 복수의 성상을 계측한다. 이 계측결과는 다시 제어장치(506)에 입력되고, 분류해야할 회수슈트번호를 결정한다. 폐플라스틱성상 검사센서(508)로부터 각 회수슈트(505A∼505C)까지의 거리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이며, 폐플라스틱(501)이 도달하는 시각은 미리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지금 「폐플라스틱(501)을 회수슈트(505A)에 배출한다」라고 제어장치(506)가 결정했다고 하면 제어장치(506)는 엔코더(513)의 출력을 감시하고, 폐플라스틱(501)이 회수슈트(505A)의 전면에 도달하는 타이밍으로 전자밸브(504A)를 해방하는 지령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압축공기분사노즐(503X)의 상노즐(503A) 및 하노즐(503a)로부터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폐플라스틱(501)은 벨트컨베이어(502)의 다른쪽측의 측면으로부터 압축공기의 분사를 받음으로써, 한쪽측의 측면의 회수슈트(505A)로 불어 날려 버려져서 배출된다. 다른 회수슈트(505B 또는 505C)로 배출하는 결정이 이루어졌을 때는 압축공기분사노즐(503Y 또는 503Z)에 의해 회수슈트(505B 또는 505C)로 배출된다. 회수슈트(505A∼505C)에 배출되지 않은 폐플라스틱(501)은 컨베이어(502)의 하류단으로부터 회수슈트(505D)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도 32에 나타내는 봐와 같이 압축공기분사노즐(503X)의 하노즐(503a)은 컨베이어(502)의 반송면(502a)에 가까운 위치에 한편 상노즐(503A)은 하노즐(503a)보다도 위쪽의 높이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노즐(503A)은 하노즐(503a)보다도 반송가이드(514)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컨베이어(502)의 반송면(502a)상의 물품까지의 거리는 하노즐(503a)보다도 상노즐(503A)의 쪽이 짧아진다. 이들의 위치관계는 압축공기분사노즐(503Y, 503Z)에 있어서의 상노즐(503B, 503C)과 하노즐(503b, 503c)(도시하지 않음)의 관계에 있어서도 똑같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노즐(503A)과 하노즐(503a)의 상기 거리의 설정차는 50㎜로 했지만, 해당 설정차는 상황에 따라서 설정하면 된다ㅏ.
폐플라스틱성상 검사세너(508)의 검사결과에 의거하여 제어장치(506)에 의해 전자밸브(504A)가 해방되고, 상노즐(503A) 및 하노즐(503a)로부터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폐플라스틱(501)이 받는 공기의 분류는 상노즐(503A)과 하노즐(503a)의 위치의 설정차에 의해 좁은 영역이기는 하지만 유속이 빠른 공기류와, 유속은 느리지만 넓은 영역에 걸쳐 있는 공기류의 복합상태로 된다. 폐플라스틱(501)은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평평하게 되어 있거나, 접어 구부러지거나 하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경우 유속이 빠른 것의 좁은 영역밖에 커버할 수 없는 공기류이면 충분히 배출력을 폐플라스틱(501)에 줄 수 없거나, 컨베이어(502)와 폐플라스틱(501)의 사이를 고속공기류가 통과하기 때문에, 오히려 폐플라스틱(501)이 컨베이어(502)에 흡착하여 버려서 배출되지 않는 일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가이드(514)로부터 먼 하노즐(503a)의 분사하는 압축공기는 넓어짐을 갖기 시작하고 있으며, 또 유속이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폐플라스틱(501)이 컨베이어(502)에 흡착하여 버리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넓어진 공기류에 의해 평평한 형상이어도 바람과 같이 공기류를 막음으로써 위쪽으로 부상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쪽으로 부상한 폐플라스틱(501)은 상노즐(503A)로부터의 공기류(이 공기류는 하노즐(503a)로부터의 공기류보다도 유속이 빠르다)에 밀리게 되어 회수슈트(505A)로 확실하게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밸브(504A)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분기관(515)에 의해 2계통의 압축공기공급관(512)에 분기하여 상노즐(503A) 및 하노즐(503a)에 공급하도록 했는데, 상노즐(503A) 및 하노즐(503a)의 각각에 전용으로 전자밸브를 장착해도 똑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하노즐(503a)의 노즐형상을 상노즐(503A)과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광범위의 느린 공기류를 형성해도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노즐(503A)과 하노즐(503a)을 일체화했으므로, 압축공기분사구를 상하위치에서 바꾼 것에 의해서도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압축공기분사시간을 물품반송방향의 하류측이 됨에 따라서 장시간이 되도록 설정하고, 폐플라스틱을 PET, PE, PP, PVC 등의 플라스틱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폐플라스틱의 종류를 식별하는 장치는 근적외선을 폐플라스틱에 조사하는 광원 및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의 상기 폐플라스틱으로부터의 투과광 또는 반사광을 검지하는 수광소자를 갖고, 상기 폐플라스틱에 의한 특정 파장의 흡광도에 의해 재질을 식별하는 근적외선식별장치와 해당 식별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분별장치를 구비하고, 반송장치상의 폐플라스틱의 종류를 식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장치에 의해 폐플라스틱의 종류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분사노즐의 분사타이밍을 결정한다.
폐플라스틱을 종류별로 분류하는데 있어서, 물품반송방향의 하류측이 됨에 따라서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압축공기분사시간을 장시간으로 설정하고, 비중이 가벼운 순으로 상류측으로부터 회수한다. 즉 가장 비중이 가벼운 PET를 회수슈트(505A)에서 회수하는 것으로 하고, 계속해서 PE, PP, PVC 등의 PET보다 비중이 무거운 폐플라스틱을 하류측에서 회수하는 것으로 하면, 하류측이 됨에 따라서 압축공기분사노즐의 압축공기분사시간이 길기 때문에, 비중이 무거운 폐플라스틱에서도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류(회수슈트(505A))에서 PET가 회수된 후이므로, 하류에서는 공급장치(511)로부터 잘라내어졌을 때보다도 폐플라스틱의 수가 줄고, 폐플라스틱 상호의 간격이 비어 있는 확립이 높아서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한 불어 날려 버림효율이 향상하여 비중이 무거운 폐플라스틱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에 따르면, 자원쓰레기인 폐기플라스틱 속의 플라스틱보틀 및 이것에 형상이 가까운 완구 등의 하드플라스틱을 재질별 및 색별 등으로 분별할 수 있다.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폐기플라스틱을 폐기플라스틱의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 1 정렬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시킨 폐기플라스틱 중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배제하는 제 2 정렬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
    해당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의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은 폭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된 이송컨베이어와, 이 폭방향으로 경사진 이송컨베이어의 하측의 변을 따라서 설치된 주행가이드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상에서 반송되는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시키는 배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배열수단은, 상기 투입수단에 의해 폐기플라스틱이 투입되는 이송컨베이어의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로부터 이송컨베이어의 제 2 정렬수단 측단부에 걸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상에 팽팽하게 설치된 로프상 물건이고, 이 로프상 물건과 주행가이드의 틈은 상기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로부터 상기 제 2 정렬수단 측단부에 걸쳐서 확대되도록 배치된 로프상 물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해당 로프상 물건이 상기 폐기플라스틱투입부위와 상기 제 2 정렬수단 측단부의 중간부로부터 제 2 정렬수단 측단부측의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제 2 정렬수단 측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Y자로프상 물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7. 삭제
  8. 폐기플라스틱을 폐기플라스틱의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 1 정렬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시킨 폐기플라스틱 중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배제하는 제 2 정렬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
    해당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의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은 폐기플라스틱을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반송할 수 있는 폭을 갖는 반송컨베이어와, 이 반송컨베이어로 반송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상기 투입수단으로 되돌리는 되돌림반송수단과, 반송컨베이어상의 폐기플라스틱의 길이 및 폐기플라스틱간의 간격을 검지하는 비정렬센서와, 반송컨베이어상으로부터 폐기플라스틱을 배제하는 배제수단과, 비정렬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배제수단에 의한 폐기플라스틱의 배제를 제어하는 배제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9. 삭제
  10. 폐기플라스틱을 폐기플라스틱의 긴쪽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 1 정렬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
    해당 제 1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시킨 폐기플라스틱 중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배제하는 제 2 정렬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해당 제 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
    해당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의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
    해당 투입수단은 반송속도가 외부신호로 제어할 수 있는 클리트부착경사컨베이어인 투입컨베이어와, 이 투입컨베이어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 컨베이어면과 평행한 축을 갖고 그 축에 부착된 날개판이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식의 회전평활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폐플라스틱을 반송하는 분류컨베이어와,
    해당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는 재질식별장치와,
    해당 재질식별장치의 재질식별범위에 들어가는 폐플라스틱의 투영면적을 증대시키는 투영면적증대수단과,
    상기 투영면적증대수단이 상기 분류컨베이어의 반송면상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한 세로클리트이고,
    상기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을 소정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제거수단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의 반송속도를 검지하는 속도센서와,
    상기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센서와,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선별장치.
  15. 폐플라스틱을 반송하는 분류컨베이어와,
    해당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의 재질을 식별하는 재질식별장치와,
    해당 재질식별장치의 재질식별범위에 들어가는 폐플라스틱의 투영면적을 증대시키는 투영면적증대수단과,
    상기 투영면적증대수단이 상기 분류컨베이어의 반송면상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접하면서 동시에 회전하는 와이어벨트이고,
    상기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을 소정의 위치에서 제거하는 제거수단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의 반송속도를 검지하는 속도센서와,
    상기 분류컨베이어상의 폐플라스틱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센서와,
    상기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선별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
    해당 압축공기분사노즐은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반송면상에 압축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컨베이어반송면에 가까운 하층에서는 상층보다도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노즐이고,
    분사에 의해 날려 버려진 물품을 회수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장치.
  30.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노즐;
    해당 압축공기노즐은 복수의 분사구를 갖고,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에 가까운 저위치에 배치된 분사구로부터는 상대적으로 약한 압축공기가 분사되며, 상기 저위치의 분사구보다도 위쪽의 고위치에 배치된 분사구로부터는 상대적으로 강한 압축공기가 분사되고;
    분사에 의해 날려 버려진 물품을 회수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장치.
  31. 물품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장치;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상의 물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상기 반송장치의 측면에 상기 반송장치의 반송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압축공기분사노즐;
    해당 압축공기분사노즐은 복수의 분사구를 갖고, 상기 반송장치의 컨베이어반송면에 가까운 저위치에 배치된 분사구 및 상기 저위치의 분사구보다도 위쪽의 고위치에 배치된 분사구로부터 대략 동등한 강도의 압축공기가 분사되며, 상기 저위치의 분사구는 상기 반송장치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고위치의 분사구는 상기 반송장치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사에 의해 날려 버려진 물품을 회수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장치상에 물품이 투입된 것을 검출하는 물품검출센서;
    상기 반송장치상에서 물품의 위치를 계속 특정하는 위치센서;
    물품의 색, 재질 및 형상 중의 어느 쪽인가 하나의 성상 또는 복수의 성상을 검사하는 물품성상검사센서;
    상기 물품검출센서의 출력 및 상기 위치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물품성상검사센서의 작동시기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압축공기분사노즐의 분사시기를 결정하여 상기 물품을 회수수단으로 보내주는 제어장치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장치.
KR10-2002-7006017A 1999-12-13 2000-07-26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KR100496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53519 1999-12-13
JP35351999A JP3350494B2 (ja) 1999-02-26 1999-12-13 廃棄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
JP35837099A JP2001170570A (ja) 1999-12-17 1999-12-17 プラスチック材選別方法及び装置
JPJP-P-1999-00358370 1999-12-17
JPJP-P-2000-00136695 2000-05-10
JP2000136695A JP2001318052A (ja) 2000-05-10 2000-05-10 廃プラスチックの材質識別装置
JPJP-P-2000-00150920 2000-05-23
JP2000150920A JP2001327930A (ja) 2000-05-23 2000-05-23 高速仕分け装置
JP2000206103A JP2002018364A (ja) 2000-07-07 2000-07-07 廃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JPJP-P-2000-00206103 2000-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30A KR20020048430A (ko) 2002-06-22
KR100496104B1 true KR100496104B1 (ko) 2005-06-17

Family

ID=2753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017A KR100496104B1 (ko) 1999-12-13 2000-07-26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7600B2 (ko)
EP (1) EP1240951A4 (ko)
KR (1) KR100496104B1 (ko)
TW (1) TW464546B (ko)
WO (1) WO2001041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1317A1 (en) * 2002-06-14 2003-12-18 Fabricas Monterrey, S.A. De C.V. System and device for detecting and separating out of position object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ES2223247B1 (es) * 2002-11-22 2006-04-16 Tomas Mulet Valles Maquina alimentadora-dispensadora de recipientes y articulos alargados en general.
US7121399B2 (en) * 2003-02-21 2006-10-17 Mills George A Small item pneumatic diverter
GB0322043D0 (en) * 2003-09-20 2003-10-22 Qinetiq Ltd Apparatus for,and method of,classifying objects in waste stream
US7264124B2 (en) 2003-11-17 2007-09-04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US7757863B2 (en) 2003-11-17 2010-07-20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lass recycling at a beneficiator and/or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GB0405801D0 (en) * 2004-03-16 2004-04-21 Herbert Roderic J Apparatus for aligning crop for grading articles
JP4372599B2 (ja) * 2004-03-31 2009-11-25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ワークの分類排出方法
KR100612061B1 (ko) * 2004-07-08 2006-08-14 이준창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방법
AU2005306872A1 (en) * 2004-11-12 2006-05-26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 for and method mixed-color cullet characterization and certification, and providing contaminant-free, uniformly colored mixed color cullet
AU2013257403B2 (en) * 2006-09-11 2015-06-25 Veolia Proprete Sequential selective sorting method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it
FR2905613B1 (fr) * 2006-09-11 2008-11-14 Veolia Proprete Sa Procede de tri selectif sequentiel et installation pour sa mise en oeuvre.
US8459466B2 (en) 2007-05-23 2013-06-11 Re Community E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 single-stream materials recovery facility
KR100817721B1 (ko) * 2007-10-24 2008-03-3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플라스틱 선별장치
NO329603B1 (no) * 2007-11-22 2010-11-22 Integrated Optoelectronics As Fremgangsmate og system for maling og bestemmelse / gjenkjenning av ulike materialer
US8074781B1 (en) * 2008-09-22 2011-12-13 Reardon Machine Co., Inc. Vial sorting apparatus
KR101327623B1 (ko) * 2009-02-13 2013-11-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의 선별 방법 및 선별 장치
US8943934B2 (en) * 2011-10-14 2015-02-03 Hasko Machines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board edge waste strips in a ripsawing operation
US11962876B2 (en) 2014-01-31 2024-04-16 Digimarc Corporation Recycling methods and systems, and related plastic containers
US20190306385A1 (en) 2014-01-31 2019-10-03 Digimarc Corporation Concerning digital marking and reading of plastic items, useful in recycling
CN106276164B (zh) * 2015-05-29 2018-09-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整列机
NL2014986B1 (en) * 2015-06-18 2017-01-23 Filigrade B V Waste separation method.
US10668506B2 (en) * 2018-04-24 2020-06-02 Beumer Group Gmbh & Co. Kg. Sorting conveyor with article removal device
US11878327B2 (en) 2019-03-13 2024-01-23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orting items, useful in recycling
US20220193957A1 (en) * 2020-12-22 2022-06-23 Heidi Kujawa Apparatus for forming an article
US11453556B2 (en) 2021-01-05 2022-09-27 Impact Automation, Inc. Stepped accumulation chute
KR102497466B1 (ko) * 2021-02-19 2023-02-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분리 수거 장치
EP4301525A1 (en) * 2021-03-04 2024-01-10 Ishitva Robotic Systems Pvt Ltd Air sorting unit
TWI815760B (zh) * 2022-12-27 2023-09-11 皇丞創新科技股份有限公司 資源回收分類系統及其資源回收物辨識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28638A (fr) * 1950-11-30 1953-05-26 Continentale De Mesure Et D An Machine à calibrer les fruits et autres produits analogues
JPS472299B1 (ko) * 1968-09-27 1972-01-22
IT1181136B (it) * 1984-10-30 1987-09-23 Squeri Donata & C Aicma Snc Dispositivo ad elevata produttivita per orientare/allineare/raddrizzare bottiglie di vetro e non, a partire dalle stesse ammassate alle rinfusa
US5201397A (en) * 1990-10-05 1993-04-13 Electrocom Automation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stack of products into a stream of single products for sorting
KR940009663A (ko) 1992-10-02 1994-05-20 이토 기요시 부품검사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검사방법
JPH06167323A (ja) * 1992-10-02 1994-06-14 Seiko Instr Inc 部品検査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US5699724A (en) 1992-12-02 1997-12-23 Buhler Ag Cleaning and sorting bulk material
GB2273154B (en) 1992-12-02 1996-12-11 Buehler Ag Method for cleaning and sorting bulk material
US5443164A (en) * 1993-08-10 1995-08-22 Simco/Ramic Corporation Plastic container sorting system and method
JPH081101A (ja) 1994-06-23 1996-01-09 Japan Steel Works Ltd:The プラスチック容器の原料による選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07168B2 (ja) * 1995-06-23 2002-07-24 日本鋼管株式会社 廃棄瓶の選別装置
JP3806163B2 (ja) * 1995-09-22 2006-08-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の材質識別装置
JPH09159530A (ja) 1995-12-08 1997-06-20 Satake Eng Co Ltd 受光センサ−アンプと色彩選別装置
US5746323A (en) * 1995-12-11 1998-05-05 M.W.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high speed inspection of objects
JPH09220532A (ja) 1996-02-16 1997-08-26 Kobe Dock Kogyo Kk 高速供給装置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分別装置
JPH1025019A (ja) * 1996-05-08 1998-01-27 Nkk Corp 空瓶の整列装置
JPH10194433A (ja) * 1997-01-07 1998-07-28 Kao Corp 物品整列機
US6076683A (en) * 1997-10-29 2000-06-20 Sandvik Sorting Systems, Inc. Sorter mechanism
JP3249779B2 (ja) 1998-06-15 2002-01-21 インテグレイテッド リサイクリング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プラスチック容器を搬送する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容器を選別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4546B (en) 2001-11-21
EP1240951A1 (en) 2002-09-18
US20030015461A1 (en) 2003-01-23
EP1240951A4 (en) 2007-09-26
US6637600B2 (en) 2003-10-28
WO2001041945A1 (fr) 2001-06-14
KR20020048430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104B1 (ko)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EP0876852B1 (en)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aterial
EP2064004B1 (fr) Procede de tri selectif sequentiel de flux de dechets et installation pour sa mise en oeuvre
US20070158245A1 (en) Sorting System Using Narrow-B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CA2757936C (en) Device for the return of empties, in particular plastic bottles and metal cans
US4889241A (en) Discharge chute with variable slope bottom for fragile article sorting system
JP4327458B2 (ja) バラ積み容器供給装置
WO2012137433A1 (ja) 光学式選別機
KR200495517Y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US20200331713A1 (en) Storage apparatus for bulk material, in particular wood chips, and a filling method
EP43519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ortation
JP2000157937A (ja) 高速仕分装置
JP4764019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3400931B2 (ja) 分別装置
CN111093847B (zh) 物体输送和/或分选系统
JP3350494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
JP2003275692A (ja) 光学式材質選別装置
KR100315003B1 (ko) 폐유리병색별선별방법및그장치
JP3659478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多数列整列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この廃棄プラスチックの多数列整列装置を用いた廃棄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
JP2012139650A (ja) 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選別装置
JPS6031871A (ja) 不定形物品の選別方法及び装置
JPS63186105A (ja) 頭付き部品の検査選別装置
JP2001327930A (ja) 高速仕分け装置
JPH10174936A (ja) 廃棄瓶色別選別装置
AU737854B2 (en)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