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721B1 - 플라스틱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721B1
KR100817721B1 KR1020070107324A KR20070107324A KR100817721B1 KR 100817721 B1 KR100817721 B1 KR 100817721B1 KR 1020070107324 A KR1020070107324 A KR 1020070107324A KR 20070107324 A KR20070107324 A KR 20070107324A KR 100817721 B1 KR100817721 B1 KR 10081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rting
plastic
plastic waste
pla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지의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filed Critical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to KR102007010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Abstract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킨 플라스틱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일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유닛, 상기 안내유닛에 의해 안내된 플라스틱 폐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분석함으로써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며,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다른 플라스틱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선별유닛,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 및 상기 선별유닛에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으로 재안내하는 회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선별유닛을 사용하여 다종의 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플라스틱 선별에 따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 플라스틱, 선별, 근적외선, 회수

Description

플라스틱 선별장치{Plastic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플라스틱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킨 플라스틱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은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부패가 되지 않고 토양에 환원되지 않아 안정적인 지반형성을 방해하고 장기적으로는 토양오염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각을 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운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하여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줄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토양, 물 등을 오염시켜서 2차적으로 인체에 흡수되어 돌연변이에 의한 기형아 출산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매립이나 소각이 아닌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 문제는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을 위해서는 플라스틱류 제품을 재활용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류 제품의 구체적인 원료에 따라 재분류를 하여야 한다. 참고로, 플라스틱 폐기물은 원료에 따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음료수병, 식기, 육 류포장류등), PE(polyethylene: 우유병, 세제용기, 비닐봉투, 쇼핑백), PP(polypropylene: 마가린, 잡화봉투, 병뚜껑, 카펫, 식용랩), PS (polystyrene: 요구르트병, 요리기구, 행거, 발포용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 별로 선별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선별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선별장치(10)는, 총 4종의 플라스틱류를 원료 별로 선별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각각 다른 플라스틱류 제품을 선별하는 선별유닛(12,14,16,18)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재활용 가능한 재활용품은 먼저 제1선별유닛(12)을 거치면서 PET 성분의 플라스틱류 제품을 선별하게 되고, 제2선별유닛(14)을 거치면서 PS 성분의 플라스틱류 제품을 선별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선별유닛(16)을 거치면서 PE 성분의 플라스틱류 제품을 선별하게 되고, 제4선별유닛(18)을 거치면서 PP 성분의 플라스틱류 제품을 선별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선별유닛을 거친 재활용품은 별도의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수작업에 의해 개별적으로 선별되거나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근적외선에 의한 선별방식은, 플라스틱의 표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분석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PET, PE, PP, PS의 4종으로 선별하 기 위해 총 4개의 선별유닛(12,14,16,18)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각각의 선별 대상 플라스틱류는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더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류 선별을 위해 선별유닛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플라스틱 선별장치는 선별 대상이 되는 플라스틱류의 수만큼 선별유닛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류 선별을 위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다종의 플라스틱류 선별을 위해 선별하려고 하는 대상 플라스틱류의 수만큼 선별유닛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가인 선별유닛의 구비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선별유닛을 사용하면서도 다종의 플라스틱류 제품을 선별할 수 있는 플라스틱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종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면서 공간을 최소화하고 선별에 따른 소요 비용을 절감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일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유닛, 상기 안내유닛에 의해 안내된 플라스틱 폐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분석함으로써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다른 플라스틱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선별유닛,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 및 상기 선별유닛에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으로 재안내하는 회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안내부 사이에는 복수 개의 구획부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유닛은 복수 개의 선별 대상 플라스틱류를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복수 개의 선별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닛은 선별된 플라스틱류를 상기 복수 개의 선별배출부 중 상기 안내유닛과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선별배출부로 유도하는 배출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안내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안내부는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후 서로 다른 상기 선별배출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남은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잔여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의 안내방향과 반대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제1이송부 및 제1이송부와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선별유닛에서 상기 안내유닛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제1이송부와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제1이송부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분석하여 서로 다른 플 라스틱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플라스틱 폐기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노즐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노즐을 포함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수유닛을 통해 선별유닛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류를 순환시킴으로써, 하나의 선별유닛으로 다종의 플라스틱류를 원료 별로 선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여러 가지의 플라스틱을 선별하기 위해 다수의 선별유닛을 구비하지 않더라고 다종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선별을 위한 장치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둘째, 하나의 선별유닛으로 다종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고가인 선별유닛의 구비에 따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류 선별을 위한 장치 구성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 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100)는, 크게 안내유닛(110), 선별유닛(120), 배출유닛(130) 및 회수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유닛(110)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유닛(120)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은 그 원료에 따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음료수병, 식기, 육류포장류 등), PE(polyethylene: 우유병, 세제용기, 비닐봉투, 쇼핑백), PP(polypropylene: 마가린, 잡화봉투, 병뚜껑, 카펫, 식용랩), PS(polystyrene: 요구르트병, 요리기구, 행거, 발포용기) 등을 포함하며, 재활용을 위해 원료 별로 분류되어야 한다.
상기 안내유닛(11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며, 도 2는 이에 대한 일 예로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 형태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유닛(110)은 서로 평행한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안내부(112,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한 쌍의 안내부(112,114)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안내부(112,114)는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들 사이에 구비된 구획부(116)에 의해 서로 구획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각각의 안내부(112,114)에서 안내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닛(110)의 양 측부에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경계부(118,119)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유닛(110)의 안내 이송속도는 설치환경이나 선별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송속도가 너무 느리면 하부로 선별되는 플라스틱류의 순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선별의 효율과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의 안내유닛(110)은 2.8 ~ 3 m/s 의 이송속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안내부(112,114) 각각은 후술하는 복수 개의 선별배출부(131,132,133,134) 중 특정 선별배출부(131,132,133,134)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선별유닛(120)은 상술한 안내유닛(110)을 통해 안내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성분 별로 분류하는 기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성분 분석을 위해 근적외선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별유닛(120)은 플라스틱의 표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 분석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성분 별로 분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조사하는 적외선의 파장에 따라서 근적외선(파장영역: 1∼1.5㎛), 중적외선(파장영역: 2.5∼25㎛), 원적외선(파장영역: 25∼100㎛)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중적외선의 투과영역이 넓기 때문에 시료에 따라서 적외선의 흡수율이 높아 판별하고자 하는 시료의 두께를 얇게 해야 하는 반면,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중적외선 영역만큼 흡수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시료를 얇게 할 필요가 없고 신속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재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플라스틱의 신속한 판별법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유닛(120)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122),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분석하여 서로 다른 플라스틱류를 감지하는 감지부(124) 및 상기 감지부(124)에서 감지된 플라스틱 폐기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노즐부(126,1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126,128)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A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노즐(126)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B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노즐(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24)는, 한번에 2종의 플라스틱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는 제1노즐(126)과 연동되어 A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른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는 제2노즐(128)과 연동되어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감지부(124)에서 감지되지 않은 잔여 플라스틱류는 C방향을 따라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24)는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어 있어,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안내부(112,114)와 대응하여 각각의 경로에서 특정 플라스틱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124)와 노즐부(126,128)의 수평거리는 플라스틱 선별의 효율이나 순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효율과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감지부(124)와 노즐부(126,128)의 거리는 150 mm이내로 배치된다.
상기 배출유닛(130)은, 상기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 제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술한 안내유닛(110)과 유사하게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130)은, 안내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2선별배출부(132)와 제3선별배출부(133), 안내부와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제1선별배출부(131)와 제4선별배출부(134), 안내부와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선별배출부(131,134)로 선별된 플라스틱류를 안내하는 배출안내부(152,154,156) 및 모든 선별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남은 잔여 플라스틱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잔여배출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유닛(110)과 배출유닛(130)과의 사이에서 선별과정 중 플라스틱 폐기물의 구체적인 이동경로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회수유닛(140)은 상기 선별유닛(120)을 일차적으로 거친 후 남은 잔여 플라스틱류를 상기 안내유닛(110)으로 재안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잔여 플라스틱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수유닛(140)은 구체적으로, 제1이송부(142), 제2이송부(144) 및 보조 이송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이송부(142)는 제2이송부(144) 및 보조 이송부(146)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 2는 제1이송부(142)와 제2이송부(144) 및 보조 이송부(146)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보조이송부는 선별유닛(120)에서 제1이송부(142)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1차 선별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제1이송부(142)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복수 개의 이송부가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1차 선별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류는 보조 이송부(146), 제1이송부(142) 및 제2이송부(14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안내유닛(110)으로 재안내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회수유닛(140)은 곡선 형태로 배치된 하나의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선별유닛(120)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류를 곧바로 상기 안내유닛(110)으로 재안내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이송부(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유닛(120)에서 상기 안내유닛(110)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어, 선별유닛(120)을 빠져나온 후 이보다 높은 안내유닛(11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안내유닛(110)과 배출유닛(1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과정에서의 구체적인 이동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내유닛(110)은 복수개의 안내부(112,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는 제 1 안내부(112)와 제2안내부(114)로 구성된 안내유닛(110)의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 1 안내부(112)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1차 선별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유닛(12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안내부(114)는 1차 선별되고 난 후 회수유닛(140)을 통하여 제2 안내부(114)로 이동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의 2차 선별을 위하여 선별유닛(12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유닛(130)은 선별배출부(131,132,133,134), 배출안내부(152,154,156) 및 잔여배출부(136)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1차 선별시, 제 1안내부를 통하여 안내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플라스틱을 직접 배출하는 제 3 선별배출부(133)와 제 1배출안내부(152)를 경유하여 배출하는 제 4 선별배출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2차 선별시 제2안내부(114)를 통하여 안내된 플라스틱 폐기물 중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플라스틱을 직접 배출하는 제2 선별배출부(132), 제 2 배출안내부(154)를 경유하여 배출하는 제 1 선별배출부(131), 제3배출안내부(156)를 통하여 배출하는 잔여배출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3배출안내부(156)는 선별유닛(120)에서 잔여배출부(136)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최종 선별된 후의 잔여 플라스틱의 잔여배출부(136)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도 5의 구체적인 성분 별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경로는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PET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제1안내부(112)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으로 이동되어 선별된 후 직접 제3선별배출부(133)를 통하여 배출된다.
PS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제1안내부(112)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으로 이동되어 선별된 후 제1배출안내부(152)를 통하여 제4선별배출부(134) 측으로 이동된 후 제 4 선별배출부(134)를 통하여 배출된다.
즉, 제1안내부(112)를 통해 안내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감지부(124)를 통해 PET 계열과 PS 계열을 감지하여 제1노즐(126)과 제2노즐(128)을 통해 특정 배출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1차 선별된 후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은 회수유닛(140), 구체적으로는 보조이송부(146), 제1이송부(142) 및 제2이송부(144)를 통하여 제2안내부(114)로 회수되고 선별유닛(120)으로 이동하여 2차 선별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 2차 선별을 위한 회수과정에서 선별유닛(120) 내의 감지부(124)는 1차 선별시의 감지부(124)와 다르게 설정된다. 즉, 제2안내부(114)를 통해 안내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감지부(124)를 통해 PE 계열과 PP 계열을 감지하여 상부와 제2노즐(128)을 통해 특정 배출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2차 선별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배출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E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제2안내부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후 직접 제2선별배출부(132)를 통하여 배출된다.
PP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제2안내부(114)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에서 2차 선별된 후 제2배출안내부(154)로 이동되고 제1선별배출부(131)를 통하여 배출된다.
2차 선별된 후의 최종 잔여 플라스틱은 제2안내부(114)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후 제3배출안내부(156)를 통하여 잔여배출부(136)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선별유닛은 분리막(125)이 형성되어 있어 선별유닛(120)의 좌우를 두 개의 선별실로 분리하여 좌우 선별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플라스틱 선별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변형예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20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는 안내유닛(110), 선별유닛(120), 배출유닛(230) 및 회수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수유닛(140)이 안내유닛(110)으로 잔여 플라스틱류를 재안내함으로써 하나의 선별유닛(120)을 통해 다종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선별유닛(120)을 한번 거칠 때마다 2종의 플라스틱류가 선별되는 반면, 본 변형예에서는 특정 성분은 단일 플라스틱류만 선별하게 된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선별유닛(120)은 제1노즐(126; 도 4 참조)만 구비되어 있어, 선별유닛(120)을 거칠 때마다 1종의 플라스틱류만 선별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이 선별유닛(120)을 한번 거칠 때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가 선별되고, 회수유닛(140)을 통해 안내유닛(110)으로 재안내되는 잔여 플라스틱류에서 다시 선별유닛(120)을 거칠 때에는 또 다른 성분의 플라스틱류가 선별되고 최종적으로 남은 플라스틱류는 잔여배출부(2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PET계열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고, 2차적으로 PE계열 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경우 각각의 플라스틱류의 구체적인 이동경로는 다음과 같다.
PET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제1안내부(112)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으로 이동되어 선별된 후 직접 제1선별배출부(232)를 통하여 배출된다.
1차 선별된 후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은 회수유닛(140), 구체적으로는 보조 이송부(144), 제1이송부(142) 및 제2이송부(144)를 통하여 제2안내부로 회수되고 선별유닛(120)으로 이동하여 2차 선별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PE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제2안내부(114)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후 직접 제2선별배출부(233)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2차 선별된 후의 최종 잔여 플라스틱은 제2안내부(114)를 통하여 선별유닛(120)에서 선별된 후 배출안내부(256)를 통하여 잔여배출부(136)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선별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 5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선별과정을 나타내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안내유닛 112: 제1안내부
114: 제2안내부 120: 선별유닛
130: 배출유닛 140: 회수유닛
142: 제1이송부 144: 제2이송부
146: 보조 이송부

Claims (12)

  1. 플라스틱 폐기물을 일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유닛;
    상기 안내유닛에 의해 안내된 플라스틱 폐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분석함으로써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다른 플라스틱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선별유닛;
    상기 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남은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잔여배출부를 포함하는 배출유닛; 및
    상기 선별유닛에서 특정 성분의 플라스틱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으로 재안내하는 회수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내부 사이에는 복수 개의 구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복수 개의 선별 대상 플라스틱류를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복수 개의 선별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선별된 플라스틱류를 상기 복수 개의 선별배출부 중 상기 안내유닛과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선별배출부로 유도하는 배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안내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안내부는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후 서로 다른 상기 선별배출부로 이동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의 안내방향과 반대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제1이송부; 및
    제1이송부와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안내유닛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선별유닛에서 상기 안내유닛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제1이송부와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선별유닛을 거친 잔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기 제1이송부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분석하여 서로 다른 플라스틱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플라스틱 폐기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노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1노즐;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장치.
KR1020070107324A 2007-10-24 2007-10-24 플라스틱 선별장치 KR10081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324A KR100817721B1 (ko) 2007-10-24 2007-10-24 플라스틱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324A KR100817721B1 (ko) 2007-10-24 2007-10-24 플라스틱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721B1 true KR100817721B1 (ko) 2008-03-31

Family

ID=3941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324A KR100817721B1 (ko) 2007-10-24 2007-10-24 플라스틱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7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49B1 (ko) 2009-05-08 2010-04-20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구획공간 가변형 안내컨테이너가 구비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101262221B1 (ko) * 2013-03-08 2013-05-15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시분할 제어 방식 재활용 선별장치
KR101387708B1 (ko) 2013-03-08 2014-04-2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점유도 기반 자동제어 방식 재활용 선별장치
KR101427548B1 (ko) 2009-02-13 2014-08-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의 선별 방법 및 선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768A (ja) * 1995-09-22 1997-04-04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スチックの材質識別装置
KR20020048430A (ko) * 1999-12-13 2002-06-22 야마오카 요지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KR20040085703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이오니아 플라스틱 자동 분류장치 및 자동 분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9768A (ja) * 1995-09-22 1997-04-04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スチックの材質識別装置
KR20020048430A (ko) * 1999-12-13 2002-06-22 야마오카 요지로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KR20040085703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이오니아 플라스틱 자동 분류장치 및 자동 분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48B1 (ko) 2009-02-13 2014-08-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의 선별 방법 및 선별 장치
KR100953449B1 (ko) 2009-05-08 2010-04-20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구획공간 가변형 안내컨테이너가 구비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101262221B1 (ko) * 2013-03-08 2013-05-15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시분할 제어 방식 재활용 선별장치
KR101387708B1 (ko) 2013-03-08 2014-04-2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점유도 기반 자동제어 방식 재활용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4850B1 (en) Method for classifying and separation of plastic containers
EP0876852B1 (en)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aterial
US5314072A (en) Sorting plastic bottles for recycling
JP2003166879A (ja) 使用済みボトルの色別・材質別選別装置
KR100817721B1 (ko) 플라스틱 선별장치
JPH06506149A (ja) プラスチック物品を分類する方法及び装置
JP5523257B2 (ja) 選別装置
JP5528014B2 (ja) 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JP2009279553A (ja) 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JP2019177951A (ja) インライン製品検査システムのための回収箱、およびインライン製品検査システム
JP5283256B2 (ja) 空き缶・廃ペットボトルの選別方法及び装置
JP3806163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材質識別装置
KR100953449B1 (ko) 구획공간 가변형 안내컨테이너가 구비된 플라스틱 선별장치
KR101089660B1 (ko) 일체형 배출안내방식의 플라스틱 선별장치
JP3400931B2 (ja) 分別装置
KR101387708B1 (ko) 점유도 기반 자동제어 방식 재활용 선별장치
JP2004074151A (ja) プラスチックの材質識別装置
JP2009279551A (ja) 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Summers et al. Use of X‐ray fluorescence for sorting vinyl from other packaging materials in municipal solid waste
JP2002137224A (ja) 廃プラスチック分別処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乾式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262221B1 (ko) 시분할 제어 방식 재활용 선별장치
JP2019171332A (ja) 空き缶・廃ペットボトルの選別装置
JPH0899317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回収装置
JPH11104570A (ja) びん選別装置
KR101732478B1 (ko) 단일 압축기의 적체 방지를 위한 컨테이너 포화도 기반 자동제어가 수행되는 재활용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807

Effective date: 200905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08

Effective date: 20100113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12

Effective date: 201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