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012B1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 Google Patents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012B1
KR100496012B1 KR10-2002-0075493A KR20020075493A KR100496012B1 KR 100496012 B1 KR100496012 B1 KR 100496012B1 KR 20020075493 A KR20020075493 A KR 20020075493A KR 100496012 B1 KR100496012 B1 KR 10049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aic virus
primer
nucleic acid
cucumber mosaic
nucleotid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332A (ko
Inventor
이수헌
조원대
명인식
김충회
정선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2-007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0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C12Q1/701Specific hybridization pro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1/0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 C12Q2531/1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being amplify/increase the copy number of target nucleic acid
    • C12Q2531/113PC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핵산단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또는 이들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실시된 변형서열의 어느 하나의 핵산단편 또는 이들 핵산 단편의 특정 조합으로 구성되는 프라이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혈청을 이용한 진단방법보다 1,000배 이상 검출한계가 높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모든 계통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관련 바이러스와의 비특이적 반응이 없어 훨씬 정밀하게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Specific Primers for Detec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본 발명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핵산단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또는 이들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실시된 변형서열의 어느 하나의 핵산단편 또는 이들 핵산 단편의 특정 조합으로 구성되는 프라이머에 관한 것이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는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으며,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바이러스로서 여러 기주에서 많은 계통들이 알려져 있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는 감염된 식물체의 즙액 뿐만 아니라 매개충에 의해서도 쉽게 전염되는 바이러스이다.
일반적으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계통 간에는 상당한 변이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진단 방법은 혈청학적 진단 방법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하지만 동 방법으로는 계통간 변이가 존재하는 경우 검출능의 한계로 인해 검출에 실패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실정이나 아직 이렇다 할 대안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상기 종래 기술이 지니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계통간 변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종에 걸쳐 광범위한 검출 스펙트럼을 가지는 핵산단편 내지는 프라이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또는 이들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실시된 변형서열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핵산단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관점에 있어서의 핵산단편은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또는 그 상보적인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염기서열의 일부결실, 과잉의 염기 또는 염기서열의 부가, 또는 염기 서열 중의 염기 또는 부분서열의 다른 염기서열로의 치환, 또는 이들의 복합인 서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관점에 있어서의 핵산단편은 상기 핵산단편의 분자상에 결합하는 표식물 및/또는 고체상 담체에 결합가능한 부위가 도입된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변형서열의 경우 실질적으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게놈과 혼성화(hybridization)능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일부 염기의 결실, 삽입, 부가 및 치환된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변형서열은 박과작물에서 발견되는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큐리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2,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등의 게놈과 혼성화가 가능하지 않은 정도의 변형이어야 한다.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로 사용되는 경우 변형된 염기의 수는 혼성화능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한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아니하나, 통상 변이의 결과 얻어진 핵산단편의 총 염기 개수가 10∼5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핵산단편이 프라이머로 사용되는 경우 변이의 위치는 혼성화를 방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의 단계 중 신장단계(elongation step)에 영향을 미치는 3'말단 부위는 배제되거나, 최소한도의 변이만이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핵산단편의 분자상에 결합하는 표식물(marker)은 방사선 물질 또는 비방사선 물질의 어느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방사선 물질은 예를 들면, 인산에스테르 부분에 방사선 동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비방사선 표식물의 예로는 로다민, 플로오로세인 및 이들 유도체 등의 형광물질 등일 수 있다. 또한 간접적인 표식물로서 비오틴, 햅텐 등이 도입될 수도 있다.
고상 담체(solis-phase carrier)와 결합가능한 부위는 예를 들면, 샌드위치혼성화 반응 등 핵산의 특이 단편을 고상 담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경우에 이용된다. 고상 담체는 중합효소 연쇄반응 생성물의 선택적인 검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들 고상 담체의 예로는 예로는 아가로스비드, 폴리아크릴비드, 라텍스, 마이크로타이터, 폴리스티렌볼 등의 고상담체에 프라이머 중에 도입된 결합부위를 포착가능하도록 프트렙토아비딘, 항체 등을 도입한 것 등이 있다.
상기 포식물 또는 고상담체와 결합가능한 부위는 프라이머로 사용되는 경우 중합연쇄반응시 신장에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말단부위에 도입된다.
본 발명의 핵산단편의 서열과는 상이하지만 상기와 같이 핵산단편에서 변형서열, 표식물, 고체상 담체 등을 사용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가 특허공개 2001-00951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 2관점에 의한 본 발명은 핵산단편의 조합으로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서열번호 5 또는 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또는 이들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실시된 변형서열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핵산단편;
상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핵산단편과 조합되며,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서열번호 9 또는 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또는 이들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실시된 변형서열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핵산단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관점에 의한 프라이머를 구성하는 핵산단편은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또는 그 상보적인 염기서열에 의거한 변이가 염기서열의 일부결실, 과잉의 염기 또는 염기서열의 부가, 또는 염기 서열 중의 염기 또는 부분서열의 다른 염기서열로의 치환, 또는 이들의 복합인 서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관점에 의한 프라이머를 구성하는 핵산단편은 상기 핵산단편의 분자상에 결합하는 표식물 및/또는 고체상 담체에 결합가능한 부위가 도입된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관점에서의 프라이머를 구성하는 핵산단편에서 변형서열, 표식물, 고체상 담체 등은 앞서 제 1측면에 의한 본 발명의 내용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핵산 단편 또는 핵산단편의 조합을 프라이머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를 미지의 바이러스의 게놈에 부가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해 얻어진 산물로부터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프라이머 신장반응은 예를 들면 유전자의 PCR증폭반응에 이용되는 효소, 반응조건 등에 대해서는 각종 수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기본이 되는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은 각종 PCR법의 어느 것에 의하더라도 프라이머로서 충분한 길이 및 염기서열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각종 PCR의 어느 것을 적용하더라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부가적인 변형, 염기길이의 조정, 변이의 도입 등을 필요에 따라 실시하여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바이러스의 분리 및 유지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된 바이러스의 분리 방법 및 유지는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상 바이러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핵산단편 내지는 프라이머를 개발하기 위해 대상 바이러스인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대조 바이러스로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큐리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Kyuri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2 (Watermelon mosaic virus 2, WMV2), 및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ZYMV)가 이용되었다.
(2) 실험대상 바이러스의 분리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는 오이, 고추로부터,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는 수박, 오이 및 참외로부터, 큐리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는 쥬키니호박과 오이로부터,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2는 메론으로부터, 그리고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는 호박으로부터 각각 분리되었다.
상기 분리된 바이러스는 명아주 (Chenopodium amaranticolor)를 사용하여 식물바이러스 분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병반분리법으로 순수분리한 다음, 박과식물에 접종하여 그대로 유지시킨 것이다.
<실시예 2> 프라이머의 설계
(1)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들의 유전정보 분석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모든 계통에 사용할 수 있는 진단용 프라이머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까지 알려진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들의 유전정보를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에 사용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들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프라이머 설계에 이용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
분리주명 Genbank accession code
CMV-C7-2 D42079
CMV-E5 D42080
CMV-Fny D10538
CMV-Kin Z12818
CMV-Kor L36251
CMV-legume D16405
CMV-M D10539
CMV-M48 D49496
CMV-NT9 D28780
CMV-O D00385
CMV-Q J02059
CMV-trk7 L15336
CMV-Y D12499
프라이머 합성을 위한 염기서열 분석은 외피단백질 (coat protein, CP)과 이동단백질(movement protein, MP)을 포함하는 3' 말단영역 (3' untranslated region, 3'UTR)을 대상으로 하였다.
(2) 공통 염기서열의 탐색
상기 영역에서 모든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계통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염기서열 중에서 프라이머로서의 조건에 맞는 서열을 탐색하여 7개의 업 스트림 프라이머와 6개의 다운 스트림 프라이머를 하기 표 2와 같이 합성하였다. 합성과정은 화학합성법을 이용하였으며, DNA 자동합성기 모델 381A(퍼킨 엘머사)이 이용되었다.
<표 2>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종 특이적으로 설계한 프라이머
프라이머 염기서열 (5'→3') 크기
서열 1 CCAAGGTACCAGTAGGAC 18
서열 2 GCTACTGAGTGTGACCTA 18
서열 3 TGAGTGTGACCTAGGCCGGCAT 22
서열 4 AGCGTGTGTAGTAATTGGCAAG 22
서열 5 GCTCGCCTGTTGAAGTCGCA 20
서열 6 CGCAGGTGGTTAACGGT 17
서열 7 ATTTGATTCTACCGTGTGG 19
서열 8 CCGAAGAAACCTAGGAGATG 20
서열 9 CGACTGACCATTTTAGCCGTA 21
서열 10 GTAAGCTGGATGGACAACCCGT 22
서열 11 CCACACGGTAGAATCAAAT 19
서열 12 ACCGTTAACCACCTGCG 17
서열 13 TGCGACTTCAACAGGCGAGC 20
상기 설계한 각 프라이머의 위치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프라이머 선발
1. 본 발명을 위해 사용한 총(Total) RNA 분리방법과 RT-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총 RNA 분리
총 RNA는 구아니딘산-페놀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감염식물체 50 ㎎에 변성완충액(4 M 구아니디니움티오시아네이트, 25 mM 소듐시트레이트, 0.5% sarcosyl, 100 mM 2-머켑토에탄올) 600 ㎕를 넣고 유발과 유봉을 이용하여 마쇄하였다.
여기에 2 M 소듐아세테이트 (pH 4.0) 60 ㎕를 첨가하고,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밀알콜 (125:24:1) 600 ㎕를 첨가하여 혼합 후, 얼음에 15분간 정치시키고 10,000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그런 다음, RNA를 함유하고 있는 수층을 채취하여 같은 양의 이소프로판올과 혼합한 다음 -20℃에서 30분간 정치시키고 10,000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변성완충액 500 ㎕로 녹인 다음, 같은 양의 이소프로판올과 혼합하여 -20℃에서 30분간 정치시키고 10,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그런 다음, 침전물을 75% 에탄올과 원심분리로 3회 세척하고, 100 ㎕ 증류수로 녹인 것을 냉동보관시켰다.
(2)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
RT-PCR은 아래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역전사는 5배의 역전사완충액 (250 mM Tris-HCl, 40 mM MgCl2, 150 mM KCl, 5 mM 디티오스레이톨, pH 8.5) 4 ㎕, AMV 역전사효소 2.5 U, 10 mM dNTP 2 ㎕, RNase 억제제 10 U, 다운스트림 프라이머 25 pmole, 및 총 RNA 1 ㎕를 넣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액을 20 ㎕로 만든 후, 42℃에서 30분간 역전사 반응을 실시하고 95℃에서 2분간 처리한 다음 4℃로 냉각시켰다.
PCR은 상기 역전사 반응액 20 ㎕에 10배의 PCR 완충액 (100 mM Tris-HCl, 15 mM MgCl2, 500 mM KCl, pH 8.3) 8 ㎕, 업스트림 프라이머 25 pmole, Taq DNA 중합효소 2.5 U를 넣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 ㎕ 반응액으로 조성하였다.
PCR은 반응액을 95℃에서 2분간 변성시킨 후, 94℃에서 45초, 58℃에서 1분, 72℃에서 1분 간 총 40회 실시하였다. PCR 산물은 1.2% 아가로오즈젤에서 분석하였다.
2. 합성한 프라이머는 RT-PCR 산물의 크기를 감안하여 업스트림 프라이머와 다운스트림 프라이머를 한 쌍으로 34가지로 조합하였다. 상기 34가지 조합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감염된 작물에서 분리한 총 RNA와 RT-PCR을 실시하여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에 보다 효과적인 조합을 1차 선발하였다. 여기서 선발된 프라이머 조합은 서열 5/11, 서열 7/9 이다(도 2참조).
1차 선발된 프라이머 조합은 박과작물에 발생하는 다른 바이러스인,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큐리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2,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와도 RT-PCR을 수행한 결과(도 3 참조) 비특이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프라이머 조합과 PCR 산물의 크기는 표 3과 같다.
<표 3> 최종 선발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조합번호 포워드 프라이머 리버스 프라이머 반응생성물 사이즈(bp)
24 서열번호 5 서열번호 11 850
33 서열번호 7 서열번호 9 450
본 발명에 의하면 항혈청을 이용한 진단방법보다 1,000배 이상 검출한계가 높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모든 계통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관련 바이러스와의 비특이적 반응이 없어 훨씬 정밀하게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프라이머의 위치도
도 2는 프라이머 조합에 따른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의 RT-PCR 사진
(Lane 1: 1/13, Lane 2: 1/12, Lane 3: 1/11, Lane 4: 1/10, Lane 5: 1/9, Lane 6: 1/8, Lane 7: 2/13, Lane 8: 2/12, Lane 9: 2/11, Lane 10: 2/10, Lane 11: 2/9, Lane 12: 2/8, Lane 13: 3/13, Lane 14: 3/12, Lane 15: 3/11, Lane 16: 3/10, Lane 17: 3/9, Lane 18: 3/8, Lane 19: 4/12, Lane 20: 4/11, Lane 21: 4/10, Lane 22: 4/9, Lane 23: 4/8, Lane 24: 5/11, Lane 25: 5/10, Lane 26: 5/9, Lane 27: 5/8, Lane 28: 6/11, Lane 29: 6/10, Lane 30: 6/9, Lane 31: 6/8, Lane 32: 7/10, Lane 33: 7/8, Lane 34: 7/9)
도 3은 1차 선발된 프라이머의 조합과 다른 관련 바이러스와의 RT-PCR 사진
(Lane 1,6: CMW, Lane 2,7: WMV2, Lane 3,8: ZYMV, Lane 4,9: CGMMV, Lane 5,10: KGMMV)
<1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Specific Primers for Detec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160> 1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caaggtacc agtaggac 18 <210> 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ctactgagt gtgaccta 18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tgagtgtgac ctaggccggc at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gcgtgtgta gtaattggca ag 22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ctcgcctgt tgaagtcgca 20 <210> 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cgcaggtggt taacggt 17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tttgattct accgtgtgg 19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ccgaagaaac ctaggagatg 20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cgactgacca ttttagccgt a 21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gtaagctgga tggacaaccc gt 22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ccacacggta gaatcaaat 19 <210> 1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ccgttaacc acctgcg 17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tgcgacttca acaggcgagc 20

Claims (7)

  1.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서열번호 5,7,9,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프라이머.
  2. 삭제
  3. 삭제
  4.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서열번호 5 또는 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핵산단편;
    상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핵산단편과 조합되며,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종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서열번호 9 또는 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그의 상보적인 염기서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핵산단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프라이머.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선택된 핵산단편 및 조합을 프라이머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를 미지의 바이러스의 게놈에 부가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해 얻어진 산물로부터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KR10-2002-0075493A 2002-11-29 2002-11-29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KR10049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93A KR100496012B1 (ko) 2002-11-29 2002-11-29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93A KR100496012B1 (ko) 2002-11-29 2002-11-29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332A KR20040047332A (ko) 2004-06-05
KR100496012B1 true KR100496012B1 (ko) 2005-06-16

Family

ID=3734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493A KR100496012B1 (ko) 2002-11-29 2002-11-29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62B1 (ko) 2019-08-29 2021-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834B1 (ko) 2018-10-30 2020-08-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박과 작물 바이러스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박과 작물 바이러스병 진단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312A (en) * 1992-06-12 1998-02-03 Instituto Nacional De Investigacion Y Techologia Agraria Y Alimentaria Procedure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iral and subviral pathogens
JPH11200A (ja) * 1997-06-12 1999-01-06 Norin Suisansyo Hokkaido Nogyo Shikenjo ウイルスの遺伝子型の識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312A (en) * 1992-06-12 1998-02-03 Instituto Nacional De Investigacion Y Techologia Agraria Y Alimentaria Procedure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iral and subviral pathogens
JPH11200A (ja) * 1997-06-12 1999-01-06 Norin Suisansyo Hokkaido Nogyo Shikenjo ウイルスの遺伝子型の識別方法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Virol Methods. 1999 Dec;83(1-2):67-73] *
Biochem Mol Biol Int. 1998 Jan;44(1):89-95 *
J Virol Methods. 2000 Sep;89(1-2):75-88] *
J Virol Methods. 2001 Jul;96(1):33-41] A *
J Virol Methods. 2002 Oct;106(1):51-9] *
Paper 1996, 12(4), page 432-436] *
Paper 1998, Vol.14(6) pp.630-63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162B1 (ko) 2019-08-29 2021-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332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e et al. Detection of multiple potato viruses using an oligo (dT) as a common cDNA primer in multiplex RT-PCR
Jin et al. Express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epatitis C virus ATPase/RNA helicase
Singh et al. Sodium sulphite inhibition of potato and cherry polyphenolics in nucleic acid extraction for virus detection by RT-PCR
KR101642771B1 (ko) 나리 바이러스 다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JP6595629B2 (ja) ウイルス性出血性敗血症ウイルスの地域特異的遺伝型の判別用プローブ及びその用途
KR101985654B1 (ko) 패션프루트 감염 바이러스 4종 다중 진단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US6867021B2 (en) Multiplex RT-PCR/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bovine coronavirus, bovine rotavirus, Cryptosporidium parvum, and Escherichia coli
JP5926194B2 (ja) Fecv及びfipvを区別する為の手段及び方法
Owens et al. Spot hybridization for detection of viroids and viruses
Takahashi et al. Detection of rice tungro bacilliform viru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assessing mild infection of plants and viruliferous vector leafhoppers
Callens et al.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swine vesicular disease virus based on a single tube RT-PCR system and DIG-ELISA detection
Rolland et al. A multipl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terrogation assay for reliable Potato virus Y group and variant characterization
KR100496017B1 (ko) 박과작물 발생 5종 바이러스 동시진단용 프라이머 조합
KR100496012B1 (ko)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KR100552633B1 (ko) 고추마일드모틀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KR100496014B1 (ko)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2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KR100496015B1 (ko) 큐리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KR100496013B1 (ko)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KR100496018B1 (ko) 쥬키니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Hsu et al. Biological functions of the cytoplasmic TGBp1 inclusions of bamboo mosaic potexvirus
KR102053753B1 (ko) 탄저병 저항성 딸기 품종 선별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060017212A (ko)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용 프로브 조성물, 프라이머 혼합물및 이를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의 검출방법
Ma et al. Detection of three pear viruses by multiplex RT-PCR assays with co-amplification of an internal control
WO2007119557A1 (ja) コイヘルペスウイルス(khv)の検出方法
KR100827551B1 (ko) 담배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진단용 특이 프라이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