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954B1 -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및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및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954B1
KR100494954B1 KR10-2000-7013617A KR20007013617A KR100494954B1 KR 100494954 B1 KR100494954 B1 KR 100494954B1 KR 20007013617 A KR20007013617 A KR 20007013617A KR 100494954 B1 KR100494954 B1 KR 10049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dhesive tape
adhesive
connection
hole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2490A (ko
Inventor
가토데루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또오세이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또오세이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또오세이꼬
Publication of KR2001005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5Interconnecting of containers, e.g. splicing of 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10T428/24793Comprising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impregnation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송 구멍(11a) 및 장착 구멍(11b)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11)와,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착된 상부 커버 테이프(12) 및 바닥 커버 테이프(13)로 이루어지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용 테이프(20)에 관한 것이다. 이 접속용 테이프는 기재 테이프(30), 점착 테이프(40) 및 보호 테이프(50)의 3층으로 이루어지고, 점착 테이프는 상부 커버 테이프에 접착 가능한 제 1 점착 테이프(41)와, 상부 커버 테이프와 간섭하지 않고 캐리어 테이프의 급송 구멍의 상면에 접착 가능한 제 2 점착 테이프(42)와, 바닥 커버 테이프에 접착 가능한 제 3 점착 테이프(43)로 구성된다. 제 2 점착 테이프에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급송 구멍에 대응하는 급송 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및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CONNECTION TAPE FOR SQUARE HOLE PUNCH CARRIER TYPE TAP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TAPE}
본 발명은 표면 실장(實裝)용 전자부품(surface mount electronic components)의 테이핑에 사용되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square hole-punched carrier tapes)을 그 단부끼리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용 테이프와 상기 접속용 테이프의 효율적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으로 프린트 회로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저항기, 콘덴서 등의 전자부품은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으로 테이핑되어 자동 실장기기로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은 소정의 급송 구멍 피치를 갖는 급송 구멍(11a) 및 소정의 장착 구멍 피치를 갖는 사각형 장착 구멍(11b)이 각각 형성된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의 캐리어 테이프(11)와, 상기 급송 구멍(11a)에 간섭하지 않도록 장착 구멍(11b)의 상면을 피복하기 위해서 접착된 상부 커버 테이프(12)와, 마찬가지로 장착 구멍(11b)의 하면을 피복하기 위해서 접착된 바닥 커버 테이프(13)로 구성되어 있다. 콘덴서 등의 표면 실장 부품(도시하지 않음)은 그 극성 등을 고려하여, 캐리어 테이프(11)의 장착 구멍(11b)에 수납되고, 그 상면 및 하면에 상부 커버 테이프(12) 및 바닥 커버 테이프(13)가 각각 접착됨으로써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릴(14)에 감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이 실장시에 릴(14)로부터 인출되어 자동 실장기기에 공급되고, 상부 커버 테이프(12)가 캐리어 테이프(11)로부터 서서히 박리되면서, 각 장착 구멍(11b)에 수납되어 있는 표면 실장 부품이 흡착 등에 의해서 출력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은 릴(14)에 감기고 인출됨으로써, 설정 길이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에 수납된 설정 개수의 표면 실장 부품의 실장이 종료되면, 이것을 새로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으로 교환해야 한다. 이 때, 사용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새로운 것으로의 교환을 위해서 자동 실장기기에 의한 실장 작업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되어, 현저하게 작업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사용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종단부와 새로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선단부를,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 점착 테이프가 사용한것과 새로운것(이하, 간단하게 "신구"라고 함) 양측의 상부 커버 테이프(12)에 확실하게 접착되지 않고, 또는 점착 테이프가 상부 커버 테이프(12)뿐만 아니라 캐리어 테이프(11)에도 접착하는 등에 의해서, 상부 커버 테이프(12)의 박리 불량이 발생하거나, 급송 구멍(11a)이 점착 테이프에 막혀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공급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원활한 공급을 저해하지 않는 간단하고 또한 확실한 접속 수단이 요구되고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원활한 공급을 저해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접속할 수 있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와, 상기 접속용 테이프의 합리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이하, 접속용 테이프라고 함)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단부끼리를 접속함으로써, 상면이 이형(離型) 처리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2분하는 절단선이 대략 중앙에 형성된 기재 테이프와, 하면이 점착면이 되고 이 점착면을 거쳐서 상기 기재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된 점착 테이프와, 하면이 점착면이 되고 이 점착면을 거쳐서 상기 기재 테이프 및 점착 테이프에 걸쳐서 그들의 상면에 접착된 보호 테이프로 구성된다. 적어도 상기 보호 테이프에는 그 폭을 이분하는 접는 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상부 커버 테이프에 접착 가능한 제 1 점착 테이프와, 상기 상부 커버 테이프와 간섭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급송 구멍의 상면에 접착 가능한 제 2 점착 테이프와, 상기 바닥 커버 테이프에 접착 가능한 제 3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점착 테이프 및 제 2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접는 선에 의해 구분된 절반부에 제 2 점착 테이프를 접는 선 측으로 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제 3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접는 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 2 점착 테이프에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급송 구멍과 동일한 피치 및 구멍 직경을 갖는 급송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용 테이프에 의하면, 기재 테이프를 절반씩 박리하여, 제 1 점착 테이프 및 제 2 점착 테이프의 절반부 및 다른 절반부를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상면에 각각 순서대로 접착한 후에, 보호 테이프를 접어, 제 3 점착 테이프를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하면에 접착함으로써, 신구 한쌍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급송 구멍이 형성된 제 2 점착 테이프를 거쳐서,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급송 구멍을 정확하게 연속시켜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접속된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지장 없이 자동 실장기기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점착 테이프는 상부 커버 테이프에, 제 2 점착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에, 그리고 제 3 점착 테이프는 바닥 커버 테이프에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각각 별도로 접착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와 상부 커버 테이프 및 바닥 커버 테이프와의 접착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실장시에 상부 커버 테이프나 바닥 커버 테이프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박리할 때에도, 접속 부분에서의 박리 불량 등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용 테이프는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 근방의 일부에 비점착 처리가 실시된 박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거쳐서 점착 테이프를 접착한 후에 보호 테이프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상면이 이형 처리된 긴 기재 테이프에 그 폭을 이분하는 절단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긴 기재 테이프의 상면에 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접착한 후에, 상기 긴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제 1 점착 테이프, 제 2 점착 테이프 및 제 3 점착 테이프의 외형을 펀칭하고 그 스크랩(scrap)을 박리하여, 이것에 의해서 얻어진 긴 기재 테이프 및 펀칭된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2층 연속체의 상면에 긴 보호 테이프의 점착면을 접착하여 3층의 연속체를 형성하고, 이 3층의 연속체에 대하여 상기 제 2 점착 테이프의 위치를 관통하는 접속용 테이프의 급송 구멍, 접속용 테이프의 접는 선이 되는 천공선 및 접속용 테이프 사이의 절단선이 되는 천공선을 펀칭하고, 급송 구멍의 스크랩을 제거하여, 이것에 의해 얻어진 접속용 테이프의 긴 연속체를 접속용 테이프의 소정 매수마다 재단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접속용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접속용 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의 평면도,
도 3은 접속용 테이프의 X-X선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접속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접속하는 방법을 (a) 내지 (f)의 순서대로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접속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속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해당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a는 상기 종래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8b는 상기 종래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또한,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구성 및 각 부분의 명칭, 부호에 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접속용 테이프(20)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접속용 테이프(20)는 기재 테이프(30), 점착 테이프(40) 및 보호 테이프(50)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인 시트 형상체이다.
기재 테이프(30)는 상면이 이형 처리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2분하는 직선형상의 절단선(30c)이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2장으로 분할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40)는 적당한 색으로 착색된 두께 50 내지 100㎛ 정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 점착면이 기재 테이프(30)의 상면에 접착되어 있다. 이 점착 테이프(40)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가늘고 길게 분할된 3장의 부분, 즉 제 1 점착 테이프(41), 제 2 점착 테이프(42) 및 제 3 점착 테이프(43)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점착 테이프(41)와 제 2 점착 테이프(42)는 얇은 간극을 두고 근접 병치되고, 제 3 점착 테이프(43)는 제 2 점착 테이프(42)로부터 더욱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보호 테이프(50)는 기재 테이프(30)와 같은 폭으로, 기재 테이프(30)보다 약간 짧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점착재가 도포되어, 이 점착면이 기재 테이프(30) 및 점착 테이프(40)의 상면에 거쳐서 접착되어 있다. 보호 테이프(5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일정한 폭으로 비점착 처리가 실시된 박리 영역(51)이 마련되어 있다.
기재 테이프(30) 및 보호 테이프(50)의 폭(w30)은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구성하는 캐리어 테이프(11)의 폭(w11)(도 8 참조)의 2배보다도 크고, 대략 중앙에는 상기 폭(w30)을 이분하는 파선형상의 천공선(30d, 50d)이 각각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기재 테이프(30)의 천공선(30d)은 기재 테이프(3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약간 남기고 형성되어 있고, 한편 보호 테이프(50)의 천공선(50d)은 보호 테이프(50)의 길이 전체에 거쳐서 형성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40)에 있어서의 제 1 점착 테이프(41)의 폭(w41)은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구성하는 상부 커버 테이프(12)의 폭(w12)(도 8 참조)과 거의 동일하고, 이 폭(w41)에 제 2 점착 테이프(42)의 폭(w42) 및 상기 간극의 폭(s1)을 더한 치수가 캐리어 테이프(11)의 폭(w11)과 같게 되어 있다. 이들 제 1 점착 테이프(41) 및 제 2 점착 테이프(42)는 상기 천공선(30d)에 의해서 이분된 기재 테이프(30)의 절반부에, 제 2 점착 테이프(42)를 천공선(30d) 측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점착 테이프(42)와 천공선(30d)의 간격(s2)은 캐리어 테이프(11)의 두께(t)(도 8 참조)보다 어느 정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제 3 점착 테이프(43)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구성하는 바닥 커버 테이프(13)[상부 커버 테이프(12)]의 폭(w12)과 거의 같은 폭, 따라서 제 1 점착 테이프(41)의 폭(w41)과 거의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공선(30d)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점착 테이프(41)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점착 테이프(42)의 위치에 캐리어 테이프(11)의 다른쪽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급송 구멍(11a)과 동일한 피치 및 구멍 직경을 갖는 급송 구멍(30a, 42a, 50a)이 각각 기재 테이프(30), 제 2 점착 테이프(42) 및 보호 테이프(5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용 테이프(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폭 방향으로 적절한 매수씩 연속하는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2)로서 제조되어,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접속할 때에 1개씩 분리되어서 사용된다. 그 때문에,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2)에 있어서의 각각의 접속용 테이프(20)의 사이에는 분리선이 되는 천공선(2e)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이 접속용 테이프(20)를 이용하여 신구 한쌍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을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그 접속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고, 도 5는 상기 접속용 테이프(20)를 사용하여 접속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6)를 준비한다. 이 지그(6)는 캐리어 테이프(11)의 폭(w11)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큰 폭을 갖는 가늘고 긴 가압판(61)의 한쪽 면에 접속용 테이프(20)의 급송 구멍(30a, 42a, 50a)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가진 복수개의 핀(62)이 급송 구멍(30a, 42a, 50a)과 같은 피치로 일렬로 설치된 것이다. 이 지그(6)를 접속용 테이프(20)의 상면에 덮고, 각 핀(62)을 접속용 테이프(20)의 각 급송 구멍(30a, 42a, 50a)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용 테이프(20)로부터 절단선(30c)에 의해서 분할된 기재 테이프(30)의 절반부를 박리하여, 점착 테이프(40) 및 보호 테이프(50)의 절반부에서의 하측의 점착면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종단부의 상면에 상기 접속용 테이프(20)의 절반부를 중첩시킴과 동시에, 접속용 테이프(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지그(6)의 핀(62)을 캐리어 테이프(11)의 급송 구멍(11a)에 삽입하여 서로의 급송 구멍(11a, 42a, 50a)을 일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지그(6)의 가압판(61)을 가압한다. 그러면, 제 1 점착 테이프(41) 및 제 2 점착 테이프(42)의 각 절반부가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종단부의 상면에 접착된다. 자세하게는, 제 1 점착 테이프(41)는 상부 커버 테이프(12)에 접착되고, 제 2 점착 테이프(42)는 급송 구멍(11a)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11)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접착되게 된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 테이프(30)의 남겨진 다른 절반부를 박리하여, 점착 테이프(40) 및 보호 테이프(50)의 다른 절반부에서의 하측의 점착면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4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선단부를, 상기 급송 구멍(11a)에 지그(6)의 핀(62)을 삽입하면서 사용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종단부에 맞댄다. 그리고, 지그(6)의 가압판(61)을 가압하고, 제 1 점착 테이프(41) 및 제 2 점착 테이프(42)의 각각 다른 절반부를 새로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상부 커버 테이프(12) 및 캐리어 테이프(11)에 각각 접착한다.
이렇게 해서, 제 1 점착 테이프(41) 및 제 2 점착 테이프(42)가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에 거쳐서 접착되면, 도 4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6)를 뺀 후에, 보호 테이프(50)를 천공선(50d)에서 하측으로 접고,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에 있어서의 바닥 커버 테이프(13)에 제 3 점착 테이프(43)를 접착한다. 이 때, 제 3 점착 테이프(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점착 테이프(41)에 대하여 천공선(50d)을 중심으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호 테이프(50)를 접는 것만으로 거의 정확하게 바닥 커버 테이프(13)에 중첩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3장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40)[제 1 점착 테이프(41), 제 2 점착 테이프(42), 제 3 점착 테이프(43)]를 거쳐서,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이 상하 양면에서 접속된 후에, 보호 테이프(50)의 박리 영역(51)을 떼어, 보호 테이프(50)를 상하 양면 모두 벗기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속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의 급송 구멍(11a)은 제 2 점착 테이프(42)에 형성된 급송 구멍(42a)에 각각 중첩되어 정확한 피치로 연속한다. 이 때문에, 접속된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을 자동 실장기기 등에 공급할 때에도, 그 공급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점착 테이프(41)가 신구의 상부 커버 테이프(12, 12)에 거쳐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실장 부품을 장착 구멍으로부터 취출(取出)할 때에도, 상부 커버 테이프(12, 12)가 접속 부분에서 박리 불량을 일으키는 일 없이 확실하게 박리된다.
또한, 전술한 접속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과 이것에 대응하는 측의 접속용 테이프(20)의 절반부를 먼저 접착하고, 그 후에 새로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과 이것에 대응하는 측의 접속용 테이프(20)의 다른 절반부를 접착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기재 테이프(30)의 박리 순서를 반대로 하여, 먼저 새로운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접속용 테이프(20)에 접착하고, 그 후에 사용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을 접속용 테이프(20)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속용 테이프(20)는 그 구성과 사용 방법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기재 테이프(30)는 상면이 이형 처리됨과 동시에 그 길이 방향을 2분하는 직선형상의 절단선(30c)에 의해서 2장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박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 1)의 어느 것으로부터라도 선후를 한정하지 않고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40)는 가늘고 길게 분할된 3장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제 1 점착 테이프(41)는 상부 커버 테이프(12)에, 제 2 점착 테이프(42)는 캐리어 테이프(11)에, 그리고 제 3 점착 테이프(43)는 바닥 커버 테이프(13)에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각각 별도로 접착되므로, 실장시에 캐리어 테이프(11)로부터 상부 커버 테이프(12)나 바닥 커버 테이프(13)를 박리할 때에도 박리 불량 등의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 2 점착 테이프(42)는 그 급송 구멍(42a)을 캐리어 테이프(11)의 급송 구멍(11a)에 일치시켜서 접착되므로, 급송 구멍(11a)이 부분적으로 막히는 일도 없고, 접속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공급도 원활하게 실행된다.
또한, 보호 테이프(50)에는 천공선(50d)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천공선(50d)을 중심으로 제 1 점착 테이프(41)와 제 3 점착 테이프(43)가 선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점착 테이프(41)를 상부 커버 테이프(12)에 접착한 상태로 보호 테이프(50)를 접음으로써, 제 3 점착 테이프(43)를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바닥 커버 테이프(13)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테이프(50)의 천공선(50d)과 제 2 점착 테이프(42) 사이에는 캐리어 테이프(11)의 두께(t)보다도 어느 정도 큰 간극(s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 테이프(50)를 접을 때에도 여유를 가지고 접을 수 있다. 또한, 이 간극(s2)의 크기는 각 테이프의 두께나 보호 테이프(50)의 휨 강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테이프(50)에는 상기한 천공선(50d)을 대신해서, 압형 등 다른 수단에 의한 동일한 접는 선 가공을 실시해도 무방하다.
또한, 보호 테이프(50)의 양쪽 단부 근방에는 박리 영역(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박리 영역(51)을 분리해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 박리 영역(51)은 이 부분에만 점착재를 도포하지 않도록 해서 형성해도 무방하지만, 보호 테이프(50)의 하면 전면에 점착재를 도포한 후에, 이 부분에만 별도의 얇은 커버 테이프 등을 다시 붙여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40)의 색을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과 다른 색으로 하면, 접속 개소를 명료하게 판별하기 쉬워지므로 편리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접속용 테이프(20)는 기재 테이프(30)에도 천공선(30d)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후술하는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재 테이프(30)와 보호 테이프(50)를 중첩한 상태로 펀칭 장치에 의해서 천공선(30d, 50d)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접속 방법에 있어서는 기재 테이프(30)의 천공선(30d)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 단계에서 이 천공선(30d)이 형성되지 않도록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접속용 테이프(20)에는 기재 테이프(30), 제 2 점착 테이프(42) 및 보호 테이프(50)의 3층을 관통하는 각 급송 구멍(30a, 42a, 50a)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도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들 3층을 중첩한 상태로 펀칭 장치에 의해 급송 구멍(30a, 42a, 50a)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3층을 관통하는 급송 구멍(30a, 42a, 50a)은, 전술된 바와 같이 지그(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만, 최종적으로 필요한 것은 제 2 점착 테이프(42)의 급송 구멍(42a)뿐이다. 따라서, 신구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급송 구멍(11a)과 제 2 점착 테이프(42)의 급송 구멍(42a)을, 예컨대 육안으로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반드시 기재 테이프(30)나 보호 테이프(50)에 급송 구멍(30a, 50a)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접속용 테이프(20)를 자동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7)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제조 장치(7)는 도 6에 있어서의 왼쪽에서 공급된 자재가 순차적으로 가공되면서 오른쪽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자재로서는 상기한 기재 테이프(30), 점착 테이프(40) 및 보호 테이프(50)가 각각 긴 연속체로 된 것, 즉 긴 기재 테이프(3), 긴 점착 테이프(4) 및 긴 보호 테이프(5)가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긴 각 자재의 연속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그 직교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왼쪽에 위치하는 이 제조 장치(7)의 전반부에는 긴 기재 테이프(3)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기재 테이프 공급릴(R3)과, 긴 점착 테이프(4)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점착 테이프 공급릴(R4)이 설치되고, 기재 테이프 공급릴(R3)로부터 공급된 긴 기재 테이프(3)가 슬리터(slitter)(S)를 경유하여, 점착 테이프 공급릴(R4)로부터 공급된 긴 점착 테이프(4)와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슬리터(S)는 긴 기재 테이프(3)의 이송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원반형상의 회전칼(B1)을 구비하고, 이 회전칼(B1)에 의해서, 도 6 중의 설명도(x)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기재 테이프(3)에 그 폭을 이분하는 절단선(30c)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조 장치(7)의 중간부에는 긴 점착 테이프(4)에 대하여 펀칭을 실행하는 제 1 펀칭 장치(P1)와, 제 1 펀칭 장치(P1)에 의해서 펀칭된 긴 점착 테이프(4)의 스크랩을 떼어 감는 권취릴(R6)과, 긴 보호 테이프(5)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보호 테이프 공급릴(R5)과, 상기 긴 보호 테이프(5)가 접합된 연속체에 급송 구멍(30a, 42a, 50a), 접는 선이 되는 천공선(30d, 50d) 및 절단선이 되는 천공선(2e)을 형성하는 제 2 펀칭 장치(P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펀칭 장치(P1)는 크랭크 기구에 의해서 승강하는 펀치 헤드(Ph1)를 구비하고, 이 펀치 헤드(Ph1)가 접합된 긴 기재 테이프(3) 및 긴 점착 테이프(4)로 이루어지는 2층의 연속체 중 상측에 위치하는 긴 점착 테이프(4)만을 펀칭할 수 있도록, 그 승강 스토로크가 조정되어 있다. 펀치 헤드(Ph1)의 블레이드는 도 6 중의 설명도(y)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용 테이프(20)를 구성하는 점착 테이프(40)[제 1 점착 테이프(41), 제 2 점착 테이프(42) 및 제 3 점착 테이프(43)]의 외형을 동시에 펀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펀칭 장치(P2)는 제 1 펀칭 장치(P1)와 같이 크랭크 기구에 의해서 승강하는 펀치 헤드(Ph2)를 구비하고, 이 펀치 헤드(Ph2)가 도 6의 설명도(z)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기재 테이프(3) 및 펀칭된 점착 테이프(40)의 상면에 긴 보호 테이프(5)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3층의 연속체에 대하여, 이것을 관통하는 급송 구멍(30a, 42a, 50a) 및 2개의 천공선, 즉 접는 선이 되는 천공선(30d, 50d)과 절단선이 되는 천공선(2e)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급송 구멍(30a, 42a, 50a)의 스크랩은 그것을 펀칭하는 가는 통형상의 블레이드의 내측으로부터, 공기 흡인 등에 의해서 위쪽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도 6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이 제조 장치(7)의 후반부에는 긴 연속체를 일체적으로 반송하는 이송 드럼(D)과, 가공된 긴 연속체를 소정 간격으로 재단하는 커터(C)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 드럼(D)은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제 1 펀칭 장치(P1) 및 제 2 펀칭 장치(P2)의 작동에 동기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커터(C)는 단속적으로 승강하는 승강 블레이드(B2)를 구비하고, 이 제조 장치(7)에 의한 가공을 거쳐서 제조된 긴 연속체, 즉 상기 접속용 테이프(20)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연속한 것을 마지막에 소정 매수씩 재단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2)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조 장치(7)를 이용함으로써, 아래와 같이 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우선, 기재 테이프 공급릴(R3)에 장착된 긴 기재 테이프(3)를 그 이형 처리된 면을 상측으로 하여 공급한다. 이 긴 기재 테이프(3)를 슬리터(S)를 통해서 그 폭을 이분하는 절단선(30c)을 형성함과 동시에, 점착 테이프 공급릴(R4)에 장착한 긴 점착 테이프(4)를 그 점착면을 하측으로 하여 공급하고, 절단선(30c)이 형성된 긴 기재 테이프(3)의 상면에 접착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긴 기재 테이프(3) 및 긴 점착 테이프(4)로 이루어지는 2층 연속체를 제 1 펀칭 장치(P1)로 이송하고, 긴 점착 테이프(4)에 대하여, 제 1 점착 테이프(41), 제 2 점착 테이프(42) 및 제 3 점착 테이프(43)의 외형을 펀칭한다.
그리고, 펀칭된 상기 2층의 연속체로부터, 긴 점착 테이프(4)의 스크랩을 떼어 권취릴(R6)에 감아, 긴 기재 테이프(3)와 래핑된 점착 테이프(40)로 이루어지는 연속체를 얻는다.
이어서, 보호 테이프 공급릴(R5)에 장착된 긴 보호 테이프(5)를 그 점착면을 하측으로 하여 공급하고, 긴 기재 테이프(3)와 펀칭된 점착 테이프(40)로 이루어지는 연속체의 상면에 접착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긴 기재 테이프(3), 펀칭된 점착 테이프(40) 및 긴 보호 테이프(5)로 이루어지는 3층의 연속체를 제 2 펀칭 장치(P2)로 이송하고, 제 2 점착 테이프(42)의 위치를 관통하는 급송 구멍(30a, 42a, 50a), 접는 선이 되는 천공선(30d, 50d) 및 절단선이 되는 천공선(2e)을 상기 3층에 대하여 동시에 펀칭하고, 급송 구멍(30a, 42a, 50a)의 스크랩을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용 테이프(20)가 그 폭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접속용 테이프의 긴 연속체가 얻어지므로, 이것을 접속용 테이프(20)의 소정 매수마다 재단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2)를 얻는다.
이상에 서술한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접속용 테이프(20)를 연속적으로, 또한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는 프린트 회로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저항기, 콘덴서 등의 전자부품의 테이핑에 사용되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그 단부끼리 접속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접속된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을 자동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경우에 이용하는데 바람직하다.

Claims (3)

  1. 측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급송 구멍(11a)이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11)와, 상기 급송 구멍(11a)에 간섭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1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착된 상부 커버 테이프(12) 및 바닥 커버 테이프(13)로 이루어지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용 테이프(20)에 있어서,
    상면이 이형(離型) 처리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2분하는 절단선(30c)이 대략 중앙에 형성된 기재 테이프(30)와, 하면이 점착면이 되고 이 점착면을 거쳐서 상기 기재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된 점착 테이프(40)와, 하면이 점착면이 되고 이 점착면을 거쳐서 상기 기재 테이프 및 점착 테이프에 걸쳐서 그들의 상면에 접착된 보호 테이프(50)로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보호 테이프(50)에는 그 폭을 이분하는 접는 선(50d)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점착 테이프(40)는 상기 상부 커버 테이프(12)에 접착 가능한 제 1 점착 테이프(41)와, 상기 상부 커버 테이프(12)와 간섭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11)의 급송 구멍(11a)의 상면에 접착 가능한 제 2 점착 테이프(42)와, 상기 바닥 커버 테이프(13)에 접착 가능한 제 3 점착 테이프(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점착 테이프(41) 및 제 2 점착 테이프(42)는 상기 접는 선(50d)에 의해 구분된 절반부에 제 2 점착 테이프(42)를 접는 선 측으로 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제 3 점착 테이프(43)는 상기 접는 선(50d)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점착 테이프(41)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 2 점착 테이프(42)에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1)의 급송 구멍(11a)과 동일한 피치 및 구멍 직경(42a)을 갖는 급송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테이프(50)의 단부 근방의 일부에 비점착 처리가 실시된 박리 영역(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3.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면이 이형 처리된 긴 기재 테이프(3)에 그 폭을 이분하는 절단선(30c)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긴 기재 테이프(3)의 상면에 긴 점착 테이프(4)의 점착면을 접착한 후에, 상기 긴 점착 테이프(4)에 대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점착 테이프(40)를 구성하는 제 1 점착 테이프(41), 제 2 점착 테이프(42) 및 제 3 점착 테이프(43)의 외형을 펀칭하고, 그 스크랩을 박리하는 단계와,
    이것에 의해 얻어진 긴 기재 테이프(3) 및 펀칭된 점착 테이프(40)로 이루어지는 2층 연속체의 상면에 긴 보호 테이프(5)의 점착면을 접착하고 3층의 연속체를 형성하여, 이 3층의 연속체에 대하여 상기 제 2 점착 테이프의 위치를 관통하는 접속용 테이프의 급송 구멍(30, 42a, 50a), 상기 접속용 테이프의 접는 선이 되는 천공선(30d, 50d) 및 접속용 테이프 사이의 절단선이 되는 천공선(2e)를 펀칭하고, 급송 구멍(30a, 42a, 50a)의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와,
    이것에 의해 얻어진 접속용 테이프(20)의 긴 연속체를 접속용 테이프의 소정 매수마다 재단하여 접속용 테이프의 연속 시트 형상체(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00-7013617A 1999-04-05 1999-04-05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및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0494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1804 WO2000059799A1 (fr) 1999-04-05 1999-04-05 Bande de connexion pour ruban de type support a perforations carrees,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490A KR20010052490A (ko) 2001-06-25
KR100494954B1 true KR100494954B1 (ko) 2005-06-14

Family

ID=1423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617A KR100494954B1 (ko) 1999-04-05 1999-04-05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및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28888B1 (ko)
JP (1) JP4220130B2 (ko)
KR (1) KR100494954B1 (ko)
DE (1) DE19983273B4 (ko)
WO (1) WO20000597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921B1 (ko) * 2008-11-12 2011-09-06 한윤석 에스엠디 캐리어 밴드용 천공구가 형성된 조인트 테이프 및 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9823B2 (ja) * 2000-10-11 2011-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キャリアテープの連結部材とそれを用いたキャリアテープの連結方法
CA2501857A1 (en) * 2002-10-09 2004-04-2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icrofluidic systems and components
KR20100053014A (ko) * 2008-11-12 2010-05-20 한윤석 에스엠디 캐리어 밴드용 조인트 테이프 및 그 제조장치
US9181459B2 (en) * 2010-09-16 2015-11-10 Electroreel Components, Llc Component carrier reel splicing tape
US9315351B2 (en) 2010-09-16 2016-04-19 Electroreel Components, Llc Component carrier reel splicing tape
CN102059296B (zh) * 2010-10-26 2012-12-19 华南理工大学 一种高压气体管板胀接方法与装置
DE202011106650U1 (de) * 2011-10-12 2012-02-27 Max Steier Gmbh & Co. Kg Selbstklebendes Spleisselement
JP5912775B2 (ja) * 2012-03-30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キャリアテープ接続用粘着テープ、キャリアテープ接続用フィルム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接続方法
JP5753985B2 (ja) * 2012-10-29 2015-07-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連結方法及びテープ連結具
KR101879767B1 (ko) * 2018-04-19 2018-07-18 (주)비앤엠테크 Lcd 모듈용 갭 필 테이프의 연속 제조 장치
DE102018007133B4 (de) * 2018-09-10 2021-10-07 Fritz Stepper Gmbh & Co. Kg Streifenförmiger Bauteilträg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4362A (en) * 1957-06-18 1961-08-01 Bell & Howell Co Film splicing
US3634171A (en) * 1969-09-03 1972-01-11 Eastman Kodak Co Web splicing and identifying apparatus
DE7409089U (de) * 1973-06-02 1980-02-28 Takahashi, Yoritaro, Tokio Verbindungsstueck
US4390389A (en) * 1982-01-11 1983-06-28 Devoke Company Data splice kit
CH676703A5 (en) * 1988-01-23 1991-02-28 Hrs Ag Splicing of tapes carrying electronic components - applying coupling strips folded over edges of tape ends and bonded
JPH04201871A (ja) * 1990-11-29 1992-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ボステーピング用カバーテープ
JPH04279465A (ja) * 1991-03-04 1992-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テープ
DE9211415U1 (de) * 1992-08-25 1993-12-23 Siemens Ag Fixierhilfe zum Verbinden von Bauteilgurten
EP0613339A1 (de) * 1993-02-25 1994-08-31 Willi, A., Dipl.-Ing., Patentanwalt Verfahren, Vorrichtung und Verbindungsstreifen zum Spleissen von Gurten mit Deckband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921B1 (ko) * 2008-11-12 2011-09-06 한윤석 에스엠디 캐리어 밴드용 천공구가 형성된 조인트 테이프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28888B1 (en) 2002-08-06
WO2000059799A1 (fr) 2000-10-12
DE19983273T1 (de) 2001-08-09
DE19983273B4 (de) 2005-03-17
KR20010052490A (ko) 2001-06-25
JP4220130B2 (ja)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954B1 (ko) 각진 구멍 펀치 캐리어형 테이핑의 접속용 테이프 및접속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0439829B1 (ko) 캐리어 테이프 연결용 연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사용한캐리어 테이프 연결 방법
JPH06278232A (ja) ラベルを一体的に備えた帳票及びその製法と装置
EP2627504B1 (en) Component carrier reel splicing tape
JP2003155002A (ja) キャリアテープの連結部材とそれを用いたキャリアテープの連結方法
US9315351B2 (en) Component carrier reel splicing tape
JP3665044B2 (ja) 輪郭部材用両面テープの製造方法
US20080268195A1 (en) Die-cu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 assembling die-cuts from the components thereof
JPH0432679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CN210176781U (zh) 一种多层次双面胶
JP3543055B2 (ja) テーピング部材の接続方法
JPH0251756B2 (ko)
JP2002210845A (ja) ラベル連続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0038242A (ja) 角穴パンチキャリヤ形テーピングの接続方法およびその接続用テープ
JPS63107543A (ja) ラベ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37089B2 (ja) ラベ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9194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配列構造体およびフレシキ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3035795U (ja) 包装紙用シール材
JPH0719128B2 (ja) ラベル連続体
JPS63107544A (ja) ラベ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204988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
JP2568002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591416B2 (ja) テーピング部材の接続テープ
JPH03204989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
JPH09138645A (ja) ラベル連続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