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754B1 - 단열소음덕트 - Google Patents

단열소음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754B1
KR100494754B1 KR1019960040993A KR19960040993A KR100494754B1 KR 100494754 B1 KR100494754 B1 KR 100494754B1 KR 1019960040993 A KR1019960040993 A KR 1019960040993A KR 19960040993 A KR19960040993 A KR 19960040993A KR 100494754 B1 KR100494754 B1 KR 10049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band
bubbl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975A (ko
Inventor
고우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도오다꾸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96004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754B1/ko
Publication of KR97001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송풍원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음을 송풍중에 감쇄시켜 송풍덕트의 개구부에서 유출하는 것이 적은 송풍덕트를 얻는 것이 과제이며, 평평한 띠형태로 형성된 섬유질띠(1)를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인접접합부(11) 사이의 외주면을 수지보강띠(12)에 의하여 접착일체화하여 대략 평활한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내면층(10)과, 이들과 서로 가까운 수지보강띠(12), (12) 사이에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서 상기 섬유질띠(1)와 접착하여 되는 1가닥 내지 수개가닥의 수지선형상체(13)와, 상기 내면층(10)의 외주면상에서 연속기포발포의 수지띠(2)를 그 측면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댄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 형성하여 되는 연속기포층(20)과, 이 연속기포층(20)의 외주면상에서 수지제의 얇은 시트형상띠(3)를 그 일부를 겹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겹친 사이를 접착하여 일체로 되는 중간시트층(30)과, 이 중간시트층(30)의 외주면에서 독립기포 수지띠(4)를 그 측면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댄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 형성하여 되는 독립기포층(40)과, 이 독립기포층(40)의 외주면에서 다른 수지제의 외면층형성 수지띠(5) 일부를 겹치게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겹친부분 사이를 접착 일체로 형성한 외면층(5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섬유질띠(1), 수지보강띠(12), 수지선형상체(13), 연속기포 수지띠(2),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 독립기포 수지띠(4) 및 외면층 형성수지띠(5)를 동일 나선핏치로 둘러감아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열소음덕트
본 발명은 기체이송용의 덕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냉기 또는 온기와 같이 항상 일정한 온도와 다른 온도를 한 냉난방용의 공기의 이송에 적합한 단열용의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기체이송용의 단열용 덕트는 일반적인 것으로는 덕트본체의 외주부에 단열용의 발포재를 나선상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고 덕트본체가 덕트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덕트의 내주면을 덕트본체가 차지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덕트에 있어서는 송풍기등의 송풍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덕트가 안내통이 되어 기체의 송풍과 함께 덕트의 개구부에서 토출되어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 이 소음은 덕트의 사용중 즉 송풍중 계속해서 발생하는 것이여서 사람의 신경을 자극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이와같은 덕트에서 토출되는 불쾌한 음을 소멸시키거나 완전히 소멸시킬 수가 없다고 하더라도 극히 감소시켜 종래 형식의 송풍덕트가 갖고 있었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특히 제조에 있어서는 연속생산하는데 적합한 싼 값으로 양산할 수 있고 신규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를 한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단열소음덕트(D)는 평평한 띠형태로 형성된 섬유질띠(1)를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접합부(11)사이의 외주면을 수지보강띠(12)에 의하여 일체로 접착하여 대략 평활한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내면층(10)과, 이들과 서로 가까운 수지보강띠(12), (12) 사이에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서, 상기 섬유질띠(1)와 접착시켜서 되는 1가닥 내지 수개가닥의 수지선형상체(13)와, 상기 내면층(10)의 외주면상에서 연속기포 수지띠(2)를 그 측면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댄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 형성하여되는 연속기포층(20)과, 이 연속기포층(20)의 외주면상에서 수지제의 얇은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를 그 일부를 겹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겹친사이를 접착하여 일체로 되는 중간시트층(30)과, 이 중간시트층(30)의 외주면에서 독립기포 수지띠(4)를 그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댄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 형성하여 되는 독립기포층(40)과, 이 독립기포층(40)의 외주면에서 수지제의 얇은 외면층형성 수지띠(5) 일부를 겹치도록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겹친사이를 접착하여 일체로 되는 외면층(5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섬유질띠(1)와 수지보강띠(12), 수지선형상체(13)와 연속기포 수지띠(2)와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 독립기포 수지띠(4)와 외면층 형성수지띠(5)가 동일 나선핏치로 둘러감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단열소음덕트(D)는 이와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중간시트층(30)의 내면측에 통기성이 있는 섬유질의 내면층(10)과 연속기포층(20)을 형성하여 이들 2개의 층에 의하여 기체의 이동중에 불쾌한 음을 흡수흡음시키고, 중간시트층(30)의 외주면측에서는 독립기포층(40)과 외피층(50)을 형성하여 덕트내를 유통하는 기체의 온도변화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섬유질띠(1)의 배면측에서 수지보강띠(12)를 통하여 이 섬유질띠(1)의 접합부(11)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섬유질띠(1)의 덕트내면데 면하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크게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섬유질띠(1)로서 통기가능한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직포 혹은 편조포를 사용한다. 또 상기 연속기포 수지띠(2)의 마주대는 부(21)를 섬유질띠(1)를 접합하는 상기 수지보강띠(12)의 외주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시켜 섬유질띠(1)의 통기면의 배면측 전체에 연속기포 수지띠(2)가 위치하도록 하여 흡음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독립기포층(40)을 여러개의 독립기포수지띠(4a), (4b…)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독립기포층(40a), (40b…)으로 형성하고 가요성이 좋은 것으로 하며, 또한 이들 각층을 형성하는 각 독립기포 수지띠(4a), (4b…)의 측면 가장자리 접촉부분(41a), (41b)을 덕트의 축선방향에서 변위시켜 이 접촉 부분이 덕트의 두꺼운 방향에서 연속하지 않도록 하여 단열효과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구조로서 실시하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l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도 및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도는 일부를 중단하여 단면형상을 표시한 도면이고, 제 2도는 각 구성소재의 일부를 분해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덕트(D)를 구성하는 섬유질띠(1)의 소재로서는,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PP)의 연속 장섬유를 적층하고 열 엠보싱가공을 실시하여 접착형성한 부직포를 사용한다. 이 부직포는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인장밸런스에 뛰어나 있고 유연성도 겸비하여 절단면에서의 풀림이나 표면의 보풀이 일지 않고 열 수축이 적어 벌레·곰팡이·세균 등에 침범되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다 수지보강띠(12) 및 수지선형상체(13)의 소재로서는 PP를 사용한다.
연속기포수지띠(2)의 소재로서는, 예를들어 우레탄을 발포시켜 밀도 약 22kg/㎡, 인장강도 1.7kg/㎠ 로 한 것을 사용하고 독립기포수지띠(4)의 소재로서는 예를들어 PE를 발포시켜 밀도 약 25kg/㎡, 인장강도 1.7kg/㎠ 로 한 것을 사용한다. 중간시트층(30) 및 외면층(50)을 형성하는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 및 외면층형성 수지띠(5)의 수지소재로서는 융착성이 좋은 폴리염화비닐(PVC)을 사용한다.
그러나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한 덕트(D)는 나선핏치를 예를들면 22mm 로 한 것으로 도면외의 덕트형성용 맨드렐의 외주에 폭 22mm, 두께 0.5mm의 상기 부직포제의 섬유질띠(1)를 그 측면 가장자리 끼리를 접촉시키면서 나선형상으로 둘러감고, 이 측면 가장자리끼리의 접합부(11)의 외주면에 폭 6mm, 높이 3mm의 역 T자형으로 한 상기 PP제 수지보강띠(12)를 압축기에서 압출된 직후의 반(半)용융상태에서 나선형상으로 둘러감아 양자를 일체로 융착하여 내면이 거의 평활한 원통형상의 내면층(10)을 형성한다. 동시에 이것들이 가까운 2가닥의 수지보강띠(12), (12)의 중간부분에서 지름 1mm의 1가닥의 PP제의 상기 수지선형상체(13)를 마찬가지로 압출기에서 압출된 직후의 반 용융상태에서 나선형으로 둘러감아 상기 섬유질띠(1)와 융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섬유질띠(1)의 느러짐을 적게 하고 직선통형상을 유지하도록 형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이 내면층(10)의 외주면상에서 폭 22mm, 두께 6mm로 한 우레탄제의 상기 연속기포수지띠(2)를 그 측면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대는 형상으로 하고 그 마주대는 부(21)가 상기 수지보강띠(12)의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나선형상으로 둘러감아 내면층(10)의 위에 연속기포층(20)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 연속기포층(20)의 외주면상에서 폭 28mm, 두께 0.3mm의 PVC제의 상기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를 그 측면 가장자리부분 약 6mm를 겹치도록 하면서 나선형상으로 둘러감아 그 겹침부를 일체로 융착시켜 중간시트층(30)을 형성한다. 또한 이 중간시트층(30)의 외주면상에 폭 22mm, 두께 2mm로 한 PE제 3매의 독립기포수지띠(4a), (4b), (4c)를 사용하여 각각을 폭방향으로 반폭만큼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대는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형상으로 둘러감아 독립기포층(40)을 형성한다. 또한 이 독립기포층(40)의 외주면상에서 상기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와 마찬가지의 폭 28mm, 두께 0.3mm의 PVC제의 외면층형성 수지띠(5)를 그 측면 가장자리 부분 약 6mm를 겹치도록 하면서 나선형상으로 둘러감아 그 겹침부를 일체로 융착하여 외면층(50)을 형성한다.
이와같이하여 내면층(10)을 형성하는 부직포제의 섬유질띠(1) 및 수지보강띠(12)와 수지선형상체(13)와 연속기포층(20)을 형성하는 연속기포 수지띠(2)와 중간시트층(30)을 형성하는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와 독립기포층(40)을 형성하는 3매의 독립기포 수지띠(4a), (4b), (4c)와 외면층(50)을 형성하는 외면층형성 수지띠(5)를 동일 나선핏치로 둘러감는 것에 의하여 덕트(D)를 형성한다.
제 3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면층(10)을 형성하는 섬유질띠(1)와 연속기포층(20)을 형성하는 연속기포 수지띠(2)와 독립기포층(40)을 형성하는 3매의 독립기포 수지띠(4a), (4b), (4c)와의 가로폭을 각각 30mm로 하고 중간시트층(30)을 형성하는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와 외면층(50)을 형성하는 외면층형성 수지띠(5)와의 가로폭을 각각 38mm로 하여 그 겹친폭을 8mm로 한 것이다. 또 섬유질띠(1)의 배면측에 접착하는 수지선형상체(13)를 2가닥으로 배선하여 섬유질띠(1)가 거의 직선통형상을 유지하도록 형태를 유지한다. 기타의 점에 대하여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덕트(D)를 형성하는 각 수지소재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예시한 소재이외에 합성수지소재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섬유질띠(1)의 소재는 합성수지제의 섬유에 한정되지 않고 천연섬유를 사용해도 좋다. 또 섬유질띠(1)와 수지보강띠(12) 및 수지선형상체(13)와의 접착, 중간시트층(30)을 형성하는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의 접착 또는 외면층(50)을 형성하는 외면층형성 수지띠(5)의 접착은 수지압출장치에서 압출한 반 용융상태의 띠 또는 이들을 가열 용융시키는 것에 의하여 융착시키는 것외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도 좋다. 이들을 융착시킬 경우에는 서로 융착성이 풍부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질띠(1)는 수지보강띠(12)에 의하여 그 측면 가장자리 사이를 융착 또는 접착접촉하는 것이므로 그 측면 가장자리 끼리는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 틈을 두어 둘러감아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이라고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실시예 구조의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의 구성요건을 구비하고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갖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당히 바꿔서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소음덕트는 덕트를 구성하는 벽의 중간에 중간시트층을 형성하고 그 내면측에 통기성이 있는 섬유질의 층과 연속기포 수지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외면측에 독립기포 수지층과 외면층을 형성한 것이므로 내면측의 2개의 층에 의해서 송풍기 등의 송풍원에서 발생하는 발생음을 효과적으로 흡음시켜 외면측의 독립기포층에 의하여 덕트내를 유통하는 기체의 온도변화를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섬유질띠의 배면측에서 이 섬유질띠의 접합부를 수지보강띠에서 접합하도록 한 것이므로 섬유질띠의 덕트내면에 면하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크게 하고 흡음작용을 최대한으로 크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섬유질띠의 보강과 보형성(保形性)을 보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섬유질띠의 폭방향 사이 부분의 배면측에 수지선형상체를 배설 접착시켜 섬유질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므로 섬유질띠가 그 자체보존성에 결함이 있는 것이어도 덕트의 내면이 파형으로 요철하는 경우가 적고 거의 직선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으며 그 때문에 넓은 폭의 섬유질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른 띠의 띠폭도 동시에 넓은 폭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핏치폭이 큰 덕트를 쉽고 능률좋게 연속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제 1실시예의 덕트의 중간부를 절단한 일부 단면사시도.
제 2도는 동 덕트의 각 소재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1도에 상당하는 일부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섬유질띠(帶) 2. 연속기포 수지띠 3.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
4. 독립기포 수지띠 5.외면층 형성수지띠 11. 접합부
12. 수지보강띠 13. 수지선형상체 10. 내면층
20. 연속기포층 30. 중간시트층 40. 독립기포층
50. 외면층 D. 덕트

Claims (4)

  1. 평평한 띠형태로 형성된 섬유질띠(1)를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접합부(11) 사이의 외주면을 수지보강띠(12)에 의하여 일체로 접착하여 통형상으로 형성하여 되는 내면층(10)과, 이들과 서로 가까운 수지보강띠(12), (12) 사이에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서 상기 섬유질띠(1)와 접착하여 되는 한가닥 내지 수개가닥의 수지선형상체(13)와, 상기 내면층(10)의 외주면상에서 연속기포 수지띠(2)를 그 가장자리끼리를 마주댄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 형성하여 되는 연속기포층(20)과, 이 연속기포층(20)의 외주면상에서 수지제의 얇은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를 그 일부를 겹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겹친 사이를 접착하여 일체로 되는 중간시트층(30)과, 이 중간시트층(30)의 외주면에서 독립기포수지띠(4)를 그 가장자리 끼리를 마주댄 형상으로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아 형성하여 되는 독립기포층(40)과, 이 독립기포층(40)의 외주면에서 수지제의 얇은 외면층 형성수지띠(5) 일부를 겹치게 하면서 나선상으로 둘러감고 그 겹친 사이를 접착 일체로 하여 되는 외면층(5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섬유질띠(1), 수지보강띠(12), 수지선형상체(13), 연속기포 수지띠(2), 중간시트층 형성수지띠(3), 독립기포 수지띠(4) 및 외면층형성수지띠(5)가 동일 나선핏치로 둘러감아 형성되어 이루어 지는 단열소음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띠(1)가 통기 가능한 부직포 또는 직포인 단열소음덕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기포 수지띠(2)의 마주대는 부(21)가 상기 수지보강띠(12)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단열소음덕트.
  4.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기포층(40)이 여러개의 독립기포수지띠(4a), (4b…)에 의해 여러개의 독립기포층(40a), (40b)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들 각 독립기포 수지띠(4a), (4b…)의 가장자리끼리의 접촉 부분(41a), (41b…)이 덕트의 축선방향에서, 변위하여 있는 단열소음덕트.
KR1019960040993A 1995-09-22 1996-09-20 단열소음덕트 KR10049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993A KR100494754B1 (ko) 1995-09-22 1996-09-20 단열소음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69506 1995-09-22
KR1019960040993A KR100494754B1 (ko) 1995-09-22 1996-09-20 단열소음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975A KR970015975A (ko) 1997-04-28
KR100494754B1 true KR100494754B1 (ko) 2005-09-02

Family

ID=4367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993A KR100494754B1 (ko) 1995-09-22 1996-09-20 단열소음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7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562A (en) * 1978-04-27 1980-05-27 Kelly Walter F Two-ply duct core
US5279332A (en) * 1989-09-11 1994-01-18 Dayco Products, Inc. Flexible hose construction having a passage therethrough defined by at least one rib there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814490A (ja) * 1994-07-01 1996-01-16 Kuraray Plast Kk 不織布管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断熱二重管
JPH08219335A (ja) * 1995-02-10 1996-08-30 Tigers Polymer Corp ダクトホース
US5607529A (en) * 1995-02-15 1997-03-04 Adamczyk; Eric J. Insulated flexible air duct and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562A (en) * 1978-04-27 1980-05-27 Kelly Walter F Two-ply duct core
US5279332A (en) * 1989-09-11 1994-01-18 Dayco Products, Inc. Flexible hose construction having a passage therethrough defined by at least one rib there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814490A (ja) * 1994-07-01 1996-01-16 Kuraray Plast Kk 不織布管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断熱二重管
JPH08219335A (ja) * 1995-02-10 1996-08-30 Tigers Polymer Corp ダクトホース
US5607529A (en) * 1995-02-15 1997-03-04 Adamczyk; Eric J. Insulated flexible air duct and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975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634A (en) Heat insulating noise reducing duct
US6250339B1 (en) Sound-absorbing and heat-insulating duct
KR100441859B1 (ko) 단열호스
US6179009B1 (en) Heat-insulating and noise reducing duct
KR100494754B1 (ko) 단열소음덕트
JPH10160231A (ja) 送吸気用ダクト
JP2006313043A (ja) 吸音ダクト
JPH1190972A (ja) 断熱ホースの製造方法
JP6662849B2 (ja) 可撓性通気ダクト及び関連の生産方法
JP4545262B2 (ja) 断熱ホース
JP4753778B2 (ja) 可撓性ホース
JP2000028083A (ja) 圧縮性ダクト
JP2019105330A (ja) 複合管
JP2008096073A (ja) ダクトホース
JP2000170992A (ja) 断熱ホース
JP4385192B2 (ja) 可撓性ホース
JP2002195635A (ja) 断熱ダクト
JP2010511139A (ja) 空調システムのための空気チャネルを形成する導管部材
JP7006217B2 (ja) 複合管
JP2004170073A (ja) 吸音断熱ホース
JPH11190492A (ja) 断熱ホース
JP2004170073A5 (ko)
JP2007046705A (ja) 給水・給湯用積層ホース
JP6552911B2 (ja) 送風用断熱ホース
JP2000304169A (ja) 断熱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